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097A -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097A
KR20200022097A KR1020180097795A KR20180097795A KR20200022097A KR 20200022097 A KR20200022097 A KR 20200022097A KR 1020180097795 A KR1020180097795 A KR 1020180097795A KR 20180097795 A KR20180097795 A KR 20180097795A KR 20200022097 A KR20200022097 A KR 202000220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zone
plating
amount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아현
이선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097A/ko
Publication of KR2020002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50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14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 C23C2/16Removing excess of molten coatings;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coating thickness using fluids under pressure, e.g. air kn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강판의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지시 장치는, 출력측에 설치되어 강판에 도금된 아연 도금량을 계측하는 도금량 계측 모듈과,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강판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되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모듈과,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와, 도금량 계측 모듈에서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LATING A STEEL SHEET}
본 발명은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 공정을 수행할 수 있는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의 내식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판의 표면에 도금 수행하는 도금 공정을 실시한다. 도금 공정의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용융 도금액에 저장된 욕조에 강판을 통과시키면서 아연을 강판에 부착시켜 도금을 행하는 방법이 있다. 이 도금 방법은 도금욕조를 통과하는 강판에 수직하게 대향 설치된 한 쌍의 에어나이프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압력을 조절하여 강판에 부착되는 도금량을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강판이 만곡되었을 경우 교정 롤에 의해 강판의 만곡을 교정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강판의 진동을 저감하기 위해 조업자가 일부로 강판의 만곡을 유도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73018호(2017.07.02 선행냉각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설비)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에어나이프 모듈을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의 분사 압력을 다르게 조절하여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지시 장치는, 출력측에 설치되어 강판에 도금된 아연 도금량을 계측하는 도금량 계측 모듈;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모듈;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 및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서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나이트 모듈은, 상기 강판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1 에어나이트 모듈; 및 상기 강판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 제5 구역 및 제6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2 에어나이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구역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은, 상기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대한 만곡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 지시 방법은, 도금량 계측 모듈에 의해, 강판에 도금된 아연 도금량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된 에어나이프 모듈에 의해,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및 압력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서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판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1 에어나이트 모듈 및 상기 강판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 제5 구역 및 제6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2 에어나이트 모듈에 의해,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역의 개수와 동일한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 의해, 상기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대한 만곡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에어나이프 모듈을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의 분사 압력을 다르게 조절하여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폭 방향 편차를 줄여서 도금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연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강판의 도금 장치 중 분류된 구역에 따라 도금이 수행될 만곡된 강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도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 지시 장치 및 방법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강판의 도금 장치는, 강판(100), 도금량 계측 모듈(200),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 제어밸브(500) 및 압력 제어 모듈(6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 장치의 출력측에 설치되어 아연 도금을 마친 강판의 아연 도금량을 계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량을 계측하여 도금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금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금량 계측 모듈(200)에는 강판(100)의 정보(소재의 크기 및 강종 등)와 목표 도금량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량 데이터 및 목표 도금량을 비교하여 강판(100)의 만곡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금량 데이터 및 목표 도금량을 비교한 결과,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은 경우 강판(100)이 만곡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데,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수록 강판(100)의 만곡 정도가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압력 제어 모듈(600)로 도금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만곡 정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을 포함하는 한 쌍의 에어나이프 모듈은 도금 욕조를 통과한 아연 도금된 강판(100)에 수직하게 대향 설치되고,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전면 및 이면에 노즐(미도시)을 장착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표면에 부착된 아연 도금량을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 각각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되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도금양을 조정할 수 있다.
특히,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 각각은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도 2를 참조하면,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WS: work side, 310), 제2 구역(CS: center side, 320) 및 제3 구역(DS: drive side, 330)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WS, 410), 제5 구역(CS, 420) 및 제6 구역(DS, 430)으로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구역 분리 기준은, 강판의 폭일 수 있으며, 3개의 구역으로 분리하는 경우, 강판의 폭을 3 부분으로 분리하는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에어나이프 모듈을 3 부분으로 분리한다고 한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구역으로도 분리할 수 있다.
제어밸브(500)는 에어나이프 모듈(300,400)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어밸브(500)는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51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1 구역(31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1 구역(31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2 제어밸브(52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2 구역(32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2 구역(32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3 제어밸브(53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3 구역(33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3 구역(33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4 제어밸브(54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4 구역(41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4 구역(41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5 제어밸브(55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5 구역(42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5 구역(42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6 제어밸브(56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6 구역(43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6 구역(43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압력 제어 모듈(600)은 도금량 계측 모듈(200)에서 계측한 강판(100)의 아연 도금량(도금량 데이터) 또는 만곡 정도 데이터에 따라 제어밸브(50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압력 제어 모듈(600)에는 강판(100)의 정보(소재의 크기 및 강종 등)와 강판(100)의 전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목표 도금량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제어 모듈(600)은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 및 강판(100)의 전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목표 도금량을 비교하여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도 2를 참조하면,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 및 이면의 제1 구역(310) 및 제4 구역(410)에서 제1 제어밸브(510) 및 제4 제어밸브(54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 및 이면의 제3 구역(330) 및 제6 구역(430)에서 제3 제어밸브(510) 및 제6 제어밸브(56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많고 더 셀 수 있다. 이는 제1 구역(310) 및 제4 구역(41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만곡 정도가 제3 구역(330) 및 제6 구역(43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만곡 정도 보다 더 높으므로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1 구역(310)에서 제1 제어밸브(51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4 구역(410)에서 제4 제어밸브(54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많고 더 셀 수 있다. 이는 제1 구역(310)에 해당하는 강판(100) 전면으로부터 제1 제어밸브(510)까지의 거리가, 제4 구역(41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이면으로부터 제4 제어밸브(540)까지의 거리 보다 더 길어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 각각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센서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 라이다 센서 등을 구비하고 있어서,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로부터 아연 도금된 강판(100)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압력 제어 모듈(600)로 전송할 수 있다. 압력 제어 모듈(600)은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 각각으로부터 거리 측정 결과를 수신하고,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와 목표 도금량을 이용하여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산출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3 구역(330)에서 제3 제어밸브(53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6 구역(430)에서 제6 제어밸브(56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많고 더 셀 수 있다. 이는 제3 구역(330)에 해당하는 강판(100) 전면으로부터 제3 제어밸브(530)까지의 거리가, 제6 구역(43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이면으로부터 제6 제어밸브(560)까지의 거리 보다 더 길어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일 실시 예로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 및 이면의 제2 구역(320) 및 제5 구역(420)에서 제2 제어밸브(520) 및 제5 제어밸브(55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 및 이면의 제1 구역(310) 및 제4 구역(410)에서 제1 제어밸브(510) 및 제4 제어밸브(54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적고 더 약하며,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 및 이면의 제3 구역(330) 및 제6 구역(430)에서 제3 제어밸브(510) 및 제6 제어밸브(56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많고 더 셀 수 있다. 이는 제2 구역(320) 및 제5 구역(42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만곡 정도가, 제1 구역(310) 및 제4 구역(41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만곡 정도 보다 더 낮고, 제3 구역(330) 및 제6 구역(43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만곡 정도 보다 더 높으므로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2 구역(320)에서 제2 제어밸브(52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5 구역(420)에서 제5 제어밸브(55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 보다 더 많고 더 셀 수 있다. 이는 제2 구역(320)에 해당하는 강판(100) 전면으로부터 제2 제어밸브(520)까지의 거리가, 제5 구역(420)에 해당하는 강판(100)의 이면으로부터 제5 제어밸브(550)까지의 거리 보다 더 길어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가 목표 도금량 보다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경우 제1 에어나이프 모듈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은 본 실시 예와 같이 구역으로 분리되어 있지 않아 압력 제어 모듈로부터 평균 도금량을 피드백 받아 모든 압력이 동일하게 분사되어 도금된 강판이 만곡된 경우 고르게 도금량을 조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실시 예는 에어나이프 모듈을 폭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하고, 각 구역의 분사 압력을 다르게 조절하여 강판의 만곡을 유지한 채로 폭 방향으로 고르게 도금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폭 방향 편차를 줄여서 도금량을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아연의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강판의 도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 장치의 출력측에 설치되어 아연 도금을 마친 강판(100)의 아연 도금량을 계측한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량을 계측하여 도금량 데이터를 출력하는 도금량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강판(100)의 정보(소재의 크기 및 강종 등)와 목표 도금량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도금량 데이터 및 목표 도금량을 비교하여 강판(100)의 만곡 정도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금량 계측 모듈(200)은 압력 제어 모듈(600)로 도금량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만곡 정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S320단계에서,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강판(100)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된 에어나이프 모듈(300,400)에 의해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한다. 에어나이프 모듈(300,400)은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 및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 각각은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될 수 있는데,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310), 제2 구역(320) 및 제3 구역(330)으로 분리될 수 있고,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은 아연 도금된 강판(100)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410), 제5 구역(420) 및 제6 구역(430)으로 분리될 수 있다.
S330단계에서, 제어밸브(500)는 에어나이프 모듈(300,400)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한다. 제어밸브(500)는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어밸브(51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1 구역(31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1 구역(31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2 제어밸브(52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2 구역(32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2 구역(32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3 제어밸브(530)는 제1 에어나이프 모듈(300)의 제3 구역(33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전면의 제3 구역(33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4 제어밸브(54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4 구역(41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4 구역(41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5 제어밸브(55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5 구역(42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5 구역(42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제6 제어밸브(560)는 제2 에어나이프 모듈(400)의 제6 구역(430)에 위치하여 아연 도금된 강판(100) 이면의 제6 구역(430)으로 분사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S340단계에서, 압력 제어 모듈(600)은 도금량 계측 모듈(200)에서 계측한 강판(100)의 아연 도금량(도금량 데이터) 또는 만곡 정도 데이터에 따라 제어밸브(500)가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한다. 압력 제어 모듈(600)에는 강판(100)의 정보(소재의 크기 및 강종 등)와 강판(100)의 전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목표 도금량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압력 제어 모듈(600)은 도금량 계측 모듈(200)로부터 전송된 도금량 데이터 및 강판(100)의 전면 및 이면 각각에 대한 목표 도금량을 비교하여 제1 제어밸브(510) 내지 제6 제어밸브(560)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강판
200: 도금량 계측 모듈
300: 제1 에어나이프 모듈
400: 제2 에어나이프 모듈
500: 제어밸브
600: 압력 제어 모듈

Claims (8)

  1. 출력측에 설치되어 상기 강판에 도금되는 아연 도금량을 계측하는 도금량 계측 모듈;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되며,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에어나이프 모듈;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 및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서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은,
    상기 강판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1 에어나이트 모듈; 및
    상기 강판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 제5 구역 및 제6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2 에어나이트 모듈;을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밸브는,
    상기 구역의 개수와 동일한, 강판의 도금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은,
    상기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대한 만곡 정도를 판단하는, 강판의 도금 장치.
  5. 도금량 계측 모듈에 의해, 강판에 도금된 아연 도금량을 계측하는 단계;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구역으로 분리된 에어나이프 모듈에 의해,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 및
    압력 제어 모듈에 의해,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서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 각각이 공급할 공기의 양 및 압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강판의 전면 폭방향으로 제1 구역, 제2 구역 및 제3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1 에어나이트 모듈 및 상기 강판의 이면 폭방향으로 제4 구역, 제5 구역 및 제6 구역을 포함하는 3개의 구역으로 분리된 제2 에어나이트 모듈에 의해, 상기 구역 각각에 서로 다른 양 및 압력의 공기를 분사하여 아연 도금량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구역의 개수와 동일한 제어밸브에 의해, 상기 에어나이프 모듈이 분사하는 공기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량 계측 모듈에 의해, 상기 계측한 아연 도금량에 따라 상기 강판의 전면 및 이면에 대한 만곡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판의 도금 방법.
KR1020180097795A 2018-08-22 2018-08-22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KR202000220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95A KR20200022097A (ko) 2018-08-22 2018-08-22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95A KR20200022097A (ko) 2018-08-22 2018-08-22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97A true KR20200022097A (ko) 2020-03-03

Family

ID=6993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95A KR20200022097A (ko) 2018-08-22 2018-08-22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09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966B1 (ko) * 2020-03-06 2021-09-14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도금강판용 에어나이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1966B1 (ko) * 2020-03-06 2021-09-14 포스코강판 주식회사 도금강판용 에어나이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910B1 (ko) 연속적인 두께-가변형 스트립 물질을 위한 용융 아연도금 층 두께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0815814B1 (ko) 연속도금공정에서의 도금 부착량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45431B1 (ko) 제조 설비의 설정 조건 결정 방법, 압연기의 밀 셋업 설정값의 결정 방법, 압연기의 밀 셋업 설정값의 결정 장치, 제조물의 제조 방법 및 압연재의 제조 방법
JP2022500560A (ja) メッキ量制御装置およびメッキ量制御方法
US20200346264A1 (en) Shape measurement apparatus, warpage correction apparatus, and continuous plating facility for metal strip, and warpage correction method for metal strip
KR20200022097A (ko) 강판의 도금 장치 및 방법
KR20090108729A (ko) 스트립형 기판 상에 코팅을 연속 퇴적시키는 방법 및 설비
US101902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ating a metal strip
Guelton et al. Cross coating weight control by electromagnetic strip stabilization at the continuous galvanizing line of ArcelorMittal Florange
KR100530054B1 (ko) 용융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간격 제어장치
KR100393679B1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량 예측제어방법
JP6238022B2 (ja) 溶融金属メッキ鋼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898973A2 (en) Working fluid supply control apparatus for a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5842855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1253850B1 (ko) 가속 냉각 장치 및 이의 유량 제어 방법
KR101294941B1 (ko) 연속용융아연도금라인의 폭가변 에어나이프 압력제어방법
KR102178674B1 (ko)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도금량 제어 시스템
KR101517772B1 (ko) 용융 도금 공정에서의 라인 속도 변화에 따른 도금량 제어 방법
JP2010126746A (ja) 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0815684B1 (ko) 강판 용융도금공정에서의 적응형 도금량 제어장치
KR101758473B1 (ko) 장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584128B1 (ko) 시간편차 보상에 의한 도금량 제어방법
KR101650461B1 (ko) 용융도금공정에서 도금량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KR101253960B1 (ko) 도금공정에서의 에어나이프 압력 제어 방법
KR20200034480A (ko) 도금량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