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302A -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302A
KR20200022302A KR1020180127580A KR20180127580A KR20200022302A KR 20200022302 A KR20200022302 A KR 20200022302A KR 1020180127580 A KR1020180127580 A KR 1020180127580A KR 20180127580 A KR20180127580 A KR 20180127580A KR 20200022302 A KR20200022302 A KR 20200022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ing
light emitting
ballas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7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주)바이테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테크코리아 filed Critical (주)바이테크코리아
Publication of KR2020002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3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4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using wavelength conversion means distinct or spaced from the light-generating element, e.g. a remote phosphor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 및 제1 발광부와 마주보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제1 조명부,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조명부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제1 케이스 내부의 제2 발광부,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케이스 및 제2 발광부와 마주보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분사판을 포함하고, 분사판은 제2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 장치 {L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조명 방식에는 직접 조명 및 간접 조명 등이 있다. 직접 조명은 물체에 직접 광을 투사시키는 방식으로, 조명률이 좋고 경제적이어서 가장 많이 사용되나 눈부심 현상이 일어나기 쉽다. 간접 조명은 광을 천장이나 벽에 투사하고 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이용하는 방식으로, 부드러운 광을 얻을 수 있어서 눈부심이 적고 온화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간접 조명은 우물형 천장을 만든 후, 안쪽에 LED 바(bar)를 삽입하여 간접 조명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는 인테리어 시공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시공 없이 조명 장치의 교체만으로 직접 조명의 효과뿐만 아니라 간접 조명의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 및 제1 발광부와 마주보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제1 조명부,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조명부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제1 케이스 내부의 제2 발광부,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케이스 및 제2 발광부와 마주보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분사판을 포함하고, 분사판은 제2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조명 장치로 직접 조명과 간접 조명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중 제2 조명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제1 조명부(110), 제2 조명부(120) 및 케이스(130)를 포함한다.
제1 조명부(110)는 직접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부(110)는 조명 장치(100)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장치(100)가 특정 공간의 천장에 설치되었을 때, 제1 조명부(110)는 특정 공간의 바닥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특정 공간의 내부를 전체적으로 밝히는 직접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조명부(110)는 제1 발광부(111) 및 확산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111)는 광을 방출시키며, 백색 또는 주황색 광을 방출시키는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발광부(111)는 2개로 구비되어 하나의 제1 발광부(111)에 이상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제1 발광부(111)를 통해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확산판(112)은 제1 발광부(111)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확산판(112)은 제1 발광부(111)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확산판(112)에 의하여 특정 공간의 내부로 빛을 확산시켜 특정 공간의 내부를 밝힐 수 있다.
확산판(112)은 아크릴에 코팅을 하는 방식 또는 아크릴을 몰딩 후 마모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확산판(112)의 굴곡률이 높으면 분사율이 증가되어 광의 확산이 용이해질 수 있다. 몰딩 방식으로 형성된 확산판(112)의 경우 단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몰딩을 통해 형성하므로 굴곡률이 좋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제2 조명부(120)는 간접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조명부(120)는 조명 장치(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조명부(120)는 조명 장치(100)의 측면을 따라 복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조명부(120)는 조명 장치(100)의 4개의 측면을 따라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20)는 제1 조명부(11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명부(120)는 조명 장치(100)의 측면에서 특정 공간의 내부를 제1 조명부(110)에 비하여 은은하게 밝히는 간접 조명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간접 조명은 독서, 휴식, 영화 감상 등의 활동을 수행할 때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2 조명부(120)는 바(bar)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조명부(12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케이스(130)는 제1 조명부(110) 및 제2 조명부(120)를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30) 중 특정 공간의 바닥과 마주보는 영역에는 제1 조명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명부(110)의 제1 발광부(111)는 케이스(130)의 내부에 배치되고, 확산판(112)은 케이스(130) 중 특정 공간의 바닥과 마주보는 개방된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30)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면에는 개방된 영역이 형성되고, 여기에 복수의 제2 조명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제1 조명부(110) 및 제2 조명부(120)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들이 수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 중 제2 조명부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조명부(120)는 제2 발광부(121), 분사판(122) 및 케이스(123)를 포함한다. 제2 조명부(120)는 도 1에 도시된 케이스(130)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에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케이스(130)의 개구에는 후술할 제2 조명부(120)의 제1 케이스(123a)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발광부(121)는 광을 방출시키며, 특히, 주황색 광을 방출시키는 LED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발광부(121)가 주황색 광을 방출함으로써, 사용자가 독서, 휴식, 영화 감상 등의 활동을 수행할 때, 사용자의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특정 공간 내부의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분사판(122)은 제2 발광부(121)과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분사판(122)과 제2 발광부(121) 사이의 이격 거리는 2cm 이상일 수 있다. 만약 분사판(122)과 제2 발광부(121) 사이의 이격 거리가 2cm 미만일 경우, 분사판(122)을 통해 제2 발광부(121)가 사용자에게 보임으로써 바람직하지 않다.
분사판(122)은 제2 발광부(121)에서 광출된 광을 확산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사판(122)은 투명 아크릴을 모래알로 가공하여 형성된 샌딩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분사판(122)은 일반적인 확산판에 비하여 주황색 광의 분사를 더욱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분사판(122)은 눈부심 방지 역할을 하여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분사판(122)을 가공하는 모래알의 크기가 작고, 샌딩 가공을 여러번 수행할수록 분사판(122)의 마모가 많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판(122)의 마모가 많이 이루어질수록 거칠기 및 굴곡률이 높아짐으로써 분사율이 향상될 수 있다. 즉, 굴곡률이 증가되어 빛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용이하게 확산될 수 있다.
분사판(122)은 투명 아크릴의 모든 면을 모래로 가공하고, 이를 레이저 절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분사판(122)의 높이(도 2의 세로 방향) 및 두께(도 2의 가로 방향)는 8 내지 12mm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10mm의 높이 및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분사판(122)의 두께가 8mm보다 작을 경우, 그 하부에 배치된 제2 발광부(121)가 사용자에게 보이게 됨으로써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분사판(122)의 두께가 12mm보다 클 경우, 분사판(122)의 무게 증가로 케이스(123)에 분사판(122)을 고정시키기가 어렵고, 케이스(123)에 균열이 생겨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분사판(122)의 레이저 절단된 면에도 어느 정도의 마모가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절단에 의하여 마모된 면은 샌딩 가공에 의하여 마모된 면보다 거칠기가 작아 굴곡률 및 분사율이 다소 낮을 수 있다. 따라서, 분사판(122) 중 샌딩 가공에 의하여 마모되어 상대적으로 거칠기가 높은 면은 빛이 출사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분사판(122)은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며, 빛이 출사되는 제1 면(122a), 제1 면(122a)과 마주보며 제2 발광부(121)와 인접하는 제2 면(122b) 및 제1 면(122a)과 제2 면(122b)을 연결하는 측면인 복수의 제3 면(122c)을 포함한다. 이 때, 제1 면(122a)의 거칠기는 제2 면(122b) 및 제3 면(122c)의 거칠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즉, 제1 면(122a)은 샌딩 가공에 의하여 마모된 면일 수 있다. 또한, 제2 면(122b) 및 제3 면(122c)은 레이저 가공에 의하여 마모된 면일 수 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제2 면(122b) 및 제3 면(122c)도 샌딩 가공에 의하여 마모된 면일 수도 있다.
한편, 분사판(122)과 대응되는 제2 발광부(121)에서 방출되는 광은 주황색 광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만약, 분사판(122)과 백색 광이 대응될 경우, 밝기가 보다 밝아지게 되므로 간접 조명으로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분사판(122)과 적색, 청색, 녹색 광이 대응될 경우, 눈에 피로감이 느껴져 간접 조명으로서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주황색 광과 분사판(122)이 대응되는 경우, 빛의 분사가 보다 은은하고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주황색 광이 샌딩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진 분사판(122)과 대응되므로, 어두운 부분과 밝은 구분이 확연히 구분되어 은은한 분위기 연출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주황색 광이 일반적인 확산판에 대응되는 것에 비하여 어두운 부분과 밝은 부분이 명확히 구분되고, 은은하고 부드러운 조명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므로 눈부심 및 눈의 피로가 감소되어 간접 조명에 가장 적합할 수 있다.
케이스(123)는 제2 발광부(121) 및 분사판(122)을 수용할 수 있다. 케이스(123)는 일측이 개방되어 수용 공간을 가지는 제1 케이스(123a) 및 제1 케이스(123a)의 수용 공간을 덮는 제2 케이스(123b)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케이스(123a)의 수용 공간에는 제2 발광부(121)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케이스(123b)는 제1 케이스(123a)를 덮으며, 분사판(122)과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2 케이스(123b)는 분사판(122)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4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2 케이스(123b) 중 제2 발광부(121)와 대응되는 영역은 타공되어 오프닝이 형성되고, 오프닝에는 분사판(122)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분사판(122)은 제2 케이스(123b)로부터 일부가 외부로 입체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사판(122)의 제1 면(122a)은 케이스(123)의 외부에 배치된다. 또한, 제1 면(122a)과 연결되는 분사판(122)의 복수의 제3 면(122c)의 일부도 케이스(123)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123)의 외부로 돌출된 분사판(122)에 의하여, 광이 도 2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위, 아래, 정면의 3가지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은 케이스(123)의 외부로 노출된 제1 면(122a)과 대응되는 방향 및 제3 면(122c)의 일부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분사판(122)은 샌딩 투명 아크릴로 이루어져 각각의 면들에 굴곡이 존재하므로, 케이스(123)의 외부로 노출된 분사판(122)의 여러 면들로부터 광이 다양한 각도로 분사될 수 있다. 즉, 빛의 분사가 분사판(122)의 여러 면에서 이루어짐과 동시에 한 면에서도 다양한 각도로 분사될 수 있다. 따라서, 빛의 전도가 보다 다양한 방향으로 이루어져 동일한 발광부를 이용하더라도 일반적인 확산판에 비하여 밝기가 향상되어 휘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제1 조명부, 제2 조명부, 전원부, 자가 진단부, 제1 안정기(SMPS1), 제2 안정기(SMPS2), 제3 안정기(SMPS3), 블루투스 모듈(BLE), 제1 릴레이(R1), 제2 릴레이(R2)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자가 진단부, 제1 안정기(SMPS1), 제2 안정기(SMPS2), 제3 안정기(SMPS3), 블루투스 모듈(BLE), 제1 릴레이(R1), 제2 릴레이(R2) 등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는 앞서 설명한 제1 조명부(110) 및 제2 조명부(120)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는 220V A/C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는 조명 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부는 케이스(13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는 케이스(130)의 외부에서 조명 장치(100)로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제어부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이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블루투스 스위치 또는 스마트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가 스위치로 구성될 경우,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형으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스위치는 후술할 블루투스 모듈(BLE)과 연결되어 조명 장치(100)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는 복수의 버튼(S1, S2, S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버튼(S1, S2, S3)이 3개로 도시되었으나, 이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각의 버튼(S1, S2, S3)은 조명 제어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버튼(S1, S2, S3)을 통해 제1 조명부 또는 제2 조명부의 조명의 밝기나 색상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각각의 버튼(S1, S2, S3)은 조명 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버튼(S1, S2, S3)은 독서 모드, 휴식 모드, 영화 모드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에 의하여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즉, 버튼(S1, S2, S3)의 기능은 스마트폰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는 상술한 기능 외에도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다양한 조명 설정을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블루투스 모듈(BLE)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제어부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또한, 블루투스 모듈(BLE)은 제1 릴레이(R1), 제2 릴레이(R2) 및 제3 안정기(SMPS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 모듈(BLE)은 제어부로부터 조명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제1 조명부 또는 제2 조명부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는 블루투스 모듈(BLE)로부터 온/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온/오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릴레이(R1) 및 제2 릴레이(R2)는 전원부와 연결되며, 온/오프 동작을 통해 제1 조명부 또는 제2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제1 릴레이(R1)는 제1 조명부와 연결되고, 제2 릴레이(R2)는 제2 조명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안정기(SMPS1), 제2 안정기(SMPS2) 및 제3 안정기(SMPS3)는 디밍 안정기일 수 있다. 제1 안정기(SMPS1), 제2 안정기(SMPS2) 및 제3 안정기(SMPS3)는 블루투스 모듈(BLE)의 제어 신호로부터 출력 전압 등을 조절하여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조도를 조절하고, 조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1,2 안정기(SMPS1, SMPS2)는 제1,2 릴레이(R1, R2)와 제1,2 조명부 사이에 연결되어 제1,2 릴레이(R1, R2)의 온/오프 동작을 통해 제1,2 조명부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안정기(SMPS1)는 블루투스 모듈(BLE) 및 제1 릴레이(R1)와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BLE)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안정기(SMPS2)는 블루투스 모듈(BLE) 및 제2 릴레이(R2)와 연결되어 블루투스 모듈(BLE)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안정기(SMPS2)는 제어부의 버튼(S1, S2, S3) 조작을 통해 전송된 신호로부터 블루투스 모듈(BLE)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제2 조명부의 조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제2 안정기(SMPS2)는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독서 모드, 휴식 모드, 영화 모드 등으로 제2 조명부의 조명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제3 안정기(SMPS3)는 전원부와 블루투스 모듈(BLE)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자가진단부는 자가진단 회로를 포함하여 조명 장치의 문제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가진단부는 제1 조명부와 제1 안정기(SMPS1) 사이, 제2 조명부와 제2 안정기(SMPS2) 사이, 블루투스 모듈(BLE) 및 제3 안정기(SMPS3)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자가진단부는 제1 안정기(SMPS1), 제2 안정기(SMPS2) 및 제3 안정기(SMPS3)에서 전환된 전압(V)을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기설정된 전압 범위보다 높거나 낮음을 확인함으로써 이상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자가진단부는 블루투스 모듈(BLE)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고, 블루투스 모듈(BLE)은 제어부로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통해 조명 장치에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으로 이상 신호가 전송되었을 경우, A/S 센터에 문자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문제 발생을 알릴 수도 있다.
한편, 자가진단부는 전압 이외에 전력(W) 측정 또는 안정기의 효율과 사용량을 측정하여 지속적으로 블루투스 모듈(BLE)에 사용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된 사용 정보는 블루투스 모듈(BLE)을 통해 제어부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조명 장치(100)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100)는 하나의 장치에 직접 조명인 제1 조명부(110)와 간접 조명인 제2 조명부(120)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인테리어 시공 없이 조명 장치(100)의 변경만으로 직접 조명과 간접 조명의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제어부를 통해 제1 조명부(110) 및 제2 조명부(120)의 조명 모드를 쉽게 변경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자가진단부를 포함함으로써, 조명 장치(100)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조명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 및 제1 발광부와 마주보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제1 조명부, 케이스의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제2 조명부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제1 케이스 내부의 제2 발광부,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케이스 및 제2 발광부와 마주보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분사판을 포함하고, 분사판은 제2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 케이스 중 제2 발광부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오프닝이 형성되고, 분사판은 오프닝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사판은, 제1 면, 제1 면과 마주보고 제2 발광부와 인접한 제2 면 및 제1 면과 제2 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면을 포함하고, 제1 면 및 복수의 제3 면 중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일부 영역들은 제1 케이스 및 제2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면의 거칠기는 제2 면 및 복수의 제3 면의 거칠기보다 크거나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사판은 투명 아크릴을 모래로 마모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분사판의 두께는 8mm 내지 12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발광부는 백색 또는 주황색 광을 방출하고, 제2 발광부는 주황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제1 조명부와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제1 안정기, 제2 조명부와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제2 안정기 및 제1 조명부와 제1 안정기 사이 및 제2 조명부와 제2 안정기 사이에 연결되어 제1 안정기 및 제2 안정기의 전압을 측정하는 자가진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자가진단부는 제1 안정기 및 제2 안정기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블루투스 모듈로 이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1 조명부 및 제2 조명부의 조명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조명 장치 110; 제1 조명부
111; 제1 발광부 112; 확산판
120; 제2 조명부 121; 제2 발광부
122; 분사판 123; 케이스
130; 케이스 SMPS1, SMPS2, SMPS3; 안정기
R1, R2; 릴레이 BLE; 블루투스 모듈
S1, S2, S3; 버튼

Claims (10)

  1.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제1 발광부와 마주보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에 배치되는 확산판을 포함하는 제1 조명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기 일면으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조명부는,
    일측이 개방된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 내부의 제2 발광부, 상기 제1 케이스의 개방된 영역을 덮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2 발광부와 마주보며 제2 케이스와 결합되는 분사판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판은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 중 상기 제2 발광부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오프닝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판은 상기 오프닝에 결합되는,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판은,
    제1 면, 상기 제1 면과 마주보고 상기 제2 발광부와 인접한 제2 면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3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및 상기 복수의 제3 면 중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일부 영역들은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의 거칠기는 상기 제2 면 및 상기 복수의 제3 면의 거칠기보다 크거나 같은, 광원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판은 투명 아크릴을 모래로 마모시킴으로써 형성되는, 광원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판의 두께는 8mm 내지 12mm인, 광원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는 백색 또는 주황색 광을 방출하고, 상기 제2 발광부는 주황색 광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블루투스 모듈;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제1 안정기;
    상기 제2 조명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 사이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고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제2 안정기; 및
    상기 제1 조명부와 상기 제1 안정기 사이 및 상기 제2 조명부와 상기 제2 안정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 안정기 및 상기 제2 안정기의 전압을 측정하는 자가진단부를 더 포함하는, 조명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진단부는 상기 제1 안정기 및 상기 제2 안정기의 전압이 기설정된 전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블루투스 모듈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백라이트 유닛.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과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주고받으며,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기 제1 조명부 및 상기 제2 조명부의 조명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20180127580A 2018-08-22 2018-10-24 조명 장치 KR202000223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91 2018-08-22
KR20180097891 2018-08-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302A true KR20200022302A (ko) 2020-03-03

Family

ID=6993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7580A KR20200022302A (ko) 2018-08-22 2018-10-24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37B1 (ko) * 2021-07-23 2021-12-01 유스테크 유한책임회사 카메라 검사용 광원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837B1 (ko) * 2021-07-23 2021-12-01 유스테크 유한책임회사 카메라 검사용 광원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2483B2 (en) Lighting apparatus
KR101426707B1 (ko) 무선 헤드셋 및 그의 배터리 상태 표시 방법
CA2767835C (en) Method and system for filming
KR100637220B1 (ko) 주변에 간접 조명을 비추는 디스플레이 장치
CN105979668B (zh) 照明系统
US20130293150A1 (en) Adaptive anti-glare light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US20070165406A1 (en) Display with an illuminating light
US20110286211A1 (en) Luminaire
TW201627964A (zh) 可出現光紋圖案之電子裝置
TW200733425A (en) LED package and backlight unit using the same
KR20200022302A (ko) 조명 장치
CN214375749U (zh) 一种时序可编程的多分区多光谱机器视觉程控光源
WO2020015686A1 (zh) 一种灯具智能控制装置
CN107401704A (zh) 投光灯及其控制方法和控制器、显示系统
CN207162252U (zh) 投光灯及其控制器、显示系统
JP2022012460A (ja) リモコン装置
JP6210357B2 (ja) Led照明器具制御装置
KR101729008B1 (ko) 조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N209806134U (zh) 一种手势传感控制的灯具
KR100906671B1 (ko) 차량의 음압을 이용한 스피커 무드등
JP2012109160A (ja) 誘導灯
KR101178206B1 (ko) 알지비 혼합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94991B1 (ko)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 제어 방법
JP6186670B2 (ja) イルミネーション装置及び電子機器
CN219612080U (zh) 一种可调雾化度的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