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59A -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59A
KR20200022159A KR1020180097961A KR20180097961A KR20200022159A KR 20200022159 A KR20200022159 A KR 20200022159A KR 1020180097961 A KR1020180097961 A KR 1020180097961A KR 20180097961 A KR20180097961 A KR 20180097961A KR 20200022159 A KR20200022159 A KR 20200022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lorine dioxide
sachet
laser processing
film
dioxide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698B1 (ko
Inventor
서종철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7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6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8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8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4/24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26Apparatus for preserving using liquids ;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 A23B7/153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liquids or solids
    • A23B7/157Inorganic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농ㅇ축ㅇ수산물 종류에 상관없이 저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상태와 실온 및 가온상태에서 균일한 방출거동을 통한 지속적인 항균 또는 살균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Gas permeable polymer sachet comprising chlorine dioxide solution for enhancing food preservation}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이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ㅇ축ㅇ수산물은 생산자 또는 유통센터에서 상품화 과정을 거쳐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온에 노출되고 시간이 경과하면서 신선도에 문제가 생겨 상품으로서의 품질이 저하되어 소비자의 클레임을 발생시키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현재에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포장 상자 내에 유황패드를 삽입하거나 아이스 팩을 넣거나 하는 방법들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유황패드는 주로 과일상자 내부에 삽입하여 과일의 신선도를 유지시키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황패드는 과일의 표면에 종종 발생하는 맺힌 이슬과 작용하여 과일의 표면에 얼룩점을 생성하고 상품의 가치를 훼손시키는 문제와 아울러 유황 자체의 냄새로 인하여 소비자들의 거부반응을 불러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얼린 아이스 팩을 축산물이나 수산물 상품을 배송함에 있어서 주로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아이스 팩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차가운 기운이 약해져 신선도 유지의 본연의 기능이 상실되기 시작한다. 즉, 아이스 팩은 신선도를 유지한 상태로 상품을 장기간 동안 보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산화염소는 곰팡이에서 세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산화 살균제로서 광범위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살균 메커니즘으로 미생물의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산화력에 의한 세포의 효소작용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같은 살균력은 넓은 PH 범위에서 유효하며 염소에 비해 2.5배 이상 살균력이 강하고, THM (트리할로메탄)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것이 장점으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환경 친화적 그린(green) 살균제로 각광 받고 있다.
1973년에는 다양한 바이러스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이산화염소가 염소보다 더 높은 살균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1999년 미국 EPA 자료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오존이나 염소보다 살균효율이 더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미국 EPA는 2001년 911 테러 이후 우편물의 형태로 유포된 탄저균에 대처하기 위하여 오염 가능 공간 전체를 살균하는 용도로 이산화염소 가스의 사용을 결정하면서 이산화염소 가스는 유명세를 탔다.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 및 식량농업기구(FAO)는 이산화염소를 살균제로 추천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실험실 미생물안전지침서(Laboratory Biosafety Guideline) 또한 이산화염소를 살균제 목록에 올렸으며, 미국과 한국 등 여러 나라에서 멸균 소독제로 허가하였다.
이산화염소는 규정 농도 이하로 사용 시 설탕, 식염의 경우처럼 섭취해도 괜찮은 A1등급 판정을 받았으며, 과일 및/또는 야채의 세척으로 허가된 식품첨가물이기도 하다. 한편, 이산화염소는 한국의 농수산식품부를 포함한 여러 나라에서 식품표면의 살균 소독제 용도로 허가되어 유기첨가물로 등록되어 있다. 즉, 이산화염소는 친환경 유기농산물 프로그램에 적합한 물질이다. 이러한 이산화염소는 물에 수용된 액체 상태 또는 가스 상태로 적용이 가능한데, 가스 상태에서 살균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실험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산화염소수는 높은 항균 또는 살균력을 가지는 물질이지만, 끓는점이 11 ℃로, 실온에서의 높은 기화성으로 인해 효능이 유지되도록 지속적인 방출이 어렵고 장기 보존에 한계가 있어 실생활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냉각상태뿐만 아니라 실온 또는 가온상태에서도 균일한 방출거동을 통한 지속적인 항균 또는 살균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16388호 2.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86791호 3. 한국 공개특허 제10-2017-0137468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농ㅇ축ㅇ수산물 종류에 상관없이 저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상태와 실온 및 가온상태에서 균일한 방출거동을 통한 지속적인 항균 또는 살균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통기성 고분자 사세(sachet)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복합필름에 레이저 가공을 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가공된 복합필름을 재단하는 단계, (D) 상기 재단된 복합필름에 이산화염소 용액을 담고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르면, 농ㅇ축ㅇ수산물 종류에 상관없이 저장성을 크게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냉각상태와 실온 및 가온상태에서 균일한 방출거동을 통한 지속적인 항균 또는 살균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a는 90 시간 경과 후 저장 제품(양파)의 품질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b는 110 시간 경과 후 저장 제품(양파)의 품질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저장 7일차 저장 제품(쌀밥)의 품질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저장 17일차 시점에서의 저장 제품(갈치)의 품질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측면 및 다양한 구현예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에 따른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A)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복합필름에 레이저 가공을 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가공된 복합필름을 재단하는 단계, (D) 상기 재단된 복합필름에 이산화염소 용액을 담고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이다.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두께가 12 내지 17 μm이고,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35 내지 45 μm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은 농도가 800 내지 1,200 ppm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고분자의 통기성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통기량은 3,000 내지 4,000 cc/m2/day이다.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레이저 가공은 시간차 다분기 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파장 350 내지 360 ns, 주파수 20 내지 30 kHz, 리와인더 속도 80 내지 120 m/min의 조건에서 롤투롤 가공 방식을 통해 수행된다.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또는 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i) 상기 고분자로 두께가 12 내지 17 μm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두께가 35 내지 45 μm인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을 사용하고, (ii)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내 이산화염소 용액은 농도가 800 내지 1,200 ppm이며, (iii) 상기 고분자의 통기성은 시간차 다분기 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파장 350 내지 360 ns, 주파수 20 내지 30 kHz, 리와인더 속도 80 내지 120 m/min의 조건에서 롤투롤 가공 방식의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iv) 상기 통기성 고분자의 통기량은 3,000 내지 4,000 cc/m2/day가 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조건 중 어느 하나라도 충족되지 않는 경우 사세 내부의 이산화염소의 기압이 증가할수록 이산화염소 방출량이 크게 증가해버리는 것과 달리, 위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는 사세 내부의 이산화염소의 기압에 무관하게 배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실시예: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1) 복합필름 제작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의 제작을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15 μm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CPP) 40 μm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을 제작하였다.
(2) 복합필름 레이저 가공
합지한 복합필름에 대해 레이저 가공을 수행하였는데,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16388호에 개시되어 있는 시간차 다분기(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파장 355 ns, 주파수 25 kHz, 리와인더 속도 100 m/min으로 롤투롤(roll-to-roll) 가공방식을 통하여 제작하였다. 레이저 가공을 통한 복합필름의 통기량은 3,500 cc/m2/day를 나타내었다.
(3) 사세 제작을 위한 복합필름 재단
복합필름을 폭 120 mm와 600 mm의 롤(roll)로 가공하여 3면 실링 포장기 또는 4면 실링 포장기를 이용하여 가공하였다. 안정적인 이산화염소 기체의 방출을 통해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의 성능 발현을 위하여 레이저 가공 부위가 제품을 담는 용기의 바닥 또는 포장 필름과 밀착되어 이산화염소 기체가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레이저 가공된 3면 실링포장기에 작업할 때에는 실링되는 부분이 3부분이므로 접는 부분에 레이저 가공이 오도록 하여 레이저 가공된 위치의 포장재가 중앙으로 해서 접히게 제작하였다. 그리고, 4면 실링포장기를 이용할 경우 중앙을 절단하여 4면이 실링이 되기 때문에, 레이저 가공의 위치를 필름의 중앙이 아닌 1/3 또는 1/4의 위치에 오도록 하여, 포장 사세의 중앙 부분에 레이저 가공된 것이 위치하지 않도록 제작하였다.
(4)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아염소산나트륨(NaClO2)과 황산을 이용하여 제작한 1,000 ppm의 이산화염소 용액 15 g을 60 mm ㅧ 110 mm (실링부의 크기 3 mm) 크기의 사세에 넣고 입구를 열성형하여 사세를 제작하였다. 이때, 실링부분을 고려 시 실제 이산화염소용액 함유 사세의 크기는 54 mm ㅧ 104 mm이다.
시험예 1: 식품 저장성 시험
(1) 양파 저장성 시험
300 mm ㅧ 500 mm 봉투에 위에서 제작한 사세 1개와 깐 양파 3개 씩(약 250 g)을 넣고, 사세를 넣지 않은 비교군과 함께 햇빛이 차단된 25 내지 27 ℃의 온도와 33 내지 38% 상대습도 하에서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교군은 48 시간 후 곰팡이 발생 등 외관 변화를 보였고 90 시간 후에는 세균이 번식됨을 확인하였으나, 사세를 투입한 경우에는 최소 110 시간 이후에도 외관 변화나 세균 번식이 전혀 확인되지 않았다.
(2) 쌀밥 저장성 시험
300 mm ㅧ 500 mm 봉투에 위에서 제작한 사세 1개와 밥 150 g을 넣고, 동일한 밥 150 g에 사세를 넣지 않은 비교군과 함께 햇빛이 차단된 25 내지 27 ℃의 온도와 33 내지 38% 상대습도 하에서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비교군의 경우 24 시간 이후부터 냄새가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나, 사세를 투입한 경우 7일 경과 후에도 외관 변화나 세균 번식이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3) 갈치 저장성 시험
250 mm ㅧ 200 mm 용기에 위에서 제작한 사세 1개와 갈치 2 토막(약 100 g)을 넣고, 동일한 갈치 2 토막에 사세를 넣지 않은 비교군과 함께 10 ℃의 냉장상태에서 품질 변화를 관찰하였다. 통상 수산물은 전체 균수가 백만 개 이상이면 식용으로서 부적합하다고 판단된다. 표 1과 도 3에 제시한 바와 같이, 에 비교군의 경우 식용으로 부적합한 수준의 세균 균수를 보이는 반면, 사세를 투입한 경우에는 식용으로 적합한 범위 내의 세균 균수를 보여, 수산물에 대해서도 저장성이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비교예 2: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고분자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연신 폴리프로필렌(oriented polypropylene, OPP)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두께 20 μm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두께 30 μm의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이산화염소 용액의 농도를 700 ppm으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이산화염소 용액 함유 사세 제작
통기성 고분자를 시간차 다분기 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레이저 가공을 통해 제조하되, 통기량을 2,500 cc/m2/day이 되도록 제조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사세를 제작하였다.
시험예 2: 이산화염소 방출 시험
(1) 표준 커브 작성
이산화염소수 함량 변화에 따른 촬영 RGB 값을 측정함으로써 RGB 값에 따른 이산화염소수의 표준커브(standard curve) 계산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RGB 값을 이용하면, 이산화염소수 원액이 가지고 있는 고유 황색상을 이용하여 이산화염소가 휘발됨에 따라 이산화염소를 포함하는 겔과 물의 황색상 변화를 통하여 이산화염소의 함량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제형에서 이산화염소수 원액 함량만 다른 제품을 제조하고,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용기의 황색도를 촬영하여 RGB 값을 산출한 후, 이산화염소수 원액 함량별 표준 커브를 산출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조건별 시험군과 대조군을 동일한 방법으로 촬영하여 황색도(RGB 값)를 산출 후 표준 커브와 비교하여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원리이다.
대조군 시료는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증류수와 이산화염소수 원액(구입처: ㈜에코티에스지, 제품명: 클로이 2000ppm)을 중량비로 각각 1:1(이산화염소수 50%), 6:4(이산화염소수 40%), 7:3(이산화염소수 30%), 8:2(이산화염소수 20%), 및 9:1(이산화염소수 10%)로 실온에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증류수만 포함된 용액을 이산화염소수 0%로 표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한 시료를 20 mL 투명한 유리병에 1/2씩 나누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이어 상기 물에 이산화염소를 50% 내지 0%까지 혼합한 시료를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사세 각각에 넣어 밀봉한 후, 이를 카메라로 촬영(배경: 흰색)하여 각 농도별 RGB 값을 산출(Adobe Photoshop) 후, RGB 값 중 Yellow를 나타내는 B 값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제시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사세 간에 RGB값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Figure pat00002
(2) 온도별 이산화염소 방출 특성
온도별 이산화염소수 방출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사세 각각에 대해 냉각상태(0 ℃), 실온(25 ℃), 가온상태(35 ℃)로 방치하여, 시간 경과에 따라 일별로 색상변화를 촬영한 후, RGB 값 중 B 값에 해당하는 색상인 Yellow 값을 산출하여 잔존 이산화염소수의 함량을 도출함으로써 방출 특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에서 제조한 사세는 냉각상태와 실온 및 가온상태에서 거의 동일한 방출 특성을 보이는 반면, 비교예에서 제조한 사세에서는 냉각상태에서 실온을 거쳐 가온상태로 갈수록 더 많은 이산화염소 기체가 사세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비교예의 사세는 사세 내부의 이산화염소의 기압이 증가할수록 이산화염소 방출량이 크게 증가하는 반면, 실시예에서 제조한 사세는 사세 내부의 이산화염소의 기압에 무관하게 배출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출 특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sache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두께가 12 내지 17 μm이고,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35 내지 45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은 농도가 800 내지 1,2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통기성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통기량은 3,000 내지 4,000 cc/m2/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은 시간차 다분기 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파장 350 내지 360 ns, 주파수 20 내지 30 kHz, 리와인더 속도 80 내지 120 m/min의 조건에서 롤투롤 가공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
  8.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A) 복합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복합필름에 레이저 가공을 하는 단계,
    (C) 상기 레이저 가공된 복합필름을 재단하는 단계,
    (D) 상기 재단된 복합필름에 이산화염소 용액을 담고 밀봉하는 단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합지한 복합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은 두께가 12 내지 17 μm이고, 상기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35 내지 45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염소 용액은 농도가 800 내지 1,20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의 통기성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형성되고, 통기량은 3,000 내지 4,000 cc/m2/da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가공은 시간차 다분기 음향광 변조 레이저 가공기를 이용하여 파장 350 내지 360 ns, 주파수 20 내지 30 kHz, 리와인더 속도 80 내지 120 m/min의 조건에서 롤투롤 가공 방식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제조방법.
KR1020180097961A 2018-08-22 2018-08-22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KR10217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961A KR102172698B1 (ko) 2018-08-22 2018-08-22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961A KR102172698B1 (ko) 2018-08-22 2018-08-22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59A true KR20200022159A (ko) 2020-03-03
KR102172698B1 KR102172698B1 (ko) 2020-11-02

Family

ID=6993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961A KR102172698B1 (ko) 2018-08-22 2018-08-22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6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3152B1 (ko) * 2020-11-19 2023-10-30 (주)더블유비지 안정한 이산화염소 수용액을 담은 통기성 사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06A (ko) *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KR20160016388A (ko)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소재의맥 음향광변조기를 이용하여 미세 홈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 및 방법
KR20160086791A (ko) 2016-07-08 2016-07-20 주식회사 소재의맥 음향광변조기를 이용하여 미세 홈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 및 방법
KR20170066722A (ko) * 2015-12-04 2017-06-15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468A (ko)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소재의맥 대면적 통기성 필름 제조를 위한 롤투롤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2506A (ko) * 2012-12-05 2014-06-1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팩
KR20160016388A (ko) 2014-08-05 2016-02-15 주식회사 소재의맥 음향광변조기를 이용하여 미세 홈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 및 방법
KR20170066722A (ko) * 2015-12-04 2017-06-15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137468A (ko) 2016-06-03 2017-12-13 주식회사 소재의맥 대면적 통기성 필름 제조를 위한 롤투롤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160086791A (ko) 2016-07-08 2016-07-20 주식회사 소재의맥 음향광변조기를 이용하여 미세 홈 또는 구멍을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698B1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Corato Improving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fresh and minimally-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for a modern food industry: A comprehensive critical review from the traditional technologies into the most promising advancements
CN102224840B (zh) α-氨基异丁酸或β-氨基异丁酸在制备水果保鲜剂中的应用及水果保鲜剂和使用方法
CN102422881B (zh) 一种双孢蘑菇涂膜保鲜方法
Shiroodi et al. Electrolyzed water application in fresh produce sanitation
EP3355694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comprising citral, hexanal and linalool as active ingredients and application in packaging minimally processed fruits or vegetables
RU2322160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от порчи, способ защиты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от порчи
KR101422763B1 (ko) 신선편이 농산물의 시스템 및 처리방법
KR20200022159A (ko) 이산화염소 용액이 담겨져 있는 식품 저장성 향상용 통기성 고분자 사세
KR101586787B1 (ko)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분자 겔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
CN103318546A (zh) 一种高浓度臭氧冰中空包装冰盒
KR101166410B1 (ko) 절임배추의 장기 저장 방법
ES2342420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on y envasado de un producto alimenticio fresco con capacidad respiratoria para su conservacion y posterior coccion al vapor.
WO2013149356A1 (es) Envase que extiende la vida útil de los alimentos que contiene, especialmente berries, al incorporar en su superficie un agente antifúngico. particularmente berries.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y usos
CN107307068A (zh) 一种鲜切生菜的保鲜方法
JP2021191293A (ja) 洗浄済みベビーリーフの製造方法、及び洗浄済みベビーリーフの菌数低減方法、容器詰めサラダの製造方法
CN103947740B (zh) 一种新型荔枝防腐的方法
JP2021061830A (ja) 洗浄済みベビーリーフの製造方法、及び洗浄済みベビーリーフの菌数低減方法、容器詰めサラダの製造方法
KR20160078012A (ko)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방제용 팩 및 상기 팩을 이용한 절화 포장 방법
JP3813947B2 (ja) カット野菜の静菌方法
Pinheiro et al. Alternative technologies for tomato post-harvest quality preservation.
KR20130031501A (ko) 미량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팩
Saláková et al. Evaluation of selected parameters of edam type cheese packed under foil with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JP2020048419A (ja) セレウス菌増殖の抑制方法、青果物の鮮度保持用に好適な包装容器、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体、並びに青果物の鮮度保持方法
KR101671562B1 (ko) 식물 곰팡이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제용 물품
WO2020080542A1 (ja) 鮮度保持フィルム及び鮮度保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