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241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8241A KR20200018241A KR1020190085056A KR20190085056A KR20200018241A KR 20200018241 A KR20200018241 A KR 20200018241A KR 1020190085056 A KR1020190085056 A KR 1020190085056A KR 20190085056 A KR20190085056 A KR 20190085056A KR 20200018241 A KR20200018241 A KR 202000182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ermanent magnet
- housing
- coil
- drum
- t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2—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the metal pieces being rotated while induction heate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2—Cooling of coi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도가열장치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되며,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을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사이에 위치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션 모듈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터브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과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되며,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을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사이에 위치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덕션 모듈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터브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에는 의류 세탁을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건조를 주 목적으로 하는 세탁기 그리고 리프레시를 주 목적으로 하는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가 있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세탁은 물과 세제를 투입해 기계적인 작용을 이용하여 옷에 묻어 있는 오염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하며, 건조는 젖어 있는 세탁물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과정을 말한다.
세탁 과정에서, 온도가 높은 세탁수를 이용해 세탁을 하면 더 많은 세제가 용해될 수 있어 세탁물에 묻은 오염물을 보다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동시에, 세탁물이 살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에 투입되는 세탁물이 영구적으로 변형(예를들어, 수축, 뒤틀림, 방수기능상실 등)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척수의 온도를 높여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에는 세탁물에 접촉하는 세척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류처리장치의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받거나,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열선에 세척수를 접촉시켜 터브에 온수를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외부에서 온수를 공급받는 방식은 별도로 외부 보일러를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설치된 열선를 이용하는 방식은 열선이 세탁수에 지속적으로 잠겨있어야 하기 때문에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를 구비해야만 하는 구조적인 한계가 있다.
한편, 건조과정에서는 종래 터브와 외부 순환 유로를 순환하는 공기를 가열시켜 세탁물을 건조하는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공기가 순환하는 유로 상에 열선을 배치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방식을 사용해왔다.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열선을 가열할 수 있는 가스 히터나 전기 히터가 필요하나, 가스 히터는 안전성과 배기가스에 대한 문제가 있으며, 전기 히터는 스케일과 같은 이물질이 누적될 수 있으며 과도한 에너지를 소모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열풍 건조방식 외에도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 제습 건조방식이 있다. 히트 펌프는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반대로 이용하는 것으로, 따라서 증발기, 응축기, 팽창밸브 그리고 압축기와 같은 동일한 구성들을 필요로 한다. 에어컨에서 실내 공기를 낮추기 위해서 실내기에 응축기가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히트 펌프 건조기에서는 증발기에서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를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히트펌프는 다른 열풍공급구조에 비해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하며, 생산 단가가 큰 문제가 있다.
나아가, 위의 열풍 건조방식과 저온 제습 건조방식의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공기를 이용한 간접 건조방식이므로, 세탁물이 뭉쳐져 있거나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 많을 경우 건조시간이 길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가열수단으로서의 전기 히터, 가스 히터 그리고 히트 펌프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사이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가열 수단으로 유도 가열을 이용한 의류처리장치에 대한 컨셉들(일본등록특허 JP2001070689, 한국등록특허 KR10-922986)이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런 선행 기술들은 세탁기에서 유도 가열을 수행하는 기본 컨셉들에 대해서만 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유도 가열 모듈 구성들, 의류처리장치의 기본 구성들과의 연결 및 작용 관계, 그리고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 내지는 구성들이 제시되고 있지 않다.
세탁기,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의 경우 구동 시, 의류처리장치의 내부에서 드럼이 회전하며 드럼 내부에 수용되는 세탁물의 세척, 건조를 수행하게 되며, 이 때 드럼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유도 가열 모듈을 이루는 구성들이 탈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즉, 상기 유도 가열 모듈을 이루는 구성들의 안정적인 설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유도 가열 원리를 적용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 효율 증진과 안전성 확보 및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 사상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수를 가열하거나, 세탁 대상물을 건조 시킬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덕션 모듈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덕션 모듈의 안정적인 체결을 통해 드럼의 진동에도 인덕션 모듈을 형성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덕션 모듈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이 상기 인덕션 모듈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의 진동에도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인덕션 모듈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인덕션 모듈을 이루는 각 구성의 안정적인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의 중앙과 전후방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이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 대상물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의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되며,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을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둘레에서 상기 개방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개방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거 상기 지지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지지부 사이의 이격된 공간과 상기 개방부는 서로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부를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 선단에서 상기 장착부를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리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또는 커버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또는 커버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홈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후크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후크는 동일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하우징,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커버 하우징은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는 장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터브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터브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에 나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덕션 모듈이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특징들은 다른 실시예들과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인덕션 모듈의 체결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인덕션 모듈의 안정적인 체결을 통해 드럼의 진동에도 인덕션 모듈을 형성하는 부품의 이탈을 방지하고, 의류처리장치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드럼의 중앙과 전후방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여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드럼을 직접 가열하여 세탁 대상물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기장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가열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덕션 모듈의 체결력을 강화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터브의 진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도 1은 세탁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인덕션 모듈 및 드럼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코일과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곡선부 곡률 반경이 동일한 코일을 나타내고, 도 4(b)는 내측코일과외측코일의 곡선부 곡률반경이 상이한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7는 터브,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b)는 영구자석 장착부의 단면이다.
도 9은 인덕션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0의 영구자석 하우징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영구자석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인덕션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베이스 하우징과 영구자석 하우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커버과 영구자석 하우징을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의 커버 하우징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인덕션 모듈 및 드럼의 정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3은 코일과 영구자석의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4(a)는 곡선부 곡률 반경이 동일한 코일을 나타내고, 도 4(b)는 내측코일과외측코일의 곡선부 곡률반경이 상이한 코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코일이 장착되는 베이스 하우징의 형상에 따른 드럼의 위치별 온도상승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는 베이스 하우징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도 7는 터브, 베이스 하우징 및 커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커버의 배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8(b)는 영구자석 장착부의 단면이다.
도 9은 인덕션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0의 영구자석 하우징은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영구자석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인덕션 모듈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베이스 하우징과 영구자석 하우징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9의 커버과 영구자석 하우징을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도 9의 커버 하우징은 변형예를 나타내는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과 동일 또는 균등 범위 내의 실시라고 볼 수 있는 다른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또한, 이하에 기술되는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 표현된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나, 본 명세서에서 정의한 의미와 상이한 경우 본 명세서에 정의된 의미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되는 구성요소들 중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거나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구비"된다고 표현된 경우, 직접 접촉하여 연결되거나 구비된 경우도 포함하지만, 어떤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의류처리장치(1)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00),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터브(2000), 상기 터브(20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 건조대상물 또는 리프레쉬 대상물이 수용되는 드럼(30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써, 터브(2000)에 세탁수가 저수되어 상기 터브(20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드럼을 통해서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만약, 본 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가 건조기에 적용될 경우 상기 드럼의 내부에는 건조대상물이 수용될 수 있고 이 경우에는 터브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의류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의류처리장치(1)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되 세탁물의 투입이 가능한 투입구(1100)가 구비된 캐비닛(1000), 상기 캐비닛(100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1100)와 연통하는 개구부(2200)가 구비된 터브(2000), 상기 터브(2000) 내부에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3000), 세탁물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1000)에 힌지 결합된 도어(6000) 및 자기장으로 상기 드럼(3000)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50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브(2000)는 도 1과 같이 캐비닛(1000) 내부 상면에 구비된 스프링과 하면에 구비된 댐퍼(1200)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00) 후방에서 터브(2000) 하부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방 지지부(미도시)와, 후방 지지부에 연결되되 스프링과 댐퍼를 구비한 서스펜션(미도시)에 의해 상기 캐비닛(1000) 내부 하면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이 경우, 터브(2000)의 후방은 캐비닛(1000) 내부에서 소정 각도 기울어져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00)은 상기 터브(2000) 내부에서 회전되도록 구비되는데, 이 때 드럼(300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4000)는 터브(2000)의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드럼(3000)이 회전하면서 터브(2000) 내부에서 유동하면 터브(200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된다. 따라서, 터브(2000)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며, 진동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터브(2000)는 내부에 세탁수를 공급받는 경우 급수관(8000)을 구비할 수도 있다. 급수관(8000)은 캐비닛(1000)에 구비된 세제박스(D)를 경유하여 터브(2000)에 연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는 세탁수의 급수시 세탁과정에서 사용되는 세제도 함께 터브(20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터브(2000)는 내부에 저장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관(700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배수가 시작되면, 세탁수는 상기 터브의 하부에서 배수되게 되고 배수펌프(미도시)에 의해 배수관(7000)을 거쳐 의류처리장치(1)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세탁기능이 있는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세탁물에 따라 영구 손상(예를들어, 수축, 뒤틀림, 방수기능상실 등)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탁수의 온도를 높여 세탁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가열구조가 필요하다.
그리고, 세탁기능과 건조기능을 겸용한 의류처리장치(1)와 건조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의류처리장치(1) 모두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가열구조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의 가열하기 위해 또는 건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인덕션 모듈(500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인덕션 모듈(5000)을 이용하여 드럼(3000)을 가열하는 원리를 설명한다.
상기 인덕션 모듈(5000)은 터브(2000)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와이어(5151)가 권선된 코일(5150)에 전류가 인가되어 발생되는 자기장을 통해서 상기 드럼(3000)의 원주면을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와이어, 코일의 형상은 도 3 참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물에 의한 세탁이 수행되지 않는 건조기의 경우에는 터브가 생략될 수 있으므로, 상기 건조기에서의 인덕션 모듈은 상기 인덕션 모듈을 장착하기 위한 프레임이나 브라켓이 구비되어 터브의 역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레임이나 브라켓은 터브와 마찬가지로 상기 인덕션 모듈을 상기 드럼에 소정 간격 이격시켜 고정시키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5151)는 심선과 심선을 감싸는 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심선은 단일 심선일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심선이 얽혀 하나의 심선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5151)의 두께 내지는 선경은 심선과 코팅 두께에 의해서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코일(5150)이 드럼(3000)을 가열하는 방식을 설명하면, 드럼(3000) 원주면 외측에 있는 코일(5150)에 전류의 위상이 변하는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고, 앙페르 회로 법칙에 따라 코일(5150)은 방사형의 교류자기장을 형성하게 된다.
이 교류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 쪽으로 집중되게 된다. 여기서 투자율이란, 매질이 주어진 자기장에 대해 자화하는 정도를 말한다. 이때 패러데이의 유도 법칙에 따라 드럼(3000)에는 와전류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 와전류는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을 타고 흐르다가 드럼(3000) 자체의 저항에 의해 줄열로 전환되게 되고, 이에 따라 드럼(3000) 내벽이 직접 가열되게 된다.
드럼(3000)의 내벽이 직접 가열되면 드럼(3000) 내부의 공기온도와 드럼(3000) 내벽에 접촉하고 있는 세탁물의 온도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세탁물의 직접가열이 가능하므로 간접 가열방식인 열풍 건조방식이나, 저온 제습 건조방식만을 사용하는 건조 장치에 비해 더 빠른 건조가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세탁기능을 가진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별도의 열선과 유로를 구비하지 않고도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게 되고, 세탁수는 드럼(3000) 내외벽에 계속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터브 하부에 별도의 유로와 열선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해 가열하는 방식에 비해 더 빠른 세탁수 가열이 가능하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코일의 형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와이어(5151)가 터브(2000) 외주면 외측에 권선된 코일(5150)의 상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여러 가지의 코일 형상을 나타낸다.
코일(5150)은 터브(2000) 외주면 상에서 동심원, 타원, 트랙형상 등 와이어(5151)가 권선되어 코일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면 어떤 형태로든 구비될 수 있으나, 권선된 모양에 따라 상기 드럼(3000)의 가열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왜냐하면, 도 4(b)에 개시된 코일의 형태와 같이 곡선부의 곡률반경이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다르게 형성되면, 드럼(3000)의 중심방향에 전달되는 자기장과 전방 및 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현격하게 차이가 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드럼(3000) 전후방 근처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이 좁게 형성되기 때문에 드럼(3000)의 원주면 전방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을 수 밖에 없고, 중앙부(A)에 위치한 코일의 면적은 넓기 때문에 드럼(3000)의 원주면 중심부에 전달되는 자기장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드럼(3000)을 균일하게 가열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5150)은 도 4(a)에서 볼 수 있듯이 직선부(5155, 5156, 5157)와 곡선부(5153)를 구비하도록 와이어(5151)가 권선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5153)를 형성하는 와이어(5151)의 곡률 반경은 내측코일과 외측코일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의 코일과 도 4(b)에서의 코일에서 모서리 부분에서 코일의 면적은 확연히 차이가 남을 알 수 있다.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와 곡선부(5153)의 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면,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는 터브(2000)의 외주면 전방에 구비된 전방 직선부(5156)와 터브(2000)의 외주면 후방에 구비된 후방 직선부(5157)를 포함하는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상기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수직하게 형성된 세로 직선부(515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곡선부(5153)는 가로 직선부(5156, 5157)와 세로 직선부(5155)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게 된다.
즉, 전방 직선부(5156), 후방 직선부(5157), 양측의 세로 직선부(5155) 및, 상기 직선부(5155, 5156, 5157) 사이에 형성되며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진 4개의 곡선부(5153)로 상기 코일은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터브(2000)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와 상기 터브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B1, B2)와, 상기 코일 양단부(B1, B2) 사이에 위치한 코일 중앙부(A)의 가로 폭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코일의 양단부(B1, B2)에서 드럼(3000)의 원주면 전방 및 후방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과, 코일의 중앙부(A)에서 드럼(3000)의 원주면 중앙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비슷하게 된다.
따라서, 드럼(3000)의 원주면 중앙과 전후방 모두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코일 형상에 따른 드럼의 온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5를 보면, 각기 다른 세로길이를 가진 코일(5150)과, 상기 코일(5150)의 세로폭에 따른 드럼(3000) 원주면의 가열 분포가 나타나 있다.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드럼의 각 위치를 표시하는 것으로, '1'은 드럼의 외주면 후방이며 '5'는 드럼(3000)의 외주면 전방을 나타내고 '2 내지 5'는 그 사이 구간을 나타낸다. 또한, 가로축은 드럼(3000)의 온도 상승률을 나타내고 있다.
이하, 설명되는 코일(5150)의 세로폭 및 드럼(3000)의 온도상승률은 도 5에 개시된 각각의 코일(5150)을 대상으로 상대적으로 비교한 것이다. 도 5(a)는 세로폭이 가장 넓은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며, 도 5(b)는 중간 정도 넓이의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고, 도 5(c)는 가장 좁은 세로폭을 가진 코일을 이용해 드럼을 가열한 경우이다.
도 5(a)의 코일은 다른 코일에 비해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균일한 온도상승율을 보이고 있으며, 도 5(c)의 코일은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의 온도상승율 차이가 현격하며, 도 5(b)의 코일 역시 상대적으로 많은 온도상승률 차이를 보이고 있다.
즉, 각각의 코일(5150)의 가로폭이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코일(5150)의 세로폭이 길어질수록 드럼(3000)의 전후방과 중심부가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됨을 볼 수 있다. 즉, 타원 또는 트랙 형상의 코일의 장축은 터브의 전후 방향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터브(2000) 외주면에 코일(5150)이 구비되는 경우로 해석하면, 코일(5150)의 양단부(B1, B2)가 터브(2000)의 전방에 가깝게 구비될수록 터브(2000) 내부에 구비된 드럼(3000)의 원주면은 더 균일하게 가열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편, 가로 직선부(5156, 5157)의 최외측 와이어가 터브(2000) 전후방까지 확장되도록 구비되면 드럼(3000)이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는 있겠지만, 이 경우 자기장이 전후방으로 지나치게 확장되어 구동부(4000)나 도어(6000) 등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구성들을 가열하게 되므로, 의류처리장치(1)에 손상을 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터브(2000)의 후방이 캐비닛(1000) 내부에서 기울어져 구비되어 있는 의류처리장치(1)의 경우, 터브(2000)가 상하로 진동하면서 인덕션 모듈(5000)의 전방 상부 모서리와 캐비닛(1)상면과의 간섭이 생겨 인덕션 모듈(5000)과 캐비닛(1000)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캐비닛(1000)의 높이를 높이는 경우 컴팩트한 의류처리장치 구조를 구현할 수 없게 되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전방 직선부(5156)의 최외측 와이어는 터브(2000)의 최전방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후방 직선부(5157)의 최외측 와이어는 상기 터브(2000)의 최후방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소정간격은 10 내지 2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구성은 드럼(3000) 외에 다른 구성을 불필요하게 가열하거나, 인덕션 모듈(5000)과 캐비닛(1000) 내부 상면이 간섭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동시에, 드럼(3000)의 외주면을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코일(5150)의 세로 직선부(5155)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가로 직선부(5156, 5157)의 최외측 와이어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드럼(3000)의 둘레 방향으로 자기장이 지나치게 넓은 범위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드럼(3000) 외에 다른 구성을 가열하지 않도록 하며, 터브(2000)의 외주면상에 구비될 수 있는 스프링이나 다른 구성의 배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와이어(5151)가 권선되어 코일(5150)이 형성하는 면이 드럼(3000)의 원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드럼(3000)으로 향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를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인덕션 모듈(5000)이 작동되면 드럼(3000)을 회전시켜 드럼(3000)의 원주면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한편, 코일(5150)에서 생성된 자기장은 투자율이 큰 도체로 이루어진 드럼(3000)을 향해 방사되는 반면, 드럼(3000)의 반대 방향이나 전후방 및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도 일부 방사되게 된다.
그러므로, 코일(515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킬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인덕션 모듈(5000)은 영구자석(5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영구자석 및 영구자석의 배치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구자석(5130)은 차단부재 역할을 하여 드럼(3000) 외에 주변의 다른 구성이 가열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코일(5150)에서 생성된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켜 가열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영구자석(5130)은 막대자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코일(5150)의 상부에 위치하되 코일(5150)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내부코일과 외부코일 동시에 커버하기 위함이다.
상기 영구자석(5130)은 동일한 크기의 막대자석이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영구자석(5130)은 코일(51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위치에만 영구자석(5130)이 배치되는 경우 드럼(3000)으로 방사되는 자기장의 양이 드럼(3000) 원주면의 각 부분마다 달라져 균일 가열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코일(5150)에서 생성되는 자기장을 드럼(5150) 방향으로 균일하게 유도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코일(515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같은 개수의 영구자석(5130)이 있다면 코일(5150)에서 터브(2000)의 전방 및 후방에 인접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3 (b)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5150)은 터브(2000)의 전방에 인접한 코일 전단부(B1)와 터브(2000)의 후방에 인접한 코일 후단부(B2)를 포함하는 코일 양단부(B1, B2)와, 상기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코일 전단부(B1)와 상기 코일 후단부(B2) 보다 더 넓게 형성된 코일 중앙부(A)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5130)은 코일 중앙부(A)보다 코일 전단부(B1) 또는 코일 후단부(B2)에 같거나 더 많은 개수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 중앙부(A)에서는 자기장이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 확장되도록 방사되게 되는데, 이 경우 드럼(3000)의 넓이 방향 폭이 코일 중앙부(A)의 폭보다 훨씬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많은 개수의 영구자석을 배치시키지 않아도 드럼(3000)의 폭방향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에서는 자기장이 코일(5150)의 좌우 측면으로 확장되도록 방사됨은 물론, 코일 전단부(B1)에서는 드럼(3000)의 전방으로, 코일 후단부(B2)에서는 드럼(3000)의 후방으로 방사되게 된다.
또한, 코일 전단부(B1)와 코일 후단부(B2)에서는 코일이 밀도가 상대적으로 작다. 즉, 모서리 부분의 라운드 형상에 의해서 코일의 밀도가 양단부에서 작아질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모서리 부분에서 이론적으로 수직하게 코일을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동일한 개수의 영구자석을 코일 전단부(B1), 코일 후단부(B2) 및 코일 중앙부(A)에 각각 배치할 경우, 드럼(3000)의 길이 방향으로 불균일 가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개수의 영구자석(5130)을 배치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영구자석(5130)은 코일의 중앙부(A)보다는 양단부(B1, B2)에 집중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드럼의 전후를 균일하게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드럼을 더욱 균일하게 가열하여 효율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코일 양단부(B1, B2)의 자속 밀도를 영구자석의 집중을 통해 높여, 결과적으로 드럼(30)이 길이방향으로 균일 가열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a)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영구 자석 개수를 전제로 하면, 중심부(A)에 위치되는 영구자석(76)을 양단부(B1, B2)로 위치시키는 것이 효율면에서 좋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을 통한 총 자속밀도가 정해지는 경우, 양단부에서의 자속밀도가 중심부에서의 자속밀도보다 커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코일(5150)의 권선 형태에 관한 실시예와 영구자석(5130)의 배치에 관한 실시예는 상충되지 않고 하나의 의류처리장치(1)에 모두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실시예만이 구현된 의류처리장치(1)보다 드럼(3000)을 더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세탁이나 건조과정에서 드럼(3000)이 회전하게 되면 터브(200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고, 터브(2000)에 장착된 구조들 역시 같이 진동하게 되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소음이 심해지거나 내구성이 약화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브(2000)가 진동하면 상기 터브(2000)에 설치된 코일(5150)도 진동하여, 상기 코일(5150)이 탈거되거나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상기 코일(5150)이 터브(2000)에 견고히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코일(5150)은 인덕션 모듈(5000)을 이용하여, 상기 터브(20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참조하여, 인덕션 모듈(5000)을 설명한다.
인덕션 모듈(5000)은 코일(5150)을 터브(2000)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 역할을 하며,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코일(515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터브(2000)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이스 하우징(5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에 장착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a)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을 나타내고, 도 6(b)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베이스 하우징(5100)을 설명한다.
도 6(a`) 및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은 코일(5150)의 와이어(5151)가 억지 끼움이 되도록 상기 와이어(5151)의 선경보다 폭이 좁은 코일 슬롯(5120)을 형성할 수 있으며, 코일 슬롯(5120)의 폭은 와이어(5151)의 선경의 93% 내지 97%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5151)가 상기 코일 슬롯(5120)에 억지 끼움되면,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와이어(5151)가 코일 슬롯(5120) 내부에 고정되어 코일(5150)이 유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코일 슬롯(5120)으로부터 코일(5150)이 이탈하지 않게 되며, 유동자체가 억제되기 때문에 유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코일 슬롯(5120)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510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고정 리브(51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리브(5121)의 높이는 상기 코일(5150)의 선경보다 크게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리브(5121)의 높이가 코일(5150)의 선경보다 크게 구비되어야 고정 리브(5121) 내벽과 의해 코일(5150)의 양면이 충분하게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은 후술할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의 녹임 처리와도 관련이 된다.
상술한 특징은 고정 리브(5121)가 인접한 와이어(5151)가 서로 분리 고정되도록 하므로 합선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5151)에 별도의 절연막을 입힐 필요가 없거나 절연막의 두께를 최소로 할 수 있어서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한다.
또한, 상기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은 상기 와이어(5151)가 삽입된 후 용융되어 상기 코일(5150)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은 녹임 처리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리브(5121)의 높이는 코일(5150)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와이어(5151) 선경의 1 내지 1.5배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6(a'')을 참조하면 와이어가 억지끼움된 후, 고정 리브(5121)는 상면이 가압되면서 용융될 수 있다. 그러면 도 6(a'')에서와 같이, 용융된 고정 리브(5121)의 일부분은 양쪽으로 퍼져 양측 와이어(5151)의 상부를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5151)를 사이에 두고 인접한 각각의 고정 리브(5121)는 코일 슬롯(5120)에서 와이어(5151)의 상부가 완전히 차폐되도록 용융되거나, 와이어(5151)의 상부에 와이어(5151) 선경보다 좁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용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 코일 슬롯(5120)은 양측의 와이어(5151)가 아닌 일측의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될 수 도 있으며, 이 경우 모든 고정 리브(5121)는 인접한 와이어(5151) 중 내측에 구비된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되거나, 외측에 구비된 와이어(5151)만을 덮도록 용융되어야 할 것이다.
코일(5150)을 코일 슬롯(512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시키는 것에서 나아가, 고정 리브(5121)의 상단을 녹임 처리를 하는 이유는 와이어(5151)가 이탈할 수 있는 경로를 물리적으로 차단 시킬 수 있고, 와이어(5151)의 유동을 방지하여 터브(2000) 진동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며, 부품 간 유격이 없어져 내구성을 향상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코일 슬롯(5120)은 상기 고정 리브(5121) 사이의 하부에 코일(5150)이 안착되는 슬롯 베이스(51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롯 베이스(5122)는 도 6(a'') 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면이 차폐되어 있으며 녹임 처리된 고정 리브(5121)와 함께 코일(5150)을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만, 슬롯 베이스(5122)의 일부가 개방되어 있어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슬롯 베이스(5122)에 구비된 개방 구조는 관통홀 내지는 관통부(5170)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내용에서는 코일(5150)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에 구비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코일(5150)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 구비되도록 고정 리브(5151)가 베이스 하우징(5100) 하부로 돌출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슬롯 베이스(5122)에 별도의 관통부를 구비하지 않아도 녹임 처리된 고정 리브(5121)들이 형성하는 공간이 관통부 역할을 하게 된다.
도 6(b)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그림과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는 상면과 관통하는 관통부(51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부(5170)는 코일(5150)이 터브(2000) 외주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된 구조로, 와이어(5151)가 권선된 모양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5151)가 권선된 모양을 따라 형성되면, 와이어(5151)에서 드럼(3000) 방향으로 자기장이 원활하게 방사되어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개방면을 따라 공기가 유동할 수 있으므로 과열된 코일(5150)이 빠르게 냉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6(b)을 보면 베이스 하우징(5100)의 하면에 상기 관통부와 교차하도록 형성된 베이스 지지바(5160)가 개시되어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5100)은 상기 베이스 지지바(5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지지바(5160)는 터브(2000) 외주면과 베이스 하우징(5100)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베이스 하우징(5100)의 중앙부(A) 양측의 고정점(5165)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5100) 양측에 구비된 베이스 체결부(5190)가 터브 외주면에 구비된 터브 체결부(2100)에 고정되면, 베이스 지지바(5160)에 의해 터브(2000) 외주면이 가압되게 되므로, 베이스 하우징(5100) 하면 전체가 터브(2000) 외주면에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더 강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7참조) 이에 따라, 터브(2000)가 진동하더라도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 외주면에서 쉽게 이동하거나 이탈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베이스 하우징(5100)과 터브(2000) 외주면의 체결력 향상을 위해,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와이어(5151)가 권선되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은 전술한 코일 곡선부(5153)의 곡률반경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특징에 대응되도록 고정 리브(5121)의 곡선부가 모두 동일 곡률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참조)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덕션 모듈(5000)은 코일 슬롯(5120)을 덮도록 상기 베이스 하우징(5100)과 결합하는 커버(5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5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면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며, 코일(5150) 및 영구자석(5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5300)의 하면은 베이스 하우징(5100)의 코일 슬롯(512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5300) 자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커버(53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을 참조하면, 커버(5300)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강 리브(537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보강 리브(5370)와 코일 슬롯(5120)의 상단이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강 리브(5370)의 하면이 코일 슬롯(5120)과 밀착하는 경우, 커버(5300) 하면의 전면이 코일 슬롯(5120)의 상단에 밀착되는 경우에 비해 좁은 면적에 더 많은 압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5300)는 더 견고하게 터브(2000) 외측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터브(2000)의 진동에도 불구하고 유격에 의한 소음이나 부품 이탈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코일(5150)의 길이 방향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515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전체를 가압하지 않고도 코일 전체를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커버(5300)와 코일(5150)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방열을 위해 공기가 유동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이러한 이격 공간 중 일부를 메우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됨과 동시에 코일의 고정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커버(5300)와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과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보강 리브(5370)는 코일(5150)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로 코일(5150)을 가압하는 수단이나 단계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영구자석(5130)은 베이스 하우징(5100)과 커버(530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5300)는 영구자석(5130)이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는 영구자석 장착부(5350)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5300)에 영구자석(5130)이 고정되면,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에 결합됨에 따라 영구자석은 코일(5150) 상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
영구자석(5130)은 효율적으로 자기장을 드럼(3000) 방향으로 집중시키기 위해 코일(5150) 상면의 특정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영구자석(5130)이 터브(2000)의 진동에 따라 유동하게 되면 소음 문제뿐만 아니라,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 장착부(5350)에 의해 영구자석(5130)은 베이스 하우징(5100)과 커버(5300) 사이에서 초기에 배치되었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되므로 가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더욱 세부적으로, 영구자석 장착부(5350)는 커버(53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되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양측벽으로 형성되고, 영구자석 장착부(5350)에 장착된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코일(5150)의 일면과 마주할 수 있는 하부개방부(535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양측벽에 의해 영구자석(5130)의 좌우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며, 하부개방부(5352)는 영구자석(5130)이 코일(5150)의 상면과 더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
영구자석(5130)이 코일(5150)에 더 근접하여 구비될수록 자기장은 드럼(3000) 방향으로 더 집중적으로 안내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드럼(300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5130)는 상기 양측벽의 일단에 상기 커버(53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내측벽(5354)과, 상기 내측벽과 마주보는 면에 개방면을 형성하되 상기 영구자석(5130)이 커버(530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된 걸림부(535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영구자석(5130)은 상기 내측벽(5354)과 걸림부(5355)에 의해 전후 유동이 억제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3000)의 안정적이고 균일한 가열이 가능하게 되는 반면, 영구자석(5130)이 과열된 코일(5150)에 의해 같이 온도가 올라가게 되면 개방면을 통해 발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베이스 하우징(5100)은 상기 하부개방부(5352)가 형성하는 공간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영구자석(5130)의 하면을 가압하는 영구자석 가압부(5357)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판스프링 또는 고무소재의 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터브(2000)의 진동에 따라 영구자석(5130)에 진동이 전달되게 되면, 상기 영구자석(5130)은 하부의 코일 슬롯(5120)과 영구자석 장착부(535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유격에 의해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진동을 완충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유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진동에 의해 영구자석(5130)과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파손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체결력 향상과 안정적인 드럼(3000)의 가열을 위해, 영구자석 장착부(5350)의 하단이 상기 코일 슬롯(5120)의 상단과 밀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코일(5150)과 더 근접하여 구비될 수 있으므로 드럼(3000)이 더 균일하게 가열될 수 있으며, 영구자석(5130)의 하면이 보강 리브(5370)와 같은 역할을 하여 커버(5300)와 베이스 하우징(5100)의 밀착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베이스 하우징(5100)이 터브(2000)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경우, 커버(5300) 역시 같은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영구자석 장착부(5350)는 베이스 하우징(5100)에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5100)에서 고정 리브(5121) 상부에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구비되도록 베이스 하우징(51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영구자석 가압부(5357)는 커버(530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커버(5300) 및 베이스하우징(5100)이 터브(2000)에 결합되는 방식을 설명한다.
도 7에는 터브(2000), 베이스 하우징(5100) 및 커버(5300)의 체결 형태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조하면, 터브(2000)는 터브 체결부(2100)를, 베이스 하우징(5100)은 베이스 체결부(5190)를, 커버(5300)는 커버 체결부(5390)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의 터브 체결부(2100)는 터브 체결공을, 베이스 체결부(5190)는 베이스 체결공을 커버 체결부(5390)는 커버 체결공을 구비하며, 구비된 체결공은 모두 동일한 길이의 직경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하나의 나사로 동시에 터브(2000)와 베이스 하우징(5100) 그리고 커버(5300)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작과정에서 간편한 조립이 가능하며 원가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더불어, 상기 터브 체결부(2100), 베이스 체결부(5190) 및 커버 체결부(5390)는 코일의 양단부(B1, B2)가 터브(2000) 전후방에 인접하게 구비되는 경우 체결 공간 확보를 위해 코일(5150)의 양측으로 체결점이 회피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300)는 양측 모서리에 하방으로 돌출된 커버 장착 리브(538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커버(5300)가 베이스 하우징(5100)에 쉽게 제 위치에 장착될 수 있고, 커버(530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72)에는 팬 장착부(53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장착부(5360)는 커버(5300)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팬 장착부를 통해서 커버(5300) 내부 즉 인덕션 모듈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인덕션 모듈 내부에는 커버(5300)와 베이스 하우징(5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므로, 공기의 유동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는 내부 공간에서 코일(5150)을 냉각시키고 베이스 하우징의 관통부를 통해서 인덕션 모듈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덕션 모듈(5000)은 터브(200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터브(200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으며, 터브(2000)의 외벽과 함께 동일 원주면을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인덕션 모듈(5000)은 드럼(3000)의 외주면과 최대한 가깝게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인덕션 모듈(5000)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기장은 코일과의 거리가 증가될 수록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5300)에 다수의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5300)의 형상이 복잡해진다. 따라서 상기 커버(5300)를 제작하기 위한 사출 금형의 형상도 복잡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출 금형의 비용의 증가 및 품질의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커버(5300)의 저면에 영구자석 장착부(5350)가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 장착부(5350)의 측면에서 영구자석(5130)을 삽입시킨다. 따라서 영구자석 장착부(5350)에 영구자석(5130)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상기 영구자석(5130)의 파손시에 파손된 영구자석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한편 커버(5300)는 영구자석(5130)을 인서트 사출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영구자석(5130)의 갯수가 증가하면 제조 수율이 저하한다. 예를 들어, 영구자석(5130)의 갯수가 많아지면 영구자석(5130) 사이의 간격이 좁은 부분에서는 적절한 열전달이 되지 않거나 충분한 사출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높은 압력으로 인서트 사출을 하면, 인서트 사출 도중에 영구자석(5130)이 파손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한 인덕션 모듈을 제안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인덕션 모듈(50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인덕션 모듈(5000)은 코일(5150)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5100)과, 영구자석(5130)을 수용하는 영구자석 하우징(5500)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5500)을 덮는 커버 하우징(5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커버를 영구자석 하우징(5500)과 커버 하우징(5600)으로 분리하여 구성한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 영구자석(5130)을 위에서 아래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서 영구자석(5130)이 탈거되지 않도록 커버 하우징(5600)을 체결한다.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 하우징(5100)을 설명한다.
베이스 하우징(5100)은 대략 사각형 형상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 형상을 가지며, 베이스 하우징(5100)의 상부에는 코일(5150)이 수용된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5100)의 중앙 부근에는 관통부(5170a)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하우징(51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519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5190)는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5100)의 테두리에는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후크(5502)와 결합되는 고리(5102)가 구비된다. 고리(5102)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장변부의 양측에 각각 2개씩 모두 4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세한 결합구조는 후술함.)
베이스 하우징(5100)의 다른 부분의 구조는 상술한 실시예의 베이스 하우징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다른 구조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을 설명한다.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형상은 대략 베이스 하우징(51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영구자석 하우징(55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는 영구자석(5130)이 설치되는 장착부(5510)가 구비된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은 한 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다수의 장착부(55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5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5530)는 상하로 막히는 구조보다는 상하로 개방되어 코일(5150)에서 발생한 열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결부(5530)에는 상하로 개방된 관통부(55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5510)는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베이스 하우징(5100)의 중심 부근에서 테두리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5510)는 영구자석(5130)이 안착되는 부분이므로, 영구자석(5130)과 대응되는 형상 즉 폭이 좁은 장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장착부(5510)은 장변부 장착부(5510a), 단변부 장착부(5510b) 및 모서리부 장착부(5510c)를 포함할 수 있다. 장변부 장착부(5510a)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장변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 양쪽으로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단변부 장착부(5510b)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단변부의 대략 중앙 부근에 양쪽으로 각각 2개씩 구비될 수 있다. 모서리부 장착부(5510c)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중앙부에서 모서리 방향으로 각각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관통부(5520)는 상기 장착부(5510)가 구비되지 않은 부분, 예들 들어 상기 장착부(5510)와 이웃하는 장착부(5510)의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개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관통부(5520)는 장착부(5510)와 이웃하는 장착부 사이의 공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관통부(5520)는 코일(5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배출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강도를 유지하는 한도에서는 가능한 넓은 면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세히, 상기 영구자석(5130)아 장착되는 장착부(5510)의 두께는 2.0t, 상기 다수의 장착부(55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5530)의 두께는 1.5t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착부(5510)의 경우 영구자석(5130)이 안착되는 부분으로써, 강성 유지를 위해 연결부(5530)의 두께보다는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5530)는 상기 영구자석(513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코일(5150)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5100)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부(5510)의 두께보다는 더 얇게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영구자석(5130)에 고온의 열이 가해지게 되면, 원자들이 무질서하게 운동하면서 자성을 잃게 되며, 이럴 경우 상기 인덕션 모듈(5000)의 내구성 약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장착부(5510)와 연결부(5530)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500)의 하부면에서 형성되어 상기 코일(5150)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영구자석(5130)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559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5590)는 모서리 부분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테두리에는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후크(5502)가 구비되고, 상기 후크(5502)는 베이스 하우징(5100)의 고리(5102)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는 홈(5504)이 구비되며, 상기 홈(5504)은 커버 하우징(5600)의 후크(5604)와 결합된다. (상세한 결합구조는 후술함.)
다음으로, 커버 하우징(5600)을 설명한다.
커버 하우징(5600)의 형상은 대략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커버 하우징(5600)은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하우징(5600)의 중앙에는 관통부(5620)가 구비되며, 상기 관통부(5620)에는 팬(미도시)이 장착될 수도 있다. 커버 하우징(5600)의 모서리 부분에는 체결부(5690)가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5690)의 구멍은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5600)의 하부에는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홈(5504)과 결합되는 후크(5604)가 구비된다.(상세한 결합구조는 후술함.)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영구자석 하우징(55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영구자석(5130)을 안착하는 장착부(55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영구자석(5130)을 위에서 아래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영구자석 장착부(5510)에 영구자석(5130)을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영구자석 장착부(5510)에 안착된 영구자석(5130)은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5600)에 의하여 탈거가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55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5510)에는 영구자석(5130)이 위에서 아래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장착부(5510)는 상부에 개방부(5512a)가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5512a)로 영구자석(5130)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부(5510)는 영구자석(5130)이 고정되는 공간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장착부(5510)는 상기 개방부(5512a)의 하부로 연장되는 격벽(5512b)을 가지며, 상기 격벽(5512b)에 의하여 영구자석(5130)이 고정 지지된다. 상기 격벽(5512b)의 단면 형상은 대략 영구자석(5130)의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격벽(5512b)의 하부 선단에는 영구자석(5130)이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5512c)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5512c)는 상기 격벽(5512b)의 하부 선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 하우징(5500)은 장착부(5510)들을 연결하는 연결부(5530)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5530)는 장착부(5510)들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장착부(5510)들을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5530)는 상기 장착부(5510)의 격벽(5510b)의 소정 위치 예들 들어 상부 또는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그런데 코일(5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부(5530)는 상기 장착부(5510)의 상부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렇게 구성하면, 장착부(5510)와 이웃하는 장착부(5510) 사이의 공간(S)이 코일(5150)의 열을 방출하기 위한 대류 공간이 되기 때문이다. 즉, 코일(5150)에서 발생한 열은 대류 공간(S) 및 관통부(5520)를 통하여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각각의 관통부(5520)를 통과한 열은 중앙의 관통부(5520a)로 모인다.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중앙 관통부(5520a)에 모인 열은 커버 하우징(5600)의 중앙 관통부(56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 하우징(5600)의 중앙 관통부(5620)에 팬(미도시)을 설치하면, 방열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코일(5150)에서 발생되는 열을 인덕션 모듈의 형상을 이용하여 자연대류로 유도하여 상기 인덕션 모듈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여, 코일(5150)에 발생한 열을 자연대류에 의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구조를 설명한다.
베이스 하우징(5100)의 단면(C1)은 곡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코일(5150)에 의하여 드럼이 가열된다. 따라서 드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코일(5150)이 수용된 베이스 하우징(5100)은 드럼 및/또는 터브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선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은 중앙 부분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단면(C2, C3)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변부가 경사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 9 참조)
왜냐하면,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이 상방으로 경사지면, 바깥쪽 부분의 공간(D1)보다 중앙 부분의 공간(D2)이 커진다. 이러한 형상의 특성에 따라 코일(5150)에서 발생하는 열이 자연대류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안내된다.
따라서, 코일(5150)에서 발생한 열이 경사진 단면을 따라 상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커버 하우징(5600)의 중앙의 관통부(562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커버 하우징(5600)의 중앙 관통부(5620)에 팬을 설치하면, 열을 외부를 배출하는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 하우징(5100),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의 체결 구조를 설명한다.
인덕션 모듈(5000)은 유도 가열 원리를 이용한다. 따라서 나사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하며, 체결부의 위치도 코일(5150)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나사 등을 이용한 체결부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상 발열이 발생하면 나사 주변의 강도가 부분적으로 취약해져 나사가 풀릴 수 있다. 따라서 나사 등과 같은 자성체를 이용한 체결 이외에 다른 체결 방식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여, 베이스 하우징(51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체결구조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는 후크(5502)가 구비되며, 베이스 하우징(5100)에는 고리(5102)가 구비된다. 베이스 하우징(5100)의 장변부의 양쪽에 각각 2개씩 후크(55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응하여 고리(51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5502) 및 고리(5102)는 비자성체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5502)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502a)와, 상기 수직부(5502a)의 선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502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후크(5502)를 베이스 하우징(5100)의 고리(5102)에 위에서 아래로 눌러서, 상기 후크(5502)와 상기 고리(5102)를 체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51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이 후크(5502) 및 고리(5102)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만약 나사로 체결하는 체결부(5190, 5590)의 체결력이 약해져도 후크(5502) 및 고리(5102)에 의하여 베이스 하우징(51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커버 하우징(56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체결 구조를 설명한다.
커버 하우징(5600)에는 후크(5604)가 구비되며,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는 홈(5504)이 구비된다. 후크(5604)는 커버 하우징(5600)의 저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 하우징(5600)의 장변부 부근에서 양쪽에 각각 2개씩 후크(5502)가 구비되고, 중앙 부분에서 2개의 후크(550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는 상기 후크(5502)에 대응하는 홈(5504)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크(5604)는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5604a)와, 상기 수직부(5604a)의 선단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560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5604b)는 대략 커버 하우징(5600)의 장변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 개의 후크(5604)의 방향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5600)의 후크(5604)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홈(5504)에 삽입하여, 상기 후크(5604)와 상기 홈(5504)를 체결한다. 이때 커버 하우징(5600)을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상측에서 좌우로 밀어서 경사를 이용하여 체결한다. 경사면에 최대 조립후 발생하는 공차는 체결부(5690)의 장공에 의하여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큰 나사로 체결하는 경우에 공차가 없으면 깨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 하우징(56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이 후크(5604) 및 홈(5504)를 이용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만약 체결부(5690)의 체결력이 약해져도 후크(5604) 및 홈(5504)에 의하여 커버 하우징(5600)과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체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하우징(5100),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의 체결부(5190, 5590, 5690)에서 나사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5190, 5590, 5690)의 구멍은 장공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시 특히 세탁 또는 탈수시에 터브가 진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인덕션 모듈도 진동하게 된다. 이때 인덕션 모듈에 설치된 영구자석이 진동하게 되면, 소음이 발생하거나 심하면 영구자석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영구자석 장착부(5510)에 영구자석(5130)을 견고히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영구자석 장착부(5510)에 영구자석(5130)을 견고히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한다.
커버 하우징(5600)의 소정 위치 특히 영구자석(5130)이 위치되는 부분에는 영구자석(5130)을 고정하는 고정부(5650)가 구비된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5650)는 커버 하우징(5600)의 일부는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아래쪽으로 내려가게 하여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 하우징(5600)은 통상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5650)를 두께가 얇은 판상으로 구성하면 상기 고정부(5650)가 판스프링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고정부(5650)가 탄성이 있으므로 진동 등의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부분의 조립 공차가 있어도, 고정부(5650)의 탄성에 의하여 이러한 공차를 흡수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5660)는 커버 하우징(5600)의 저면에서 하부로 대략 수직하게 돌출시켜 만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고정부(5650)는 탄성이 적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조립 공차를 이용하여 고정부(5650)가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여, 상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 모듈의 장점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구자석(5130)을 수용하는 영구자석 하우징(5500)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5500)의 상부에 체결되는 커버 하우징(5600)이 별도로 구성된다. 따라서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은 상부를 덮는 부분이 없으므로 구조 및 형상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커버 하우징(5600)도 영구자석 장착부가 없으므로 구조 및 형상이 상대적으로 간단하다. 따라서,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이 사출 금형의 구조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고 사출 성형시 불량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에 구비되는 영구자석 장착부(5510)는 상부가 개방된 구조이다. 따라서, 영구자석 장착부(5510)의 위에서 아래로 영구자석(5130)을 삽입할 수 있으므로 영구자석의 장착이 용이하다. 따라서 영구자석(5130)의 파손시에 파손된 영구자석만 교체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가 자연대류를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코일(5150)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용이하다.
또한, 베이스 하우징(5100), 영구자석 하우징(5500) 및 커버 하우징(5600)이 후크(5502) 구조에 의하여 체결되므로, 체결력이 증가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상기 구성들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캐비닛 1000 터브 2000
드럼 3000 인덕션 모듈 5000
코일 5150 베이스 하우징 5100
영구자석 5130 커버 5300
드럼 3000 인덕션 모듈 5000
코일 5150 베이스 하우징 5100
영구자석 5130 커버 5300
Claims (20)
-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며 처리 대상물을 수용하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드럼; 및
상기 드럼의 외주면과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상기 드럼을 유도 가열하는 인덕션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인덕션 모듈은,
코일을 수용하는 베이스 하우징;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결합되며, 영구자석이 수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는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결합되는 커버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을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영구자석이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과 상기 커버 하우징 사이에 위치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영구자석이 삽입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의 둘레에서 상기 개방부의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영구자석을 수용하는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개방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서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격벽의 상부 선단에서 상기 장착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부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고리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고리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에 구비되며, 상기 후크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 또는 영구자석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 하우징과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또는 커버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또는 커버 하우징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홈에 체결되는 후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다수개 구비되며, 상기 후크는 동일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 및 상기 커버 하우징은 나사가 체결되는 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체결부에는 장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커버 하우징은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의 상부에서 상기 영구자석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수용하는 터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브는,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터브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와 상기 터브 체결부에 나사가 관통되어 체결됨으로써, 상기 인덕션 모듈이 상기 터브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하우징의 하부에는 상기 영구자석을 고정하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영구자석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9/013682 WO2021010544A1 (en) | 2018-08-09 | 2019-10-17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EP19204041.8A EP3767023A1 (en) | 2018-08-09 | 2019-10-18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201911021739.XA CN112226999A (zh) | 2018-08-09 | 2019-10-25 | 衣物处理装置 |
US16/692,847 US11773529B2 (en) | 2018-08-09 | 2019-11-22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8/365,632 US20240026599A1 (en) | 2018-08-09 | 2023-08-04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3285 | 2018-08-09 | ||
KR20180093285 | 2018-08-0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8241A true KR20200018241A (ko) | 2020-02-19 |
Family
ID=696698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5056A KR20200018241A (ko) | 2018-08-09 | 2019-07-15 | 의류처리장치 |
KR1020190085057A KR20200018242A (ko) | 2018-08-09 | 2019-07-15 | 의류처리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5057A KR20200018242A (ko) | 2018-08-09 | 2019-07-15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4) | US11773529B2 (ko) |
EP (3) | EP3767023A1 (ko) |
KR (2) | KR20200018241A (ko) |
CN (1) | CN112226999A (ko) |
WO (2) | WO2021010543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919A1 (ko) * | 2020-03-18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40124680A (ko) | 2023-02-09 | 2024-08-19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자동 기울기 조절기능을 갖는 인서트 코일 권선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7230A (ko) * | 2020-07-10 | 2022-01-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56384B1 (ko) * | 2020-10-20 | 2022-02-07 | 카토즈 주식회사 | 후판 유도 가열 장치 설치 지그 |
EP4317573A4 (en) * | 2021-04-02 | 2024-08-21 |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 ELECTROMAGNETIC HEATING MODULE AND CLOTHING TREATMENT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70620B2 (ja) | 1999-09-09 | 2007-01-24 | 三菱電機株式会社 | 洗濯機 |
CN1724768A (zh) * | 2004-07-19 | 2006-01-25 |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 洗衣机的烘干用电加热器结构 |
JP2007167263A (ja) * | 2005-12-21 | 2007-07-05 | Sanyo Electric Co Ltd | ドラム式洗濯機 |
US20070256322A1 (en) | 2006-04-27 | 2007-11-08 | Daewoo Electronics Corporation | Dryer having heater-installed suction duct |
DE602006012845D1 (de) * | 2006-10-19 | 2010-04-22 | Electrolux Home Prod Corp | Haushaltwaschmaschine mit induktiver Heizung |
EP2100996B1 (en) * | 2008-03-11 | 2016-02-17 | Whirlpool Corporation | Washing appliance with induction heating |
KR100922986B1 (ko) | 2009-01-12 | 2009-10-22 | 윤태소 | 건조기 |
CN102191675A (zh) * | 2010-03-11 | 2011-09-21 | 上海赛航洗涤设备有限公司 | 一种采用电磁感应加热器的干衣机电加热器 |
CN202030957U (zh) * | 2010-06-07 | 2011-11-09 | 杨俊新 | 一种洗衣机 |
CN202551398U (zh) * | 2012-03-30 | 2012-11-21 | 中山市雅乐思电器实业有限公司 | 一种改进的双层线圈的电磁炉的发热盘 |
CN202663581U (zh) * | 2012-07-09 | 2013-01-09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电磁炉线圈盘及具有其的电磁炉 |
KR102197861B1 (ko) * | 2014-01-29 | 2021-01-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수 개의 터브를 구비하는 세탁기 |
EP3246457A1 (de) | 2016-05-19 | 2017-11-22 | Miele & Cie. KG | Wäschetrockner |
DE102016110859B3 (de) * | 2016-05-19 | 2017-06-22 | Miele & Cie. Kg | Vorrichtung zum Waschen und bzw. oder zum Trocknen von Wäsche |
CN114045641B (zh) * | 2016-08-25 | 2024-04-05 | Lg电子株式会社 | 衣物处理装置 |
KR102422766B1 (ko) * | 2017-08-09 | 2022-07-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572272B1 (ko) * | 2016-08-25 | 2023-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AU2017316101B2 (en) * | 2016-08-25 | 2020-02-27 | Lg Electronics Inc.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KR102350079B1 (ko) * | 2017-08-09 | 2022-01-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499327B1 (ko) * | 2017-08-09 | 2023-02-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CN107889304A (zh) * | 2016-09-30 | 2018-04-06 |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 线圈盘组件和电磁加热烹饪装置 |
JP6351797B2 (ja) * | 2017-06-16 | 2018-07-04 | 三菱電機株式会社 | 誘導加熱調理器 |
WO2019031887A1 (en) * | 2017-08-09 | 2019-02-14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KR102377042B1 (ko) * | 2017-08-09 | 2022-03-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102378474B1 (ko) * | 2017-08-09 | 2022-03-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DE102018102003A1 (de) | 2018-01-30 | 2019-08-01 | Miele & Cie. Kg | Spulenanordnung für ein Wäschepflegegerät |
-
2019
- 2019-07-15 KR KR1020190085056A patent/KR20200018241A/ko unknown
- 2019-07-15 KR KR1020190085057A patent/KR20200018242A/ko unknown
- 2019-10-17 WO PCT/KR2019/013681 patent/WO202101054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17 WO PCT/KR2019/013682 patent/WO2021010544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9-10-18 EP EP19204041.8A patent/EP3767023A1/en active Pending
- 2019-10-21 EP EP22165899.0A patent/EP4079959B1/en active Active
- 2019-10-21 EP EP19204325.5A patent/EP3767024B1/en active Active
- 2019-10-25 CN CN201911021739.XA patent/CN112226999A/zh active Pending
- 2019-11-22 US US16/692,847 patent/US11773529B2/en active Active
-
2020
- 2020-01-24 US US16/751,291 patent/US11466398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08-30 US US17/899,119 patent/US11649583B2/en active Active
-
2023
- 2023-08-04 US US18/365,632 patent/US20240026599A1/en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87919A1 (ko) * | 2020-03-18 | 2021-09-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240124680A (ko) | 2023-02-09 | 2024-08-19 | 범일산업 주식회사 | 자동 기울기 조절기능을 갖는 인서트 코일 권선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079959B1 (en) | 2024-07-03 |
US20220411989A1 (en) | 2022-12-29 |
CN112226999A (zh) | 2021-01-15 |
WO2021010543A1 (en) | 2021-01-21 |
US20210017696A1 (en) | 2021-01-21 |
EP3767023A1 (en) | 2021-01-20 |
US11649583B2 (en) | 2023-05-16 |
KR20200018242A (ko) | 2020-02-19 |
WO2021010544A1 (en) | 2021-01-21 |
US11466398B2 (en) | 2022-10-11 |
US11773529B2 (en) | 2023-10-03 |
EP4079959A1 (en) | 2022-10-26 |
US20210017695A1 (en) | 2021-01-21 |
EP3767024A1 (en) | 2021-01-20 |
US20240026599A1 (en) | 2024-01-25 |
EP3767024B1 (en) | 2022-05-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6156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1563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266166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200018241A (ko) | 의류처리장치 | |
EP4180564A1 (en) | Clothing processing de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