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879A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Google Patents
금융 사기 예방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1879A KR20200021879A KR1020190083810A KR20190083810A KR20200021879A KR 20200021879 A KR20200021879 A KR 20200021879A KR 1020190083810 A KR1020190083810 A KR 1020190083810A KR 20190083810 A KR20190083810 A KR 20190083810A KR 20200021879 A KR20200021879 A KR 2020002187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ll
- time
- phone number
- alarm
- fraud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20/4016—Transaction verification involving fraud or risk level assessment in transaction proces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르거나 잘못 걸려오거나 광고·홍보성 통화의 경우 통화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이 길지 않다는 상식에 기반하여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한 후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실시간적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사기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하는 (a) 단계 및 상기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경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 진동 또는 경보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 시간은 2단계 이상으로 정해지고, 상기 경보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강도가 커진다.
통화 시간이 임의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전송하는 (c) 단계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하는 (a) 단계 및 상기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경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 진동 또는 경보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 시간은 2단계 이상으로 정해지고, 상기 경보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강도가 커진다.
통화 시간이 임의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전송하는 (c) 단계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금융 사기 예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휴대 단말과 사기 의심 전화번호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에 기반하여 금융 사기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사기 예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에 따르면 2013년부터 2017년 7월까지 해킹 등으로 116건의 크고 작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발생했고, 이로 인해 총 5,342만개 이상의 개인정보가 빠져나간 것으로 집계 됐다. 유출 규모조차 파악이 안 되는 사고도 23건에 달해 실제 피해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사후 대응도 대부분 엉망이어서 유출된 개인정보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2,400만 개는 회수 여부 조차 확인되지 않았다.
실제로 개인정보가 유출된 피해 사이트 외에 일반적으로 많은 사이트에 아이디/비밀번호를 같이 쓰거나 유사하게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2차, 3차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우리은행에서 유출된 개인 정보를 이용해 85만 회의 로그인이 시도되어 5만6천여 건을 성공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유출된 개인정보에 추가로 계좌정보와 예금정보들이 유출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개인정보 유출은 금융사기, 보이스피싱, 절도 및 성범죄 등의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심각하다. 이를 증명하듯 2016년까지 감소하던 보이스피싱 범죄가 3년만에 증가하여 2017년의 보이스피싱 피해 금액 및 발생 건수가 2016년보다 각각 68.3% 및 42.4% 늘었고 피해액도 2,000억원을 넘었다. 2018년 1월부터 4월까지 발생한 보이스피싱은 1만1,196건, 피해액만 1,184억원 규모로 지난해 피해 금액의 절반에 육박한 수준이다.
한편 현재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금융 사기 방지 기술은 스팸 정보나 텔레마케팅 정보와 같은 발신자 정보를 착신음이 울리는 사이에 알려주는 등의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어서 점차로 지능화되고 있는 금융 사기를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다.
하기 선행기술1은 보이스피싱 의심 통화시 수신자의 음성만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통화 중에 실시간으로 주의 안내를 제공함으로써 보이스피싱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보이스피싱 주의 안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1은 사용자가 사전에 보이스피싱과 관련한 다수의 단어나 키워드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녹음한 후에 실제 통화 시에 수신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얼마나 많은 수의 보이스피싱 관련 키워드가 사용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기준치 이상의 키워드가 사용된 경우에 주의 안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1에 따르면,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많은 수의 보이스피싱 관련 키워드를 일일이 녹음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음성 분석 기술이나 주의 환경 등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지는 등 신뢰성에 의문이 있다.
선행기술2는 스마트 폰 사용자가 안전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금융사기 예방 앱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금융사기 예방 앱은 스마트폰 단말기, 금융사기 예방 사항들을 설명하는 금융사기 예방수칙 서버, 새로운 사기 수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금융거래 사기 유형서버 및 피해자들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기피해 구제방법 서버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러한 금융사기 예방 앱은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단순히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앱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등한시하는 경우 아무 도움을 주지 못하고, 무엇보다도 통화 중에 실시간적으로 경고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3은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금융사기 방지와 범죄예방 및 범죄자 판별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스마트폰)에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인증서버로 구성되며, 보이스피싱, 스미싱에 사칭될 수 있는 모든 금융기관, 공공기관 및 국가기관의 전화번호와 URL을 인증서버에 저장한 상태에서 수신된 전화번호 및 URL이 인증서버에 저장된 정보인지 비교하여 진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이스피싱과 스미싱을 근본적으로 억제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통화 중 또는 임의로 음성을 입력한 후,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음성인식 모듈을 통해 성문 패턴을 추출하고, 그 성문 패턴을 인증서버에 저장된 성문 데이터베이스와 비교, 분석 및 판단하여 보이스피싱, 스미싱 및 대출사기 등을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3 역시 음성 분석 기술이나 주의 환경 등에 따라 분석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음성이 등록되지 않은 사기 시도자로부터의 통화가 훨씬 많을 것이어서 실시간성 및 신뢰성에 많은 의문이 있으며, 이 경우에 단지 전화번호의 진위 정도를 판별하여 경보를 행하는 정도의 종래 기술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 10-2016-0011120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스마트폰 통화 중 실시간 보이스피싱 주의안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선행기술2: 10-2015-0106100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금융사기 예방 앱)
선행기술3: 10-2017-0062726호 공개특허공보(발명의 명칭: 우편물 및 개인정보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모르거나 잘못 걸려오거나 광고·홍보성 통화의 경우 통화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이 길지 않다는 상식에 기반하여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한 후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실시간적으로 경보를 발생하여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한 후에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실시간적으로 강도가 높아지는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한 후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실시간적으로 미리 등록된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하는 (a) 단계 및 상기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경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 진동 또는 경보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준 시간은 2단계 이상으로 정해지고, 상기 경보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강도가 커진다.
통화 시간이 임의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전송하는 (c) 단계를 더 구비한다.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 시간이 임의의 기준 시간을 초과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이 금융 앱을 실행하는 경우 경보를 발생하거나 해당 금융 앱을 강제로 종료시킨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경보는 사용자 단말 자체의 금융사기 예방 앱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금융사기 예방앱의 의뢰에 따라 외부의 사기 예방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c) 단계에서 보호자 단말에의 경보 전송은 사용자 단말 자체의 금융사기 예방 앱에 의해 수행되거나 상기 금융사기 예방앱의 의뢰에 따라 외부의 사기 예방 서버에 의해 수행된다.
상기 사기 의심 전화번호는 사용자 단말의 폰북에 없는 전화번호, 사기 예방 서버로부터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또는 통화중 실시간으로 사기 예방 서버에 의뢰하여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통보받은 전화번호이다.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에 따르면, 모르거나 잘못 걸려오거나 또는 광고·홍보성 통화의 경우 통화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이 길지 않다는 상식에 기반하여 창안되었기 때문에 통화 시간 체크 및 단계별 경보라는 매우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강력하면서도 효율적으로 금융사기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핵심적인 기술 사상을 알기 쉽게 설명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도 2에서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보이스피싱 사기범들은 피해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저금리 대출권유, 신용등급 상향, 경찰/검찰 사칭 또는 납치 협박 등의 방법으로 국민을 속여 돈을 가로 채고 있다. 보이스피싱이 사기로 연결되기까지 피해자는 사기범과 오랜 시간을 통화하게 되어 있는바, 본 발명은 이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핵심적인 기술 사상을 알기 쉽게 설명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르거나 잘못 걸려오거나 또는 광고·홍보성 통화의 경우 통화 상대방과의 통화 시간이 길지 않다는 상식에 기반하여 사기 의심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한 후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실시간적으로 경보를 발생함으로써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에 통화 시간의 단계별로 강도를 달리하여 경보를 발생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최초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부터의 착신시에는 사용자가 통화 연결전에 이를 알 수 있도록,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팝업 메시지를 화면에 띄우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통화 버톤을 클릭하여 호가 연결되면, 이 때부터 통화시간을 체크하는데, 통화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예를 들어 5분을 초과한 경우에는 저강도의 경보,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의 위험성이 크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팝업 메시지를 통화 중에 화면에 띄우는데, 사용자가 메시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진동과 함께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방식으로 통화시간이 제2 기준 시간, 예를 들어 10분을 초과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 사기의 위험성이 매우 크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팝업 메시지를 저강도보다 높은 중강도의 진동과 함께 화면에 띄운다.
마지막으로 통화시간이 제3 기준 시간, 예를 들어 15분을 초과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설정 여부에 따라 강제로 통화를 종료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임의의 금융 앱을 실행, 예를 들어 각 은행의 모바일 뱅킹앱을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이 역시도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은 통화 기능을 구비하고 모바일 운영체제가 탑재되어 있어서 개인정보 처리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 예를 들어 스마트폰 상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하 이를 '금융사기 예방앱'이라 한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금융사기 예방앱에는 사기 의심번호를 포함한 발신번호 정보 표시 기능, 수신상태 확인 기능, 통화 시간 확인 기능, 애플리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금융 앱 확인 기능, 경보 단계(강도)별 알림 기능, 금융 앱 실행시 알림 기능, 지정 번호, 예를 들어 보호자 번호 등록 기능 및 외부 서버와의 통신 기능, 수신 메시지 도달 여부 확인 및 수신 메시지 읽음 여부 확인 기능(도 4의 실시예) 및 SMS, LMS, MMS, 푸시 메시지 및 SIM ToolKit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서 금융사기 예방앱은 사용자 스마트폰의 전원이 켜있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가 임의 전화번호와의 사이에서 호(통화)가 연결(단계 S10)된 경우에 당해 전화번호가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지를 판단(단계 S20)한다. 여기에서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지에 대한 판단은 자기 폰북에 없는 전화번호, 외부의 사기 예방 서버로부터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예를 들어 선불폰이나 보이스피싱 사기로 신고된 전화번호 등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금융사기 예방앱에서 실시간으로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를 사기 예방 서버에 전달하고, 사기 예방 서버가 이를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와 비교하거나 각종 금융 사기 사칭 기관이나 이동통신사에 조회하여 통보받은 결과(선불폰의 경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20에서의 판단 결과, 사기 의심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반면에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그 사실을 팝업 메시지,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등의 팝업 메시지를 화면에 띄워서 사용자에게 알려준 다음 통화시간 체크 타이머를 구동하여 통화시간을 체크(단계 S30)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에서는 통화 지속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예를 들어 5분(적절하게 증감 가능)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4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초과한 경우에는 금융 사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저강도의 경보를 발생(단계 S50),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의 위험성이 크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팝업 메시지를 통화 중에 화면에 띄우는데, 사용자가 메시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진동과 함께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경보는 경고음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단계 S60에서는 통화 시간이 제N번째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6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초과한 경우에는 N번째 강도의 경보를 팝업 메시지나 진동 등으로 발생(단계 S70)한다. 그리고 이러한 N번째 경보는 직전의 낮은 강도의 경보에 비해 팝업 메시지의 경우 텍스트나 아미지를 더 크고 강한 내용으로 하거나, 진동이나 경보음도 더 큰 것으로 하는 식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금융사기 위험성을 대비하여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사전에 등록해 둘 수 있는데, 단계 S80에서는 이렇게 등록된 보호자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80에서의 판단 결과,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보호자 단말에 SMS, LMS, MMS 또는 푸시 메시지 등으로 경보를 전송(단계 S90)한다.
마지막으로 단계 S100에서는 통화 중에 임의의 금융 앱이 실행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데,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금융 사기가 막바지에 이르렀다고 판단하여 최고 수준의 경보를 발생하거나 현재의 통화 또는 금융 앱을 강제로 종료(단계 S110)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 차트인바,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금융사기 예방앱과 사기 예방 서버(200)가 상호 협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금융사기 예방앱에는 금융사기 예방앱에는 사기 의심번호를 포함한 발신번호 정보 표시 기능, 수신상태 확인 기능, 통화 시간 확인 기능, 애플리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금융 앱 확인 기능, 경보 단계(강도)별 알림 기능, 금융 앱 실행시 알림 기능, 지정 번호, 예를 들어 보호자 번호 등록 기능, 수신 메시지 도달 여부 확인 및 수신 메시지 읽음 여부 확인 기능, 사기 예방 서버와의 통신 기능 및 SMS, LMS, MMS, 푸시 메시지 및 SIM ToolKit 메시지 송수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기 예방 서버(200)는 사용자 가입 정보 및 단말기 정보 확인 기능, 로그인 정보 수신 사기 분석 기능, 보호자 단말 등록 기능, 정보 수신에 따른 메시지 분류 기능, 분류된 메시지 발송 요청 기능, 발송된 메시지 도달 여부 및 읽음 여부 체크 기능, 지정번호의 인증 기능, 단말기 이벤트 정보 수집 및 SMS, LMS, MMS, Push Message, SIM 툴킷 메시지 발송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금융사기 예방앱은 사용자 단말(100)의 전원이 켜있는 동안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가 임의 전화번호와의 사이에서 호(통화)가 연결(단계 S200)된 경우에 당해 전화번호가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지를 판단(단계 S20)한다. 여기에서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지에 대한 판단은 자기 폰북에 없는 전화번호, 외부의 사기 예방 서버(200)로부터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예를 들어 선불폰이나 보이스피싱 사기로 신고된 전화번호 등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금융사기 예방앱에서 실시간으로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를 사기 예방 서버(200)에 전달하고, 사기 예방 서버(200)가 이를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와 비교하거나 각종 금융 사기 사칭 기관이나 이동통신사에 조회하여 통보받은 결과(선불폰의 경우)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의 판단 결과, 사기 의심 전화번호가 아닌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반면에 사기 의심 전화번호인 경우에는 그 사실을 팝업 메시지,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가 발생할 수도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등의 팝업 메시지를 화면에 띄워서 사용자에게 알려준 다음 통화시간 체크 타이머를 구동하여 통화시간을 체크(단계 S220)한다.
다음으로, 단계 S230에서는 통화 지속 시간이 제1 기준 시간, 예를 들어 5분(적절하게 증감 가능)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3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초과한 경우에는 금융 사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제1 기준 시간 초과 사실을 사기 예방 서버(200)에 전송하여 경보 발송을 요청(단계 S240)한다.
이에 응하여 사기 예방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에 의거하여 저강도의 경보를 전송(단계 S250),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의 위험성이 크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통화 중에 화면에 띄우는데, 사용자가 메시지에 주의를 기울일 수 있도록 진동이 함께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단계 S260에서는 통화 시간이 제N번째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하는데,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260을 반복 수행하는 반면에 초과한 경우에는 제N번째 기준 시간 초과 사실을 사기 예방 서버(200)에 통보(단계 S270)한다.
이에 응하여 사기 예방 서버(200)는 이전의 경보보다 강도가 커진 경보, 예를 들어 "해당 번호는 선불폰 국번입니다. 금융사기의 위험성이 매우 크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라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통화 중에 화면에 띄우는데, 이 경우에 더 커진 진동이 함께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사기 예방 서버(200)는 단계 S290에서 등록된 보호자 단말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90에서의 판단 결과,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통화 시간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보호자 단말에 SMS, LMS, MMS 또는 푸시 메시지 등으로 경보를 전송(단계 S300)한다.
본 발명의 금융 사기 예방 방법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음을 밝혀둔다.
예를 들어, 경보를 단계적으로 발생함이 없이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한 번의 경보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의 경보에는 단순 경보 이외에 강제 통화 종료까지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의 실시예에서 사기 예방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메시지 발송 서버를 통하거나 외부의 메시지 발송 서버에 의뢰하여 경보를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사기 예방 서버(200)는 또한 선불폰 여부의 확인이나 사용자 인증 등을 위해 이동통신사와 연계, 예를 들어 경보 발생 요청이 들어온 경우 이동통신사에 해당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전송하여 인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경보의 발생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Claims (5)
- 사용자 단말이 사기 의심 전화번호를 발신원으로 하는 전화번호와의 통화 연결시 통화 시간을 체크하는 (a) 단계 및
상기 통화 시간이 기준 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자 단말에 경보를 발생하는 (b)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보는 문자 또는 이미지로 된 메시지, 진동 또는 경보음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시간은 2단계 이상으로 정해지고, 상기 경보는 통화 시간에 비례하여 강도가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화 시간이 임의의 기준 시간을 초과하고 보호자 단말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자 단말에 경보를 전송하는 (c) 단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기 의심 전화번호는 사용자 단말의 폰북에 없는 전화번호, 사기 예방 서버로부터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다운로드받아 자체적으로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 또는 통화중 실시간으로 사기 예방 서버에 의뢰하여 사기 의심 전화번호로 통보받은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 사기 예방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810A KR102128601B1 (ko) | 2019-07-11 | 2019-07-11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3810A KR102128601B1 (ko) | 2019-07-11 | 2019-07-11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7430A Division KR102001157B1 (ko) | 2018-08-21 | 2018-08-21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1879A true KR20200021879A (ko) | 2020-03-02 |
KR102128601B1 KR102128601B1 (ko) | 2020-07-01 |
Family
ID=69805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3810A KR102128601B1 (ko) | 2019-07-11 | 2019-07-11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28601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4818A (ko) * | 1996-11-08 | 1998-08-05 | 김광호 | 전화기의 통화시간 경보방법 |
JP2011010076A (ja) * | 2009-06-26 | 2011-01-13 | Kyocera Corp | 通信機器、警告方法および警告プログラム |
KR20150106100A (ko) | 2014-03-11 | 2015-09-21 | 장효준 | 금융사기 예방 앱 |
KR20160011120A (ko) | 2014-07-21 | 2016-01-29 | 주식회사 나의가는길 | 스마트폰 통화 중 실시간 보이스피싱 주의안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16171378A (ja) * | 2015-03-11 | 2016-09-23 | 株式会社ライフ技術研究所 | 詐欺撃退装置 |
KR20170062726A (ko) | 2015-11-30 | 2017-06-08 | (주)포스원아이티코리아 | 보이스피싱, 스미싱 , 대출사기 등 금융사기 방지, 범죄예방 및 범죄자 식별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
-
2019
- 2019-07-11 KR KR1020190083810A patent/KR10212860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34818A (ko) * | 1996-11-08 | 1998-08-05 | 김광호 | 전화기의 통화시간 경보방법 |
JP2011010076A (ja) * | 2009-06-26 | 2011-01-13 | Kyocera Corp | 通信機器、警告方法および警告プログラム |
KR20150106100A (ko) | 2014-03-11 | 2015-09-21 | 장효준 | 금융사기 예방 앱 |
KR20160011120A (ko) | 2014-07-21 | 2016-01-29 | 주식회사 나의가는길 | 스마트폰 통화 중 실시간 보이스피싱 주의안내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JP2016171378A (ja) * | 2015-03-11 | 2016-09-23 | 株式会社ライフ技術研究所 | 詐欺撃退装置 |
KR20170062726A (ko) | 2015-11-30 | 2017-06-08 | (주)포스원아이티코리아 | 보이스피싱, 스미싱 , 대출사기 등 금융사기 방지, 범죄예방 및 범죄자 식별 음성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28601B1 (ko) | 2020-07-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37320A1 (en) | A method, an apparatus, a proxy server and a terminal for filtering the spam call | |
US20150356630A1 (en) |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pam | |
KR101431596B1 (ko) | 보이스피싱 방지장치, 사용자 단말장치 및 보이스피싱 방지방법 | |
WO2010010060A2 (en) | Telephony fraud prevention | |
CN108259680B (zh) | 诈骗电话识别方法、装置以及用于识别诈骗电话的服务器 | |
CN101005528A (zh) | 垃圾信息检测的系统和方法 | |
US20080243920A1 (en) | Communication Reputation | |
KR101098532B1 (ko) | 휴대폰의 보이스피싱 방지 서비스 방법 | |
CN107770777B (zh) | 一种录音诈骗电话的识别方法 | |
US11849068B2 (en) | Spoof call detection in telephone network | |
US2007003325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unsolicited calls and contacts | |
CN109688273B (zh) | 一种提醒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CN113727352A (zh) | 管理对移动装置的欺骗呼叫 | |
KR101306074B1 (ko) | 피싱방지방법 및 피싱방지시스템 | |
CN110381219A (zh) | 一种通信防诈骗系统 | |
TWI507009B (zh) | 智慧型手機之防詐騙系統及其方法 | |
KR102001157B1 (ko)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
KR102128601B1 (ko) | 금융 사기 예방 방법 | |
KR101593954B1 (ko) | 합법적인 단문메시지의 필터링을 방지하는 스팸필터링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스팸필터링방법 | |
CN108834149B (zh) | 一种处理方法、处理设备及系统 | |
KR101478835B1 (ko) | 보이스 피싱 예방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60076494A (ko) | 검증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보이스 피싱 예방 방법 | |
KR102156905B1 (ko) | 메신저 피싱 예방을 위한 사용자 확인 방법 | |
KR101141652B1 (ko) | 선택적 통화를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 |
RU2825011C1 (ru) | Способ взаимной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абонентов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