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62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62A
KR20200022162A KR1020180097968A KR20180097968A KR20200022162A KR 20200022162 A KR20200022162 A KR 20200022162A KR 1020180097968 A KR1020180097968 A KR 1020180097968A KR 20180097968 A KR20180097968 A KR 20180097968A KR 20200022162 A KR20200022162 A KR 20200022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ll
field
tank
wash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대우
Priority to KR102018009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162A/ko
Priority to US16/255,083 priority patent/US20200063326A1/en
Priority to CN201910428315.9A priority patent/CN110857501B/zh
Publication of KR20200022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804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 B08B9/0817Cleaning containers having tubular shape, e.g. casks, barrels, drums by agitating or tumbling containers filled with liquid or liquid and abrasive, e.g.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5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 D06F35/008Methods for washing, rinsing or spin-drying for disinfecting the tub or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상기 저수조(20) 내벽 측에 축적된 물때 등 기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 후 이물질 등의 제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기{A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상기 저수조(20) 내벽 측에 축적된 물때 등 기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 후 이물질 등의 제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이 공급되어 의류 등 세탁물을 세탁하는 기계장비로, 그 구성으로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저수조(910)와, 저수조 내부에 배치되며, 구동 모터(97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930)를 구비한다. 또한, 내측에 위치하는 세탁포에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해당 회전조(930)의 내벽에는 한 개 이상의 가이드 필터(950)가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탁기(900)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 저수조(910) 내벽 등에 물때 등의 이물질이 축적되며, 따라서 저수조(910) 내측을 주기적으로 세척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의 세탁기(900)에서는 이와 같은 세척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며 이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저수조(910) 내측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회전조(930)를 저수조(910)로부터 완전 분해하여야 하며, 이는 숙련된 전문가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세탁기를 분해하여 저수조(910)를 세척하는 방식은 가장 확실한 세척을 담보할 수 있으나 주기적으로 추가 비용이 발생하며, 그 방식 자체에 번거로움 역시 있다.
선태적으로, 세척 용액을 이용하여 세척하는 방식이 있으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수조(910) 내벽 측에 대한 시야 확보가 불가능하여, 완전 세척 여부에 대해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사용자가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해당 저수조 내벽에 대한 용이한 세척 및 그에 대한 시각적 판단이 가능한 세탁기에 대하여 개시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KR 제10-2013-0016932호 '세탁기'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세탁수를 공급하는 토출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 내벽을 개방하는 시야확보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저수조 내벽 측에 축적된 물때 등 기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 후 이물질 완전 제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확보부를 활용하여 저수조 내벽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세척시 수행되는 세탁기의 완전 분해 과정을 생략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확보부의 전 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재를 저수조 내벽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세탁수의 용이한 순환을 저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수조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가이드부재의 배면 일부를 형성하며 해당 필터 가이드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필터링되어 저수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 형성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링되지 않은 세탁수 및 이물질 등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세탁수의 용이한 순환을 도모하도록 하는 세탁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체 외벽을 형성하며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는 케이싱부; 세탁수를 비축하며 그 내벽에 의하여 규정된 구획 공간 내에 세탁조가 위치되도록 하는 저수조; 내부에 세탁포가 저장되고 일 측에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세탁조; 및 전면 측에 한 개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한 개 이상의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토출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의 내벽이 개방되어 저수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시야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토출부재는 세탁조의 내벽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야확보부는 상기 토출부재의 배면 측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토출부재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세탁수를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따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며 상기 세탁조에 형성된 일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세탁수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세탁조는 시야확보부와 인접한 측 세탁조의 내벽을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 공급 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세탁수 공급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 및 결합되는 체결핀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일 측에 전면으로부터 후 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며, 일 시야확보부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터 가이드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함입부 내측 공간으로 삽입 배치되며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상기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의 배면 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조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 측을 세탁조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전면을 형성하며,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의 필터부; 및 케이스부재의 후 측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벽과 함께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와의 이격에 의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유로 형성부재의 높이는 케이스부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함입부의 상 측에 위치하여 세탁조의 중심 측으로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되는 결합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재는 그 상부면에 형성되며 두께가 신축 변형/조절되어 결합턱과 밀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이 상기 결합턱의 하부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결합턱의 전면과 접촉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시야확보부는 횡축 길이가 50mm 이상 90mm 이하 범위 내에서, 그 종축 길이가 500mm 이상 7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시야확보부를 커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그 종축 길이가 종축 및 횡축 길이가 상기 시야확보부의 대응 종축 및 횡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시야확보부는 횡축 길이가 50mm 이상 90mm 이하로, 그 종축 길이가 500mm 이상 700mm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축 및 종축 길이가 상기 시야확보부의 횡축 및 종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그 종축 길이가 80mm 이상 1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횡축 길이가 700mm 이상 8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시야확보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상기 시야확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세탁기의 전체 외벽을 형성하며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는 케이싱부; 세탁수를 비축하며 그 내벽에 의하여 규정된 구획 공간 내에 세탁조가 위치되도록 하는 저수조; 내부에 세탁포가 저장되고 그 저부와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세탁조; 필터 가이드부재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배치되며 순환하는 세탁수를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프레임 부재; 및 전면으로부터 후 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조의 내벽 일 측에 배치되고 배면 일부가 개방된 필터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케이스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의 내벽이 개방되어 저수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시야확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일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의 개방된 배면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조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하 측을 세탁조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결합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일 시야확보부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또는 일 시야확보부를 부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토출구 측에 배치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의 필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필터 부재의 후 측에 결합되며 케이스부재의 전면 내벽과 함께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와의 이격에 의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 구비되는 상기 저수조에 형성된 타 시야확보부에 의하여 형성된 개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타 시야확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케이스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공급하는 토출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 내벽을 개방하는 시야확보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저수조 내벽 측에 축적된 물때 등 기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 후 이물질 완전 제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확보부를 활용하여 저수조 내벽 세척이 가능함으로써, 세척시 수행되는 세탁기의 완전 분해 과정을 생략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시야확보부의 전 측에 위치하는 토출부재를 저수조 내벽과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세척 과정에서 세탁수의 용이한 순환을 저해하지 않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저수조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가이드부재의 배면 일부를 형성하며 해당 필터 가이드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구비하여, 필터링되어 저수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되는 세탁수의 유로 형성을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링되지 않은 세탁수 및 이물질 등이 필터링된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제공하는 동시에 공급함으로써, 세탁수의 용이한 순환을 도모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위에서 기재한 효과 이외에도 본 명세서 내용을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효과 역시 본 발명을 판단함에 있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자명하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에 대한 일 방향 부분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에 대한 타 방향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프레임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의 내벽으로부터 프레임 필터 및 결합 플레이트가 탈착되어 시야확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세탁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에 대한 일 방향 부분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에 대한 타 방향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프레임 부재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4에 따른 프레임 부재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조의 내벽으로부터 프레임 필터 및 결합 플레이트가 탈착되어 시야확보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상기 저수조(20) 내벽 측에 축적된 물때 등 기타 이물질의 용이한 제거 및 세척 후 이물질 등의 제거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케이싱부(10), 저수조(20), 세탁조(30), 토출부재(40), 필터 가이드부재(50)와, 구동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부(10)는 세탁기의 전체 외벽을 형성하며, 예를 들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는 구성이다.
저수조(20)는 세탁수를 비축하며, 그 내벽에 의하여 규정된 구획 공간 내에 후술할 세탁조(30)가 위치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세탁조(30)는 내부에 세탁포가 저장되고 그 저부와 연결된 구동수단(60)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는 구성으로, 예를 들어 상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세탁조(30)는 시야확보부(310) 및 관통공(3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시야확보부(310)는 후술할 토출부재(40)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30)의 내벽이 개방되어 저수조(20)와 연통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탈부착 가능한 토출부재(40)를 탈착시, 사용자가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부터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도 8 참조). 또한, 시야확보부(310)의 개방 형상은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토출부재(40)의 배면 측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대략 개방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토출부재(40)를 세탁조(30)로부터 탈착함으로써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결국, 이물질 제거 등을 위한 저수조(20) 세척시 세탁조(30)를 저수조(20)로부터 해제하는 번거로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저수조(20)의 내벽 완전 세척 여부를 직접 확인 가능한 장점이 발생한다.
또한, 시야확보부(310)는 세탁조(30)에 한 개 형성될 수도, 바람직하게 서로 대향하는 측 내벽에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하여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시야확보부(310)는 사용자의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룰 위한 구성으로, 그 크기 역시 용이한 시야 확보를 위하여 충분한 수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야확보부(310)는 양 측면 내벽 간 이격 거리, 즉 횡축 길이가 50mm 이상 90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60mm 이상 7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측 내벽 간 이격 거리, 즉 종축 길이가 대략 500mm 이상 70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650mm 이상 670m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세탁조(30)는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시야확보부(310)의 횡축 길이가 상기 예시와 같이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하여도 일정 길이 이상만 유지한다면, 사용자의 시야 확보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지나치게 좁게 형성되는 경우 용이한 시야 확보를 저해하므로, 50mm 이상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70mm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상기 시야확보부(310) 측을 커버하는 토출부재(40)의 종축 길이도 상대적으로 길어지며, 이는 토출부재(40) 내측 하부 유로를 통해 유입되어 상방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속을 급감시킬 우려가 있어, 해당 세탁수의 세탁조(30) 내측 공간으로의 용이한 공급을 저해시키며, 결국 세탁수의 용이한 순환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그 종축 길이는 상기 예시와 같이 충분히 길게 형성하되, 700mm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길게 형성되는 경우, 그 종축 길이를 시야확보부(310)의 종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하여야 하는 후술할 토출부재(40)의 특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즉, 후술할 세탁수 공급 부재(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토출구(40a) 측으로 세탁수가 용이하게 도달하지 못할 수 있다.
추가로, 프레임 부재(430)의 제2 유로(b)의 상측에서 오버플로우 되어 180도 방향 전환하여 제1 유로(a) 측으로 유동하는 세탁수의 용이한 오버플로우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시야확보부(310)의 종축길이가 500mm 미만으로 형성되면 세탁조(30) 내벽이 사용자의 시야를 간섭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없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예시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관통공(330)은 시야확보부(310)와 인접한 세탁조(30)의 내벽을 관통 형성하는 구성으로, 후술할 체결핀(411)이 삽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후술할 필터 가이드부재(50)는 저수조(30)의 내벽 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관통공(350)은 대략 장방형으로 다수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토출부재(40)는 그 전면에 한 개 이상의 토출구(40a)가 형성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구성이다. 케이스 부재(40)는 세탁조(30) 내벽에 한 개 이상 형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케이스 부재(40)는 세탁조(30)의 내벽에 직접 배치되는 세탁수 공급 부재(410)와, 후술할 필터 가이드부재(50)의 내부 홈에 삽입 배치되는 프레임 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수 공급 및 프레임 부재(410, 430)는 상기 시야확보부(310)에 의하여 형성된 개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시야확보부(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토출부재(40)는 시야확보부(310)를 커버함으로써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시야확보부(31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토출부재(40)의 종축 및 횡축 길이는 모두 시야확보부(310)의 대응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여기에서 세탁수 공급 부재(410)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세탁수를 토출구(40a)를 따라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세탁조(30)와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세탁수 공급 부재(410)의 배면에는 체결핀(411)이 돌출 형성되어 관통공(330)에 삽입된 이후 상기 관통공(330)의 하면에 접촉 및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체결핀(411)은 필터 제1 케이스 부재(410)의 배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핀(411)은 제1 케이스 부재(410)의 배면에 한 개 이상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 공급 부재(410)를 세탁조(30)로부터 탈착시키는 경우 시야확보부(310)가 개방되어 저장조(20)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상기 저장조(20) 내벽에 대한 용이한 세척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 부재(410)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세탁조(30)의 일 측과, 예를 들어 스크류 결합과 같은 임의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추가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프레임 부재(430)는 후술할 필터 가이드부재(50)의 내부 홈에 삽입 배치되어 세탁수를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급되는 세탁수 내 이물질을 필터링한 이후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 토출시킨다. 상세하게는, 케이스 부재(431)와 유로 형성 부재(435)와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a) 측으로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케이스 부재(431)의 전면 토출구(40a)를 통해 세탁조(30) 내측 공간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프레임 부재(430)는 케이스 부재(431), 필터부(433)와, 유로 형성 부재(4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스 부재(431)는 프레임 부재(430)의 전면을 형성하며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탁조(30) 내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그 전면에는 토출구(40a)가 형성되어 있으며, 다수의 토출구(4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스 부재(431)의 상부면에는 결합부(431a)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431a)는 프레임 부재(430)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그 두께를 신축 변형/조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후술할 필터 가이드 부재(50)와의 견고한 결합 및 용이한 해제를 도모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절곡부(431a-1)와 상방 돌출부(431a-2)를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431a-1)는 케이스 부재(431)의 상부면 측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 부재(431)의 전면 측으로부터 후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며 다시 상방으로 굴곡지게 연장된 이후 상기 케이스 부재(431)의 후 측으로부터 전면 측으로 다시 일정 길이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방 돌출부(431a-2)는 절곡부(431a-1)의 일단에,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절곡부(431a-1)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절곡부(431a-1)의 상부면은 후술할 필터 가이드부재(50)의 결합턱(530)과 유격 없이 접촉하여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가 필터 가이드부재(50)와 견고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반대로, 상방 돌출부(431a-2)를 하방 가압하면, 신축 변형 가능한 결합부(431a)의 전체 두께가 상대적으로 수축되어, 상기 결합부(431a)와 결합턱(530) 사이에 이격 공간이 발생한다. 이 때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를 필터 가이드부재(50)로부터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부(433)는 프레임 부재(430)의 토출구(40a) 측에, 즉 케이스 부재(431)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세탁수에 섞여 있는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의 구성이다. 일반적으로 세탁 작업을 기 수행하여 순환되는 세탁수는 유로 형성부재(435)와 필터 가이드부재(50)의 이격에 의하여 형성되는 제2 유로(b) 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제2 유로(b)를 따라 상방 유동하는 세탁수는 유도부재(미도시)에 의하여 제1 유로(a)의 상측 연통 공간으로 유동한다. 이 때 제1 유로(a) 측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세탁과정에서 이물질 등을 함유할 수밖에 없으므로, 필터부(433)를 통해 해당 이물질을 포집하고 정화된 세탁수가 토출구(40a)를 통해 세탁조(30) 내부 공간으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재(435)는 케이스 부재(431)의 후 측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 부재(431)의 배면 측과 함께 제1 유로(a)가 형성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2 유로(b)를 유동하여 오버플로우 되는 세탁수가 제1 유로(a)의 상방 측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로 형성부재(435)의 높이는 케이스 부재(431)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로 형성부재(435)는 그 하측이 케이스 부재(431)의 하측과 힌지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유로 형성부재(435)의 상측을 케이스 부재(431)로부터 회전 해제시켜 필터부(433)에 의하여 포집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 가이드부재(50)는 세탁조(20)의 내벽에 배치되며, 일 측에 형성된 함입공간 내에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의 삽입 및 고정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하여 함입부(510), 결합턱(530)과, 결합 플레이트(5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필터 가이드부재(50)는 시야확보부(310)의 테두리 부분과 인접하여 또는 일부 커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50)는 세탁조(20)의 내벽 측에 위치하되 상기 세탁조(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여야 한다.
함입부(510)는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가 삽입되도록 전면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함입 형상은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터부(40) 및 후술할 결합 플레이트(550) 해제 시 시야확보부(310)가 함입부(510)를 통하여 개방된다. 함입부(510)를 통해 개방된 시야확보부(310)는 결합 플레이트(550)에 의하여 닫히는 구조로 형성되며, 결국 결합 플레이트(550)가 함입부(510) 내측으로 용이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함입부(510)가 결합 플레이트(550)의 삽입을 수용할 수 있도록, 결합 플레이트(550)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함입부(510)는 그 높이 및 좌우 폭이 모두 시야확보부(310)보다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예를 들어, 함입부(510)는 양 측면 내벽간 이격 거리, 즉 횡축 길이가 시야확보부(310)의 횡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예를 들어 약 80mm 이상 10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80mm 미만인 경우, 결합 플레이트(550)의 함입부(510) 내측 삽입 시, 간섭 발생 가능성이 있어 사용성이 저하된다. 이와 반대로, 함입부(510)의 횡축 길이가 100mm 초과시, 프레임 부재(430)의 제2 유로(b) 하측을 따라 유입되어 상방 유동하는 세탁수의 유속이 급감될 우려가 있다.
또한, 함입부(510)의 상하측 내벽간 이격 거리, 즉 종축 길이 역시 시야확보부(310)의 종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면서, 예를 들어 약 700mm 이상 800mm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종축 길이가 700mm 미만인 경우, 결합 플레이트(550)와의 간섭이, 800mm 초과시 세탁수의 용이한 오버플로우 발생에 문제가 발생한다.
결합턱(530)은 함입부(510)의 상 측에 위치하여 세탁조 중심 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으로, 그 하면은 절곡부(431a-1)의 상부면과 접촉하며 그 전면은 상방 돌출부(431a-2)와 접촉된다. 따라서, 절곡부(431a-1)가 결합턱(530)과 유격 없이 면 접촉되어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 함입부(510) 내측 공간에서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방 돌출부(431a-2)를 하방 가압하여 절곡부(431a-1)를 수축시킴으로써 케이스 부재(431) 및/또는 프레임 부재(430)를 함입부(510)로부터 용이하게 해제 가능하다(도 7 참조).
결합 플레이트(550)는 필터 가이드부재(50)의 배면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부재(50)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결합 플레이트(550)를 탈착시키는 경우, 가이드부재(50)의 배면 측에 시야확보부(310)가 개방되어 저수조(20) 내벽의 용이한 이물질 제거 및 제거 여부의 시각적 확인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결합 플레이트(5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시야확보부(310)의 개방 공간을 커버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 후술할 제1 및 제2 결합핀(551, 553)을 제외한 몸체부가 상기 시야확보부(310)와 상보적인 형성이며, 그 크기 역시 상기 시야확보부(310)와 대략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 플레이트(550)가 시야확보부(310)보다 그 종축 또는 횡축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상기 시야확보부(310)를 폐쇄하는 경우, 결합 플레이트(550)의 일측 또는 양 말단이 세탁조(30) 내벽과 단턱을 형성하여, 프레임 부재(430) 내측 유로 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프레임 부재(430)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유로(b)의 형성 폭이 일정하지 않으며, 결합 플레이트(550)와 세탁조(30) 내벽 간 갭이 발생함으로써 세탁수의 제2 유로(b)에서 세탁수의 누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 플레이트(550)는 제1 결합핀(551) 및 제2 결합핀(5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핀(551)은 결합 플레이트(55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세탁조(30)의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미도시)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750)의 상 측을 필터 가이드부재(50)의 배면 측 세탁조(30)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결합핀(551)은 상방 연장된 이후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시 하방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1 결합핀(5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550)의 상부면에 상호 이격된 한 쌍이 형성될 수도, 중심 측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핀(553)은 결합 플레이트(55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세탁조(30)의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550)의 하 측을 필터 가이드부재(50)의 배면 측 세탁조(3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2 결합핀(553)은 하방 연장된 이후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며 다시 상방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제2 결합핀(553)의 형성 개수 역시 제1 결합핀(551)과 마찬가지로 제한이 없으며 가변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플레이트(550)를 필터 가이드부재(50)의 함입부(510) 측으로부터 이탈시키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야확보부(310)가 형성되며 저수조(20) 내벽 세척시 세탁기를 완전분해할 필요가 없어 번거로움 및 분해에 의하여 발생하는 추가 비용 부담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저수조(20) 내벽에 대한 시야 확보가 가능하여 완전 세척 여부에 대하여 사용자가 쉽게 판단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수단(60)은 세탁조(30)의 일 측에, 바람직하게는 세탁조(30)의 저부에 위치하며 상기 세탁조(30)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구동수단(80)은 모터일 수 있으며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10 : 케이싱부 20 : 저수조
30 : 세탁조
310 : 시야확보부 330 : 관통공
40 : 토출부재 40a : 토출구
410 : 세탁수 공급 부재 411 : 체결핀
430 : 프레임 부재
431 : 케이스 부재
431a : 결합부
431a-1 : 절곡부 431a-2 : 상방 돌출부
433 : 필터부 435 : 유로 형성부재
50 : 필터 가이드부재
510 : 함입부 530 : 결합턱
550 : 결합 플레이트
551 : 제1 결합핀 553 : 제2 결합핀
60 : 구동수단

Claims (20)

  1. 세탁기의 전체 외벽을 형성하며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는 케이싱부;
    세탁수를 비축하며 그 내벽에 의하여 규정된 구획 공간 내에 세탁조가 위치되도록 하는 저수조;
    내부에 세탁포가 저장되고 일 측에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세탁조; 및
    전면 측에 한 개 이상의 토출구가 형성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한 개 이상의 토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토출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의 내벽이 개방되어 저수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시야확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는 세탁조의 내벽과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시야확보부는 상기 토출부재의 배면 측 형상과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세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재는 내부 유로를 통해 순환하는 세탁수를 전면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따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며 상기 세탁조에 형성된 일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세탁수 공급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조는 시야확보부와 인접한 측 세탁조의 내벽을 관통 형성하는 관통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세탁수 공급 부재의 배면에는 상기 세탁수 공급 부재의 배면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이후 하방으로 절곡 연장되며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 및 결합되는 체결핀이 돌출 형성되는, 세탁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기는 일 측에 전면으로부터 후 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며, 일 시야확보부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필터 가이드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함입부 내측 공간으로 삽입 배치되며 순환하는 세탁수를 상기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상기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의 배면 측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조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 측을 세탁조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결합핀;을 포함하는, 세탁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의 전면을 형성하며,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측 공간으로 공급하는 케이스 부재;
    상기 케이스부재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의 필터부; 및
    케이스부재의 후 측에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벽과 함께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와의 이격에 의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 형성부재의 높이는 케이스부재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세탁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함입부의 상 측에 위치하여 세탁조의 중심 측으로 수평 방향 돌출 형성되는 결합턱;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재는 그 상부면에 형성되며 두께가 신축 변형/조절되어 결합턱과 밀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부면에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측이 상기 결합턱의 하부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절곡부; 및 상기 절곡부의 상측으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결합턱의 전면과 접촉되는 상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확보부는 횡축 길이가 50mm 이상 90mm 이하 범위 내에서, 그 종축 길이가 500mm 이상 7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형성되며,
    상기 토출부재는 상기 시야확보부를 커버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그 종축 길이가 종축 및 횡축 길이가 상기 시야확보부의 대응 종축 및 횡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세탁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확보부는 횡축 길이가 50mm 이상 90mm 이하로, 그 종축 길이가 500mm 이상 700mm 이하로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축 및 종축 길이가 상기 시야확보부의 횡축 및 종축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며, 그 종축 길이가 80mm 이상 1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횡축 길이가 700mm 이상 800mm 이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세탁기.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기 시야확보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상기 시야확보부와 실질적으로 동일 크기로 형성되는, 세탁기.
  14. 세탁기의 전체 외벽을 형성하며 내부 구성물을 보호하는 케이싱부;
    세탁수를 비축하며 그 내벽에 의하여 규정된 구획 공간 내에 세탁조가 위치되도록 하는 저수조;
    내부에 세탁포가 저장되고 그 저부와 연결된 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하는 세탁조;
    필터 가이드부재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 배치되며 순환하는 세탁수를 일 측에 형성되는 토출구를 통하여 상기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토출하는 프레임 부재; 및
    전면으로부터 후 측으로 일정 깊이 함입 형성되는 함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조의 내벽 일 측에 배치되고 배면 일부가 개방된 필터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탁조는 케이스부재가 결합하는 측 세탁조의 내벽이 개방되어 저수조와 연통되도록 하는 시야확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상기 일 시야확보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의 개방된 배면 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플레이트는 상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탁조 내벽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상하 측을 세탁조 내벽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1 및 제2 결합핀;을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는 일 시야확보부의 테두리와 인접하여 또는 일 시야확보부를 부분 커버하도록 배치되는, 세탁기.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토출구 측에 배치되어 세탁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메쉬 구조의 필터부; 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는 상기 필터 부재의 후 측에 결합되며 케이스부재의 전면 내벽과 함께 제1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필터 가이드부재와의 이격에 의하여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조에 형성된 타 시야확보부에 의하여 형성된 개방 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타 시야확보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전면에 토출구가 형성되어 순환하는 세탁수를 세탁조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케이스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180097968A 2018-08-22 2018-08-22 세탁기 KR202000221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968A KR20200022162A (ko) 2018-08-22 2018-08-22 세탁기
US16/255,083 US20200063326A1 (en) 2018-08-22 2019-01-23 Washing machine having improved maintenance features
CN201910428315.9A CN110857501B (zh) 2018-08-22 2019-05-22 具有改进的维护特征的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968A KR20200022162A (ko) 2018-08-22 2018-08-22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62A true KR20200022162A (ko) 2020-03-03

Family

ID=6958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968A KR20200022162A (ko) 2018-08-22 2018-08-22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63326A1 (ko)
KR (1) KR20200022162A (ko)
CN (1) CN1108575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303B1 (ko) 2021-07-05 2022-03-10 김영환 도금된 폐플라스틱의 유가금속 회수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32A (ko)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66015U (en) * 1997-08-16 1999-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for a washing machine
JP2010259485A (ja) * 2009-04-30 2010-11-18 Panasonic Corp 送風装置
US9551104B2 (en) * 2012-05-03 2017-01-24 Dongbu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Filter device for washing machine
JP6824017B2 (ja) * 2016-12-13 2021-02-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932A (ko) 2011-08-09 2013-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303B1 (ko) 2021-07-05 2022-03-10 김영환 도금된 폐플라스틱의 유가금속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3326A1 (en) 2020-02-27
CN110857501B (zh) 2022-01-25
CN110857501A (zh)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25376B1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JP4959840B2 (ja) リフターを備える洗濯機
JP6208762B2 (ja) 衣類処理装置
JP2018143524A (ja) 洗濯機
KR102053655B1 (ko) 배수펌프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0460586B1 (ko) 세제공급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EP3919668A1 (en) Washing machine having an automatic detergent supply apparatus
KR101481585B1 (ko) 세탁장치
US10253447B2 (en) Washing machine
JP4667247B2 (ja) 洗濯機
KR20170096346A (ko) 세탁기의 액체첨가제 투입장치
KR20150008035A (ko) 의류처리장치
CN110230172B (zh) 洗衣机用过滤装置和安装有该装置的洗衣机
KR20200022162A (ko) 세탁기
KR20100034923A (ko) 드럼세탁기
CN111826891A (zh) 一种衣物处理设备的提升筋及衣物处理设备
KR101022224B1 (ko) 세제공급장치를 갖춘 세탁기
KR100830487B1 (ko) 드럼세탁기의 세제 공급장치
KR101054424B1 (ko) 드럼세탁기의 잔수 배출구조
KR100627908B1 (ko) 드럼 세탁기용 리프터의 수거통 장착구조
KR10225485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0627909B1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KR100701171B1 (ko) 드럼 세탁기의 리프터
EP4187011A1 (en) Washing machine
KR910007717Y1 (ko) 세탁기의 보푸라기 걸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