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860A -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 - Google Patents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860A
KR20200019860A KR1020197034588A KR20197034588A KR20200019860A KR 20200019860 A KR20200019860 A KR 20200019860A KR 1020197034588 A KR1020197034588 A KR 1020197034588A KR 20197034588 A KR20197034588 A KR 20197034588A KR 20200019860 A KR20200019860 A KR 20200019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omain
transport block
downlink control
control signaling
new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740B1 (ko
Inventor
야난 린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19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96ARQ related sign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 H04L1/0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diversity reception using space diversity
    • H04L1/0618Space-time coding
    • H04L1/0637Properties of the code
    • H04L1/0643Properties of the code block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1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using bit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21Group acknowledgement, i.e. the acknowledgement message defining a range of identifiers, e.g. of sequence nu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5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ACK/N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4Indication of how sub-channels of the path are allocat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을 공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 결정에 유리하며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킨다.

Description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
본 발명은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에 관한 것이다.
5세대 이동 통신 기술(5th-Generation, 5G) NR은 3세대 합작파트너 계획(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그룹에 의해 새로 제안된 과제이다. 차세대 5G 기술에 관한 논의가 심화됨에 따라, 한편으로는 통신 시스템의 하위 호환성으로 인해 후에 개발된 새로운 기술이 이전에 이미 표준화된 기술과 호환되는 경향이 존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4세대 이동통신기술(the 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4G) LTE에 이미 대량의 기존 설계가 존재하는 바, 호환을 이루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5G의 많은 유연성을 희생시켜 성능을 저하시켜야 한다. 따라서 현재 3GPP 조직에서는 두 방향으로 병행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위 호환을 고려하지 않는 기술 논의 그룹은 5G NR로 지칭된다.
LTE 시스템에서,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TB)은 매체 액세스 제어층(Media Acess Control, MAC)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을 포함하는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가리킨다. 상기 데이터 블록은 하나의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에서 전송을 수행하는 동시에 하이브리드 자동 재전송 요구(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에서 데이터 재전송을 수행하는 단위이기도 하다. LTE 시스템에서,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 중 새로운 데이터 지시 시그널링(New Data Indication, NDI)은 현재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데이터인지 여부를 지시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데이터인 경우, NDI정보 도메인 내의 값을 전환시킨다. 즉, 현재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 이전의 마지막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에 대응되는 NDI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데이터이면 NDI를 0으로 전환시키고, 재전송 데이터이면 NDI는 여전히 1로 유지된다. NDI에는 전환 설정 방법이 적용되므로 단말기는 현재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마지막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에 비해 새로운 데이터임을 결정할 수 있을 뿐 현재 수신된 전송 블록이 첫번째 전송인지 여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현재 5G/NR 시스템에서는 전송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코딩 블록 그룹 기반의 피드백 및 재전송을 지원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여기서 하나의 코딩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을 포함하고, 하나의 전송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한다. 송신단은 전체 전송 블록을 재전송할 필요 없이 디코딩에 실패한 코딩 블록 그룹 내의 코딩 블록만 전송하면 되고, 기지국은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통해 하나의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동적으로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서 코딩 블록 그룹을 동적으로 지시하는 것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하여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을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을 제공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을 제공한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 지시 방법의 설계에서 단말기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통해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설계에서, 단말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지시 방법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단말기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송수신기는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기기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나아가, 단말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커플링되고 단말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데이터 지시 방법의 설계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의 동작을 구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기능은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를 통해 대응되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는 상기 기능에 대응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설계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데이터 지시 방법 중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한다. 나아가, 네트워크 측 기기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송수신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와 단말기 간의 통신을 지원한다. 나아가, 네트워크 측 기기는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커플링되고 네트워크 측 기기에 필요한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양태의 임의의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양태의 임의의 방법 중의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을 포함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해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해 컴퓨터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양태의 임의의 방법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우선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다음으로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함을 보아낼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스케줄링된 새로운 전송 블록의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감소에 유리하다.
이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필요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가능한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데이터 지시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5G NR 시스템 시나리오에서 데이터 지시 방법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기의 기능 유닛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기능 유닛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이하, 도면을 결부시켜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예시적 통신 시스템의 가능한 네트워크 구조도이다.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어 이동통신 글로벌(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시스템,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reless, WC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ddressing, FDMA) 시스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시스템, 단일 반송파 FDMA(SC-F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시스템, LTE 시스템, 5G/NR 시스템 및 기타 상기 유형의 통신 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예시적 통신 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 및 단말기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의해 제공되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경우,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기기 사이는 무선 링크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통신 연결 방식은 단일 연결 방식이거나 이중 연결 방식이거나 또는 다중 연결 방식일 수 있다. 통신 연결 방식이 단일 연결 방식인 경우, 네트워크 측 기기는 LTE기지국 또는 NR기지국(gNB기지국이라고도 함)일 수 있고, 통신 방식이 이중 연결 방식이고(구체적으로 반송파 중합 CA 기술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측 기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음), 또한 단말기가 복수의 네트워크 측 기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네트워크 측 기기는 주 기지국(MCG) 및 보조 기지국(SCG)이고 기지국 사이는 백홀(backhaul) 링크를 통해 데이터 백홀을 수행할 수 있으며, 주 기지국이 LTE기지국이고 보조 기지국이 LTE기지국일 수 있거나 주 기지국이 NR기지국이고 보조 기지국이 LTE기지국일 수 있거나 또는 주 기지국이 NR기지국이고 보조 기지국이 NR기지국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사 "네트워크” 및 "시스템”은 자주 교체되어 사용되지만, 당업자는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언급한 단말기는 다양한 무선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기기, 차량 탑재 기기, 착용 가능 기기, 컴퓨터 기기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되는 기타 처리 기기 및 다양한 형식의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약칭 "UE"), 모바일 기지국(Mobile Station, 약칭 "MS"), 단말기 장치(Terminal De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장치를 일컬어 단말기라고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지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a01)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단계(2a02)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또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두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1.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은 기지국이 처음으로 전송한 전송 블록인 경우;
2.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이전 전송 블록과 상이한 경우.
여기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이전 전송 블록과 상이한 경우는 구체적으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 정보가 상기 이전 전송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 정보와 상이한 경우이다.
여기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하기와 같은 두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1.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경우;
2.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대응되는 스케줄링 리소스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을 베어링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 경우.
여기서,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은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코딩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전송 블록 중 코딩 블록 그룹의 분할 전략은 랜덤 분할 전략, 데이터 볼륨 밸런싱 분할 전략, 또는 특정 업무 필요에 기반한 분할 전략 등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기설정된 전송 블록 중 코딩 블록 그룹의 분할 전략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a03)에서, 상기 단말기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우선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함을 보아낼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스케줄링된 새로운 전송 블록의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감소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파일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의 비트 길이는 프로토콜에 의해 약정되거나 네트워크 기기에 의해 구성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값은 1 또는 0일 수 있다.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의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1 또는 0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1 또는 0이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 내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는 K이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값이 1이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1,1,1,0}이면, 이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3개의 코딩 블록 그룹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여기서 숫자가 1이면 이는 상기 스케줄링 리소스에는 전송될 코딩 블록 그룹이 포함됨을 나타내고, 숫자가 0이면 이는 상기 스케줄링 리소스에는 전송될 코딩 블록 그룹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로부터, 본 예시에서 단말기는 제2 정보 도메인의 기설정된 값에 따라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고, 이는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편의성 향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상기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 NACK)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부터, 본 예시에서 단말기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 내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할 때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비확인(ACK/NACK) 정보를 송신하고, 이는 네트워크 측 기기를 도와 전송 블록이 전송 완료인지 또는 재전송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유리하며 이동 통신 시스템의 완전성 향상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ew Data Indication, NDI)이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는 단계의 구체적인 구현 방식은 하기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값이 1이고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이전 전송 블록의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 중 제1 정보 도메인의 값이 0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의 값이 0이고 스케줄링된 상기 전송 블록의 이전 전송 블록의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 중 제1 정보 도메인의 값이 1이면, 상기 단말기는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서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인 것은 아니거나 상기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인 것은 아님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기설정된 값이 1이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0,1,0}이면,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1인 것은 아니고 상기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1인 것은 아니므로, 상기 단말기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 도 2a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다른 데이터 지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b01)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단계(2b02)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한다.
단계(2b03)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한다.
단계(2b04)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다.
단계(2b05)에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한다.
단계(2b06)에서, 상기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ACK 또는 NACK 정보를 송신한다.
단계(2b07)에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ACK/NACK 정보를 수신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우선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다음으로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함을 보아낼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스케줄링된 새로운 전송 블록의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여 단말기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이는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감소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통신 시스템이 5G/NR 통신 시스템이고, 네트워크 측 기기가 5G/NR의 기지국(gNB)이며, 단말기가 5G/NR의 사용자 기기(UE)이고, 전송될 데이터가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10개의 코딩 블록으로 분할되며, 상기 10개의 코딩 블록이 4개의 코딩 블록 그룹으로 분할되어 대응되는 전송 리소스를 지시하고, 상기 4개의 코딩 블록 그룹이 전송 블록에 패키징되며, UE가 gNB로부터 송신된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여 상기 전송 블록을 스케줄링하고, 상기 다운 링크 시그널링에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정보 도메인(NDI)이 1이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기 위해 4비트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기설정된 값이 1이고, 단말기는 상기 전송 블록의 이전 전송 블록의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 중 제1 정보 도메인(NDI)의 값이 0으로 검출되면, 상기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한 후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을 결정한다.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1,1,1,1}이면, 이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이 4개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함을 나타내고, 이 4개의 코딩 블록 그룹;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1,1,1,0} 또는 {0,1,1,1}이면, 이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3개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함을 나타내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1,1,0,0} 또는 {0,0,1,1}이면, 이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2개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함을 나타내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이 {1,0,0,0} 또는 {0,0,0,1}이면, 이는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이 하나의 코딩 블록 그룹을 포함함을 나타낸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기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하기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우선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다음으로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함을 보아낼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스케줄링된 새로운 전송 블록의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여 단말기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이는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감소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인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이다.
상기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는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측 기기는 우선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함을 보아낼 수 있다.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스케줄링된 새로운 전송 블록 중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여 단말기가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의 수에 기반하여 피드백된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비트 수를 결정하는 것을 실현할 수 있고, 이는 업 링크 제어 시그널링의 오버헤드의 감소에 유리하다는 것을 보아낼 수 있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 상기 새로운 전송 블럭 중의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의 명령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서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지시하되, K는 양의 정수인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지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한 후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이다.
상기에서는 주로 각 내트워크 요소 간의 상호 작용 관점에서 본 발명 실시예의 방안을 설명하였으나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기기는 상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수행되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하드웨어 구조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문에서 공개된 실시예에 설명된 각 예시적 유닛 및 알고리즘 단계를 결부하여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을 통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될지는 기술 방안의 특정 애플리케이션과 설계 제약 조건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전문 기술자는 각각의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방법의 예시에 따라 단말기와 네트워크 측 기기에 대해 기능 유닛의 분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기능에 대응하여 각 기능 유닛을 분할 할 수 있고 두개 또는 두개 이상의 기능을 하나의 처리 유닛에 집적시킬 수 있다. 상기 집적된 유닛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유닛에 대한 분할은 예시적인 것으로 논리적 기능 분할일 뿐 실제 구현시 다른 분할 방식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집적된 유닛을 적용하는 경우,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기의 가능한 기능 유닛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단말기(600)는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처리 유닛(602) 및 통신 유닛(60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602)은 단말기가 도 2a의 단계(2a02 내지 2a03), 도 2b의 단계(2b02 내지 2b06)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기타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통신 유닛(603)은 단말기와 다른 기기,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네트워크 측 기기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단말기는 단말기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6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유닛(602)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재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처리 유닛(602)은 본 발명에 공개된 내용과 결부시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유닛(603)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6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602)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한다.
상기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한 후, 또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송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이다.
처리 유닛(6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6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저장 유닛(601)이 메모리인 경우, 본 발명 실시예에 언급된 단말기는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일 수 있다.
집적된 유닛을 적용하는 경우,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측 기기의 가능한 기능 유닛의 구성 블록도를 도시하는 것으로, 네트워크 측 기기(700)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처리 유닛(702) 및 통신 유닛(70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처리 유닛(702)은 네트워크 측 기기가 도 2a의 단계(2a01), 도 2b의 단계(2b01, 2b07) 및/또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의 기타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통신 유닛(703)은 네트워크 측 기기와 다른 기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단말기와의 통신을 지원한다. 네트워크 측 기기는 네트워크 측 기기의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7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처리 유닛(702)은 프로세서 또는 컨트롤러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현장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논리 소자,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하드웨어 부재 또는 그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처리 유닛(702)은 본 발명에 공개된 내용과 결부시켜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 모듈 및 회로를 구현하거나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또한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조합,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조합 등을 포함하는 컴퓨팅 기능을 구현하는 조합일 수 있다. 통신 유닛(703)은 송수신기, 송수신 회로 등일 수 있고, 저장 유닛(701)은 메모리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처리 유닛(702)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서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지시하되, K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지시한다.
상기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한 후, 또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수신한다.
하나의 가능한 예시에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이다.
처리 유닛(702)이 프로세서이고 통신 유닛(703)이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저장 유닛(701)이 메모리인 경우, 본 발명 실시예에 언급된 네트워크 측 기기는 도5에 도시된 네트워크 측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른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부분만 도시되어 있는 바, 구체적인 기술 내용이 기재되지 않은 부분은 본 발명 실시예의 방법 부분을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 단말기는 휴대폰, 태블릿 컴퓨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개인 정보 단말기), POS(Point of Sales, 판매시점 단말기), 차량용 컴퓨터 등 임의의 단말기일 수 있으며, 단말기가 휴대폰인 경우를 예로 들면 하기와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단말기와 관련된 휴대폰의 부분 구조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휴대폰은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회로(910), 메모리(920), 입력 유닛(930), 표시 유닛(940), 센서(950), 오디오 회로(960), 와이파이(Wireless Fidelity, WiFi) 모듈(970), 프로세서(980) 및 전원(990) 등 부재를 포함한다. 당업자는 도 8에 도시된 휴대폰 구조는 휴대폰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도시된 것보다 더 많거나 적은 부재 또는 일부 부재의 조합이거나 상이한 부재 배치를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도 8을 결부시켜 휴대폰의 각 구성 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RF 회로(910)는 정보의 수신 및 송신에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RF 회로(910)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송수신기, 커플러,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 듀플렉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밖에, RF 회로(910)는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및 다른 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이동 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전자 메일, 쇼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통신 표준 또는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모리(920)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80)는 메모리(92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모듈을 실행시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적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920)는 주로 프로그램 저장 영역 및 데이터 저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 저장 영역은 운영 체제, 적어도 하나의 기능에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저장 영역은 휴대폰의 사용에 따라 생성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 메모리(92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자기 디스크 메모리 소자, 플래시 메모리 소자, 또는 기타 휘발성 솔리드 메모리 소자와 같은 비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입력된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수신하고 휴대폰의 사용자 설정 및 기능 제어와 관련된 키 신호 입력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유닛(930)은 지문 식별 모듈(931) 및 기타 입력 기기(932)를 포함할 수 있고, 지문 식별 모듈(931)은 사용자에 존재하는 지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입력 유닛(930)은 지문 식별 모듈(931) 외에 기타 입력 기기(93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타 입력 기기(932)는 터치 스크린, 물리적 키보드, 기능 키(예를 들어, 볼륨 제어 버튼, 스위치 버튼 등), 트랙볼, 마우스, 조이스틱 등 중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표시 유닛(94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 및 휴대폰의 다양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 가능하게,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등 형태로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서, 지문 식별 모듈(931) 및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은 2개의 독립된 부재로서 휴대폰의 입력 및 입력 기능을 구현하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지문 식별 모듈(931)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을 집적시켜 휴대폰의 입력 및 재생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휴대폰은 광 센서, 모션 센서 및 기타 센서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센서(9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센서는 환경 광 센서 및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환경 광 센서는 환경 광선의 밝기에 따라 디스플레이 스크린(941)의 밝음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근접 센서는 휴대폰이 귀가로 이동시 디스플레이 스크린(941) 및/또는 백 라이트를 끌 수 있다. 일종의 모션 센서로서, 가속도 계산 센서는 각 방향(일반적으로는 3개의 축)에서 가속도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으며, 정지시 중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폰 자세를 식별하는 응용(예를 들면 수평 및 수직 화면 전환, 관련 게임, 자력계 자세 보정), 진동 인식 관련 기능(예를 들면 만보계, 태핑) 등을 인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휴대폰에는 자이로 스코프,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적외선 센서 등 기타 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오디오 회로(960), 스피커(961), 마이크로폰(962)은 사용자와 휴대폰 사이의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회로(960)는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켜 스피커(961)에 전송하고, 이는 스피커(961)에 의해 사운드 신호로 변환되어 재생된다. 한편, 마이크로폰(962)은 수집한 사운드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이는 오디오 회로(960)에 의해 수신되어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 후 재생 프로세서(980)에 의해 처리되어RF 회로(910)를 거쳐 예를 들어 다른 휴대폰에 송신되거나 추가 처리를 위해 메모리(920)에 재생된다.
WiFi는 단거리 무선 전송 기술로서, 사용자에게 무선 광대역 인터넷 액세스를 제공한다. 휴대폰은 WiFi 모듈(970)을 통해 사용자가 전자 메일을 송수신하고 웹 페이지를 검색하며 스트리밍 미디어에 액세스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비록 도 8에 WiFi 모듈(970)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휴대폰의 필수 구성에 속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본질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필요에 따라 생략 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프로세서(980)은 휴대폰의 제어 중심으로서 다양한 인터페이스 및 라인을 이용하여 전체 휴대폰의 각 부분을 연결하며, 메모리(920)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모듈을 실행 또는 수행하고 메모리(920)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호출시켜 휴대폰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휴대폰의 전반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 선택 가능하게, 프로세서(98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프로세서(980)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모뎀 프로세서를 집적할 수 있으며,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주로 운영 체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애플리케이션 등을 처리하고, 모뎀 프로세서는 주로 무선 통신을 처리한다. 상기 모뎀 프로세서는 프로세서(980)에 집적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휴대폰은 또한 다양한 부재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990)(예를 들어, 배터리)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전원은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프로세서(980)에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전원 관리 시스템을 통해 충전, 방전 및 전력 관리 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폰은 카메라, 블루투스 모듈 등을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2a-2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단계의 방법 중 단말기 측 프로세스는 상기 휴대폰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도 4,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유닛의 기능은 상기 휴대폰의 구조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기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네트워크 측 기기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해 컴퓨터가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단말기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것으로, 여기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 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조작을 통해 컴퓨터가 상기 방법 실시예 중 네트워크 측 기기에 설명된 단계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의 소프트웨어 설치 패키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소프트웨어 명령을 실행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명령은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전기적 소거 및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이동식 하드 디스크, 시디롬(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물론, 저장 매체는 또한 프로세서의 구성 부분일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밖에, 상기 ASIC는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타겟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 위치할 수 있다. 물론,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 장치, 타겟 네트워크 장치 또는 코어 네트워크 장치에서 개별 컴포넌트로서 존재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예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설명된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전부 또는 일부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또는 복수의 컴퓨터 명령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이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프로세스 또는 기능은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발생된다. 상기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머블 장치일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명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되거나 하나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로 전송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명령은 하나의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무선, 마이크로파 등) 방식을 통해 다른 웹 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액세스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여 집적된 서버, 데이터 센터 등과 같은 데이터 저장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igital Video Disc,DVD)), 또는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SSD)) 등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를 통해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유익한 효과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였으나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 실시예의 실시를 위한 형태일 뿐 본 발명 실시예의 보호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 실시예의 기술 방안에 기반한 모든 수정, 균등한 교체,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 실시예의 보호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0)

  1. 단말기가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인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단계 이후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에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6. 네트워크 측 기기가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인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 중의 상기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지시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서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지시하되, K는 양의 정수인 단계;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단계 이후 상기 데이터 지시 방법은,
    상기 네트워크 측 기기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의 K 비트에 대한 확인(ACK) 또는 비확인(NACK)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새로운 데이터 지시 정보 도메인(NDI)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지시 방법.
  11.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네트워크 측 기기로부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며;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결정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에 따라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결정하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 중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결정하되, K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처리 유닛 및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유닛이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단말기에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을 송신하되,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은 제1 정보 도메인 및 제2 정보 도메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새로운 전송 블록인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고;
    상기 처리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은 비트 맵(Bitmap) 방식을 적용하여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코딩 블록 그룹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 및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를 지시하는 양태에 있어서, 상기 처리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정보 도메인을 통해 상기 다운 링크 제어 시그널링에 의해 스케줄링된 전송 블록이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임을 지시하고; 상기 제2 정보 도메인에서 처음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기설정된 값이거나 마지막 K개 비트의 값이 모두 상기 기설정된 값임을 지시하되, K는 양의 정수이며; 상기 새로운 전송 블록에 포함된 코딩 블록 그룹의 수가 K임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측 기기.
  17. 프로세서, 메모리, 통신 인터페이스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지시 방법 중 단계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8. 프로세서, 메모리, 송수신기 및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로그램은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지시 방법 중 단계의 명령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네트워크 측 기기.
  19.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20. 전자 데이터 교환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되,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데이터 지시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97034588A 2017-07-07 2017-07-07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 KR1023767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2213 WO2019006742A1 (zh) 2017-07-07 2017-07-07 数据指示方法及相关产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860A true KR20200019860A (ko) 2020-02-25
KR102376740B1 KR102376740B1 (ko) 2022-03-21

Family

ID=64950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588A KR102376740B1 (ko) 2017-07-07 2017-07-07 데이터 지시 방법 및 관련 제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10897328B2 (ko)
EP (2) EP3823192A1 (ko)
JP (1) JP7029474B2 (ko)
KR (1) KR102376740B1 (ko)
CN (3) CN109644072B (ko)
AU (1) AU2017422168A1 (ko)
BR (1) BR112019023755A2 (ko)
CA (1) CA3063238C (ko)
DK (1) DK3493441T3 (ko)
ES (1) ES2858301T3 (ko)
IL (1) IL270775B2 (ko)
MX (1) MX2019013470A (ko)
PH (1) PH12019502596A1 (ko)
RU (1) RU2743666C1 (ko)
WO (1) WO2019006742A1 (ko)
ZA (1) ZA2019075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70775B2 (en) 2017-07-07 2023-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 method that specifies data and associated products
US10727986B2 (en) 2017-11-06 2020-07-28 Qualcomm Incorporated Robust acknowledgement retransmission
WO2021088011A1 (zh) * 2019-11-08 2021-05-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指示方法、接收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WO2021092955A1 (zh) * 2019-11-15 2021-05-2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下行控制信令接收方法、网络设备、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1585B (zh) * 2006-10-02 2014-03-26 Lg电子株式会社 多载波系统中重传数据的方法
EP1981187A1 (en) 2007-04-11 2008-10-15 Axalto SA A content storing method in a mobile TV terminal for allowing more appearing channels to be available
US8559457B2 (en) 2007-06-18 2013-10-15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for dynamic interpretation of transport block size
JP5360198B2 (ja) * 2009-03-31 2013-12-04 富士通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基地局装置
CN101877887B (zh) 2009-04-30 2012-12-05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协作多点传输系统的下行传输控制方法和装置
CN101631374B (zh) * 2009-08-05 2016-09-2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下行传输方式的指示方法及装置
US8724648B2 (en) * 2009-09-30 2014-05-13 Nokia Corporation Enhanced control signaling for backhaul link
CN102859896B (zh) * 2010-02-23 2016-05-18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上行链路多天线传输的无线通信系统中提供用于上行链路传输的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CN102083223A (zh) * 2010-03-05 2011-06-01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发送dci和上行传输的方法、系统及装置
AU2011324151B2 (en) * 2010-11-03 2016-02-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ding of HARQ-ACK transmission in TDD systems with DownLink carrier aggregation
CN102571298B (zh) * 2010-12-31 2015-01-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传输数据块的方法及设备
WO2012150793A2 (ko) * 2011-05-03 201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4113924B (zh) * 2013-04-17 2019-04-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多子帧调度方法、装置及系统
WO2015114525A1 (en) * 2014-01-30 2015-08-0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256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user equipment category handling
WO2016032293A2 (ko) * 2014-08-28 2016-03-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참조 신호 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7183896A1 (ko) * 2016-04-22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ack/nack 신호를 전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567142B2 (en) * 2017-03-23 2020-02-18 Apple Inc. Preemption indicators and code-block-group-based retransmission techniques for multiplexing different services on physical layer frames
IL270775B2 (en) 2017-07-07 2023-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A method that specifies data and associated product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0766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907528B (en) 2021-04-28
WO2019006742A1 (zh) 2019-01-10
US20210091888A1 (en) 2021-03-25
IL270775B1 (en) 2023-05-01
IL270775B2 (en) 2023-09-01
RU2743666C1 (ru) 2021-02-24
US11368252B2 (en) 2022-06-21
KR102376740B1 (ko) 2022-03-21
CN109644072B (zh) 2020-08-21
EP3493441A4 (en) 2019-10-23
ES2858301T3 (es) 2021-09-30
US10897328B2 (en) 2021-01-19
PH12019502596A1 (en) 2020-06-08
CN109644072A (zh) 2019-04-16
EP3823192A1 (en) 2021-05-19
EP3493441B1 (en) 2021-01-27
AU2017422168A1 (en) 2019-12-12
EP3493441A1 (en) 2019-06-05
BR112019023755A2 (pt) 2020-05-26
CA3063238A1 (en) 2019-12-03
IL270775A (en) 2020-01-30
JP7029474B2 (ja) 2022-03-03
CN111770579A (zh) 2020-10-13
CA3063238C (en) 2022-11-29
MX2019013470A (es) 2020-02-13
US20190199479A1 (en) 2019-06-27
CN111770579B (zh) 2022-11-08
DK3493441T3 (da) 2021-03-29
JP2020530215A (ja) 2020-10-15
CN111769931A (zh) 2020-10-13
CN111769931B (zh) 202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1136B1 (ko) 정보 전송 방법 및 관련 제품
US11368252B2 (en) Data indicating method and related products
US11082995B2 (en) Data transmission method, network side device and terminal
EP3624377B1 (en) Method for determining total number of bits of feedback response information and related product
KR102339933B1 (ko) 데이터 재전송 제어 방법 및 관련 제품
RU2745791C1 (ru) Способ передачи ответной информации обратной связи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продукт
WO2019080092A1 (zh) 多比特信息复用传输方法及相关产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