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244A - 다축 교차 연쇄 구조 - Google Patents

다축 교차 연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244A
KR20200020244A KR1020180095701A KR20180095701A KR20200020244A KR 20200020244 A KR20200020244 A KR 20200020244A KR 1020180095701 A KR1020180095701 A KR 1020180095701A KR 20180095701 A KR20180095701 A KR 20180095701A KR 20200020244 A KR20200020244 A KR 20200020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length
cross
chain structure
si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유진
이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더연
신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더연, 신유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더연
Priority to KR1020180095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244A/ko
Publication of KR20200020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2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63H33/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provided with complementary holes, grooves, or protuberances, e.g.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04B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는 복수의 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로, 상기 복수의 접속재는 각각 몸체 및 n(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두 개의 접속재는 결합한 접속부의 일사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편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접속재는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의 단면의 일사분면에 상기 개구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는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다축 교차 연쇄 구조 {Multi-axis crossing conn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다축 교차 연쇄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특1993-0010817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0475호에 개시된 다축 교차 접속 구조는 제1접속재, 제2접속재, 및 제3접속재의 세 개의 접속재로 구성된다. 제1접속재와 제2접속재의 두 개의 접속재에 형성된 접속부는 단면이 사각형인 “ㄱ”자 또는 “ㄴ”자 형태로 구성되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하면 단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의 일사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제3접속재의 편심축은 회전이 가능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개구부 내에서 회전 가능하여, 제1접속재 및 제2접속재와 교차하도록 결합되어 세 축으로 연장된 접속 구조를 구성한다.
하지만, 위와 같은 다축 교차 접합 구조에서는 이차원적인 사다리 형태의 단일 연쇄 구조가 불가능할 뿐 아니라 삼차원적인 입체 연쇄에 있어서도 구조적으로 정육면체 형태의 연쇄구조만 가능하거나 한 방향으로 연장 시에 접속부의 개수만큼만 연장 가능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3-00108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0047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이차원적인 단일 연쇄 구조 및 삼차원적인 입체 연쇄 구조가 가능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육면체 형태로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만큼 연장 가능한 입체 연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조립형 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복수의 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재는 각각 몸체 및 n(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두 개의 접속재는 결합한 접속부의 일사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편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접속재는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의 단면의 일사분면에 상기 개구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는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상기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상기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지름이 (1/2)e인 원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장축의 지름이 (1/2)e인 타원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를 포함하는 접속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회전바에 접하는 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1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바를 포함하는 접속재는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2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접속재의 상기 측면 몸체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 및 상기 제2접속재의 상기 측면 몸체부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2접속재로 시작되어 상기 제1접속재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상기 제1접속재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 및 상기 세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두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3접속재로 시작되어 두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c≒e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제2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 및 상기 세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접속재, 상기 제2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 및 상기 n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1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n+1 개의 접속부, 및 상기 n+1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3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상기 제2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룬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 이상의 접속재를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재는 플라스틱 계열, 나무 계열, 유리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조립형 완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각각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각각의 실시예는 상호 조합이 가능하며 조합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프레임 구조와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및 충격 완화 구조는 상호 결합되어 건축물 내진 구조로 또 다른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적인 단일 연쇄 구조 및 삼차원적인 입체 연쇄 구조가 가능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면체 형태로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만큼 연장 가능한 입체 연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조립형 완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두 개의 접속부를 갖는 제1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 및 제2접속재의 각 부분의 수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3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재의 접속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와 제2접속재를 사용한 사다리 형태의 이차원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와 제2접속재를 사용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한 회전바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돔 프레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교량 프레임 구조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다양한 형태의 두 개의 접속부를 갖는 제1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2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 및 제2접속재의 각 부분의 수치 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3접속재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재의 접속부의 다양한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100)는 하나의 중앙 몸체부(11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로 구성된 몸체 및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사이에 중앙 몸체부(11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 두 개의 접속부(1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재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정사각형의 한쪽 측면에 접속부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접속재(100)의 접속부(120)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접속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편의상, 도 1(a) 및 (b)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부(120)가 모두 단면이 사각형인 동일한 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1번 접속재”, 도 1(c) 및 (d)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부(120)가 모두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2번 접속재”, 도 1(e) 및 (f)에 도시된 하나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사각형인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3번 접속재”, 도 1(g) 및 (h)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사각형인 서로 반대 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4번 접속재”, 도 1(i) 및 (j)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부(120)가 모두 단면이 사각형인 “ㄱ”자 형상으로, 도 1(a) 및 (b)에 도시된 접속부(120)의 형상과 선대칭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5번 접속재”, 도 1(k) 및 (l)에 도시된 하나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사각형인 “ㄱ”자 형상으로, 도 1(e) 및 (f)에 도시된 접속부(120)의 형상과 선대칭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6번 접속재”, 도 1(m) 및 (n)에 도시된 두 개의 접속부(120)가 단면이 사각형인 서로 반대 방향의 “ㄱ”자 형상으로, 도 1(g) 및 (h)에 도시된 접속부(120)의 형상과 선대칭으로 형성된 접속재를 “7번 접속재”라고 칭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1번 접속재와 하나의 2번 접속재를 사용하면 세 축이 상호 교차하는 입체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2접속재(200)는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로 구성된 몸체 및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접속부(220)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접속부(220)가 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으로 형성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접속부(220)의 형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양측의 측면 몸체부 (21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양측의 측면 몸체부(210)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사분면 각각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으나, 이는 단지 하나의 예를 도시하고 있을 뿐, 삼각형의 형상을 이루거나 완전한 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몸체의 단면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형을 이루는 것에 대해 도시하였지만, 실시 예에 따라서 몸체의 단면의 형태는 원형 내지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의 형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단면이 원형인 경우 몸체의 형태는 원통형이 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측면에서 본 외곽 형상이 정사각형인 경우에 단면의 가로 및 세로의 길이를 각각 e(e는 실수)라고 한다.
접속부는 두 개의 몸체 내측면의 사분면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의 길이(c)는 접속재의 측단면의 길이 e와 동등한 길이를 갖는다 (즉, c≒e). 여기서 동등하다는 의미는 c와 e가 완전히 동일하면 서로 결합할 수 없기 때문에 몸체가 접속부 내에 삽입되도록 약간의 여유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c₃e의 관계이지만 c와 e의 차이가 크지 않아 헐겁지 않음을 의미한다.
회전바는 다축 교차 다축 회전 입체 구조의 다축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길이 방향의 단면이 원형 또는 모서리가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된 다각형으로 구성된다.
도 2에서는 접속부(220)의 회전바의 단면이 원형인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서리가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된 다각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의 단면이 원형이고, 회전바의 지름(d)은 접속재의 단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1/2(즉, d=(1/2)e)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접속재의 단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1/2(즉, (1/2)e)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는,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지름이 접속재의 단면을 이루는 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의 1/2(즉, (1/2)e)의 크기이고, 다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rounding) 처리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접속재의 몸체는 회전바를 갖는 접속재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회전 시에 접하는 면의 모서리 부분이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와 제2접속재를 사용한 사다리 형태의 이차원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제1접속재와 제2접속재를 사용한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직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삼차원 다축 교차 입체 연쇄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육각형 단면의 꼭지점을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한 회전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는 복수의 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한다. 복수의 접속재는 각각 몸체 및 n(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접속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두 개의 접속재는 결합한 접속부의 일사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재는 개구부 내에서 편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접속재는 접속부의 길이방향의 단면의 일사분면에 개구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바를 포함한다.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는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접속재를 구성하는 몸체는, 최소한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전바는 단면이 다각형이고,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의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전바는 단면이 다각형이고,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이고, 다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되어 형성된다.
도 10은 회전바(1020)의 단면을 육각형으로 형성해서 각 꼭지점 부분을 라운딩 처리한 예를 보여준다. 이 경우, 육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이므로 꼭지점으로 갈수록 길이가 길어져서 회전이 용이하지 않게 되므로,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자중으로 회전하지 않지만 소정의 힘을 가하면 면 단위로 클릭하듯이 회전 가능하도록 한 변의 길이(A)와 라운딩 처리 후의 남은 변의 길이(B)를 산출하여 이에 해당하는 곡률(R)을 갖도록 각각의 꼭지점 부분을 라운딩 처리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회전바(1020)의 단면을 육각형으로 형성해서 각 꼭지점 부분을 라운딩 처리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회전바를 플라스틱 재료가 아닌 유리나 금속 재료로 형성한 경우에는 B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다각형의 면 수를 증가시키는 등의 방법을 통해 적절한 힘을 가해서 회전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회전바는 단면의 지름이 (1/2)e인 원형 또는 장축의 지름이 (1/2)e인 타원형으로 형성된다.
회전바를 포함하는 접속재는 세 개의 접속재를 결합할 때 하나의 접속재에 걸치듯이 결합되므로 다른 하나의 접속재를 결합하는 동안 결합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속부(420)를 포함하는 접속재(400)는 몸체부(430, 410)의 접속부(420)에 접하는 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1돌기부(440)를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회전바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 자중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회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접속부(420)를 포함하는 접속재(400)는 접속부(420)의 외주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2돌기부(450)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접속재(400)이 세 개의 접속부(420)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접속부(420)는 필요에 따라 도 1 또는 도 5에 도시된 접속부가 될 수 있다.
도 5(a)에서, 접속재(100')는 제1접속재(100)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접속부를 갖고 있으나, 두 접속부가 형성된 면 또는 방향이 서로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b)에서, 접속재(400')는 제3접속재(400)과 마찬가지로 세 개의 접속부를 갖고 있으나, 세 접속부가 형성된 면, 방향, 또는 각 접속부에서 개부부를 형성하는 홈의 위치가 서로 다른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1에서는 접속부의 구조가 동일한 측면에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으나, 도 5에서는 접속부의 구조가 상이한 측면 또는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된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접속재는 제1접속재(100) 및 제2접속재(200)를 포함한다.
제1접속재(1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120),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제2접속재(2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22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Y축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X축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어 Y축 방향으로 이어지는)의 접속재에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하려면,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4에 도시된 제3접속재(400)도 이와 같은 관계를 만족하도록 접속부(420), 측면 몸체부(430), 및 중앙 몸체부(410)가 형성된다.
제1접속재(100)의 측면 몸체부(130)와 중앙 몸체부(110) 및 제2접속재(200)의 측면 몸체부(210)는 최소한 접속부(120, 220)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형성되어,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도 6에서 X축 방향으로 좌측 열)이 제2접속재(200)로 시작되어 제1접속재(100)로 이어지고, 제2열(도 6에서 X축 방향으로 우측 열)이 제1접속재(100)로 시작되어 제1접속재(100)로 이어져서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제2접속재(200)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이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600)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제2접속재(200)는 시작단에 사용되거나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 부분의 말단 처리 기능을 갖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의 접속재를 제2접속재(200)로 결합하여 이차원적인 사다리 형태의 연쇄구조를 보이고 있으나, 도 7에서는,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Z축 방향)의 접속재를 제1접속재(100)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700)를 보여준다. 이 경우,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 최종 부분을 제2접속재(200)를 사용하여 말단 처리를 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다축 교차 연쇄 구조(800)를 구성하는 접속재는 제1접속재(100) 및 제3접속재(400)를 포함한다.
제1접속재(1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120), 및 두 개의 접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제3접속재(4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43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43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420), 및 상기 세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410)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제1접속재(100) 및 제3접속재(400)는 최소한 접속부(420)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제1접속재(100)로 시작되어 두 개의 제1접속재(100)와 하나의 제3접속재(400)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제3접속재(400)로 시작되어 두 개의 제1접속재(100)와 하나의 제3접속재(400)가 교대로 이어져서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220)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200)를 더 포함한다.
제2접속재(200)는 최소한 접속부(220)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이 경우에도,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제2접속재(200)로 결합함으로써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제1접속재(100)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함으로써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더 이상 연장되지 않는 최종 부분을 제2접속재(200)를 사용하여 말단 처리를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접속재는 제1접속재(100), 제2접속재(200), 및 제3접속재(400)를 포함한다.
제1접속재(1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두 개의 측면 몸체부(130)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120), 및 두 개의 접속부(12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110)를 포함한다.
제2접속재(200)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21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220)를 포함한다.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430)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430)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420), 및 세 개의 접속부(420)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41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에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하려면,측면 몸체부(130, 210, 430)의 길이(a)와 중앙 몸체부(110, 410)의 길이(b)는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제1접속재(100), 제2접속재(200), 및 제3접속재(400)를 적절하게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900)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한다.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 및 n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1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한다.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n+1 개의 접속부, 및 n+1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한다.
제1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는 최소한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한다.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제1접속재와 하나의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제3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제2접속재와 하나의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져서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하는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제2접속재로 결합함으로써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이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 이상의 접속재를 결합함으로써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접속재는 플라스틱 계열, 나무 계열, 유리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하여 완구를 제작하는 경우, 플라스틱 계열, 나무 계열, 유리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재질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적절한 크기의 제1접속재(100), 제2접속재(200), 및 제3접속재(400)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의 접속재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플라스틱 계열, 나무 계열, 유리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재질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적절한 크기의 제1접속재(100), 제2접속재(200), 및 제3접속재(400)를 제작하면, 건축물 프레임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물의 기둥 구조를 보여준다. 건물의 기둥 구조는 물론, 각 층의 바닥 및 천정 면도 메시 형태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건물 전체의 뼈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돔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돔의 정상으로 올라 갈수록 가로 방향의 제1접속재(100) 또는 제3접속제(400)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돔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지면을 향하는 접속재를 제2접속제(200)로 구성하고 제2접속제(200)의 접속부(22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로 형성함으로써 회전바를 축으로 적절한 각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기울기 및 곡률의 돔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교량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이 경우, 교량의 한쪽 끝 부분에서 연속적으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구성해 나감으로써 교량의 다른 쪽 끝 부분까지 하나로 이어지는 교량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지면을 향하는 접속재를 제2접속재(200)로 구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지만,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향하는 접속재를 제1접속재(100)로 구성함으로써 상층과 하층으로 이루어진 교량을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적인 단일 연쇄 구조 및 삼차원적인 입체 연쇄 구조가 가능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육면체 형태로 임의의 방향으로 임의의 길이만큼 연장 가능한 입체 연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조립형 완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최소한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차원 또는 삼차원적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500: 접속재
110, 510: 제1몸체
120, 520, 820: 회전바
130, 530: 제2몸체

Claims (27)

  1. 복수의 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구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접속재는 각각 몸체 및 n(n은 1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접속부가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두 개의 접속재는 결합한 접속부의 일사분면에 개구부를 형성하고, 나머지 하나의 접속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편심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최소한 세 개의 접속재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접속재는 상기 접속부의 길이방향의 단면의 일사분면에 상기 개구부 내에서 회전 가능한 회전바를 포함하고,
    상기 다축 교차 연쇄 구조의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는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상기 다각형에 외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다각형이고,
    상기 다각형에 내접하는 원의 지름이 (1/2)e이고,
    상기 다각형의 각 꼭지점 부분이 라운딩 또는 챔퍼링 처리된,
    다축 교차 연쇄 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지름이 (1/2)e인 원형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의 단면이 장축의 지름이 (1/2)e인 타원형인,
    다축 교차 연쇄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를 포함하는 접속재는 상기 몸체의 상기 회전바에 접하는 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1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바를 포함하는 접속재는 상기 회전바의 외주면의 일부에 소정의 크기의 제2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2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재의 상기 측면 몸체부와 상기 중앙 몸체부 및 상기 제2접속재의 상기 측면 몸체부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2접속재로 시작되어 상기 제1접속재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상기 제1접속재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 및 상기 세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두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3접속재로 시작되어 두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으로 c≒e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의 접속재를 쌍으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제2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두 개의 접속부, 및 상기 두 개의 접속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세 개의 접속부, 및 상기 세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두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하고,
    상기 제1접속재, 상기 제2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를 상호 교차하도록 결합하여 임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제1접속재 및 제3접속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의 형성된 길이가 c인 n(n은 2 이상의 자연수) 개의 접속부, 및 상기 n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1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n+1 개의 접속부, 및 상기 n+1 개의 접속부 각각의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b인 n 개의 중앙 몸체부를 포함하고,
    a≒(1/2)b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재 및 상기 제3접속재는 최소한 상기 접속부에 접하는 부분의 단면이, 한 변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외접하는 원의 지름의 길이가 e인 정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또는 지름의 길이가 e인 원형이고,
    c≒e의 관계를 만족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상기 최소한 두 열의 접속재 중, 제1열이 상기 제1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상기 제1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지고 제2열이 상기 제3접속재로 시작되어 n 개의 상기 제2접속재와 하나의 상기 제3접속재가 교대로 이어져서 상기 연장 방향으로 두 개의 접속재의 맞닿는 위치가 서로 지그재그 형상을 이루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길이가 a인 두 개의 측면 몸체부와 상기 두 개의 측면 몸체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가 c인 하나의 접속부를 포함하는 제2접속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2접속재로 결합하여 사다리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의 접속재를 상기 제1접속재로 결합하여 평행한 두 열 이상의 접속재를 결합하여 육면체 형태로 연장되는,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재는 플라스틱 계열, 나무 계열, 유리 계열, 또는 금속 계열의 재질로 구성된,
    다축 교차 연쇄 구조.
  26. 제1항에서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조립형 완구.
  27. 제1항에서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축 교차 연쇄 구조를 사용한 건축물 프레임 구조.
KR1020180095701A 2018-08-16 2018-08-16 다축 교차 연쇄 구조 KR20200020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01A KR20200020244A (ko) 2018-08-16 2018-08-16 다축 교차 연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701A KR20200020244A (ko) 2018-08-16 2018-08-16 다축 교차 연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244A true KR20200020244A (ko) 2020-02-26

Family

ID=69637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701A KR20200020244A (ko) 2018-08-16 2018-08-16 다축 교차 연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24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817A (ko) 1991-11-26 1993-06-23 정용문 페이징 수신기의 급속 충전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200475B1 (ko) 1996-10-09 1999-06-15 신유진 연속 교차 접합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0817A (ko) 1991-11-26 1993-06-23 정용문 페이징 수신기의 급속 충전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200475B1 (ko) 1996-10-09 1999-06-15 신유진 연속 교차 접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5395A (en) Node shapes of prismatic symmetry for a space frame building system
US9340967B2 (en) Kit including self-supporting panels for assembling a modular structure
EP3319700B1 (en) Toy construction set
TWI702078B (zh) 鳩形積木
EP1599261B1 (en) Cubic logic toy
JPH02292405A (ja) 建設部材
US20200222821A1 (en) Cube Based Building Block System
US3925941A (en) Modular curved surface space structures
US9737826B2 (en) Pairing block set and toy block thereof
US5725411A (en) Construction beam block toy with selective angular interlock
US10286332B2 (en) Toy construction set with articulating linkable elements
KR20200020244A (ko) 다축 교차 연쇄 구조
KR20200020277A (ko) 다축 교차 입체 구조용 접속 부재
US6070373A (en) Rigid stellate non-rectilinear polygons forming a family of concave polyhedrons having discrete interiors and exteriors
CN113056316B (zh) 模型施工套件
JP2016221268A (ja) 蟻継ぎブロック
KR20200085574A (ko) 일자형 접속부재 및 이를 사용한 다축 교차 연쇄 구조
KR101112165B1 (ko) 정다면체 학습 교구
JP2002346243A (ja) 幾何学ボード式積木
KR101291065B1 (ko) 정다면체 순환실습용 교구 및 이의 조립방법
KR200493083Y1 (ko) 프레임 커넥터
JP3239614U (ja) 立体三角組木
JPH0438869Y2 (ko)
KR101112164B1 (ko) 정다면체 학습 교구
WO2023157528A1 (ja) 多重立体トラス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