KR20200023074A -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074A
KR20200023074A KR1020180099453A KR20180099453A KR20200023074A KR 20200023074 A KR20200023074 A KR 20200023074A KR 1020180099453 A KR1020180099453 A KR 1020180099453A KR 20180099453 A KR20180099453 A KR 20180099453A KR 20200023074 A KR20200023074 A KR 202000230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fferential pressure
measuring
tube
solenoid valve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3657B1 (ko
Inventor
이민우
김재현
김영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일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일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일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09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6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fuel or fuel elements outside the reactor core, e.g. for burn-up, for conta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효율적인 유동파악을 위해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측정 부위에 대해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파악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전반적인 비용과 운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연료봉(FR)의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기준관(10); 상기 연료봉(FR)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연속 연결되는 다수의 측정관(20); 상기 측정관(20)과 각각 연결되어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30); 상기 기준관(10)과 포집기(30)에 각각 연결되어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40); 상기 포집기(30)에 측정관(20)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되어 측정관(20)의 유로를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5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한 시퀀스에 따라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6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Multiple differential pressure devices for flow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m}
본 발명은 다수의 연료봉(Fuel Rod)이 한 다발로 배열된 집합체(Assembly)의 차압을 측정하는 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효율적인 유동파악을 위해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는 측정 부위에 대해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파악을 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전반적인 비용과 운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 발전은 원자로에서 발생된 에너지로 물을 가열하고, 이때 발생되는 증기를 이용하여 터빈 발전기를 가동시키는 원리이다. 구체적으로 원자력 발전기는 크게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원자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 그 물을 증기로 변환시키는 증기발생기 및 원자로 냉각재 계통의 압력 및 체적 제어를 위한 가압기로 구성된다.
여기서 증기발생기 내에는 수천 개의 튜브가 구비되고, 각각의 튜브 내에는 냉각제가 흐르게 되며, 그 튜브 사이로 지나가는 물을 가열하게 된다. 그 물이 가열됨으로써 발생되는 증기는 소정의 노즐을 통해 터빈 발전기로 공급된다. 증기발생기에서 생성되는 증기는 증기발생기로부터 노즐을 통해 터빈 발전기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압력 강하 및 온도 변수에 따라 상태의 변화 및 불규칙적인 유동이 발생된다. 따라서 발전소 설계 시 이러한 증기의 유동에 대한 정확한 해석을 바탕으로 증기발생기 내부 구조물 설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최근에는 다양한 원자로 용기들이 연구 개발 되고 있고, 그에 따른 각 연료봉집합체(Fuel Rod Assembly) 또한 각각의 형태 및 크기를 갖는다. 동일한 크기(면적)의 연료봉 집합체라도 내부 유동의 특성에 따라 열전달이 원활히 되어 효율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그 중에서 차압을 이용하여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 연료봉의 수량은 대부분 257개 전후이며 차압을 이용하여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 연료봉 마다 3개소의 압력 즉, 257 x 3 = 771개의 차압을 측정해야 하며 차압계 또한 771개가 필요하다.
이른바 차압계(Differential Pressure Transmitter)는 국내외 가격이 대당 수백만 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차압계가 대단히 많은 수량이 필요하다. 따라서 비용이 적게 들면서도 차압 데이터를 쉽게 취득 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6609호 (발명의 명칭: 노심차압편차 개선을 위한 중수형 원자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전반적인 비용과 운영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연료봉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기준관; 상기 연료봉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연속 연결되는 다수의 측정관; 상기 측정관과 각각 연결되어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 상기 기준관과 포집기에 각각 연결되어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 상기 포집기에 측정관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되어 측정관의 유로를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한 시퀀스에 따라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는 기준관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집합체의 유동분포를 단일의 차압계로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기는 모든 솔레노이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만을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차압의 측정을 유도하되, 상기 할당된 측정관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는 신호와 함께 후속으로 할당된 측정관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켜 개폐시기를 서로 오버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차압장치는 차압계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령에 따라 실제 개폐에 이르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차와, 개방과 폐쇄에 따라 매질의 맥동을 보상하도록 개폐신호를 정정하는 보상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연료봉의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으로 기준관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봉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다수의 측정관을 연속으로 각각 연결하는 1단계; 상기 측정관을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기준관과 포집기에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를 각각 연결하는 2단계; 상기 포집기에 측정관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를 연결하는 3단계; 상기 기준관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집합체의 유동분포를 단일의 차압계로 측정하는 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4단계는 모든 솔레노이드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만을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차압의 측정을 유도하되, 상기 할당된 측정관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 솔레노이드밸브를 폐쇄하는 신호와 함께 후속으로 할당된 측정관의 솔레노이드밸브를 개방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켜 개폐시기를 서로 오버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4단계는 차압계와 솔레노이드밸브 사이에 보상기를 더 연결하여 지령에 따라 실제 개폐에 이르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차와, 개방과 폐쇄에 따라 매질의 맥동을 보상하도록 개폐신호를 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다수의 측정관을 포집기에 포집하고, 포집기에 개재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하여금 측정관과 차압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전반적인 구축비용과 운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기준관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까지 순차적으로 차압계와 연통시킴으로서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할당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과 후속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킴으로서 집합체를 유동하는 매질의 맥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차압계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와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른 시간차를 분석하여 밸브 간 개폐신호를 정정해줌으로서 전반적인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함과 함께 정밀한 측정을 기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의 변형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계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의 운용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를 제어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은 도 1처럼 다수의 연료봉(FR)이 한 다발로 배열된 집합체(AS)의 차압을 측정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기준관(10), 측정관(20), 포집기(30), 계측기(40), 솔레노이드밸브(50), 제어기(6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이다.
본 발명의 차압장치는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전반적인 구축비용과 운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키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상기 기준관(10)은 펌프로부터 연료봉(FR)내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에 연결되고, 계측기(40)와 연결되어 측정관(20)과 대조할 수 있는 매질의 유동압력이 측정되게 유도한다.
상기 측정관(20)은 다수의 연료봉(FR)마다 설정한 높이(간격)에 적어도 3개의 지점 이상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측정관(20)은 기준관(10)처럼 계측기(40)와 연결되어 유동압력이 측정되게 유도한다.
이때, 기준관(10)과 측정관(20)은 수동식 밸브가 개재되어 측정 지점을 필요에 따라 온/오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기(30)는 도 3처럼 다수의 측정관(20)과 연결되어 단일의 유로로 통합시킨다. 이러한 포집기(30)는 단일의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일측에는 측정관(20)의 연결을 유도하는 다수의 입력포트가 노출되며, 타측에는 계측기(40)와 연결을 유도하는 단일의 출력포트가 노출된다.
상기 계측기(40)는 고압 연결구와 저압 연결구로 구성되며, 두 연결구의 압력 차이를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즉, 고압 연결구에는 기준관(10)이 연결되고, 저압 연결구는 포집기(30)의 출력포트에 연결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는 도 3처럼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화되어 니들을 상하유동 시켜 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포집기(30)의 입력포트에 각각 개재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밸브(50)는 제어기(60)에 따라 입력포트의 유로를 개폐시켜 측정관(20)과 계측기(40)를 독립적으로 연통시켜 준다.
상기 제어기(60)는 솔레노이드밸브(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한 시퀀스에 따라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PCB모듈이다. 이러한 제어기(60)는 단일의 계측기(40)만으로 다수의 측정관(20)을 개별적으로 연통시켜 집합체(AS)의 유동분포 특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기(60)는 기준관(1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통상 측정관(20)이 기준관(1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차압의 폭은 점진적으로 커진다. 따라서 기준관(1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서 원거리로 순차 측정하여 측정 데이터를 하향 정렬 상태로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60)는 모든 솔레노이드밸브(5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50)만을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차압의 측정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할당된 측정관(20)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 솔레노이드밸브(50)를 폐쇄하는 신호와 함께 후속으로 할당된 측정관(20)의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방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켜 개폐시기를 서로 오버랩(중첩) 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폐과정은 개방(a), 유지(b), 폐쇄(c)과정으로 구분할 수가 있다. 다시 말해 할당된 1-1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방으로 차압 계측이 완료된 이후 폐쇄과정을 거치는데, 후속으로 할당되는 1-2 솔레노이드밸브(50)는 1-1 솔레노이드밸브(50)의 폐쇄시점에서 개방과정을 거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한다.
따라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50)의 폐쇄 이후 후속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방에 따른 매질의 맥동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참고로 맥동이 발생하게 되면, 수집되는 측정 데이터의 오류를 야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는 도 2처럼 차압계(40)와 솔레노이드밸브(5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지령에 따라 실제 개폐에 이르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차와, 개방과 폐쇄에 따라 매질의 맥동을 보상하도록 개폐신호를 정정하는 보상기(70)를 더 구성하는 것이 좋다.
즉 제어기(60)에 기 설정한 전류와 시간에 따라 솔레노이드밸브(50)를 정형화된 개폐신호를 연속으로 출력하게 된다. 그런데 측정관(20)의 개수가 적어도 수십에서 수백 개에 이르기 때문에 정형화된 개폐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소정 지점부터는 응답속도가 상이함에 따라 매질의 맥동에 대응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보상기(70)는 제어기(60)의 출력신호를 보정하여 측정관(20)의 개수에 상관없이 차압에 의해 발생하는 맥동을 저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처럼 할당된 1-1 솔레노이드밸브(50)의 개방으로 차압 계측이 완료된 이후 폐쇄과정을 거치는 동시에 1-2 솔레노이드밸브(50)는 개방과정을 거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도 7과 같이 계측기(40)로부터 측정되는 차압이 평균되는 차압과 현저하게 상이한 경우, 1-2 솔레노이드밸브(50)는 개방 신호를 기 설정한 본래의 신호보다 앞선 보정신호를 출력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은 다수의 연료봉(FR)이 한 다발로 배열된 집합체(AS)의 차압을 측정하는 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도 4처럼 1단계(S10) 내지 4단계(S40)를 순차적으로 거쳐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를 운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본 발명의 운용방법에서 제시되는 기준관(10), 측정관(20), 포집기(30), 계측기(40), 솔레노이드밸브(50), 제어기(60)는 앞에서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압장치를 운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토록 한다.
상기 1단계(S10) 내지 3단계(S30)는 차압장치를 연결하는 과정이으로, 여기서 1단계(S10)는 연료봉(FR)의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으로 기준관(10)을 연결하고, 연료봉(FR)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다수의 측정관(20)을 연속으로 각각 연결한다.
상기 2단계(S20)는 측정관(20)을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30)에 각각 연결하고, 기준관(10)과 포집기(30)에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40)를 각각 연결한다.
상기 3단계(S30)는 포집기(30)에 측정관(20)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50)와, 솔레노이드밸브(50)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60)를 연결한다.
결과적으로 1단계(S10) 내지 3단계(S30)를 거치면, 집합체(AS)의 유동분포를 파악하는 4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4단계(S40)는 기준관(1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집합체(AS)의 유동분포를 단일의 차압계(40)로 측정한다.
이때 모든 솔레노이드밸브(5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50)만을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차압의 측정을 유도한다. 즉, 도 6과 같이 할당된 측정관(20)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 솔레노이드밸브(50)를 폐쇄하는 신호와 함께 후속으로 할당된 측정관(20)의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방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켜 개폐시기를 서로 오버랩 시킨다.
한편, 상기 4단계(S40)는 도 2처럼 차압계(40)와 솔레노이드밸브(50) 사이에 보상기(70)를 더 연결하는 것이 좋다. 즉 보상기(70)는 도 5 및 도 7처럼 지령에 따라 실제 개폐에 이르기까지 지연되는 시간차와, 개방과 폐쇄에 따라 매질의 맥동을 보상하도록 개폐신호를 정정한다. 따라서 전반적인 집합체(AS)의 안정성을 보장함과 함께 유동분포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기술사상에 의하면, 다수의 측정관을 포집기에 포집하고, 포집기에 개재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로 하여금 측정관과 차압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켜 단일의 차압계만으로도 유동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어 전반적인 구축비용과 운용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기준관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까지 순차적으로 차압계와 연통시킴으로서 측정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할당 솔레노이드밸브의 개방과 후속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신호를 동시에 출력시킴으로서 집합체를 유동하는 매질의 맥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아울러 차압계로부터 측정되는 데이터와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른 시간차를 분석하여 밸브 간 개폐신호를 정정해줌으로서 전반적인 작동의 안정성을 보장함과 함께 정밀한 측정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FR: 연료봉
AS: 집합체
10: 기준관
20: 측정관
30: 포집기
40: 계측기
50: 솔레노이드밸브
60: 제어기
70: 보정기

Claims (4)

  1. 다수의 연료봉(FR)이 한 다발로 배열된 집합체(AS)의 차압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봉(FR)의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기준관(10);
    상기 연료봉(FR)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연속 연결되는 다수의 측정관(20);
    상기 측정관(20)과 각각 연결되어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30);
    상기 기준관(10)과 포집기(30)에 각각 연결되어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40);
    상기 포집기(30)에 측정관(20)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되어 측정관(20)의 유로를 독립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50);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정한 시퀀스에 따라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60)는 기준관(1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집합체(AS)의 유동분포를 단일의 차압계(40)로 측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3. 다수의 연료봉(FR)이 한 다발로 배열된 집합체(AS)의 차압을 측정하는 장치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연료봉(FR)의 내부로 매질이 도입되는 지점으로 기준관(10)을 연결하고, 상기 연료봉(FR)마다 설정한 간격별로 다수의 측정관(20)을 연속으로 각각 연결하는 1단계(S10);
    상기 측정관(20)을 단일의 관로로 집합시키는 포집기(30)에 각각 연결하고, 상기 기준관(10)과 포집기(30)에 차압을 측정하는 차압계(40)를 각각 연결하는 2단계(S20);
    상기 포집기(30)에 측정관(20)의 연결 부위마다 개재된 다수의 솔레노이드밸브(5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50)로 개폐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60)를 연결하는 3단계(S30);
    상기 기준관(10)을 기준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에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는 측정관(20)까지 순차적으로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폐하는 신호를 출력시켜 집합체(AS)의 유동분포를 단일의 차압계(40)로 측정하는 4단계(S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의 운용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4단계(S40)는 모든 솔레노이드밸브(50)가 폐쇄된 상태에서 할당된 솔레노이드밸브(50)만을 개방하는 신호를 출력하여 차압의 측정을 유도하되,
    상기 할당된 측정관(20)의 측정이 완료된 이후 솔레노이드밸브(50)를 폐쇄하는 신호와 함께 후속으로 할당된 측정관(20)의 솔레노이드밸브(50)를 개방하는 신호를 동시에 출력시켜 개폐시기를 서로 오버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를 운용하는 방법.
KR1020180099453A 2018-08-24 2018-08-24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KR102153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53A KR102153657B1 (ko) 2018-08-24 2018-08-24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53A KR102153657B1 (ko) 2018-08-24 2018-08-24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74A true KR20200023074A (ko) 2020-03-04
KR102153657B1 KR102153657B1 (ko) 2020-09-08

Family

ID=697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53A KR102153657B1 (ko) 2018-08-24 2018-08-24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6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391B2 (ja) * 1994-09-10 2000-10-1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多点試料水測定用自動測定装置
KR101040332B1 (ko) * 2009-04-03 2011-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듐 취급 계통에서 사용 가능한 압력 측정기
KR101406609B1 (ko) 2012-12-03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차압편차 개선을 위한 중수형 원자로
KR20180093471A (ko) * 2017-02-13 2018-08-22 자인주식회사 층류소자를 이용하는 누설률 모니터링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6391B2 (ja) * 1994-09-10 2000-10-10 株式会社堀場製作所 多点試料水測定用自動測定装置
KR101040332B1 (ko) * 2009-04-03 2011-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듐 취급 계통에서 사용 가능한 압력 측정기
KR101406609B1 (ko) 2012-12-03 2014-06-11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노심차압편차 개선을 위한 중수형 원자로
KR20180093471A (ko) * 2017-02-13 2018-08-22 자인주식회사 층류소자를 이용하는 누설률 모니터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657B1 (ko) 2020-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41093B (zh) 一种气敏传感器标定和可靠性测试系统
CN105424882B (zh) Scr脱硝系统多支路烟气取样装置及取样方法
CN202770933U (zh) 一种高精度多通道模拟量自动测试系统
CN109920568B (zh) 测定热离子燃料元件热电转换性能实验装置及方法
CN105157880B (zh) 一种热电偶动态响应测试系统及其测试方法
CN106053105A (zh) 一种核电站回热加热器能效监测与诊断的方法和系统
CN101231332A (zh) 全自动互感器校验仪整检系统
CN109078931A (zh) 高温气冷堆核电机组二回路化学清洗的动态模拟试验装置及使用方法
CN104964887A (zh) 一种高温过热水蒸气环境蠕变疲劳试验装置
CN106816190B (zh) 核电站反应堆主管道冷却剂温度测量系统以及方法
CN109884263B (zh) 一种溶解氧传感器试验装置及其试验方法
CN201803838U (zh) 多功能阀门测试系统
CN109029943B (zh) 两环路止回阀试验装置
KR20200023074A (ko) 유동분포 특성을 위한 다중 차압장치 및 이의 운용방법
JPH03179256A (ja) 低濃度用のイオンクロマトグラフィー法
CN202119830U (zh) 一种ptc加热管功率测试设备
CN104482995A (zh) 油耗仪标定检测装置
CN102305676A (zh) 全自动热能表流量检定装置
CN202196055U (zh) 一种气体检测报警器检定装置
CN102889948A (zh) 热量表耐久性试验装置
CN113552178B (zh) 一种汽水取样氢电导率自动连续测量方法
CN103063371B (zh) 一种密集管束焊缝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206223776U (zh) 一种锅炉水自动取样检测系统
CN213515916U (zh) 一种环路流量检定装置
CN115016409A (zh) 一种核电站热平衡验证装置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