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201A -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 Google Patents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201A
KR20200022201A KR1020180098050A KR20180098050A KR20200022201A KR 20200022201 A KR20200022201 A KR 20200022201A KR 1020180098050 A KR1020180098050 A KR 1020180098050A KR 20180098050 A KR20180098050 A KR 20180098050A KR 20200022201 A KR20200022201 A KR 2020002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device
main body
unit
terminal
conne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55273B1 (en
Inventor
이근성
Original Assignee
이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성 filed Critical 이근성
Priority to KR102018009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273B1/en
Publication of KR2020002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2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2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8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more than one graphics controll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The technical task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display uti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comprises: a main body part on which a mobile device is mounted; a cover part formed to cover the main body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and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part. The cover part comprise: a display part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part; a port part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charger; and a battery module charged through the port part to supply power to the display part.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Protective case for mobile device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란 이동 중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소형화, 경량화되어 제작된 전자기기를 말한다. 이러한 휴대전자기기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 PC, MP3 플레이어, 스마트 폰등 다양한 종류의 전자기기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각각은 그 쓰임새 및 기기적 특성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된다.A mobile device is an electronic device that is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so that it can be used on the go. Such portable electronic devices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tablet PCs, MP3 players, smart phones, and the like, which are manufactur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depending on their use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한편, 이러한 휴대전자기기는 손을 이용하여 파지하거나, 주머니 등에 삽입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부주의나 예기치 않은 돌발상황에 의해 낙하되어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단점 역시 가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이를 방지하기 위해 휴대전자기기의 보호 케이스(Protective case)가 제작되어 사용되었다.On the other hand,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arried by holding it by hand or inserting it in a pocket, etc., but also a disadvantage that the whole or par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damaged by falling due to carelessness or unexpected unexpected situation. Have.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is, a protective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s been manufactured and used.

모바일 기기의 보호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외측 표면을 감싸는 파우치(Pouch) 또는 보호스킨(Protective skin)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휴대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모바일 기기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한다. 이를 위해 보호 케이스는 연질 또는 경질의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외측에 밀착되도록 각 모바일 기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devic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ouch or protective skin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mobile device, and is mounted o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mitigate the impact applied to the mobile device from the outside. . To this end, the protective case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soft or hard, and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each mobile devic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mobile device.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97164호(공개일자: 2015년08월26일)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97164 (published date: August 26, 2015) 등록특허공보 제10-1212132호(등록일자: 2012년12월07일)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212132 (Registration Date: December 07, 2012) 등록특허공보 제10-1359267호(등록일자: 2014년01월28일)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59267 (Registration Date: January 28, 201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with improved display uti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of the mobile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포트부; 및 상기 포트부를 통해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한다.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mounted mobile device; A cover part formed to cover the main body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he cover part being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comprising: a display part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mounted to the main body part; A port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charger; And a battery module which charges power through the port unit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연동하여 듀얼 모니터로 동작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may operate as a dual monitor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 장착 시 모바일 기기의 포트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전기기와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port of the mobile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And a terminal unit disposed outside the main body unit and includ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the external charger to the first terminal.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포트부, 상기 배터리 모듈, 상기 단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포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과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자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unit may be connected to the port unit, the battery module, the terminal unit, and the display unit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with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rt unit,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and the main body unit. A control oper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module by supplying electric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module to the terminal unit or receiving power from the mobile device mounted in the main body unit through the terminal unit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of the mobile device installed in the apparatus;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부 및 상기 단자부를 통해 각각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가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provide a predetermined amount more than the battery level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in the main body,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from an external charger through the port unit and the terminal unit, respectively. Control the mobile device to be charged by using a battery module, and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more tha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us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You can control it.

또한,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1 연결부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된 코어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제1 전원단자; 상기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상시 대향 접촉하는 제2 전원단자;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제1 통신단자; 및 상기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통신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portion, the cylindrical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members each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members each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 core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 first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A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And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코어부재를 따라 일렬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제2 연결부재가 회전되거나 상기 제2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가 회전되고, 상기 제1 통신단자와 상기 제2 통신단자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커버부가 열리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대향 접촉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호 간 거리가 멀어져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core memb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bas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The first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and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is rotated to open the cover portion in the body portion, the cover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re rotated to cover the main body,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may be far from each other, thereby preventing contact.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with improved display utilization and user convenience of the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대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와 모바일 기기의 충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및 연결부를 통해 구성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에 따른 통신단자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charging method of the protective case and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erms used herein will be briefly describ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elected as widely used general terms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nd the like.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is a term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s of the terms and the gener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s of the term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When any part of the specification is to "include" any component, this means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except to ex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의 대략적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케이스와 모바일 기기의 충전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 및 연결부를 통해 구성 간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회전에 따른 통신단자의 접속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rotectiv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to 5 is a view showing a charging method of a protective case and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iguration through the connec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view showing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 보호 케이스(1000)는 본체부(100), 커버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한다.1 to 7, the protective protective case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art 100, a cover part 200, and a connection part 300.

상기 본체부(100)는 모바일 기기(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수단으로,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를 개방하며 나머지 부분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재와 같은 경질, 또는 천연 및 합성고무와 같은 연질의 내장재를 내장할 수 있으며, 내측 및 외측의 표면은 천연 및 인조 피혁이나 직물로 마감되거나, 폴리우레탄과 같이 탄성을 갖는 화합물로 코팅되어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0 is a means for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mobile device 10 is accommodated, and may be formed to open a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10 and surround the remaining part. The body portion 100 may contain a hard material such as plastic or metal, or a soft interior material such as natural and synthetic rubber, a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may be finished with natural and artificial leather or fabric, or may be made of polyurethane. It may be coated with a compound having elasticity to form smoothly.

상기 본체부(100)의 측면부분에는 단자부(110)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00)의 측면부분이란 모바일 기기(10)의 포트와 대응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inal portion 11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Here, the side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may me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ort of the mobile device 10.

상기 단자부(110)는 제1 단자(111)와 제2 단자(1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unit 11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11 and a second terminal 112.

상기 제1 단자(111)는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100)가 본체부(100)에 장착될 때 모바일 기기(10)의 포트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11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be connected to a port of the mobile device 10 when the mobile device 100 is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상기 제2 단자(112)는 본체부(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전기기(200)와 제1 단자(11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The second terminal 112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100 to connect between the external charger 200 and the first terminal 111.

이러한 제1 및 제2 단자(111, 112)는 USB 타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나의 모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10)와 외부 충전기기(20) 사이, 모바일 기기(10)와 커버부(200) 간을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11 and 112 may be made of a USB type, and may be manufactured as a single module, between the mobile device 10 and the external charger 20, the mobile device 10, and the cover. Each of the units 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커버부(200)는 본체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평평한 사각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200)는 디스플레이부(210), 포트부(220), 제어부(230) 및 배터리 모듈(24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ver part 200 may be formed to cover the main body part, and may be formed of a substantially flat square surface. The cover unit 2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210, a port unit 220, a controller 230, and a battery module 240.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10)는 모바일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와 연동하여 듀얼 모니터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10)는 모바일 기기(10)의 화면 확장, 백업, 인터페이스(키보드) 등의 보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at is, the display unit 210 may operate as a dual monitor in cooperation wit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10. For example, the display 210 may perform an auxiliary function such as screen expansion, backup, and interface (keyboard) of the mobile device 10.

상기 디스플레이부(210)는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소자(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진공 형광 소자(vacuum fluorescent display device),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무기 발광 소자(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전기 영동 소자(electrophoretic device) 전자 페이퍼(electronic paper)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10 may include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The flat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 plasma display apparatus,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s, vacuum fluorescent display devices,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in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electrophoretic devices electronic paper (electronic paper) and the like.

통상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는 크게 발광형과 수광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발광형으로는 평판 음극선관(flat cathode ray tube)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과, 전계 발광 소자(electro luminescent device)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수광형으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를 들 수 있다. In general, flat panel display apparatus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light emitting and light receiving. The light emitting type includes a flat cathode ray tube, a plasma display panel,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a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like. As a light receiving type, a liquid crystal display is mentioned.

상기 전계 발광 소자는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 소자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전자발광 소자는 발광층을 형성하는 물질에 따라서 무기 전계 발광 소자와 유기 전계 발광 소자로 구분된다.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has attracted attention as a next generation display device because of its advantages of having a wide viewing angle, excellent contrast, and fast response speed. The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classified into an in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material forming the light emitting layer.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excitation)시켜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디스플레이로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박형화가 용이하며, 광시야각, 빠른 응답 속도 등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유기물로 이루어진 발광층을 구비하고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 self-luminous display that emits light by electrically exciting a fluorescent organic compound, and can be driven at low voltage, is easy to thin, and has problems in liquid crystal display such as wide viewing angle and fast response speed. It is attracting attention as the next generation display that can solve what is pointed out. The organic EL device includes a light emitting layer made of an organic material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이들 전극들에 양극 및 음극 전압이 각각 인가됨에 따라 애노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고, 전자는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전자 수송층을 경유하여 발광층으로 이동되어서, 발광층에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하여 여기자(exiton)을 생성하게 된다. 이 여기자가 여기 상태에서 기저상태로 변화됨에 따라, 발광층의 형광성 분자가 발광함으로써 화상을 형성할 수 있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s the anode and cathode voltages are applied to these electrodes, holes injected from the anode are moved to the light emitting layer via the hole transport layer, and electrons are emitted from the cathode electrode via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lectrons and holes recombine to generate excitons. As the excitons change from the excited state to the ground state, the fluorescent molecules in the light emitting layer emit light to form an image.

풀 컬러(full color)형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경우에는 적(R), 녹(G), 청(B)의 삼색을 발광하는 화소(pixel)를 구비토록 함으로써 풀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full col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 full color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a pixel emitting three colors of red (R), green (G), and blue (B).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는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장치들이 적용되어, 두께의 큰 증가 없이도 커버부(200)에 설치됨으로써 듀얼 모니터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As such, the display unit 210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flat panel display devices capable of realizing an image, and thus may be installed in the cover unit 200 without a significant increase in thickness, thereby realizing the function of the dual monitor.

상기 포트부(220)는 외부 충전기기(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이러한 포트부(220)는 USB 타입의 포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rt unit 220 may receive power from the external charger 20. The port unit 220 may be configured as a USB type port.

상기 제어부(230)는, 포트부(220), 배터리 모듈(240), 단자부(110) 및 디스플레이부(210)와 각각 연결되어 포트부(22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 모듈(240)에 충전할 수 있으며,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과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배터리 모듈(240)에 충전된 전력을 단자부(110)로 공급하거나, 단자부(110)를 통해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배터리 모듈(240)을 충전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ler 230 is connected to the port unit 220, the battery module 240, the terminal unit 110, and the display unit 210, respectively, and supplies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rt unit 220 to the battery module 240. It can be charged, according t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and the remaining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e power charged in the battery module 240 to the terminal unit 110, or The controller 110 may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module 240 by receiving power from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110.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전기기(20)가 포트부(220)에 연결되면, 제어부(230)는 외부 충전기기(2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터리 모듈(240)에 충전시킬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external charger 20 is connected to the port 220, the controller 230 charges the battery module 240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external charger 20. You can.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충전기기(20)가 단자부(110)에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when the external charger 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10, battery charging of the mobile device 10 may be perform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부(220) 및 단자부(110)를 통해 각각 외부 충전기기(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지 않은 상태에서,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이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배터리 모듈(240)을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0)가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in the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external charger 20 through the port part 220 and the terminal part 110, respectively,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is the main body part 100. When ther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more tha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control unit to charge the mobile device 10 using the battery module 240.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10)와 통신하여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을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이 70% 이상이면서,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이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보다 대략 2배 또는 50%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배터리 모듈(240)이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를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과 동일한 수준에 이를 때 까지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ntroller 230 monitors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10 at regular intervals by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10 as well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is 70%. In the abov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is determined to be approximately twice or 50% more tha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mobile device 10, the battery module 240 may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10. In this case, the charging operation may be controlled until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10 reaches the same level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트부(220) 및 단자부(110)를 통해 각각 외부 충전기기(2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본체부(11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배터리 모듈(240)이 충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to the main body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external charger 20 through the port unit 220 and the terminal unit 110, respectively. When the remaining battery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more tha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may be controlled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240 us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10).

이러한 경우, 제어부(230)는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10)와 통신하여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을 일정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이 70% 이상이면서,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이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보다 대략 2배 또는 50%가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모바일 기기(10)가 배터리 모듈(240)을 충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배터리 모듈(240)의 잔량이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 잔량과 동일한 수준에 이를 때 까지 충전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30 monitors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10 at regular intervals by communicating with the mobile device 10 as well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such that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10 is 70 degrees. At least% and when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mobile device 10 is found to be approximately twice or 50% more than the remaining capacity of the battery module 240, the mobile device 10 may charge the battery module 240. In this case, the charging operation may be controlled until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240 reaches the same level as the remaining battery level of the mobile device 10.

상기 배터리 모듈(240)는 포트부(220)를 통해 외부 충전기기(20)로부터 전력을 충전하여 디스플레이부(210)로 공급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 잔량에 따라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충전되거나, 모바일 기기(10)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battery module 240 may supply power to the display unit 210 by charging power from the external charger 20 through the port unit 220, and as described above, power is supplied from the mobile device 10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The battery may be supplied with a charge, or may provide power to charge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10.

상기 연결부(300)는 본체부(100)와 커버부(200) 간을 연결하고,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300)는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코어부재(330), 제1 전원단자(340), 제2 전원단자(350), 제1 통신단자(360) 및 제2 통신단자(37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300 may be installed to be rotatable to connect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200, the cover 200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100. To this end, the connection portion 300 is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the core member 330, the first power terminal 340, the second power terminal 350,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6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370.

상기 제1 연결부재(31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본체부(100)와 물리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10)가 본체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제1 연결부재(310) 내에 설치된 제1 전원단자(340) 및 제1 통신단자(360)가 본체부(100)의 단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art 100,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Her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100 means that the first power terminal 34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60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is the main body portion ( It may mean that a circuit pattern is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10 of the 100.

상기 제2 연결부재(320)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커버부(200)와 물리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over part 200, respectively.

상기 코어부재(330)는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 내부에 삽입되어 제2 연결부재(3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재(310)와 제2 연결부재(320)는 코어부재(330)를 따라 일렬로 교차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및 제1 연결부재(310) 순으로 일렬 배치된 상태에서 그 내부를 관통하도록 코어부재(330)가 삽입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코어부재(330)는 제2 연결부재(320)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re member 33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Here,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10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20 may b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core member 3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6, the first connecting member ( 310,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20,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10,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320, and the first connecting member 310 are arranged in a row in order to penetrate the core member 330. )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in which case the core member 330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상기 제1 전원단자(340)는 제1 연결부재(31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단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원단자(340)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310, 320)들 중 가운데 부분에 배치된 제1 연결부재(31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원단자(340)의 설치 위치를 제1 연결부재(310)로만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2 연결부재(320)에 설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부재(310)가 코어부재(330)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ower terminal 340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10. At this time, the first power terminal 340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disposed in the middl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320),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ower source Not only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terminal 340 is limited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but also the design change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is possible, in which case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is the core member 330. It is desirable to change so as to be physically connected to).

상기 제2 전원단자(350)는 코어부재(33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전원단자(340)와 상시 대향 접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The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350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3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30, and may be always in contact with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340.

상기 제1 연결부재(310), 제2 연결부재(320) 및 코어부재(330) 간의 구조적 연결 구성에 의해, 제1 연결부재(310)를 기준으로 제2 연결부재(320)가 회전되거나 제2 연결부재(320)를 기준으로 제1 연결부재(310)가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열고 닫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By the structural connection configura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and the core member 330,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is rotated or first relative 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may be rotated bas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which may allow the cover 200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in body 100.

또한 이러한 동작에 의하여, 커버부(200)가 본체부(100)에서 열리고 닫히는 동작에 의해 제1 및 제2 연결부재(310, 320)가 회전하더라도 제1 및 제2 전원단자(340)의 접촉면을 최대한 넓게 구성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전기적 도통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this operation,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rotate by the opera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part 200 in the main body part 100, the contac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terminals 340. By designing as wide as possible to maintain the electrical conduction state.

예를 들어, 제1 전원단자(340)는 제1 연결부재(310)의 내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 전원단자(350)는 코어부재(330)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들이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제1 및 제2 연결부재(310, 320)의 회전 여부와 관계 없이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항상 전기적 연결이 유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ower terminal 340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the second power terminal 350 is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330. Since they are installed at opposite positions, the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maintained at all times by maintaining the contact state regardless of wheth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are rotated.

상기 제1 통신단자(360)는 제1 연결부재(310)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단자부(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60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110.

상기 제2 통신단자(370)는 코어부재(330)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제어부(2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370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33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230.

상기 제1 및 제2 통신단자(360, 370)는, 본체부(100)에서 커버부(200)가 열리도록 제1 및 제2 연결부재(310, 320) 또는 제1 연결부재(310)와 코어부재(330)(코어부재(330)가 제2 연결부재(32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가 회전하는 경우 대향 접촉하는 상태가 되며,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덮도록 제1 및 제2 연결부재(310, 320)가 회전하는 경우 상호 간 거리가 멀어져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바뀔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s 360 and 37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o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to open the cover part 200 in the main body part 100. When the core member 330 (the core member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320) rotates, the core member 330 is brought into opposing contact, and the cover portion 200 covers the main body 100.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are rotat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members 310 and 320 may be far from each other, thereby changing the contact state.

예를 들어,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덮고 있는 상태의 경우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재(310)의 내주면에 설치된 제1 통신단자(360)와 코어부재(330)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2 통신단자(360)는 서로 만나지 않고 접촉이 안된 상태이기 때문에 커버부(200)와 본체부(100) 간의 통신 연결은 끊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덮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부(210)와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 간은 통신 연결이 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For example, when the cover part 200 covers the main body part 100, as shown in FIG. 7A,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60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310. )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360 install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330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out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us the communication connection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main body 100 is maintained in a disconnected state.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ver 200 covers the main body 100,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are not in a communication connection.

그리고, 커버부(200)가 본체부(100)를 오픈하도록 동작하는 경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부재(330)가 회전(대략 180도 회전)하여 제2 통신단자(370)가 제1 통신단자(360)를 만나 서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커버부(200)와 본체부(100) 간의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커버부(200)가 오픈되면 디스플레이부(210)와 본체부(100)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10) 간의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디스플레이부(210)의 설정에 따라 커버부(200)가 열리는 즉시 모바일 기기(10)에 대한 듀얼 모니터 기능이 활성화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ver unit 200 operates to open the main body unit 100, as shown in FIG. 7B, the core member 330 is rotated (rotated approximately 180 degrees) so that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 As the 370 meets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60 and contacts each o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cover 200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That is, when the cover unit 200 is opened, communic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210 and the mobile device 10 mounted on the main body 100 may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dual monitor function for the mobile device 10 may be activated as soon as the cover unit 200 is opened according to the setting of the display unit 210.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What has been described above is just one embodiment for carrying out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as claimed in the following claims,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xtent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00: 보호 케이스 100: 본체부
110: 단자부 111: 제1 단자
112: 제2 단자 200: 커버부
210: 디스플레이부 220: 포트부
230: 제어부 240: 배터리 모듈
300: 연결부 310: 제1 연결부재
320: 제2 연결부재 330: 코어부재
340: 제1 전원단자 350: 제2 전원단자
360: 제1 통신단자 370: 제2 통신단자
10: 모바일 기기 20: 충전기기
1000: protective case 100: main body
110: terminal portion 111: first terminal
112: second terminal 200: cover part
210: display unit 220: port unit
230: control unit 240: battery module
300: connecting portion 310: first connecting member
320: second connection member 330: core member
340: first power terminal 350: second power terminal
360: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370: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10: mobile device 20: charger

Claims (7)

모바일 기기가 장착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 및
상기 본체부와 상기 커버부 간을 연결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개폐하도록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
외부 충전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기 위한 포트부; 및
상기 포트부를 통해 전력을 충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공급하는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A main body on which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A cover part formed to cover the main body part;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and the cover part, the cover part being rotatably installed to open and close the main body part,
The cover part,
A display unit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unit;
A port unit for receiving power from an external charger; And
And a battery module which charges power through the port unit and supplies the power to the display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부와 연동하여 듀얼 모니터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display unit is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ual monitor in conjunction with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device to opera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모바일 기기 장착 시 모바일 기기의 포트와 연결되는 제1 단자; 및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어 외부 충전기기와 상기 제1 단자 사이를 연결하는 제2 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A first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port of the mobile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And
And a terminal unit installed at an outer side of the main body unit and including a second terminal connecting the external charger to the first terminal.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포트부, 상기 배터리 모듈, 상기 단자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포트부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과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에 따라 상기 배터리 모듈에 충전된 전력을 상기 단자부로 공급하거나, 상기 단자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상기 배터리 모듈을 충전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ver part,
The battery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port unit, the battery module, the terminal unit, and the display unit, respectively, to charge the battery module with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rt unit.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upply power charged to the battery module to the terminal unit or to receive power from a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unit through the terminal unit to perform a control operation for charging the battery module. A protective case of a mobile device, compris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부 및 상기 단자부를 통해 각각 외부 충전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이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상기 배터리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가 충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체부에 장착된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잔량이 상기 배터리 모듈의 잔량보다 일정량 이상 많을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터리 모듈이 충전되도록 제어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trol unit,
In a state in which no power is supplied from an external charger through the port unit and the terminal unit,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amount tha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to control to charge the mobile device using the battery modul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device to control the battery module is charged by using the battery of the mobile device whe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of the mobile device mounted on the main body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a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odul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부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1 연결부재;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부와 각각 연결된 다수의 제2 연결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연결부재와 연결된 코어부재;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제1 전원단자;
상기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전원단자와 상시 대향 접촉하는 제2 전원단자;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연결된 제1 통신단자; 및
상기 코어부재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제2 통신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members each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A plurality of second connecting members each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connected to the cover part;
A core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A first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A second power supply terminal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n constant contact with the first power supply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connected to the terminal unit; And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re member, and comprises a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는 상기 코어부재를 따라 일렬로 교차 배치되고,
상기 제1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제2 연결부재가 회전되거나 상기 제2 연결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연결부재가 회전되고,
상기 제1 통신단자와 상기 제2 통신단자는, 상기 본체부에서 상기 커버부가 열리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대향 접촉하며, 상기 커버부가 상기 본체부를 덮도록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2 연결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상호 간 거리가 멀어져 접촉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의 보호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connecting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ng member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core member,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based o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or the first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based on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The first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terminal are opposed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to open the cover portion in the body portion, the cover portion to cover the body portion When the first connection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member is rotated, the protective case of the mobil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does not contact.
KR1020180098050A 2018-08-22 2018-08-22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KR1021552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50A KR102155273B1 (en) 2018-08-22 2018-08-22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50A KR102155273B1 (en) 2018-08-22 2018-08-22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201A true KR20200022201A (en) 2020-03-03
KR102155273B1 KR102155273B1 (en) 2020-09-11

Family

ID=6993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50A KR102155273B1 (en) 2018-08-22 2018-08-22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27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919A1 (en) * 2022-08-1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embedded tv insertable into 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33A (en) * 2006-09-15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Switch hin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12132B1 (en)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Protecting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359267B1 (en) 2012-12-31 2014-02-07 김삼녀 Functional smart phone case
KR20150097164A (en) 2014-02-18 2015-08-26 (주)옵티스 Mobile Phone Case Including Display Panel
KR101790504B1 (en) * 2015-09-21 2017-10-26 정종기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4833A (en) * 2006-09-15 200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Switch hing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212132B1 (en) 2012-07-13 2012-12-13 주식회사 다스텍 Protecting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359267B1 (en) 2012-12-31 2014-02-07 김삼녀 Functional smart phone case
KR20150097164A (en) 2014-02-18 2015-08-26 (주)옵티스 Mobile Phone Case Including Display Panel
KR101790504B1 (en) * 2015-09-21 2017-10-26 정종기 Cover for smart devic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ver and smart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8919A1 (en) * 2022-08-1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Battery-embedded tv insertable into ca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273B1 (en) 2020-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5081121U (en) Display
JP7381639B2 (en) light emitting device
WO2014010797A1 (en) Protective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9888599B2 (en) Protecting cover for electronic device
CN105096756B (en) Foldable display device
US950248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05742323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with multilayer lamination structure
US9740073B2 (en) Complex display device
CN109841650A (en) Organic LED display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9312321B2 (en) Double-sid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CN103778858A (en) Foldable display device
CN108269938B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212132B1 (en) Protecting case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20150096296A (en) Dual-side display, device for controlling the dual-si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8133671B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display panel
CN204204377U (en) Display and electronic equipment display
CN109728174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rgan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155273B1 (en) Protective case of mobile device
KR20150114055A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20142896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flat panel display
KR2007008195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090219275A1 (en) Dc-dc convert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CN104425737A (e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JP3171205U (en) Protective cover for mobile devices
CN114023256A (en) Display panel,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