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669A -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669A
KR20200022669A KR1020180098563A KR20180098563A KR20200022669A KR 20200022669 A KR20200022669 A KR 20200022669A KR 1020180098563 A KR1020180098563 A KR 1020180098563A KR 20180098563 A KR20180098563 A KR 20180098563A KR 20200022669 A KR20200022669 A KR 202000226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wireless router
search hi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주
조호영
Original Assignee
김태주
주식회사 플랜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주, 주식회사 플랜티넷 filed Critical 김태주
Priority to KR1020180098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669A/ko
Publication of KR20200022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6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1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 무선공유기에 기록된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주변 매장의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복수의 매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BY GEOGRAPHIC LOCATION OF USER TERMINAL}
본 발명은 홈 무선공유기에 기록된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주변 매장의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사용자의 니즈와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
소비 대중을 대상으로 하여 상품의 판매나 서비스의 이용 또는 기업이나 단체의 이미지 증진 등을 궁극 목표로 이에 필요한 정보를 매체를 통하여 유료 또는 무료로 전달하는 모든 행위를 광고라고 한다.
광고를 제공하는 입장인 업체들은 투자 대비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고, 고객들은 자신에게 필요한 광고를 선별하여 확인하는데 시간을 들이고 있다.
근래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고객에게 필요하거나 고객이 관심 갖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광고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맞춤형 광고라고 하는데, 광고주 입장에선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 입장에선 필요한 광고를 적시에 확인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54479호 "단말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한국등록특허 제1292726호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지역별로 특화된 사용자 맞춤형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광고를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복수의 매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매장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를 통해, 푸쉬 방식으로 상기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매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검색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매장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상기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역별로 특화된 사용자 맞춤형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광고를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이 적용된 전체 구조(10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가정 내에 분포 되어 있는 홈 무선공유기를 이용하여 검색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며, 특정 지역에 도달 하였을 때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위치정보에 따라 지정된 공간에서 상품의 구매 정보와 판매점의 위치 등의 광고를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기술이다. 사용자 단말기는, 해당 판매점의 업종별 분류 및 사용자 콘텐츠 이용 정보에 매칭하는 광고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대상 매장에서는 효과적으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를 선별하고 전달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전체 구조(100)를 살펴보면, 홈에 위치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홈 무선공유기(120)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에 접속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관심분야에 해당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 시 사용자 단말기(110)에서는 검색에 필요한 다양한 이벤트들이 발생하는데, 홈 무선공유기(120)는 이러한 이벤트를 통해 검색 이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홈 무선공유기(120)는 수집한 검색 이력 정보를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에 제공하여 기록 및 관리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홈 무선공유기(120)는 검색을 수행한 사용자 단말기(110)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검색 이력 정보와 함께 전송하여 기록 및 관리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수신한 검색 이력 정보를 단말기 식별정보와 연관지어 기록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별로 검색 이력들을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색 이력으로 기록할 수 있는 정보들을 사전에 선택하고, 홈 무선공유기(120)에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관심분야로서, 맛집의 카테고리를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 경우, 홈 무선공유기(120)는 맛집과 관련하여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에 대해서만 수집하여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지역별, 업종별, 상권별 등의 기준으로 분류된 매장들과, 각 매장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고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대응되는 매장들의 리스트가 기록되고, 각 매장들에 대한 지역, 업종, 상권 등의 부가 정보가 더 기록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70)가 이동하여 개방형 무선공유기(150)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기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사용자 단말기에 인근 매장과 관련된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70)가 개방형 무선공유기(150)에 접속하는 경우 개방형 무선공유기(150)와 관련된 인근의 매장들을 확인할 수 있다. 확인된 매장들 중에서도 사용자 단말기(170)의 검색 이력 정보를 확인해서, 사용자 단말기(170)의 사용자가 관심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매장들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선별된 매장들 중에서도 우선 순위, 현재 주변 상황 등을 고려하여 특정 매장을 결정하고 해당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우선적으로 개방형 무선공유기(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맞춤형 광고 콘텐츠는 해당 특정 매장의 홈페이지 정보일 수도 있고, 해당 특정 매장에서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광고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맞춤형 광고 콘텐츠는 콘텐츠 프로바이더(140)가 관리할 수 있으며,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의 요청에 따라 개방형 무선공유기(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70)에 제공될 수 있다.
매장들에 대한 우선 순위는 광고비, 매장에 대한 호감도, 매장과의 거리, 가격 등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주변 상황은 날씨, 시간, 인파, 요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매장을 검색 및 추천하는데 있어, 특정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커버리지 내의 매장을 검색하거나, 커버리지 외의 매장들 중에서 개방형 무선공유기와의 거리가 미리 설정한 거리 이내의 매장을 검색할 수도 있다.
일례로,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130)은 사용자 단말기(170)의 이동 경로를 확인하고, 확인된 이동 경로로부터 예측되는 이동 경로 상의 매장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 단말기(170)가 개방형 무선공유기(150)에 접속한 직후 개방형 무선공유기(160)로 핸드오버 하는 경우, 개방형 무선공유기(150)의 위치와 개방형 무선공유기(160)의 위치를 잇는 이동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접속할 가능성이 높은 개방형 무선공유기를 고려하여 예상되는 이동 경로를 산출하고, 예상되는 이동 경로 상의 매장에 대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7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후 접속할 가능성이 높은 개방형 무선공유기는, 이전의 기록들을 참고하거나 지도 상의 동선을 고려하여 판단하여 확률적으로 계산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200)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홈 무선공유기에 기록된 검색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위치하는 주변 매장의 광고를 제공하는 기술로서, 사용자의 니즈와 현재 위치를 고려하여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광고를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200)은 정보 수집부(210), 데이터베이스(220), 판단부(230), 및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210)는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210)는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설정된 경우에만,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검색 이력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20)는 복수의 매장 정보 및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20)는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매장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매장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한 실시예는 도 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판단부(230)는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230)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관리되고 있는 단말기 식별정보인지를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만약, 데이터베이스(220)에 기록된 경우라면 데이터베이스(220)를 검색하여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를 통해, 푸쉬 방식으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PPC(Pay Per Click)는 소비자가 클릭으로 광고주의 사이트에 들어갈 때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하는 방식이다.
CPA(Cost Per Action)는 행동을 할 때마다 과금하는 방식으로서, 사용자가 단순한 클릭과 관심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회원가입을 하거나, 어플을 깔았을 때 등 광고주가 원하는 행동을 할 때 마다 과금 처리하는 방식이다.
CPS(Cost Per Sale)는 실질적인 구매를 할 때 마다 지불하는 과금 처리 방식이고, CTS(Conversion Tracking System)는 구매전환을 추적할 수 있는 과금 처리 방식에 해당한다.
CTS(Conversion Tracking System) 방식의 과금 처리는, 돈이 벌릴만한 효율/효과적인 광고를 진행했는지에 대한 측정결과를 기반으로 과금 처리하는 기술이다.
즉, CTS(Conversion Tracking System)는 광고의 실질적인 성과를 과금 처리에 반영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품의 주문/결제에 의한 매출을 과금 처리에 반영하는 방식이다.
CTR(Click Through Rate)은 노출횟수 대비 클릭수를 나타내며, 다시 말해 광고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클릭했는지에 대한 횟수, 즉, 클릭률에 기반하여 과금 처리하는 방식이다.
CVR(Click Conversion Rate)는 광고를 클릭해 사이트에 들어온 방문객이 특정 행위(전환)를 하는 비율로서, 해당 비율을 과금 처리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DT(Duration Time)는 사용자가 광고주 홈페이지에서 머무는 시간을 과금 처리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ROAS(Return On Ads Spending)는 광고비 투자 수익률, 즉 투자한 광고비 대비 얻은 매출을 기반으로 과금 처리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ROI(Return Of Investment)는 투자수익률, 즉 투자한 비용을 몇 년만에 회수할 수 있는가를 기준으로 과금 처리하는 방식에 해당한다.
UV(Unique Visitors)는 중복 접속자 수를 제외하고 일정 기간 동안 같은 다른 사람이 방문한 횟수를 기반을 과금 처리에 활용하는 방식이다.
CPC(Cost Per Click)는 클릭당 비용을 지불하는 과금 처리 방식이며, 예를 들어 소비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 마다 측정되는 비용을 과금하는 방식이다.
CPM(Cost per Mille)은 미리 선정된 횟수만큼의 노출당 과금하는 방식으로서, 현재 대부분의 포털이 CPM(Cost per Mille) 방식의 과금으로 처리되고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광고 제공부(240)는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며,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는 데이터베이스의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 검색 이력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이용해서, 맞춤형 광고 콘텐츠가 어떻게 제공되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3a를 참고하면, 도면부호 3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에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가 서로 연관지어 기록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에는 홈 무선공유기가 수집하여 저장 요청하는 정보들이 기록될 수 있다. 검색 이력 정보로서 검색 이력들 및 검색 이력에 포함된 태그들이 기록될 수 있다. 태그들은 검색 이력들을 대표, 분류, 참조할 수 있는 정보들로서, 검색에 사용된 키워드, 제품 또는 서비스 명, 상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a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하나의 검색 이력 정보가 기록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에 복수의 검색 이력 정보들이 매칭되어 기록될 수도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도면부호 320과 같이 데이터베이스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와 그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기록하고 이를 유지할 수 있다.
매장 정보는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 매장에 대한 지역정보, 상권정보, 업종정보 등, 매장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매장 정보가 해당 매장에서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키워드, 제품 또는 서비스 명, 상표 등을 포함하는 태그들로 구성될 수 있다. 매장 정보를 구성하는 태그들은 검색 이력 정보에 포함된 태그들과 동일하거나 서로 매칭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 경우,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현재 개방형 무선공유기와 관련된 매장 정보들 중에서, 검색 이력에 포함된 태그를 기준으로 매장 정보를 선별할 수 있다.
일례로, 도 3a의 사용자 단말기3이 개방형 무선공유기1로 식별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를 살펴볼 수 있다.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이 tag#5, tag#6 등이 포함된 검색 이력3을 수집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 3이 개방형 무선공유기1에 접속 했다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개방형 무선공유기1과 관련 있는 많은 매장들 중에서 tag#5, tag#6를 포함하는 매장 정보2를 선별할 수 있다.
도 3c는 매장 정보와 매장 정보가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연관지어 기록하는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설명한다.
도면부호 33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선별된 매장 정보2에 대응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로서, 콘텐츠 4, 콘텐츠 5을 사용자 단말기2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은 콘텐츠 4, 콘텐츠 5을 추출하여 직접 제공할 수도 있지만, 콘텐츠 프로바이버에게 콘텐츠 4, 콘텐츠 5을 사용자 단말기2에 제공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검색 이력 정보,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 및 저장할 수 있다(단계 410). 예를 들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와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매장 정보 및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단계 420). 특히,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매장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430).
판단 결과, 사용자 단말기가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였다면,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단계 440).
또한,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단계 450).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미리 준비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지역별로 특화된 사용자 맞춤형의 광고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 영역에 대한 광고를 통해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4)

  1.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복수의 매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맞춤형 광고 제공부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매장 정보로서 저장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수집부는,
    사용자로부터 사전 설정된 경우에만, 상기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상기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를 통해, 푸쉬 방식으로 상기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광고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9. 홈 무선공유기를 통해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검색되는 검색 이력 정보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단말기 식별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검색 이력 정보 및 상기 수집된 단말기 식별정보를 서로 연관지어 저장하는 단계;
    복수의 매장 정보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단말기 식별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방형 무선공유기에 접속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단말기 식별정보에 대응되는 검색 이력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매장 정보 중에서 상기 추출된 검색 이력 정보에 대응되는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이력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검색하는 제품 정보, 서비스 정보, 위치 정보, 검색 키워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수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는,
    식별되는 매장에서 판매 또는 서비스하는 제품에 대한 정보들을 상기 매장 정보로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되는 맞춤형 광고 콘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액션에 기초하여,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는,
    PPC(Pay Per Click), CPA(Cost Per Action), CPS(Cost Per Sale), CTS(Conversion Tracking Sydstem), CTR(Click Through Rate), CVR(Click Conversion Rate), DT(Duration Time), ROAS(Return On Ads Spending), ROI(Return Of Investment), CPC(Cost Per Click), 및 UV(Unique Visitors)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과금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들의 단말기 식별정보들에 대한 위치정보들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된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현재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현재 이동경로로부터 예측 이동경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예측 이동경로 상에 존재하는 특정 매장 정보와 관련된 맞춤형 광고 콘텐츠를 상기 특정 매장 정보에 대응되는 개방형 무선공유기의 접속 전에 준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80098563A 2018-08-23 2018-08-23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26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3A KR20200022669A (ko) 2018-08-23 2018-08-23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563A KR20200022669A (ko) 2018-08-23 2018-08-23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669A true KR20200022669A (ko) 2020-03-04

Family

ID=69783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563A KR20200022669A (ko) 2018-08-23 2018-08-23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6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40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6B1 (ko) 2008-09-03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4479A (ko) 2012-10-26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726B1 (ko) 2008-09-03 2013-08-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54479A (ko) 2012-10-26 2014-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정보를 이용한 맞춤형 광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3540A (ko) * 2021-03-25 2022-10-05 주식회사 와이즈케어 빅데이터 기반 상품 및 서비스 플랫폼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5073B2 (en) Condition-based, privacy-sensitive selection method of directing electronic, profile-based advertisements to selected internet websites
JP6855532B2 (ja) デジタル情報収集および解析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US8751308B2 (en) Local advertising responses
US8744917B2 (en) Method, system and components for obtaining, evaluating and/or utilizing seller, buyer and transaction data
US8458160B2 (en) Social network based user-initiated review and purchase related information and advertising
US20120158508A1 (en) Mobile advertising including localized advertiser bidding
US20140195338A1 (en) Method, system and components for obtaining, evaluating and/or utilizing seller, buyer and transaction data
US10748190B2 (en) Apparatus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method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system for managing customer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having a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on
JP5687389B2 (ja) インターネット検索のキーワード広告を用いる有効キーワード選定システム及びその有効キーワード選定方法
US20120010939A1 (en) Social network based online advertising
JPWO2020008938A1 (ja) 販売促進システムおよび販売促進方法
Cheng et al. Service online search ads: from a consumer journey view
KR20180047794A (ko) 오프라인 매장의 방문자 행동 패턴에 기반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축 방법
KR20200097571A (ko) 오프라인 매장 방문자의 행동 패턴을 데이터로 한 o2o 마케팅 플랫폼 시스템
KR20200022669A (ko) 이동 지역별 사용자 맞춤형 광고 송출 시스템 및 방법
JP5558493B2 (ja) キーワード広告領域を柔軟に分割して提供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8129048A (ja) ターゲット選定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ターゲットに対する広告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ターゲットに対するコンテンツ提供方法
KR101540211B1 (ko) 광고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Marciel et al. The value of online users: Empirical evaluation of the price of personalized ads
KR20240078125A (ko) 유동인구 기반 적응형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시스템
KR100792701B1 (ko) 협업 필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클릭 패턴에 기초한 웹광고 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02680B1 (ko) 고객 정보 관리 장치, 고객 정보 관리 방법, 고객 정보 관리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90007088A (ko) 타겟 후보에 대한 광고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1155129B1 (ko) 키워드 광고 판매 장치 및 키워드 광고 가격 결정 방법
Bahnsen et al. Location Selection for Flagship Retail St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