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00A -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00A
KR20200022100A KR1020180097807A KR20180097807A KR20200022100A KR 20200022100 A KR20200022100 A KR 20200022100A KR 1020180097807 A KR1020180097807 A KR 1020180097807A KR 20180097807 A KR20180097807 A KR 20180097807A KR 20200022100 A KR20200022100 A KR 20200022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connection
access
waiting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컨
Priority to KR1020180097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100A/ko
Publication of KR20200022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3In-session procedures by adding participants; by removing participa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2Queue service 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6Markers for unambiguous identification of a particular session, e.g. session cookie or URL-en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접속 요청된 도메인을 확인하는 분석부,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접속 요청을 하게 하는 대기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대기 페이지를 통해 접속 요청을 하면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세션 관리부, 그리고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면 사용자 단말과 도메인에 대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세션 연결되게 하는 세션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고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real-time connected user status through session control}
본 발명은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WEB) 서버나 왑(WAP) 서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들의 접속이 짧은 시간 내에 갑자기 폭주하면, 접속 처리가 지연되거나 심지어는 동작하지 않고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래픽 폭주 상황시 이를 대처하는 솔루션 또는 스위치 등의 제품들은 임계치 설정을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 실제 시스템의 임계치를 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실시간 적용이 안되거나 잘못된 설정을 할 경우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트래픽 제어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곳들은 서버를 증설하여 사용자들의 접속을 처리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서버를 증설하는 것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줄 수는 있지만, DB(Database)나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같이 한정된 리소스를 사용하는 장비의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처리를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는 해당 요청의 처리 이외에 한정된 리소스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전체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서버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서버 증설 수만큼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3893호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서비스 서버에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고,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3893호는 서비스 서버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있다. 따라서 트래픽 제어 서버로부터 접속 허가 또는 접속 대기 지시에 따라 동작하도록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야 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3893호(공개일자: 2016.06.27)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고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접속 요청을 하게 하는 대기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기 페이지를 통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메인에 대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세션 연결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접속 요청된 도메인을 확인하는 분석부,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접속 요청을 하게 하는 대기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기 페이지를 통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세션 관리부, 그리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메인에 대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세션 연결되게 하는 세션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 순번 또는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에 별도의 트래픽 제어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고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를 할 수 있는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과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 사이에서 세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통신망(10)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과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은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정보 통신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은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로부터 서비스 요청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나의 물리적인 서버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하나 이상의 웹 어플리케이션이 구축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관리 대상으로 등록된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과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의 세션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의 구성을 자세히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관리 장치(100)는 분석부(110), 세션 관리부(120), 세션 연결부(130), 데이터베이스(140) 및 수집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110)는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요청에서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접속 요청된 웹 어플리케이션의 도메인 정보 등을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분석부(110)는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조립하고, 조립된 접속 요청 패킷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된 도메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로부터 접속 요청에 대한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a)의 아이피가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200a)의 대기 순번이 접속 허용 순번 내인지 확인하여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a)이 접속 허용 순번 내이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접속 허용 순번 밖이면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a)의 아이피가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을 해당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고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IP)를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접속 시간 등을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할 수도 있다.
물론 접속 요청된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된 수가 접속 허용 수보다 작고,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없는 경우,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이 바로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요청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션 관리부(120)는 세션 연결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과 웹 어플리케이션의 세션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접속 요청이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세션 관리부(120)는 대기 페이지를 생성하여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접속 대기 상태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사용자 단말이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가 대기 페이지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의 대기 순번 또는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수 등을 고려하여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시간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컨대 대기 순번이 앞으로 될수록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시간을 짧게 설정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수가 작을수록 스크립트에 설정되는 시간을 짧게 설정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대기 순번과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수를 모두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이 다시 접속 요청을 하는 시간을 스크립트에 설정되게 할 수도 있다.
세션 연결부(130)는 세션 관리부(120)에서 세션 연결 요청된 사용자 단말과 웹 어플리케이션의 세션을 연결시킨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관리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베이스(140)는 관리 장치(100)의 관리 대상으로 등록된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의 도메인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 별로 생성된 접속 대기 큐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140)는 수집부(150)에서 수집한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수집부(150)는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이 설치된 웹 서버의 CPU, 메모리 등과 같은 자원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50)는 사용자 단말(200a, 200b, 200c, …, 200n)의 접속 시간, 접속 종료 시간,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비스 요청 후 웹 어플리케이션의 응답 소요 시간, 각 웹 어플리케이션의 세션 연결 정보 등을 수집할 수도 있다.
수집부(150)는 관리 장치(100)를 운용하는 운용자로부터 각 웹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허용수를 설정받아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할 수 있다. 물론 웹 어플리케이션별 접속 허용수를 세션 관리부(120)에서 웹 어플리케이션(300a, 300b, 300c, …, 300m)이 설치된 웹 서버의 자원 정보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기준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으면(S305), 분석부(110)는 접속 요청에서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접속 요청된 웹 어플리케이션(300a)의 도메인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접속 요청 패킷을 분석할 수 있다(S310). 단계(S310)에서 분석부(110)는 사용자 단말(200a)로부터 전달되는 접속 요청 패킷을 조립하고, 조립된 접속 요청 패킷의 헤더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 요청된 도메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부(110)는 접속 요청된 도메인 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아이피 등을 포함하는 접속 요청 정보를 세션 관리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S315).
세션 관리부(120)는 접속 요청 정보를 전달받으면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20). 단계(S320)에서 세션 관리부(120)는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a)의 아이피가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으면, 해당 사용자 단말(200a)의 대기 순번이 접속 허용 순번 내인지 확인하여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a)이 접속 허용 순번 내이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접속 허용 순번 밖이면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a)의 아이피가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을 해당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고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접속 요청된 웹 어플리케이션에 접속된 수가 접속 허용 수보다 작고,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없는 경우,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이 바로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접속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S325-Y), 세션 관리부(120)는 세션 관리부(120)는 대기 페이지를 생성하여 접속 요청한 사용자 단말(200a)에 전송할 수 있다(S325).
사용자 단말(200a)은 대기 페이지에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S330-Y), 다시 접속 요청을 한다(S305). 단계(S305) 내지 단계(S330)를 사용자 단말(200a)이 접속 가능할 때(S320-Y)까지 반복한다.
세션 관리부(120)는 사용자 단말(200a)이 접속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S320-Y), 세션 연결부(130)에 사용자 단말(200a)과 웹 어플리케이션(300a)의 세션 연결을 요청한다(S335).
그러면 세션 연결부(130)는 웹 어플리케이션(300a)과 사용자 단말(200a)의 세션을 연결 작업을 수행한다(S340).
웹 어플리케이션(300a)은 사용자 단말(200a)에 세션 연결 응답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S345), 사용자 단말(200a)과 웹 어플리케이션(300a)의 세션 연결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접속 요청을 받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는 단계,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접속 요청을 하게 하는 대기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기 페이지를 통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메인에 대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세션 연결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방법.
  3. 제 2 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 순번 또는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수에 따라 설정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방법.
  4. 제 1 항에서,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방법.
  5.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달된 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접속 요청된 도메인을 확인하는 분석부,
    상기 접속 요청된 도메인의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불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 접속 요청을 하게 하는 대기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이 상기 대기 페이지를 통해 접속 요청을 하면 상기 접속 대기 큐를 확인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속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세션 관리부, 그리고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이 가능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도메인에 대응하는 웹 어플리케이션을 세션 연결되게 하는 세션 연결부
    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6. 제 5 항에서,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에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대기 순번 또는 상기 접속 대기 큐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의 수에 따라 설정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8. 제 5 항에서,
    상기 대기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접속 요청을 하도록 작성된 스크립트를 포함하는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KR1020180097807A 2018-08-22 2018-08-22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21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07A KR20200022100A (ko) 2018-08-22 2018-08-22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807A KR20200022100A (ko) 2018-08-22 2018-08-22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00A true KR20200022100A (ko) 2020-03-03

Family

ID=6993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807A KR20200022100A (ko) 2018-08-22 2018-08-22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1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45B1 (ko) * 2020-03-30 2021-04-02 주식회사 웰컨 자동접속순번제어 기능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40159B1 (ko) * 2020-06-17 2021-04-14 주식회사 웰컨 연결지향형 접속 대기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20127006A (ko) * 2021-03-10 2022-09-1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실시간 공간정보 제공 및 활용 추적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93A (ko) 2014-12-17 2016-06-27 (주)에임투지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3893A (ko) 2014-12-17 2016-06-27 (주)에임투지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145B1 (ko) * 2020-03-30 2021-04-02 주식회사 웰컨 자동접속순번제어 기능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40159B1 (ko) * 2020-06-17 2021-04-14 주식회사 웰컨 연결지향형 접속 대기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220127006A (ko) * 2021-03-10 2022-09-1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실시간 공간정보 제공 및 활용 추적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965B2 (en) Network service request throttling system
WO2019184433A1 (zh) 一种网络数据的监测方法及装置
WO2021184586A1 (zh) 基于非扁平网络的私有云监控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9516091B2 (en) Web page script management
CN111124819B (zh) 全链路监控的方法和装置
KR102122913B1 (ko) 분산형 api 프록시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에서 트래픽을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22100A (ko)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WO2019206100A1 (zh) 一种特征工程编排方法及装置
WO2015127603A1 (zh) 一种接口管理服务实体、功能服务实体及网元管理方法
JP2016511451A (ja) ネットワーク機能を開く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関連するネットワーク要素
CN113225339A (zh) 网络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0661673B (zh) 一种心跳检测的方法及装置
JP6249964B2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リアルタイム対話
KR101653685B1 (ko) 컴퓨터 수행 가능한 api 관리 방법
Antonolpoulos et al. A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 on the cloud
EP380640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ssage transmission delay
US11848841B2 (en) Metrics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media streaming servic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US10958445B1 (en) Attribution of network events pursuant to configur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13783882B (zh) 一种边缘应用的信息获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0547969C (zh) 用于瞬时消息通信的方法和数据处理系统及资源管理系统
CN114301772A (zh) 流量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110929269B (zh) 系统权限管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CN113079055B (zh) 一种agv运行数据的动态采集方法和装置
CN113608778A (zh) 应用管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CN112000540A (zh) 分布式部署产品的监控处理方法、系统、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