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840A -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840A
KR20200021840A KR1020180097689A KR20180097689A KR20200021840A KR 20200021840 A KR20200021840 A KR 20200021840A KR 1020180097689 A KR1020180097689 A KR 1020180097689A KR 20180097689 A KR20180097689 A KR 20180097689A KR 20200021840 A KR20200021840 A KR 20200021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display unit
concentration
unit
emergency ex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향미
박세한
이춘호
Original Assignee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세한
정향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박세한, 정향미 filed Critical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97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1840A/ko
Publication of KR2020002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08B17/117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by using a detection device for specific gases, e.g. combustion products, produced by the f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2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indicating emergency exi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08B7/06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guiding along a path, e.g. evacuation path lighting stri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를 안내하는 표시부 주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농도 이상이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색이 변경된다.

Description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APPARATUS FOR SMOKE DETECTION EVACUATION GUIDE}
본 발명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기를 감지하여 대피 방향을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 발생시 신속한 대피를 위하여 대피방향을 안내표시하는 유도등의 설치는 소방관련법령에 준하여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에 대하여 소화시설, 자동화재탐지시설, 경보설비, 비상조명, 유도등, 비상방송 등을 시설하도록 하고 있다.
유도등은 화재시에 피난을 유도하기 위한 등으로서 정상상태에서는 상용전원에 따라 켜지고 상용전원이 정전되는 경우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환되어 켜지는 등을 말한다.
종류로는 피난구유도등, 통로유도등, 복도통로유도등, 거실통로유도등, 계단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 6가지의 종류로 각 시설조건, 용도에 따라 달리 시설하고 있다.
한편, 화재경보장치는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연기나 열을 감지하여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기와 화재감지기로부터 일정신호를 입력받아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화재경보장치는 연기를 감지하면 무조건적으로 경보장치를 작동하고, 어디에서 연기가 감지되었는지 알려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대피자에게 대피하고자 하는 통로에 연기의 농도가 높은 통로인지 파악할 수 있는 유도등이 필요하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90692호(2017.10.20)
본 발명은 화재지점의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된 열 또는 연기에 따라 비상구 안내장치의 색을 변화시킴으로써 대피자에게 안전한 대피로를 안내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를 안내하는 표시부 주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농도 이상이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색이 변경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기감지부는, 일산화탄소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된 일산화탄소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연기농도와 관계없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연기농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를 가지며, 상기 감지된 연기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색이 변한 이후,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의 농도 미만이면 점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들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경우 발화점으로부터 가까운 곳에 위치한 비상구 안내장치의 색을 변화시켜 대피자에게 보다 안전한 대피로를 안내하여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감지된 연기의 농도에 따라 색을 다르게 표현하여, 대피자 및 소방관에게 보다 안전한 대피로 또는 연기가 흐르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의 색이 변경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비상구 안내장치는 건물에 화재와 같은 사고가 발생시 대피용으로 설치된 비상구로의 안내를 위한 것으로, 이러한 비상구 안내장치는 비상구 출구의 상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어 비상구의 방향을 안내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는, 케이스(100), 표시부(200), 연기감지부(미도시)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케이스(100)에는, 비상구 출구의 상부나 건물의 통로에 설치되기 위한 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0)에는 표시부(200)를 밝히기 위한 조명부, 표시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거나, 연기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부(미도시) 등의 구성요소와 이들을 작동하기 위한 회로기판 및 전원이 포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0)는, 제어신호에 의해 경고방송을 내보내는 스피커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200)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하기 어려운 경우나 시각 장애인에게 통로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그리고, 스피커부(300)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해, 대피자에게 소리를 통해 대피자에게 연기가 감지되었다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비상구까지의 거리를 안내할 수 있으며, 현재 화재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표시부(200)는, 케이스(100)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를 안내한다.
표시부(200)에는 문자나 도형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표시부(200)의 문자나 도형에는 백라이트부의 빛이 투과하도록 하여 화재시 대피자에게 용이하게 인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00) 내부에 조명부가 위치하여 화재나 정전 등이 발생하는 경우 축전기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빛을 발하여 표시부(200)의 문자나 도형이 용이하게 인식되도록 할 수 있고, 최근에 이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LED를 이용하여 표시부(200) 자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주변의 연기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연기 농도 계측 단위 obs/m을 이용하여 연기농도을 측정할 수 있는데, 발광부에서 나오는 빛이 암흑 상자 속 일정 거리에 설치된 수광부에 도달하는 광량을 계측하여 연기에 의하여 산란되어 소실된 광량의 비율로 측정한다.
예컨대, 연기가 없는 청정한 공기에서는 0 obs/m이고 연기의 농도가 매우 높아 빛이 전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100 obs/m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연기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20 obs/m라면 감지된 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일산화탄소를 더 감지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감지된 일산화탄소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연기농도와 관계없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일산화탄소를 더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일산화탄소가 인체에 치명적인 유해 가스이기 때문이다.
일산화탄소는 ppm 단위로 측정될 수 있으며, 종래의 일산화탄소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케이스(100)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연기감지부(미도시)는 연기감지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50ppm이라면 감지된 값을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는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농도 이상이면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한다.
감지된 연기의 농도는 obs/m의 단위로 전송되어 기 설정된 농도 이상이라면 제어부(미도시)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기 설정된 연기의 농도가 20obs/m이고, 연기감지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연기의 농도가 30obs/m라면, 제어부(미도시)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할 수 있고, 일산화탄소의 기준치가 50ppm이고, 연기감지부(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70ppm이라면, 제어부(미도시)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미도시)는, 연기농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를 가지며, 감지된 연기농도가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이내일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하고, 표시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화재발생지점의 연기의 농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짙어 질 수 있는데, 제어부(미도시)가 25obs/m 내지 50obs/m, 50obs/m 내지 75obs/m, 75obs/m 내지 100obs/m 와 같이 연기의 농도 구간범위를 갖고, 각 구간범위에 대응되는 색을 파란색, 노란색, 빨간색으로 설정하면, 감지된 연기의 농도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는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신호는 이진신호의 형태로, 8비트 64비트 등의 신호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미도시)가 감지된 연기의 농도에 따른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함으로써 대피자는 해당 지점의 연기의 농도를 간접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연기농도에 따라 대피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생존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표시부(200)는 제어신호에 의해 색이 변경된다.
일반적으로, 표시부(200)의 색은 녹색계열인 경우가 많다.
그 이유는 화재 등으로 인해 전력이 끊기고 암흑이 되면 사람의 눈은 녹색을 잘 인지하기 때문이다. 한편, 적색계열은 암흑이 아닌 경우 사람의 눈이 잘 인지하는 색이므로, 암흑이 아닐때는 적색계열이 사람에게 더 빠르게 인지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200)는 연기가 감지되지 않았을 때 녹색계열이고 연기가 감지되었을 때 적색계열로 바꿔 대피자에게 위험한 통로임을 표시해줄 수 있다.
이때, 표시부(200)는 백라이트부의 색을 적색계열로 바꿔 표시부(200)의 색을 적색계열로 변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표시부(200) 자체가 led인 경우 표시부(200) 자체를 적색계열로 변경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00)는, 표시부(200)의 색이 변한 이후 소정의 시간이 흐르면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연기가 감지된 순간부터 3분 이상이 흘렀으면 최초 연기를 감지한 시점보다 연기의 농도가 더 증가되었을 것이다.
위와 같은 상황을 대피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으로서, 표시부(200)는 소정의 시간(1분 내지 3분)이 흐를때 마다, 표시부(200)가 점멸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멸속도가 증가되어 대피자에게 연기의 농도를 간접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200)는,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의 농도 미만이면, 점멸할 수 있다.
예컨대,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 농도 이상으로 감지되어, 표시부(200)의 색이 변했는데, 그 이후 환풍 등에 의해 다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 농도 미만으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는, 대피자에게 연기의 농도가 줄었음을 간접적으로 표시하여 다시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는,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제어신호를 표시부(200)에 전송하는 경우, 통신부를 통해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의 위치정보를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들에게 송신하고, 제어부(미도시)는 통신부에 의해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디스플레이부(400)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고층건물의 경우 각 층마다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는데, 어느 한 층에서 연기가 감지된 경우에는 해당 층에 설치된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에서만 연기를 감지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피자들은 자신이 속해있는 층보다 위층에서 연기가 감지되었 는지, 아래층에서 감지되었는지 파악할 수가 없다.
이때, 신속한 대피를 위해 표시부(200) 일측면에 연기가 감지된 층의 층수를 디스플레이부(400)를 통해 표시해주면 대피자에게 대피방향을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층의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는 서로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각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는 통신부가 설치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연기가 감지된 층에 관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400)는 연기가 감지된 해당 층에 대한 정보뿐만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10)로부터 어느정도의 거리에서 연기가 발생했는지에 관한 거리정보를 디스플레이부(400)에 표시할 수 도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100: 케이스
200: 표시부
300: 스피커부
400: 디스플레이부

Claims (5)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전면에 설치되어 비상구를 안내하는 표시부;
    주변의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부; 및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농도 이상이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색이 변경되는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기감지부는,
    일산화탄소를 더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일산화탄소가 소정의 기준치 이상인 경우 상기 기 설정된 연기농도와 관계없이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연기농도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를 가지며,
    상기 감지된 연기농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이내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정구간범위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색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부의 색이 변한 이후,
    감지된 연기의 농도가 기 설정된 연기의 농도 미만이면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부; 및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표시부에 전송하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주변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들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에 의해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KR1020180097689A 2018-08-21 2018-08-21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KR20200021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89A KR20200021840A (ko) 2018-08-21 2018-08-21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689A KR20200021840A (ko) 2018-08-21 2018-08-21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840A true KR20200021840A (ko) 2020-03-02

Family

ID=69805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689A KR20200021840A (ko) 2018-08-21 2018-08-21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8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26B1 (ko) * 2021-06-17 2022-01-21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스마트 라이프라인 피난 유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92B1 (ko) 2016-12-02 2017-10-30 (주)텔트론 연기감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92B1 (ko) 2016-12-02 2017-10-30 (주)텔트론 연기감지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426B1 (ko) * 2021-06-17 2022-01-21 주식회사 동아에이블 스마트 라이프라인 피난 유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0415B2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KR101807264B1 (ko) IoT 기반의 단독형 소방 감지기
KR100696740B1 (ko) 화재경보장치 및 화재경보시스템
KR101034387B1 (ko) 화재 발생시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3604B1 (ko) 화재시 최단거리 출구를 안내하는 비상 유도등 시스템
KR101565727B1 (k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화재 감지 및 경보 시스템
KR100985507B1 (ko) 화재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04050769A (zh) 热事件检测和通知系统
KR101783825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20160064662A (ko) 비상구 유도방법 및 그 비상구 유도장치
JP2013109388A (ja) 避難誘導システム及び避難誘導方法
KR101799910B1 (ko) Led 천정등을 이용한 비상 대피 시스템
KR101807263B1 (ko) 실내 공간 융합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20220144642A (ko) 비상대피 알림 및 안내 시스템
KR20160050552A (ko) 피난유도표시장치
KR101807265B1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200021840A (ko) 연기감지 비상구 안내장치
KR101729521B1 (ko) 소방용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US11466846B1 (en) Emergency lighting system
JP6684100B2 (ja) 防災システム
KR101783826B1 (ko) 피난 유도등 및 그의 제어 시스템
KR101807261B1 (ko) 경고 표시 기능을 갖는 소방 감지기 및 이를 구비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20170079165A (ko) 지진 감지가 가능한 소방 방재 시스템
KR101575850B1 (ko) 위험감지 비상구 유도등 장치
WO2016208783A1 (ko) 대피 안내 겸용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