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99A -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99A
KR20200022699A KR1020180098642A KR20180098642A KR20200022699A KR 20200022699 A KR20200022699 A KR 20200022699A KR 1020180098642 A KR1020180098642 A KR 1020180098642A KR 20180098642 A KR20180098642 A KR 20180098642A KR 20200022699 A KR20200022699 A KR 20200022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hot water
lotion
water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태
김은희
염보슬
김솔비
Original Assignee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699A/ko
Publication of KR20200022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Abstract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의 조절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화장품 및 식품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unripe apple water extracts}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체 내에 존재하는 멜라닌은 피부의 색상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생물학적 색소로서 작용한다. 피부 기저층에는 존재하는 멜라노사이트에서 멜라노좀과 멜라닌이 생성되는데 멜라닌은 멜라노좀이라는 새포에 의해 만들어진다. 피부의 멜라닌 생합성에는 다양한 기전들이 연관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한 자극으로 p53유전자가 만들어 내는 알파-멜라노사이트-조절호르몬에 의한 조절과, 이 호르몬에 의해 증가된 마이크로프탈미아 연합 전이 요소(MITF)가 멜라노좀 안에 존재하는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활성화된 타이로시네이즈에 의해 DOPA의 하이드록실레이션 과정이 개시되며, 타이로시네이즈 하위 단백질들인 TRP1과 TRP2에 의해 멜라닌 생합성을 촉진 및 조절하게 된다. 최종 산물인 멜라닌은 표피 세포 안으로 들어가 자외선과 같은 피부 자극 물질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멜라닌 합성의 과다 촉진은 피부에 과색소 침착과 염증성 침착과 같은 기전을 일으키게 된다.
현재 피부 미백에 대해 알부틴(Arbutin)과 누룩산(Kojic acid)이 효과적으로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물질이다. 그러나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기로 인해 멜라노사이트에 대한 독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누룩산(Kojic acid)의 경우 2.5%의 농도에서 피부염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Nakagawa M et, 1995), 1%의 농도에서도 색소접촉 피부염을 발생시킨다는 논문이 발표되었다(Juan Garcia-Gavin et, 2010). 이러한 피부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해 미백효과를 기대하는 물질들은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피부에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미백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연구가 천연물에서 유래한 추출물 또는 정제된 미백물질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하고 멜라닌 생성의 조절효소인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어 화장품 및 식품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4는 α-MSH를 처리한 B16F10 세포에서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α-MSH를 처리한 B16F10 세포에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후 웨스턴블럿팅을 통해 미백관련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α-MSH를 처리한 B16F10 세포에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처리한 후 real-time PCR을 통해 미백관련 유전자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 억제 및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은 미숙사과의 과육을 제외한 미숙사과의 과피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어, "미백"이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은 주근깨, 기미, 자외선 노출 후 과다 색소 침착, 염증 후 과다 색소 침착, 노인흑색점, 갈색 반점 또는 검버섯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90 중량부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유효량을 포함한다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용어, "유효량"이란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을 억제, 저해 또는 완화시킬 수 있는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화합물의 유효량은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제품화되는 형태, 상기 화합물이 피부에 적용되는 방법 및 피부에 머무르는 시간 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컨대, 상기 피부 미백용 조성물이 피부의 과다 색소 침착에 따른 피부과적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는 일상적으로 피부에 적용하게 되는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비해 높은 농도로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장품으로 제품화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쉬-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쉬-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본 발명의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 활성 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피부 미백 활성 성분으로는 코지산 및 이의 유도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및 이의 유도체, 하이드로퀴논 및 이의 유도체, 레조르시놀, 사이클로알카논, 메틸렌디옥시페닐 알칸올, 2,7-디니트로인다졸 또는 덩굴귤 추출물, 쌀 추출물, 감초 추출물과 같은 식물 추출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형광물질, 살진균제, 굴수성 유발물질, 보습체, 방향제, 방향제 담체, 단백질, 용해화제, 당유도체, 일광차단제, 비타민, 식물 추출물 등을 포함하는 부형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의약품 또는 화장품으로 제형화할 경우, 활성 성분에 대한 담체로 작용하는 피부에 적용가능한 공지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의약품으로의 제형화시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으며, 화장품으로 제형화시에는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문헌들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피부 미백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드링크제, 육류, 소시지, 빵, 비스킷, 떡,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유제품 및 유가공 제품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미숙사과 열수 추출물 제조
미숙사과는 2018년 경북 문경시 점촌동에 위치한 애플그린(applegreen)에서 2017년 6월에 제공받았으며 시료를 세척하여 과도를 이용하여 과육부분을 제외하였고 회수된 과피 300g에 10배 양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85℃에서 3시간 환류냉각 추출하였으며 시료를 원심 분리 및 여과한 다음, rotary vacuum evaporator (HS-10SP; Hahnshin S&T, Korea)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기(FD5525; Ilshin BioBase, Korea)로 건조하였다. 최종 시료무게는 26.2g으로 수율은 7.86%이며 시료는 냉장실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1.1. 세포배양
B16F10 세포(mouse melanoma cell line)는 한국세포주은행(Korea Cell Line Bank, KCLB, Seoul, Korea) 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B16F10세포의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 (FBS; Introgen Therapeutics, USA)과 1% penicillin/streptomycin (HycloneWP, GE Healthcare Life Sciences, USA) 100 U/ml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DMEM; Gibco™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 (Forma™ Thermo Fisher Scientific)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1.2.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시료와 양성대조군 ascorbic acid (Sigma-Aldrich, USA) 각 100 μl에 0.2 mM의 DPPH (Sigma-Aldrich, USA) 50 μl를 넣어 최종농도를 10, 100, 1,000 μg/ml로 만들어 교반한 후 30 min 방치한 다음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reader (PowerWave? XS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 Instruments, USA)를 이용해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 효과는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1.3. ABTS + 라디칼 소거능 측정
ABTS+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7 mM ABTS (Sigma-Aldrich, USA)와 2.4 mM potassium persulfate (K2S2O8; Sigma-Aldrich, USA)를 1:1로 혼합하여 암실 및 실온에서 24 hr 동안 반응시킨 후, 사용 전에 ABTS 용액을 에탄올에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6 ± 0.001이 되게 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와 양성대조군 BHT 각 50 μl에 ABTS와 potassium sulfate 혼합액 950 μl를 첨가하여 최종농도를 10, 100, 1,000 μg/ml로 만든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1.4. 세포독성 측정
세포생존율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를 96 well plate에 well당 0.6×105 세포로 180 μl 분주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24 hr 배양하였다. 배양 후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최종농도가 10, 25, 50, 75, 100 μg/ml이 되도록 각각 20 μl 씩 첨가한 후 48 hr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 well에 5 mg/ml 농도로 제조한 MTT (Sigma-Aldrich, USA) 용액 20 μl를 첨가하여 4 hr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와 에탄올을 1:1 섞은 용액을 각 well당 150 μl를 가하여 실온에서 30 min 동안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 측정은 시료용액의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1.5.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
Cellular tyrosinase 저해율 측정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B16F10 세포를 6 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접종하고 각 well에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10, 25, 50) μg/ml을 48 hr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PBS로 2회 세척한 후 각 well에 lysis buffer (1% triton X-100,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50 mM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H 6.8)를 가하였다. 얼음 위에서 세포를 용출시키고 12,000 rpm, 4℃, 30 min 원심 분리한 후 상층액만 따로 모아 효소용액으로 사용하였다. L-DOPA를 2 mg/ml 농도로 0.1 M sodium phosphate buffer (pH 6.8)에 녹여 기질을 준비하고 기질 160 μl에 효소용액 40 μl를 가하고 37℃에서 1hr 가온하고 생성된 DOPA chrome의 양을 490 nm에서 측정한 후 억제율을 계산하였다.
1.6. Melanin contents 측정
Melanin contents 측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B16F10 세포를 6 well에 5×104 cells/well이 되도록 분주하여 24 hr 뒤, 각각의 well에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농도별(10, 25, 50) μg/ml로 48 hr 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Gibco, NY, U.S.A)로 2회 세척한 후 12,000 rpm, 4℃, 30 min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침전물에 10% dimethyl sulfoxide (DMSO; Duksan, Korea)가 첨가된 1N NaOH 용액을 150 μl 첨가하고 60℃에서 1 hr 용해하였으며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실험군의 멜라닌 양은 대조군의 멜라닌 양에 대한 백분율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1.7. Western Blot을 이용한 단백질의 발현 측정
B16F10 세포는 6 well plate에 1×105 cells/ml 이 되도록 분주하고 24 hr 동안 안정화 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농도별(10, 25, 50) μg/ml 처리하고 1 hr 후 멜라닌 자극제인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200 nM으로 Normal군을 제외하고 처리하였다. 48 hr 처리 후 PBS로 세척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수확된 각 세포에 lysis buffer를 well 당 30 μl를 첨가하여 세포를 용해시키고 원심분리(12,000 rpm, 4℃, 30 min)하여 세포막 성분들을 제거하였다. 원심 분리하여 얻은 단백질은 bradford assay로 정량 하였으며, 20 μl의 단백질을 10%의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전기 영동한 후, 항체의 비특이적 결합을 억제시키기 위해 PVDF membrane에 옮긴 다음 60 V에서 2 hr 이상 transfer하였다. Transfer가 끝나면 5% skim milk에 1 hr 동안 방치하여 background를 제거시켰다. 1×TBST로 3회 washing 후 1차 항체 mouse anti-MITF, TRP-1, TRP-2 및 goat-tyrosinase는 1:1,000비율로 희석하여 4℃에서 16 hr 반응시킨 다음 10 min 간격으로 1×TBST로 5회 washing 후 mouse anti-goat IgG-HRP와 rabbit anti-mouse IgG-HRP 두 가지 2차 항체는1:1,000비율로 희석하여 실온에서2 hr 반응한 후 ECL kit (Amersham Pharmacia, England)를 이용하여 film에 옮겨 측정하였다. Band density는 EZ-Capture MG (ATTO corporation, Tokyo)으로 확인하였다.
1.8. 유전자 발현 분석을 위한 RNA 분리 및 real-time PCR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미백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tyrosinase, TRP-1, TRP-2, MITF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B16F10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5 cells/ml 에 되도록 분주하고 24 hr 동안 안정화 하였다. 배지를 제거한 후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농도별(10, 25, 50) μg/ml로 처치하고 1 hr 후 멜라닌 자극제인 α-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α-MSH) 200 nM으로 Normal군을 제외하고 세포를 자극한 후 48 hr 후 PBS로 세척하여 세포를 수확하였다. 그 후 total RNA는 PBS로 3번 세척하고 세포를 수확한 다음, trizol reagent를 이용하여 분리하였다. cDNA 합성은 Transcriptor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Roche Diagnostics, Switzerland)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합성하였다. Oligo (dT) primer (500 μg/ml) 1 μl, RNase free water 10 μl, 추출한 RNA (2 μg)를 넣고 25℃에서 10 min 반응 후, Transcriptor RT reaction buffer 4 μl, Protector RNase inhibitor 0.5 μl, Deoxynucleotide mix 2 μl, Transcriptor reverse transcriptase 0.5 μl를 첨가하여 55℃에서 30 min, 85℃에서 5 min, 4℃에서 1 hr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Real-time PCR (FastStart Essential DNA Green Master Kit; Roche Diagnostics)을 이용해서 희석한 cDNA 2 μl와 SYBR green 10 μl, primer 1 μl를 각각 넣어 PCR (LightCyber® Nano Real-Time PCR System; Roche Diagnostics) 기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정량분석을 한 뒤 결과를 분석하였다.
1.9. 통계처리
실험결과에 대한 통계처리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software package (Version 22.0; IBM, USA)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각 처리군 간의 유의성에 대한 검증은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여 유의성을 확인한 후, p<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예 2. DPPH radical 소거능
멜라닌색소는 멜라노사이트의 손상과 단백질, DNA 및 지질의 산화와 관련 있는 활성산소 종에 의해 생성된다는 연구에 따라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활성산소 발생에 의한 멜라닌 생성 억제에 효능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평가인 DPPH radical 소거능을 수행하였다.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10, 100, 1,000 μg/ml의 최종농도로 처리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1,000 μg/ml 농도에서 77.3%로 대조군 Vit.C 83.2%와 유사한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ABTS +  라디칼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능은 DPPH 방법과 함께 항산화 활성을 스크리닝 하는데 가장 기초가 되는 실험으로 peroxidase, H2O2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활성 양이온인 ABTS+가 시료 중의 항 산화성 물질을 만나면 고유의 청록색이 탈색이 되는데 그 흡광도 값으로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측정할 수 있다.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ABTS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Vit.C군과 비교 시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은 1,000 μg/ml 에서 93.1%, Vit.C 98.7%로 항산화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독성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이 B16F10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효소와 MTT tetrazolium이 반응하면 MTT formazan이 형성되고 이를 DMSO로 재수화시키면 보라색으로 변하는 값을 흡광도로 나타내는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시료농도를 10, 25, 50, 75, 100 μg/ml로 처리한 결과 B16F10 cell 에서 50 μg/ml 이하 농도의 세포생존율이 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75 μg/ml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낸 결과를 토대로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미백 실험의 시료농도를 생존율 및 증식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50 μg/ml 이내로 실험조건으로 설정하여 다음실험을 진행하였다(도 3참조).
실험예 5. Cellular tyrosinase 및 melanin 생합성 저해율
멜라닌 생성 유도 물질인 α-MSH는 뇌하수체 및 피부를 포함한 여러 조직에서 분비되며, 멜라닌 합성에 있어서 tyrosinase의 활성을 촉진시켜tyrosine을 DOPA로 DOPA를 DOPA quinone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eumelanin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반응속도를 증가시킨다. B16F10 cell내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미백활성을 분석한 결과, 세포 내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는 α-MSH 자극군 대비 복합물을 농도별(10, 25, 50)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각 1.2, 7.5, 19.8%의 tyrosinase 활성이 저해 되는것을 확인하였다(도 4A참조). 멜라닌은 tyrosin이 tyrosinase의 작용에 의해 여러 가지 물질로 대사되는 과정 중에 최종적으로 합성된 물질이기 때문에 멜라닌의 생성효소인 tyrosinase의 합성이 억제되거나 그 활성이 저해되며 멜라닌 생성이 감소된다. melanoma 세포에 α-MSH를 처리하여 melanin의 형성을 촉진시켜 멜라닌합성을 유도한 후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 melanin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50 μg/ml 농도에서 멜라닌의 합성을 17.3% 저해하였으며 현재 tyrosinase 저해제로서 사용되는 알부틴(arbutin)의 15.2% 대비하여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도 4B참조).
실험예 6. B16F10에서의 미백관련 인자들의 단백질 발현량 측정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이 α-MSH 자극에 의해 유도된 tyrosinase 활성과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western blot으로 미백 관련 전사인자인 MITF, TRP-1, TRP-2, tyrosinase 발현을 조사하였다. Tyrosinase, TRP-1과 TRP-2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인자로는 MITF가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멜라노사이트의 발달과 분화에서 주요한 조절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MITF는 다양한 타겟 유전의 특이적 DNA 서열에 결합하여 분화, 증식, 세포이동, 종양 형성(tumorigenesis)과 같은 세포 반응을 유도 하는것 으로 알려져 있다. 세포에α-MSH를 단독 처리한 경우에 tyrosinase 및 MITF 발현은 현저히 증가 되었고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을 농도별(6.25, 12.5, 25) μg/ml로 처리하였을 때 관련 단백질이 저해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RP-2의 발현저해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멜라닌 생합성에 있어서 상위신호단계에 있는 전사인자 MITF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Tyrosinase, TRP-1과 TRP-2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실험예 7. B16F10에서의 미백관련 인자들의 유전자 발현량 측정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의tyrosinase 및 MITF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real time-PCR을 통한 mRNA 발현량을 알아본 결과 α-MSH 자극군에 대비해서 시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저해율이 높아짐을 보였으며 25 μg/ml 농도에서는 관련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성 있게 저해율을 보여 미숙사과 과피 열수추출물은 유전자발현 단계에서부터 MITF의 전사를 억제하여 tyrosinase 생성을 감소시켜 멜라닌생성을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 참조).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은 멜라닌의 생성 억제 및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은 미숙사과의 과피로부터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외용연고, 크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팩, 에센스, 헤어토닉,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 트리트먼트, 젤,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 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마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 크림, 파운데이션, 영양에센스, 선스크린,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 로션 및 바디 클렌저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식품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7.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80098642A 2018-08-23 2018-08-23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0226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42A KR20200022699A (ko) 2018-08-23 2018-08-23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642A KR20200022699A (ko) 2018-08-23 2018-08-23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99A true KR20200022699A (ko) 2020-03-04

Family

ID=69783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642A KR20200022699A (ko) 2018-08-23 2018-08-23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6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237B1 (ko) 로즈마리 유래의 베르베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89813B1 (ko) 회화나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283527B1 (ko) 곡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53994B1 (ko) 흰점박이꽃무지유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1299B1 (ko) 큰도꼬마리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39619B1 (ko) 프레이럽토린 에이를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64157B1 (ko) 죽순피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개선 및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2649B1 (ko) 유산 및 글루코노락톤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JP4136207B2 (ja)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KR102128168B1 (ko) 표고버섯 추출물 및 고로쇠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200022699A (ko) 미숙사과 열수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US20180353403A1 (en) Skin-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osemary-derived verbenone as active ingredient
JP2011051920A (ja) 美白剤
KR102134968B1 (ko) 우절 추출물 및 미숙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03190B1 (ko) 아주골을 포함하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04155A (ko) 큰금계국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088113B1 (ko) 브라시닌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33835B1 (ko) 플럼바긴 및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26435B1 (ko) 머루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KR102515649B1 (ko) 층층갈고리둥굴레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15923B1 (ko) 잔사틴을 이용한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55721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당화용 조성물
KR102478737B1 (ko) 정향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5699B1 (ko) 백리향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용 조성물
KR20180023504A (ko) 제럼본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