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93A -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93A
KR20160073893A KR1020150041028A KR20150041028A KR20160073893A KR 20160073893 A KR20160073893 A KR 20160073893A KR 1020150041028 A KR1020150041028 A KR 1020150041028A KR 20150041028 A KR20150041028 A KR 20150041028A KR 20160073893 A KR20160073893 A KR 20160073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sponse time
server
service server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경
장재만
정훈호
Original Assignee
(주)에임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임투지 filed Critical (주)에임투지
Publication of KR20160073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03Managing SLA; Interaction between SLA and QoS
    • H04L41/5019Ensuring fulfilment of SL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6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their network customers, e.g.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H04L41/5067Customer-centric QoS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70Admission control; Resource allocation
    • H04L47/82Miscellaneous aspects
    • H04L47/822Collecting or measuring resource availabilit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장치에서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부는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에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써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한다.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ALTIME MANAGEMENT OF ENTRY ALLOWANCE NUMBER BASED SERVICE QUALITY OF USER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WEB) 서버나 왑(WAP) 서버 등과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은 많은 사용자들의 접속이 짧은 시간 내에 갑자기 폭주하면, 접속 처리가 지연되거나 심지어는 동작하지 않고 다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트래픽 폭주 상황시 이를 대처하는 솔루션 또는 스위치 등의 제품들은 임계치 설정을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문제는 실제 시스템의 임계치를 산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실시간 적용이 안되거나 잘못된 설정을 할 경우 시스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트래픽 제어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곳들은 서버를 증설하여 사용자들의 접속을 처리하는 것으로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서버를 증설하는 것은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줄 수는 있지만, DB(Database)나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같이 한정된 리소스를 사용하는 장비의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요청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면 더 이상 처리를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요청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는 해당 요청의 처리 이외에 한정된 리소스와 관련된 모든 서비스에 영향을 주게 되어 전체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지 못한다. 또한 서버를 증설하기 위해서는 서버 증설 수만큼의 비용이 추가적으로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 상태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환경에 맞는 사용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는,
서비스 서버측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에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써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데 소요되는 응답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응답 시간 수집부; 상기 응답 시간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서비스 품질 판단부;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 수 정보와 접속을 요청한 요청량 정보를 수집하는 트래픽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서비스 품질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품질과, 상기 트래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대기자 수 정보 및 요청량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기 위한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허용수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품질 판단부는 상기 응답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도록 결정하고, 상기 응답 시간이 상기 최소값 이상이고 미리 설정되어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도록 결정하며, 상기 응답 시간이 상기 최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용수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대기자 수를 통해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에 비해 큰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는 경우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답 시간 수집부는,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과 함께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과 함께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 정보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시간 추출부; 및 상기 시간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이 수신되는 때의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이 수신되는 때의 시간을 확인하는 시간 확인부; 및 상기 시간 확인부에 의해 확인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응답 시간을 추출하는 응답 시간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응답 시간을 추출하는 응답 시간 추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대기 관리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부;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허용수 조절 정보를 수신하는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트래픽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진입 허용수 조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를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허용수 조절부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유지하며, 상기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은,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기까지의 시간인 응답 시간을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가 수집하는 단계;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트래픽 제어 서버가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사이에, 수집되는 사용자측 응답 시간을 사용하여 응답 시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되는 응답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측 응답 시간에 대해 상기 최소값 및 최대값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전달되는 요청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본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요청량이 상기 기본값 이상이고,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소값보다 작아서 좋음인 경우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소값 이상이고 상기 최대값보다 작아서 보통인 경우 상기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대값 이상이어서 나쁨인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는,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기까지의 시간인 응답 시간을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가 수집하는 단계;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트래픽 제어 서버가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의 각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한 서비스 서버에의 요청 폭주시 서비스 서버의 한정된 리소스에 접근하는 사용자들에게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는 스마트 컨트롤(Smart Control)에 의해 일정 수준으로 유지함으로써 리소스를 보호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서버측면에서의 자원 사용 상태뿐만 아니라 사용자측에서의 사용자 환경에 따라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환경에 맞는 사용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가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4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트래픽 제어 서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용자별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 조절을 결정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가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10)가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은 서비스 서버(100) 및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10)를 포함한다.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10)는 트래픽 제어 서버(200) 및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서비스 서버(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게 자원을 할당하여 서비스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서비스 서버(100)는 범용의 서버가 사용될 수 있다.
트래픽 제어 서버(2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트래픽을 제어한다. 즉, 트래픽 제어 서버(200)는 서비스 서버(100)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게 서비스 서버(100)로의 접속을 허가하거나 또는 접속 대기를 지시한다. 이와 같이 트래픽 제어 서버(200)가 서비스 서버(100)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는 각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로부터 응답 시간을 수집하고,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접속 가능한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하기 위한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은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이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로 서비스를 위한 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은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이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초기 접속하는 경우에 수집된다.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가 각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트래픽 제어 서버(200)는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 조절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는 응답 시간 수집부(310), 저장부(320),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 및 허용수 조절부(350)를 포함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로부터 응답 시간을 수집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사용자별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방식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방식에 대해서는 추후 설명한다.
저장부(320)는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 즉 사용자의 응답 시간을 저장하고,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통해 응답 시간 영역을 최소값(MIN)과 최대값(MAX)을 사용하여 구분하여 저장한다. 이 때,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통해서 설정되는 응답 시간 영역과, 이러한 응답 시간 영역에서 최소값과 최대값으로 설정되는 응답 시간에 대해서는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 관련 서비스 정책이나 사용자가 설정하는 정책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는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서 수집되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에 대해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응답 시간 영역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서비스 품질을 판단한다.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이 0에서 최소값 이내인 경우에는 좋음으로 판단되고, 최소값에서 최대값 사이인 경우에는 보통으로 판단되며, 최대값 이상인 경우에는 나쁨으로 판단된다. 물론, 응답 시간 영역을 최소값과 최대값이 아닌 보다 많은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품질로 판단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최소값과 최대값을 사용하여 세가지 품질 영역으로 분할되는 것으로만 가정한다.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는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서버(100)로의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 수 정보와 접속을 요청하는 요청량 정보를 수집한다. 이러한 대기자 수 정보는 트래픽 제어 서버(200)에서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접속 허용 및 대기를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대기자 수 정보 외에 대기자별로 대기 시간을 더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요청량 정보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진입을 위한 진입 요청량과 서비스 서버(100)로의 접속 대기중인 대기자 중에서 서비스 서버(100)로의 진입을 요청한 요청량의 합을 나타낸다. 이외에도 대기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식에 따라 요청량에 포함되는 구성이 달라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허용수 조절부(350)는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서비스 품질과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에 의해 수집되는 대기자 수 정보와 요청량 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서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기 위한 정보,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생성하여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는 서비스 서버(100)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허용수 조절부(350)가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에 의해 서비스 품질이 좋음으로 판단하고 대기자 수가 있는 경우에는 서비스 서버(100)에의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하고, 만약 대기자가 없으면 요청량이 진입 허용수에 비해 큰 경우에만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서비스 품질이 보통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대기자가 있는 경우에는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만약 대기자가 없는 경우에는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서비스 품질이 나쁨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무조건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 여기서, 서비스 품질의 상태, 대기자 수 및 요청량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의 진입 허용수를 증가, 유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은 상기한 방식 외에 서비스 서버(100)의 서비스 정책에 따라 보다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허용수 조절부(350)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와 함께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 즉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를 함께 생성하여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서비스 품질이 좋음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에 따라 좋음의 정도가 다를 것이다. 즉, 응답 시간이 최소값보다 작지만 실질적인 응답 시간의 크기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응답 시간이 더 작은 경우에는 진입 허용수를 더 크게 증가시킬 수 있도록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가 설정될 것이다.
이하,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방식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1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구성이 모두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 단말(510)만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10)은 송수신부(511), 시간 확인부(513) 및 접속 제어부(5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510)은 상기한 구성 외에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더 포함하지만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으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수신부(311), 시간 추출부(313) 및 응답 시간 산출부(315)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51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510)의 송수신부(511)는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 신호(S1)를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를 수신한다. 이러한 요청 신호와 응답 신호는 응답 시간 산출을 위해 송수신하는 신호들이 아니라 사용자 단말(510)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접속용 신호를 나타낸다.
시간 확인부(513)는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과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한다. 사용자의 단말(510)에서 시간 확인부(513)가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시간을 확인하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접속 제어부(515)는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해 송수신부(511)를 제어하여 요청 신호(S1)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 후 시간 확인부(513)를 통해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을 확인하여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요청 신호 송신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2)를 전송한다.
또한, 접속 제어부(515)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가 송수신부(511)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시간 확인부(513)를 통해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하여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응답 신호 수신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4)를 전송한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의 수신부(311)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신호 송신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2)와 응답 신호 수신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4)를 수신한다.
시간 추출부(313)는 수신부(31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S2, S4)로부터 요청 신호 송신 시간과 응답 신호 수신 시간의 정보를 추출한다.
응답 시간 산출부(315)는 시간 추출부(313)에서 추출되는 요청 신호 송신 시간과 응답 신호 수신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대한 응답 시간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1 예를 통해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각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2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2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10)은 송수신부(521) 및 접속 제어부(523)를 포함하고,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수신부(321), 시간 확인부(323) 및 응답 시간 산출부(325)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51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510)의 송수신부(521)는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 신호(S1)를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를 수신한다.
접속 제어부(523)는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해 송수신부(521)를 제어하여 요청 신호(S1)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 후 송수신부(521)를 통해 요청 신호 송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5)를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전송한다.
또한, 접속 제어부(523)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가 송수신부(521)를 통해 수신되는 경우 응답 신호 수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6)를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전송한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의 수신부(321)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전송되는 요청 신호 송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5)와 응답 신호 수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6)를 수신한다.
시간 확인부(323)는 수신부(321)를 통해 요청 신호 송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5)가 수신될 때의 시간과 수신부(321)를 통해 응답 신호 수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6)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확인한다.
응답 시간 산출부(325)는 시간 확인부(323)에서 확인되는 요청 신호 송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5)가 수신될 때의 시간과 응답 신호 수신 사실을 나타내는 신호(S6)가 수신될 때의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대한 응답 시간을 산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2 예를 통해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각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3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3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10)은 송수신부(531), 시간 카운터(533) 및 접속 제어부(535)를 포함하고,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수신부(331) 및 응답 시간 추출부(333)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51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510)의 송수신부(531)는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 신호(S1)를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를 수신한다.
시간 카운터(533)는 접속 제어부(523)의 제어에 의해 시간을 카운트한다.
접속 제어부(535)는 송수신부(531)를 제어하여 요청 신호(S1)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한 후 시간 카운터(533)를 통해 시간 카운트를 시작시킨다.
그 후, 접속 제어부(535)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가 송수신부(531)를 통해 수신되면 시간 카운터(533)의 시간 카운트 동작을 종료시킨 후 시간 카운터(533)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을 응답 시간으로 하여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7)를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전송한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의 수신부(331)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7)를 수신한다.
응답 시간 추출부(333)는 수집부(331)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7)에서 응답 시간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대한 응답 시간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3 예를 통해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각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들을 사용하여 수집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신호를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도 있다.
이하,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4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응답 시간 수집부(310)가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제4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10)은 송수신부(541) 및 접속 제어부(543)를 포함하고, 서비스 서버(100)는 송수신부(110), 시간 확인부(120), 응답 시간 산출부(130) 및 접속 제어부(140)를 포함하며,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수신부(341) 및 응답 시간 추출부(343)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의 단말(510)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510)의 송수신부(541)는 서비스 서버(100)로 요청 신호(S1)를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S3)를 수신한다.
접속 제어부(543)는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해 송수신부(541)를 제어하여 요청 신호(S1)를 서비스 서버(100)로 송신하고,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요청 신호(S1)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S3)를 수신한다.
다음, 서비스 서버(100)에 대해 설명한다.
서비스 서버(100)의 송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송신되는 요청 신호(S1)를 수신하고, 요청 신호(S1)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S3)를 사용자 단말(510)로 전송한다.
시간 확인부(120)는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요청 신호(S1)를 수신한 시간과 사용자 단말(510)로 응답 신호(S3)를 송신한 시간을 확인한다. 여기서, 서비스 서버(100)가 시간 확인부(123)를 통해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시간을 확인하는 기술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응답 시간 산출부(130)는 시간 확인부(120)에 의해 확인되는 요청 신호(S1)를 수신한 시간과 응답 신호(S3)를 송신한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대한 응답 시간을 산출한다.
접속 제어부(140)는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해 사용자 단말(510)로부터 송수신부(110)를 통해 요청 신호(S1)가 수신되면 시간 확인부(120)를 통해 요청 신호(S1)를 수신한 시간을 확인하여 응답 시간 산출부(130)로 전달하고, 또한 요청 신호(S1)에 대한 응답 신호(S3)를 송수신부(110)를 통해 사용자 단말(510)로 송신한 후 시간 확인부(120)를 통해 응답 신호(S3)를 송신한 시간을 확인하여 응답 시간 산출부(130)로 전달한 후, 응답 시간 산출부(130)에 의해 응답 시간이 산출되면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8)를 응답 시간 수집부(310)로 전송한다.
다음,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 대해 설명한다.
응답 시간 수집부(310)의 수신부(341)는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8)를 수신한다.
응답 시간 추출부(343)는 수신부(341)를 통해 수신되는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S8)에서 응답 시간의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510)에 대한 응답 시간으로 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제4 예를 통해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각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예에서는 하나의 사용자 단말(510)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 대해서도 확장되어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과 서비스 서버(100)가 응답 시간 수집을 위해 송수신하는 신호(S3, S4, S5, S6, S7, S8)에는 응답 시간에 대응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을 인식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식별자(ID)를 추가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상기한 예외에 더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다음, 도 1에 도시된 트래픽 제어 서버(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트래픽 제어 서버(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픽 제어 서버(200)는 대기 관리부(210), 트래픽 제어부(220),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230) 및 진입 허용수 조절부(240)를 포함한다.
대기 관리부(210)는 서비스 서버(100)로 접속을 요청하였으나 접속이 허용되지 않고 접속 대기 중인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을 관리한다. 따라서, 대기 관리부(210)는 접속 대기 중인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개수인 대기자 수 정보를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트래픽 제어부(220)는 서비스 서버(100)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접속 트래픽을 제어한다. 즉, 트래픽 제어부(220)는 서비스 서버(100)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접속을 허가하거나 또는 접속 대기를 제어한다. 이 때 접속 대기 중인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 대해서는 대기 관리부(210)를 통해 관리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트래픽 제어부(220)는 접속 요청량을 요청량 정보로써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로 전달할 수 있다.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230)는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로부터 전달되는 허용수 조절 정보와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를 수신한다.
진입 허용수 조절부(240)는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230)에 의해 수신되는 허용수 조절 정보와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에 따라 트래픽 제어부(220)에서 사용되는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한다.
따라서, 트래픽 제어부(220)는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에 의해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에 따라 실시간으로 조절되는 진입 허용수를 기준으로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트래픽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을 위한 서비스 서버(100)에의 요청 폭주시 한정된 리소스에 접근하는 사용자들에 대해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스마트 컨트롤(Smart Control)을 통해 트래픽을 제어함으로써 리소스를 보호하고 또한 사용자에게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100)측면에서의 자원 사용 상태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측에서의 사용자 환경, 즉 응답 시간으로 대두되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 상태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에 대한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환경에 맞는 사용자가 쉽게 체감할 수 있는 안정적인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설명 전에 먼저,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300)의 저장부(320)에는 이미 이전의 사용자별 응답 시간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이러한 응답 시간의 정보에 기초하여 응답 시간 영역과 그 영역에서의 최소값과 최대값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 즉 사용자의 응답 시간을 수집한다(S100). 이 때, 응답 시간 수집부(310)는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이나 서비스 서버(100)를 통해서 사용자의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수집할 수 있다.
다음,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는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서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대해 저장부(320)에 저장되어 있는 응답 시간 영역의 최소값과 최대값을 사용하여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한다(S110). 이러한 서비스 품질은 좋음, 보통 및 나쁨으로 판단될 것이다.
다음,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는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부터 서비스 서버(100)로의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 수 정보와 접속을 요청한 요청량 정보를 수집한다(S120).
계속해서, 허용수 조절부(350)는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과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에 의해 수집되는 대기자 수 및 요청량 정보에 따라서 서비스 서버(100)에서의 진입 허용수 조절을 결정한다(S130).
그 후, 허용수 조절부(350)는 사용자별 서비스 품질, 대기자 수 및 요청량에 따라서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단계(S130)에서 결정되는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와 함께 트래픽 제어 서버(200)로 전달한다(S140).
따라서, 트래픽 제어 서버(200)는 허용수 조절부(350)로부터 전달되는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와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에 따라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서비스 서버(100)로 접속하는 사용자의 트래픽을 제어한다(S150).
한편, 상기 단계(S110)에서 사용자별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과정에 대해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사용자별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는 응답 시간 수집부(310)에서 수집되는 사용자별 응답 시간이 최소값(MIN)보다 작으면(S111)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좋음으로 판단한다(S112).
그러나, 상기 단계(S111)에서 사용자별 응답 시간이 최소값(MIN) 이상인 경우에는 다시 사용자별 응답 시간이 최대값(MAX)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S113) 만약 사용자별 응답 시간이 최대값(MAX)보다 작으면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보통으로 판단한다(S114).
만약 상기 단계(S113)에서 사용자별 응답 시간이 최대값(MAX) 이상인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을 나쁨으로 판단한다(S115).
다음, 상기 단계(S130)에서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 조절을 결정하는 과정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 조절을 결정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허용수 조절부(350)는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인 요청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본값보다 작은지를 판단하고(S1310), 만약 요청량이 기본값보다 크면 서비스 품질 판단부(330)에 의해 판단되는 서비스 품질이 좋음인지를 판단한다(S1320).
만약 서비스 품질이 좋음인 것으로 판단되면 허용수 조절부(350)는 트래픽 정보 수집부(340)에 의해 수집되는 정보인 대기자 수에 의해 대기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1330), 만약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1340).
그러나, 상기 단계(S1330)에서 대기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요청량이 이미 설정되어 있는 진입 허용수보다 큰지를 판단하고(S1350), 만약 요청량이 진입 허용수보다 큰 것으로 판단되면 허용수 조절부(350)는 진입 허용수를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하지만(S1340), 그렇지 않고 요청량이 진입 허용수 이하이면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1370).
한편, 상기 단계(S1320)에서 서비스 품질이 좋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다시 서비스 품질이 보통인지를 판단하고(S1380) 만약 서비스 품질이 보통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시 대기자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1390).
만약 대기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허용수 조절부(350)는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결정단다(S1400).
그러나, 대기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1310)에서 요청량이 기본값보다 작거나 또는 상기 단계(S1380)에서 서비스 품질이 보통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결정한다(S1410).
그 후, 상기 단계(S1340, S1360, S1370, S1400, S1410)에서 결정되는 정보를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써 설정한다(S1420).
한편, 상기에서는 서비스 서버(100)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서버(200)가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 대해 대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에 대해 트래픽을 제어하는 서버나 스위치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시스템(2)에서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20)의 트래픽 제어 서버(600)는 서비스 서버(100)에 네트워크(400)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트래픽을 제어하는데 대기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입 허용수 내에서 접속 요청이 증가하면 접속을 허가하지만 진입 허용수를 초과하는 요청에 대해서는 대기를 하는 형태로 트래픽을 제어하는 서버이다. 이러한 트래픽 제어 서버(600)에 대해서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700)는 사용자 단말(510, 520, 530, …)의 응답 시간을 확인하여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고, 서비스 품질이 좋음으로 판단되면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서비스 품질이 보통으로 판단되면 진입 허용수를 유지하며, 서비스 품질이 나쁨으로 판단되면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단순한 형태로 결정하여 결정 정보를 트래픽 제어 서버(600)로 전달하여 실시간으로 서비스 서버(100)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서비스 서버측 트래픽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는 사용자의 트래픽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되는 서비스 품질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에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써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측의 서비스 품질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는데 소요되는 응답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은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되는 응답 신호를 수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는,
    사용자 단말의 응답 시간을 수집하는 응답 시간 수집부;
    상기 응답 시간 수집부에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사용하여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서비스 품질 판단부;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의 접속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대기자 수 정보와 접속을 요청한 요청량 정보를 수집하는 트래픽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서비스 품질 판단부에 의해 판단되는 사용자 단말의 서비스 품질과, 상기 트래픽 정보 수집부에 의해 수집되는 대기자 수 정보 및 요청량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기 위한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는 허용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품질 판단부는 상기 응답 시간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도록 결정하고,
    상기 응답 시간이 상기 최소값 이상이고 미리 설정되어 최대값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도록 결정하며,
    상기 응답 시간이 상기 최대값 이상인 경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수 조절부는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대기자 수를 통해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에 비해 큰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는 경우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며,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시간 수집부는,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과 함께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과 함께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시간 정보와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시간 정보를 추출하는 시간 추출부; 및
    상기 시간 추출부에 의해 추출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과 상기 사용자의 단말이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요청 신호를 송신한 사실이 수신되는 때의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수신부를 통해 상기 응답 신호를 수신한 사실이 수신되는 때의 시간을 확인하는 시간 확인부; 및
    상기 시간 확인부에 의해 확인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단말의 응답 시간을 산출하는 응답 시간 산출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응답 시간을 추출하는 응답 시간 추출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사용자의 단말로부터 요청 신호를 송신한 후 상기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를 송신할 때까지의 응답 시간을 포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상기 응답 시간을 추출하는 응답 시간 추출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을 관리하는 대기 관리부;
    상기 서비스 서버의 자원 사용 상태 및 진입 허용수 대비 이전 접속자수와 접속 요청량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트래픽 제어부;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허용수 조절 정보를 수신하는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 및
    상기 허용수 조절 정보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상기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트래픽 제어부에서 사용되는 진입 허용수를 실시간으로 조절하는 진입 허용수 조절부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에 따른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를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로 전달하고,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는 상기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도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허용수 조절부는 사용자의 서비스 품질이 좋음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서비스 품질이 보통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유지하며, 상기 서비스 품질이 나쁨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14.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기까지의 시간인 응답 시간을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가 수집하는 단계;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트래픽 제어 서버가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사이에,
    수집되는 사용자측 응답 시간을 사용하여 응답 시간 영역을 설정하고, 설정되는 응답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값 및 최대값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측 응답 시간에 대해 상기 최소값 및 최대값을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전달되는 요청량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본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요청량이 상기 기본값 이상이고,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소값보다 작아서 좋음인 경우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제어 서버에서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지만 상기 요청량이 상기 진입 허용수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소값 이상이고 상기 최대값보다 작아서 보통인 경우 상기 대기자가 있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증가시키고 상기 대기자가 없으면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품질이 상기 최대값 이상이어서 나쁨인 경우 상기 진입 허용수를 감소시키도록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를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
  17. 서비스 서버에의 접속을 위해 사용자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응답 신호를 받기까지의 시간인 응답 시간을 사용자 환경 기반 제어 서버가 수집하는 단계;
    수집되는 응답 시간에 기초하여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측 서비스 품질에 따라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 조절 여부를 결정하여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및
    트래픽 제어 서버가 상기 진입 허용수 조절 정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의 진입 허용수를 조절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진입 허용수 관리 방법의 각 과정을 컴퓨터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50041028A 2014-12-17 2015-03-24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738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82 2014-12-17
KR20140182182 2014-12-1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74A Division KR101760093B1 (ko) 2014-12-17 2017-01-24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93A true KR20160073893A (ko) 2016-06-27

Family

ID=563445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028A KR20160073893A (ko) 2014-12-17 2015-03-24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0170011274A KR101760093B1 (ko) 2014-12-17 2017-01-24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1274A KR101760093B1 (ko) 2014-12-17 2017-01-24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60073893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100A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웰컨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145B1 (ko) 2020-03-30 2021-04-02 주식회사 웰컨 자동접속순번제어 기능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40159B1 (ko) 2020-06-17 2021-04-14 주식회사 웰컨 연결지향형 접속 대기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543972B1 (ko) * 2022-12-30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516B1 (ko) * 2021-03-10 2023-09-20 (주)올포랜드 실시간 공간정보 제공 및 활용 추적 방법 및 장치
KR20230031652A (ko) 2021-08-27 2023-03-07 박연숙 세제 디스펜서
KR102559351B1 (ko) * 2022-12-30 2023-07-25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트래픽 스파이크 평탄화 기술을 이용한 리소스 최적화 시스템 및 진입 관리 서버
KR102519056B1 (ko) *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다중 uri 기반 대기열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569833B1 (ko) * 2022-12-30 2023-08-23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모니터링을 이용한 유량 제어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519010B1 (ko) * 2022-12-30 2023-04-06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의 병목 구간 별 진입 대상을 관리하기 위한 진입 관리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582086B1 (ko) * 2022-12-30 2023-09-22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서비스 서버의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1927B2 (ja) * 2002-03-29 2005-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Webサービスの応答時間計測システムおよび計測サーバ
KR100516917B1 (ko) * 2005-03-23 2005-09-26 펌킨넷코리아 (주)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세션수 제어를 통한 서버 폭주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100A (ko) 2018-08-22 2020-03-03 주식회사 웰컨 세션 제어를 통한 실시간 접속자 상태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235145B1 (ko) 2020-03-30 2021-04-02 주식회사 웰컨 자동접속순번제어 기능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40159B1 (ko) 2020-06-17 2021-04-14 주식회사 웰컨 연결지향형 접속 대기 지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543972B1 (ko) * 2022-12-30 2023-06-20 주식회사 에스티씨랩 디지털 서비스 기반 진입 관리 대상의 자동 조정을 위한 진입 관리 방법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2540A (ko) 2017-02-02
KR101760093B1 (ko)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0093B1 (ko)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실시간 진입 허용수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RU2644522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рафиком
US10447789B2 (en) Distributed flow control
KR100939148B1 (ko) 웹 서비스용 폭주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8183950B (zh) 一种网络设备建立连接的方法及装置
KR101686658B1 (ko) 사용자 서비스 품질 기반 클라우드 오토 스케일링 장치 및 그 방법
US20120254413A1 (en) Proxy server, hierarchical network system, and distributed workload management method
TW20093524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client access to a server application
JP5173388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10690988A (zh) 带宽控制方法、带宽控制平台、服务器及存储介质
JP3487425B2 (ja) 輻輳制御方法及び方式
WO2019047345A1 (zh) 动态密码发送策略的生成方法和动态密码发送方法
CN111897659B (zh) 业务处理频率的控制方法、系统、装置、电子设备
CN110858844A (zh) 服务请求处理方法、控制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JP2001022490A (ja) 情報表示方法および装置および記録媒体
CN101129028B (zh) 在具有接入控制的通信网络中估计带宽需求的方法和设备
JP6907140B2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6202127A1 (zh) 无源光纤网络中波长通道的分配方法、光线路终端及系统
WO2015062467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voice service access
US20150373630A1 (en) User equip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access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1147256B (zh) 一种鉴权认证方法及装置
KR101456603B1 (ko) 네트워크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WO2016198007A1 (zh) 热点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11224886B (zh) 一种网络流量的管控方法及系统
US201701273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longing lasting time of inactive m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