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077A -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077A
KR20200022077A KR1020180097747A KR20180097747A KR20200022077A KR 20200022077 A KR20200022077 A KR 20200022077A KR 1020180097747 A KR1020180097747 A KR 1020180097747A KR 20180097747 A KR20180097747 A KR 20180097747A KR 20200022077 A KR20200022077 A KR 20200022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detector
biometric sensor
hole
light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범모
박승호
변성현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포인트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097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077A/ko
Priority to CN201910751843.8A priority patent/CN110858299A/zh
Priority to US16/546,108 priority patent/US20200065545A1/en
Publication of KR20200022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24Sensors therefor by using geometrical optics, e.g. using pris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06K9/000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78Contact-type ima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mage Inpu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 기반으로 생체 이미지를 신뢰성 있게 획득할 수 있는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BIOMETRICS SENS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체인식기술은 사람의 신체적 특징을 센서등으로 추출하여 개인을 식별하거나 인증하는 기술로서 바이오인식 기술이나 바이오매트릭스라고도 한다. 생체인식기술은 각 개인의 얼굴모양과 얼굴열상을 이용하는 얼굴인식, 홍채를 이용하는 홍채인식, 정맥을 이용하는 정맥인식, 지문을 이용하는 지문인식과 그 외에 망막, 손모양 등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히 지문과 같은 생체 이미지를 검출하는 지문인식센서로서 정전용량방식과 광학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정전용량방식은 전압 및 전류에 민감한 반도체 소자를 이용하여 인체의 지문에 의해 형성된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지문을 인식한다. 그러나 정전용량 방식은 지문 위변조 및 판독 오류 가능성이 크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다.
한편, 광학식 지문인식센서는 광원과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이미지 센서가 광원으로부터 출사되어 반사된 광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지문을 감지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광학식 지문인식센서는 정전용량 방식에 비해 지문 위변조 가능성이 적다는 점에서는 유리하나 일반적으로 상당한 체적을 가지는 반사 미러나 렌즈와 같은 광학계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더욱이 종래 광학식 지문인식센서는 지문과 이미지 센서의 거리가 멀 경우 인접 지문에서 반사되는 광들이 유입되기 쉬운 구조로 되어 있어 반사된 광들이 혼합되어 선명한 지문 이미지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반사광을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광검출기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광검출기 상부에 배치하는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4453호(이하, '선행발명1'이라 함)는 광섬유다발(optical fiber)을 시준기로 이용하거나 또는 금속판을 교대로 적층시켜 시준기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광섬유다발을 일정 높이로 균일하게 제작하는 것이 어려워 편차가 존재하고 금속판을 교대로 적층하는 구조는 적층된 최상층의 금속판에서 가로, 세로 방향으로 높이차가 발생하므로 선행발명 1은 균일한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8643호(이하, '선행발명2'라 함)는 관통홀을 갖는 웨이퍼를 이용하여 시준기를 구현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발명 2는 관통홀을 수직한 형태로 깊게 형성할 수 없어 관통홀의 종횡비가 작고, 관통홀 주변으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광이 굴절되어 광검출기에 입사되어 혼합됨으로써 광검출기 바로 위의 생체 조각 이미지에 대한 선명한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6-0144453호 공개특허공보 제2016-0048643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기반으로 생체 이미지를 신뢰성 있게 획득할 수 있는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는 광검출기; 및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산화막은 광흡수성 물질이 내재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만 상기 광이 상기 광검출기 측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검출기와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은 인접한 관통홀의 바닥으로 입사 가능한 생체반사영역과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광검출기 당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체인식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산화막은 상기 광검출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극산화막은 상기 광검출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구비되는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인식센서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구비되는 시준기; 및 상기 시준기 상부에 구비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반사광을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 및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투과성 재질의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반사광을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 및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학 기반으로 생체 이미지를 신뢰성 있게 획득할 수 있는 생체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2의 A-A'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별도의 광원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극산화막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극산화막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통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선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광 및 반사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검출기를 통해 생성되는 전체 생체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따른 반사광의 입사 경로를 도시한 도면.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2의 A-A'선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별도의 광원이 구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극산화막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극산화막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관통홀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전면커버(100), 전면커버(100) 하부에 위치하며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200), 디스플레이 패널(200) 하부에 구비되는 생체인식센서(300) 및 후면커버(600)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며, 일 예로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포함되는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후면 방향으로의 투과율을 갖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전면커버(100)는 생체가 직접 접촉되는 부재로서 강화유리와 같은 광투과성 재질의 투명기판으로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픽셀(250)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생체인식센서(300)가 배치된 위치에 공간적으로 대응하는 픽셀(250)들을 통해 기준 밝기 이상의 밝기를 갖는 광을 방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사용자를 위해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열들 및 행들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픽셀(250)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픽셀(250)은 이미지를 형성하는 특정 색상의 빛을 방출(Emit)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250)이 함께 광을 방출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1200)은 의도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200)은 LCD 디스플레이 패널, OLED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도면 부호 250은 디스플레이 서브-픽셀(예를 들어, 적색, 녹색, 청색)일 수 있거나 이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되는 단위 픽셀일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센서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터치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터치센서 패널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200)과 함께 하나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생체인식센서(300)는 생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생체인식센서(30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 방출된 광이 전면커버(100)상에 존재하는 생체 샘플링 영역에서 반사된 반사광에 기초하여 생체에 관한 이미지 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10) 내에 구비되는 인터페이스부(230)에 생체의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게 되면, 생체인식센서(300)는 인터페이스부(310)에 접촉 또는 근접한 생체의 이미지(예컨대, 손가락의 지문 이미지)를 광학적으로 획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위치적으로 디스플레이부(210) 내에 존재하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부(230)에 손가락이 접촉되면 생체인식센서(300)는 손가락의 지문에 대한 이미지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 생체인식센서(300)는 후면 커버(600)의 소정 영역에서 위치가 고정되도록 실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의해 의도된 이미지가 출력가능한 화면 영역이 되고,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10)의 내부 영역에는 인터페이스부(230)가 형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인-스크린(In-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가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생체인식센서(3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스크린(Under-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가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면커버(10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부에는 생체인식센서(300)가 구비된다. 생체인식센서(300)는 광검출기(350)와, 광검출기(350) 상에 위치하여 반사광(20)을 광검출기(350)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collimator, 3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검출기(350)는 다수의 광전 변환 소자(예컨대, 포토 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포토 게이트 및 핀드 포토 다이오드 등)들이 형성된 반도체 층(Layer) 또는 반도체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광검출기(350)는 CIS(CMOS Image Sens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이미지 센서가 구현된 반도체 레이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검출기(350)는 시준기(310)를 통해 입사된 반사광(20)에 응답하여 전류를 생성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Photo diode)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광검출기(350)는 생체의 서로 다른 샘플링 영역에 의해 반사된 광을 센싱하며, 센싱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한다. 각각의 광검출기(350)는 생체, 예컨대, 지문의 융선(ridge)에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거나, 융선 사이의 골(valley)에 반사된 광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광이 반사된 지문의 형태에 따라 포토 다이오드에서 센싱된 광의 양은 달라질 수 있으며, 센싱된 광의 양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전기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광검출기(350)로부터의 전기 신호는 각각 명암 정보(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신호에 대한 처리 동작을 통해 각 광검출기(350)에 대응하는 샘플링 영역이 융선인지 또는 골인지가 판단될 수 있으며, 판단된 정보를 조합함으로써 전체적인 지문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시준기(310)는 관통홀(430)을 구비한다. 관통홀(430)은 시준기(310)를 상,하로 관통되며 광검출기(350)로 입사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제공한다. 광검출기(350)에 도달가능한 광학경로는 관통홀(430)의 종횡비에 의해 결정되는 수용가능한 각도 범위를 갖는 콘(cone)의 형태를 가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가능한 광경로는 소정의 테이퍼 각도(θ)를 갖는 상부 콘(upper cone, C1)과 상부 콘(upper cone)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면서 동일한 테이퍼 각도(θ)를 갖는 하부 콘(lower cone, C2)이 서로 상하 대칭적으로 결합되어 모래시계의 형상을 갖는 쌍-콘(a pair of cone, C)을 구성한다. 광검출기(350)는 상부 콘(C1)의 테이퍼 각도(θ)의 범위 내에 들어오는 광을 검출한다.
시준기(310)는 광검출기(350)와 틈새 없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한편 광검출기(350)의 광 센싱 영역의 확대를 위해 시준기(310)는 광검출기(350)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관통홀(430)의 종횡비는 상대적으로 작은 테이퍼 각도(θ)를 갖도록 입사 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제한한다. 생체 샘플링 영역에서 반사된 광은 투명재질의 전면커버(100)를 통과하여 디스플레이 패널(200)를 거쳐 시준기(310)의 관통홀(430)을 통해 전송되어진다. 광검출기(350)를 기준점으로 하는 법선에 대해 큰 각도를 가지는 광(다시 말해 상부 콘(C1)의 테이퍼 각도(θ)를 벗어나는 반사광)은 광검출기(350)로 안내되지 못하고, 광검출기(350)를 기준점으로 하는 법선에 대해 작은 각도는 가지는 광(다시 말해 상부 콘(C1)의 테이퍼 각도(θ) 범위내에 존재하는 반사광)은 광검출기(350)로 안내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시준기(310)는 모재인 금속을 양극산화한 후 모재인 금속을 제거함으로써 형성된 양극산화막(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양극산화막(400)은 모재인 금속을 양극산화하여 형성된 막을 의미하고, 기공(410)은 금속을 양극산화하여 양극산화막(40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구멍을 의미한다. 관통홀(430)은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410)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광검출기(350)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한다.
예컨대, 모재인 금속이 알루미늄(Al)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 경우, 모재를 양극산화하면 모재의 표면에 양극산화알루미늄(Al2O3) 재질의 양극산화막(400)이 형성된다. 위와 같이, 형성된 양극산화막은 내부에 기공(410)이 형성되지 않은 배리어층(450)과, 내부에 기공(410)이 형성된 다공층(470)으로 구분된다. 배리어층(450)은 모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다공층(470)은 배리어층(450)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처럼, 배리어층(450)과 다공층(470)을 갖는 양극산화막(400)이 표면에 형성된 모재에서, 모재를 제거하게 되면, 양극산화알루미늄(Al2O3) 재질의 양극산화막(400)만이 남게 된다. 기공(410)의 내부 폭은 수 nm 내지 수 백 nm의 크기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된 양극산화막(400)은 모재와 배리어층(450)를 모두 제거하고 다공층(470)만이 남아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양극산화막(400)에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칭을 하면 에칭되는 부분에 수직한 형태의 관통홀(4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관통홀(430)은 양극산화막(400)에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된 수직한 기공(410)과는 달리 그 개구 폭이 크게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430)의 종횡비가 광검출기(350)로 입사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결정한다.
양극산화막(400)이 에칭 용액과 반응하면 관통홀(430)이 깊이에 따라 폭이 일정한 수직한 형태로 형성되므로 관통홀(430)의 형상을 수직하면서도 균일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관통홀(430)은 양극산화막(400) 전체에 걸쳐 균일한 형상으로 수직한 형태로 구비되므로, 광검출기(350)에서의 반사광(20)의 검출 신뢰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양극산화막(400)의 수많은 기공(410)에는 공기가 함유되어 공기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430)의 주변부로 형성되는 수 많은 공기 기둥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400)의 구성을 통해, 관통홀(430)의 종횡비로 결정되는 광입사 범위를 벗어나서 반사광(20)이 관통홀(430) 주변영역에서 경사지게 입사되더라도, 기공(410)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 기둥으로 향할 때 반사광의 전반사를 일으키므로 관통홀(430) 측으로 반사광이 유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관통홀(430)의 종횡비로 결정되는 광입사 범위 내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은 관통홀(430) 하부의 광검출기(350)로 안내된다. 하지만 관통홀(430)의 종횡비로 결정되는 광입사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은 양극산화막(400)의 수많은 기공 내부에 전반사를 일으켜 관통홀(43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통해 관통홀(430)의 종횡비로 결정되는 광입사 범위를 벗어난 영역에서 입사되는 반사광과 관통홀(430)의 종횡비로 결정되는 광입사 범위 내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광검출기(350)는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생체 조각 이미지에 대하여 보다 뚜렷한 생체 이미지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양극산화막(400)의 열팽창계수는 2 내지 3 ppm/℃으로서 주변 열에 의해 열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어 관통홀(430)의 종횡비가 처음 상태로 유지되므로,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 따른 변형에 의해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는 양극산화막(400)의 다양한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산화막(400)의 상, 하면 모두는 기공(410)의 개구부가 모두 노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산화막(400)의 상면은 배리어층(450)에 의해 막혀 있고 하면은 기공(410)의 개구부가 노출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산화막(400)의 상면은 기공(410)의 개구부가 노출되고 하면은 배리어층(450)에 의해 막혀 있는 형태를 갖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관통홀(430)의 변형례를 살펴보면, 관통홀(430)의 종횡비가 클수록 광검출기(350)가 검출할 수 있는 광의 범위는 좁아지게 된다. 도 7(a)의 관통홀(430)과 도 7(b)의 관통홀(430)을 대비해 보면, 관통홀(430)들의 높이는 동일하지만 도 7(b)의 관통홀(430)의 개구 면적이 도 7(a)의 관통홀(430)의 개구 면적보다 작다. 이로 인해 생체로부터 반사되어 관통홀(430)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A, B)은 도 7(b)의 생체 샘플링 영역(B) 보다 작다. 따라서 관통홀(430)의 종횡비가 클수록 인접한 반사광(20)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c)를 참조하면, 관통홀(430)은 단일의 광검출기(350) 당 복수개가 구비된다. 여기서 관통홀(430)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B)은 인접한 관통홀(430)의 바닥으로 입사 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B)과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측정대상 영역의 생체 조각 이미지만을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d)를 참조하면, 관통홀(430)이 원형의 단면을 갖는 도 7(c)와는 달리, 관통홀(430)의 단면이 사각 단면을 이루는 구성이다. 도 7(c)의 경우에는 관통홀(430)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B)이 원형의 범위를 갖게 되어 원형과 원형 사이에는 사영역이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도 7(d)의 경우에는 관통홀(430)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B)이 사각 단면의 범위를 갖게 되므로 생체 샘플링 영역(B)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사영역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를 통해 복수개의 생체 샘플링 영역(B)들의 집합에 의해 측정대상 영역의 생체 조각 이미지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관통홀(430)의 단면은 사각 단면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태를 구성될 수 있다.
시준기(310)로서 채용된 양극산화막(400)은 광흡수성 물질이 내재되어 관통홀(430)을 통해서만 반사광(20)이 광검출기(350) 측으로 지향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모재인 금속을 양극산화하여 양극산화막(400) 피막을 제조할 때 전해액에 검은 색상 특성을 갖도록 하는 성분(망간산염, 몰리브데산염 등)을 첨가하여 검은색 또는 검은색 계열에 가까운 색상 특성을 갖는 양극산화막(400)을 제조할 수 있다. 또는 양극산화막(400)을 제조한 이후에 착색에 의해 검은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양극산화막(400)이 그 자체로서 광흡수 특성을 갖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이를 모두 포함한다.
한편 시준기(310)로서 채용된 양극산화막(400)은 양극산화막(400)의 상,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 광흡수층이 형성되어 관통홀(430)을 통해서만 반사광(20)이 광검출기(350) 측으로 지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광흡수층은 관통홀(430)의 광입사경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재질에는 한정이 없다. 또한 시준기(310)로서 채용된 양극산화막(400)의 관통홀(430)의 내벽은 상술한 광흡수층이 구비된 수 있다. 관통홀(430)의 내벽에 형성되는 광흡수층은 상부 콘(C1)의 테이퍼 각도(θ)를 벗어나는 반사광을 흡수함으로써 인접 광검출기(350) 사이의 크로스토크를 방지한다.
한편 시준기(310)로서 채용된 양극산화막(400)은 양극산화막(400)의 상, 하면 중 적어도 일면에는 광차단층이 형성되어 관통홀(430)을 통해서만 반사광(20)이 광검출기(350) 측으로 지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광차단층은 관통홀(430)의 광입사경로 범위를 벗어난 위치에서 입사되는 반사광을 차단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그 재질에는 한정이 없다.
한편 시준기(310)로서 채용된 양극산화막(400)은 관통홀(350)의 내벽에 상술한 광흡수층 또는 광차단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관통홀(43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 사이의 하부에 위치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는 서브 픽셀(250)들이 단위 픽셀부를 이루어 의도화된 이미지를 표현한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서브 픽셀(250)들을 이용하여 단위 픽셀부를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시준기(310)의 관통홀(430)은 소정의 단위 픽셀부 피치간격을 고려하여 단위 픽셀부 사이 그리고 그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는 단위 픽셀부들을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지지부(미도시)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성되거나 관통홀(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투과성 재질 또는 관통홀(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구성을 통해 생체 인식 센서의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0)가 인-스크린(In-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가 됨과 동시에 언더-스크린(Under-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가 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은 평상시에 픽셀(250)을 통해 의도화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210)에 출력한다. 한편, 생체 이미지를 검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픽셀(250)을 통해 출사광(10)을 방출한다.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에서 방출된 출사광(10)은 생체에서 반사되고, 반사광(20) 중에서 수직에 가까운 직진성 광만이 시준기(310)를 통해 광검출기(350)에 안내된다. 이를 통해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생체 이미지 조각만을 검출하게 되고, 각각의 생체 이미지 조각을 합쳐 생체 이미지 전체를 생성함으로써 해상도를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과는 별도로 광원(700)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700)은 디스플레이 패널(200)과는 공간적으로 주변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광원(700)에서 방출된 출사광(10)은 생체에서 반사되어 그 반사광(20) 중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에 입사되는 직진성 광만이 시준기(310)를 통해 광검출기(350)로 안내된다. 여기서 광원(700)은 LED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출사광 및 반사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광검출기를 통해 생성되는 전체 생체 이미지를 디지털화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100)와, 전면커버(100) 하부에 위치하며, 반사광을 광검출기(350)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310)와 시준기(310)를 통해 시준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350)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300) 및 생체인식센서(3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700)은 LE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생체인식센서(30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구비되지 않고 생체인식센서(300)의 측면에 광원(700)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부(210)의 형성 위치와는 별도의 위치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인터페이스부(230)가 디스플레이부(210)내에 위치하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고 그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광투과성 재질의 후면커버(600)와, 후면커버(600) 하부에 위치하며, 반사광을 광검출기(350)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310)와 시준기(310)를 통해 시준된 광을 검출하는 광검출기(350)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300); 및 생체인식센서(300)의 측면에 구비되는 광원(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원(700)은 LED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3000)는, 제1실시예와는 달리 생체인식센서(300)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패널(200)이 구비되지 않고 생체인식센서(300)의 측면에 광원(700)이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인터페이스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부(210)의 형성 위치와는 별도의 위치에 구비된다는 점에서 인터페이스부(230)가 디스플레이부(210)내에 위치하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차이가 있고 그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3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700)이 생체인식센서(300)의 측면에 구비되어 경사진 출사광(10)을 생성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700)에서 경사지게 생성된 출사광(10)이 손가락의 지문(f) 중 융선(f1)이 존재하는 영역을 만나면 출사광(10)의 일부가 손가락의 내부로 투과되고 그 나머지가 반사광(20)이 되어 생체인식센서(300) 측으로 돌아오게 된다. 또한 광원(700)에서 생성된 출사광(10)이 손가락의 지문(f) 중 골(f2)이 존재하는 영역을 만나면 출사광(10)은 반사광(20)으로 전환되어 생체인식센서(300) 측으로 돌아오게 된다. 이에 따라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에 융선(f1)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검출기(350)에 도달하는 광량은 줄어들어 광검출기(350)는 낮은 전류를 생성하게 되는 반면에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에 골(f2)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광검출기(350)에 도달하는 광량은 상대적으로 높아 광검출기(350)는 보다 높은 전류를 생성하게 된다.
이처럼 손가락의 지문(f) 중 융선(f1)과 골(f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각각의 광검출기(35)는 서로 다른 전류량을 생성하여 지문에 대한 조각 이미지를 만들게 되고 이를 디지털 이미지로 변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문에 대한 전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생체 이미지 조각만을 검출하게 되고, 각각의 생체 이미지 조각을 합쳐 생체 이미지 전체를 생성함으로써 해상도를 탁월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생체인식센서(300)의 설치 위치와는 다르게, 생체인식센서(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0, 2000, 3000)의 윗면, 측면, 측면 파워버튼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4000)는, 양극산화막(400)이 광검출기(3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내지 제3실시예와는 다르게, 양극산화막(400)이 광검출기(3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양극산화막(400)의 관통홀(430)의 하부에 반사층(800)이 추가로 구비된다는 점에서 구성상의 차이가 있고 그 나머지 구성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상의 차이로 인해 광검출기(350)는 관통홀(430) 내부로 안내되어 반사층(800)에서 반사된 반사광을 검출하게 된다.
반사층(800)은 광을 반사시키도록 구성되며, 관통홀(430)의 하부만을 밀폐하도록 구성되거나 양극산화막(400)의 하부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반사층(800)은 평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적어도 관통홀(430)의 하부에 대응되는 위치에서는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관통홀(430) 내부에 유입된 광을 초점화 시켜 광검출기(350) 측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관통홀(430)의 내벽에도 광흡수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통홀(430) 내부로 유입된 광이 관통홀(430)의 내벽으로 반사된 광을 흡수하여 광검출기(350)측으로 입사 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광검출기(350)의 법선 근방의 보다 작은 각도 범위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광검출기(35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구비될 수 있고, 이와는 다르게 광검출기(35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과 서로 다른 평면들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도 12에서는 광검출기(350)는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픽셀(2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광검출기(350)가 양극산화막(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을 통해 광검출기(350)는 광검출기(350)의 법선 근방의 작은 각도 범위의 반사광을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서 C1은 광검출기(350)가 양극산화막(400)의 하부에 위치할 때 광검출기(350)측으로 입사 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나타내고, D1은 광검출기(350)가 양극산화막(400)의 상부에 위치할 때 광검출기(350)측으로 입사 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나타낸다. 도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광검출기(350)가 양극산화막(400)의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이 광검출기(350)가 양극산화막(400)의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에 비해, 광검출기(350)측으로 입사 가능한 광경로의 범위를 보다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인접 광검출기(350)간의 혼광을 차단하여 보다 선명한 생체 조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생체인식센서 패키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생체인식 센서 패키지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0)는 인-스크린(In-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이면서 생체인식센서(300)가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언더-스크린(Under-Screen) 생체인식센서(300)를 구비하는 구조가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관통홀(430)이 구비된 양극산화막(400), 양극산화막(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광검출기(350), 광검출기(350)를 지지하면서 배선라인이 형성된 기판(S), 양극산화막(400)의 측면에 구비되는 접합부(390) 및 양극산화막(400)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지지부(370)를 포함한다. 광검출기(350)는 관통홀(430)의 하부에 위치하여 관통홀(350)을 통과하여 입사되는 반사광의 상대적 차이를 검출하게 된다.
접합부(390)는 생체인식센서 패키지를 디스플레이 패널(200)에 접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접합부(390)는 접착필름이나 액상 접합제로 구성될 수 있고, 별도의 높이부를 설치하고 높이부의 상부에 접착필름이나 액상 접합제를 구비하여 접합부(390)를 구성할 수도 있다.
지지부(370)는 양극산화막(400) 및/또는 접합부(39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양극산화막(400)의 하면이 광검출기(35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광검출기(350)를 지지하는 기판과 양극산화막(400)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인해 열변형하면서 광검출기(350)의 상면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관통홀(430)의 내벽에 광흡수층(미도시)이 구비된 경우에는 광검출기(350)의 상면과 양극산화막(400) 사이의 이격공간으로 인해 생체 샘플링 영역이 보다 협소하게 되므로 광검출기(350)의 바로 위 부분에 위치하는 생체 이미지를 보다 조밀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합부(390)가 형성되는 위치에는 접합부(390) 대신에 별도의 광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양극산화막(400)의 측면에는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제2,3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0, 3000)에 적용가능한 생체인식 패키지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전면 커버 200: 디스플레이 패널
300: 생체인식센서 400: 양극산화막
600: 후면 커버 700: 광원

Claims (16)

  1. 광검출기; 및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막은 광흡수성 물질이 내재되어 상기 관통홀을 통해서만 상기 광이 상기 광검출기 측으로 지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
  3.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과 광검출기와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 사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의 바닥으로 입사가능한 생체 샘플링 영역은 인접한 관통홀의 바닥으로 입사 가능한 생체반사영역과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사각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세 인식 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광검출기 당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인식센서는 지문 인식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막은 상기 광검출기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산화막은 상기 광검출기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3.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구비되는 생체인식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생체인식센서는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 상부에 위치하여 반사광을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4.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픽셀이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 구비되는 시준기; 및
    상기 시준기 상부에 구비되는 광검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5.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커버;
    상기 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반사광을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 및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16. 광투과성 재질의 후면커버; 및
    상기 후면커버 하부에 위치하며, 광검출기와 상기 광검출기를 향해 반사광을 지향시키는 시준기를 포함하는 생체인식센서; 및
    상기 생체인식센서의 측면에 구비되어 출사광을 생성하는 광원을 포함하되,
    상기 시준기는 양극산화 시 생성된 기공의 폭보다 큰 폭을 가지면서 상,하로 관통되며 상기 광검출기로 입사가능한 광경로를 제공하는 관통홀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인식센서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097747A 2018-08-22 2018-08-22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200022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47A KR20200022077A (ko) 2018-08-22 2018-08-22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N201910751843.8A CN110858299A (zh) 2018-08-22 2019-08-15 生物识别传感器及具备其的显示装置
US16/546,108 US20200065545A1 (en) 2018-08-22 2019-08-20 Biometric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47A KR20200022077A (ko) 2018-08-22 2018-08-22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77A true KR20200022077A (ko) 2020-03-03

Family

ID=69584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47A KR20200022077A (ko) 2018-08-22 2018-08-22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065545A1 (ko)
KR (1) KR20200022077A (ko)
CN (1) CN1108582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8310B2 (en) 2019-03-21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mag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22750B (zh) * 2017-05-03 2020-03-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光学指纹识别装置及显示面板
TWM592540U (zh) * 2019-06-19 2020-03-21 神盾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
KR20210069778A (ko) * 2019-12-03 2021-06-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센서 및 광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13690271B (zh) * 2020-05-18 2024-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显示装置
CN111785763A (zh) * 2020-07-29 2020-10-16 北海惠科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643A (ko)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즈 지문인식센서
KR20160144453A (ko) 2014-11-12 2016-12-16 선전 후이딩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소내 광학 센서를 구비한 지문 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8643A (ko) 2014-10-24 2016-05-04 주식회사 비욘드아이즈 지문인식센서
KR20160144453A (ko) 2014-11-12 2016-12-16 선전 후이딩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화소내 광학 센서를 구비한 지문 센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08310B2 (en) 2019-03-21 2022-04-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image sens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65545A1 (en) 2020-02-27
CN110858299A (zh) 202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2077A (ko) 생체인식센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US11288483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fingerprint recogni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CN107065274B (zh)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2610583B1 (ko) 지문 검출 장치 및 전자 장치
US10528788B2 (en) Optical fingerprint module
JP6553155B2 (ja) 光学式イメージ認識センサー内蔵型平板表示装置
CN210052176U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KR102040651B1 (ko) 광학식 이미지 인식 센서 내장형 평판 표시장치
WO2018214481A1 (zh) 触控面板和显示装置
CN111108511B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US1145582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fingerprint, fingerprint identific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2019525290A (ja) 生物学的特性を感知するための統合された発光ディスプレイおよびセンサ
US10546175B2 (en) Optical fingerprint module
WO2018020846A1 (ja) 撮像装置
US11308308B2 (en)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recogni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JP2008153361A (ja) 固体撮像素子、光検出器及びこれを用いた認証装置
JP2009003821A (ja) 撮像装置及びこれを搭載した装置
CN111095279B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CN111108509B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CN210605739U (zh) 指纹检测装置和电子设备
CN111819575A (zh) 生物计量成像装置和用于制造生物计量成像装置的方法
CN211319244U (zh) 指纹检测的装置和电子设备
TW201901524A (zh) 光學指紋感測器
JP4055108B2 (ja) 画像認証装置
CN217035642U (zh) 图像采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