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209A - 안전 압정 - Google Patents

안전 압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209A
KR20200022209A KR1020180098066A KR20180098066A KR20200022209A KR 20200022209 A KR20200022209 A KR 20200022209A KR 1020180098066 A KR1020180098066 A KR 1020180098066A KR 20180098066 A KR20180098066 A KR 20180098066A KR 20200022209 A KR20200022209 A KR 20200022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ck
fixing pin
safety
cas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선아
Original Assignee
문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선아 filed Critical 문선아
Priority to KR102018009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209A/ko
Publication of KR20200022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5/00Drawing-pins, Thumb-tacks

Landscapes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압정에 관한 것으로, 평판형 형상의 압정머리 및 상기 압정머리의 중앙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압정머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을 감싸거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보호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압정에 찔리는 피해는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관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옷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낱개의 구성으로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압정{safety Thumbtack}
본 발명은 안전 압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정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성하여 압정에 의해 찔리는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정의 고정 및 제거 작업이 편리한 안전 압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정은 게시판이나 책상 또는 벽면 등의 기재에 메모지나 게시물을 포함한 각종 부착물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원판 형상의 압정머리와, 상기 압정머리의 중앙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압정을 사용하여 기재에 부착물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부착하고자 하는 기재의 면에 부착물을 놓은 다음 그 위에 압정의 고정핀을 놓고 압정머리에 소정의 압력을 가하여 고정핀이 부착물을 통과하여 기재에 박히게 함으로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 압정은 고정핀에 의해 신체의 일부가 찔리는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독립적으로 보관할 수 없어 별도의 보관함에 넣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보관함에 담긴 압정은 사용자 보행시 '딸그닥' 거리는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정을 사용하는 경우, 대부분 손가락을 사용하여 압정머리에 소정의 힘을 가하게 되는데, 부착물을 고정시키고자 하는 기재가 단단한 경우 힘을 많이 가해야 함에 따라 손가락에 통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압정을 사용하고 난 후 이를 뽑는 과정에서 손가락 끝을 사용하거나 드라이버와 같이 끝 부분이 날카롭거나 도구를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기재로부터 뽑은 압정을 분실하였을 경우 다른 보행자를 다치게 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왔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2650(2012.03.2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정을 감싸는 상태로 보호하는 케이스를 구성하여 압정에 의해 찔리는 피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압정의 고정 및 제거 작업이 편리한 안전 압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압정은, 평판형 형상의 압정머리 및 상기 압정머리의 중앙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압정머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을 감싸거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보호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정머리와 보호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힌지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고정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정머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압정머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케이스와 고정핀의 힌지결합되는 부분에는 평상시 상기 보호케이스가 상기 고정핀을 감싸는 폐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핀이 부착물을 통과하여 기재에 박히는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는 압정머리와 함께 부착물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핀을 감싸는 상태로 회전하여 폐쇄시키는 보호케이스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압정에 찔리는 피해는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관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옷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낱개의 구성으로 넣어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의 구성은 고정핀을 가압하기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압정을 기재에 고정 또는 제거하기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압정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압정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압정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압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압정은 평판형 형상의 압정머리(100), 상기 압정머리(100)의 중앙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고정핀(200) 및 상기 압정머리(10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200)을 감싸거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보호케이스(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압정머리(100)는 평편한 면적을 가지는 판상형 부재로써,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정머리(100)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의 형상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정머리(100)의 일면에는 자석을 추가적으로 부착하여 금속 기재(1)에 자력반응하여 고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핀(200)은 상기 압정머리(100)의 일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막대 형상의 부재로써, 그 끝단부는 뾰족한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핀(200)은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 소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압정머리(100) 및 고정핀(200)은 공지된 기술과 동일 내지 유사하므로 그 구체적인 작용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요소인 보호케이스(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보호케이스(300)는 상기 압정머리(100)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핀(200)을 감싸는 상태로 회전하여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고정핀(200)은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피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압정에 찔리는 피해는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보관함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옷 호주머니나 가방 등에 낱개의 구성으로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케이스(300)는 상기 고정핀(2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정머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310)와, 상기 압정머리(100)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스(3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케이스(310)와 제2 케이스(320)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200)이 삽입되는 핀 수용부(301)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압정머리(100)와 보호케이스(300)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돌기(302)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힌지돌기(302)를 수용하는 힌지홈(303)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힌지돌기(302)는 상기 보호케이스(300)의 일측 단부의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힌지홈(303)은 상기 압정머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압정머리(100)와 보호케이스(300)의 힌지결합구조에 의해 상기 보호케이스(300)는 대략 180°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제1 케이스(310)와 제2 케이스(320)가 상기 고정핀(200)을 내측으로 수용하는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호 접촉하게 되면, 상기 고정핀(2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반대로 상기 제1 케이스(310)와 제2 케이스(320)가 상기 고정핀(200) 아래쪽으로 회전하여 상호 접촉하게 되면 압정을 가압하기 위한 손잡이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압정을 기재(1)에 고정 또는 제거하기 위한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호케이스(300)와 고정핀(200)의 힌지결합되는 부분에는 평상시, 상기 보호케이스(300)가 상기 고정핀(200)을 감싸는 폐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400)이 설치된다.
즉, 상기 스프링(400)의 구성에 의해 상기 보호케이스(300)가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가 고정핀(200)에 찔리는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크게 낮출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재(1)에 꽂혀 있던 압정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지면에 떨어질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300)가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핀(200)을 감싸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타인이 압정에 찔리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200)이 부착물(10)을 통과하여 기재에 박히는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300)는 압정머리(100)와 함께 부착물(10)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인 압력을 전달할 수 있어 부착물을 한층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압정머리 200 : 고정핀
230 : 보호케이스 310 : 제1 케이스
320 : 제2 케이스 400 : 스프링

Claims (6)

  1. 평판형 형상의 압정머리 및,
    상기 압정머리의 중앙으로부터 뾰족하게 돌출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되,
    상기 압정머리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고정핀을 감싸거나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보호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정머리와 보호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는 힌지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힌지돌기를 수용하는 힌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는 상기 고정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압정머리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압정머리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2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는 핀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케이스와 고정핀의 힌지결합되는 부분에는 평상시 상기 보호케이스가 상기 고정핀을 감싸는 폐쇄 상태를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이 부착물을 통과하여 기재에 박히는 경우 상기 보호케이스는 압정머리와 함께 부착물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압정.
KR1020180098066A 2018-08-22 2018-08-22 안전 압정 KR20200022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66A KR20200022209A (ko) 2018-08-22 2018-08-22 안전 압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66A KR20200022209A (ko) 2018-08-22 2018-08-22 안전 압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09A true KR20200022209A (ko) 2020-03-03

Family

ID=69938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66A KR20200022209A (ko) 2018-08-22 2018-08-22 안전 압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20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50B1 (ko) 2010-01-25 2012-04-05 김성은 안전 압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50B1 (ko) 2010-01-25 2012-04-05 김성은 안전 압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1411B1 (en) Doorstop device
JP4496058B2 (ja) 保持具
KR200451310Y1 (ko) 지갑형 휴대폰 케이스
US20020085342A1 (en) Portable computer with shockproof function
US20180338595A1 (en) Flat Iron Case System
KR20180002587U (ko) 지갑겸용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KR20200022209A (ko) 안전 압정
KR101655371B1 (ko) 휴대용 전자기기를 위한 케이스
KR200486397Y1 (ko) 지갑형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JP2015016055A (ja) 名刺入れ
KR101303799B1 (ko) 미용기구용 보관 케이스
KR101480872B1 (ko) 접이식 커버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JP2017099807A (ja) 電子機器カバー
KR200409625Y1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KR200469641Y1 (ko) 개구부 마개 일체형 휴대용 단말기 케이스
CN214467966U (zh) 一种隐藏式夹持结构和笔灯
KR200476691Y1 (ko) 휴대 단말기 보호 케이스의 손가락 끼움 장치
KR20100053379A (ko) 북 홀더
KR200360174Y1 (ko) 압정 보관함
KR200330185Y1 (ko) 휴대폰 케이스
CN206878921U (zh) 一种手机防护装置
TW378170B (en) Retractable and foldable screw driver
KR100434033B1 (ko) 손톱깎이
KR200487194Y1 (ko) 스윙 커버가 구비된 모바일 디바이스용 케이스
KR20150064333A (ko) 모바일 전자기기용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