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77A - 휀스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휀스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17877A KR20200017877A KR1020180093383A KR20180093383A KR20200017877A KR 20200017877 A KR20200017877 A KR 20200017877A KR 1020180093383 A KR1020180093383 A KR 1020180093383A KR 20180093383 A KR20180093383 A KR 20180093383A KR 20200017877 A KR20200017877 A KR 202000178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onstruction method
- fence
- morta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휀스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굴착된 지면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투입공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투입공으로 몰탈을 투입하여 배출공으로 분출시키는 단계; 상기 배출된 몰탈을 굳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된 지지대로 포스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휀스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휀스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정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휀스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휀스 시공 방법을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휀스 시공 방법은 삽이나 굴삭기를 이용하여 구멍을 판 후, 콘크리트 재질의 휀스톤(1)을 구멍으로 안착시키고, 안착된 휀스톤(1)을 지지하도록 지반을 정리하여 휀스톤(1)에 포스트(2)를 결착하였다. 즉, 종래의 휀스 시공은, 휀스톤 주변으로 다져진 지반이 휀스톤을 지지하며 포스트는 휀스톤에 형성된 홈에 대해 삽입되어 밀착되도록 시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휀스 시공으로 인한 지지구조는, 지반의 힘만으로 휀스톤을 지지하며, 특히 포스트가 휀스톤에 삽입되기는 하나 면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포스트와 휀스톤간의 틈이 발생되면 이탈될 여지가 있고 이와 같은 틈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 공차를 거의 없도록 함으로서 휀스톤에 대한 포스트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삽입시에 무리한 힘을 가할 경우 휀스톤이 파손되는 단점이 있어 고정성과 시공성이 좋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휀스 시공은 휀스톤과 포스트를 따로 만들어야 하며, 휀스톤의 경우 콘크리트가 굳어 고체상태로 제조되어 나오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무거워 운반이나 보관 등의 제약이 있으며, 포스트를 결착하기 위해 구멍을 뚫어야 하는 등의 휀스 시공을 위해 수반되는 많은 과정에서 시간과 비용 등의 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이를 개선할 휀스 시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고정력과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휀스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은,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굴착된 지면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투입공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투입공으로 몰탈을 투입하여 배출공으로 분출시키는 단계; 상기 배출된 몰탈을 굳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된 지지대로 포스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는 'T'자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열과 행이 겹치지 않도록 지지대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공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길이를 따라 다층 홈 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하단에 지지대와 다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다단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으로 시공되는 휀스는, 완성된 휀스톤에 포스트의 크기에 따라 천공하고, 천공된 부분에 포스트를 삽입하여 지반을 정리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것이 아닌 포스트의 지지를 담당하는 지지대에 맞추어 몰탈이 굳어 지지대를 밀착 지지함과 동시에 지면과 밀착되고, 단지 포스트는 그 위로 체결만 하면 되므로 고정력과 시공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는 지지대의 역 구조로 형성하여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휀스톤과 포스트를 따로 형성한 것과 달리 포스트와 지지대의 구조를 획일화 할 수 있어 휀스 시공 시에 수반되는 제조(생산), 운반, 보관 등의 단계 시에 생산비용 감축, 생산시간 단축, 공간활용, 시공시간 단축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휀스 시공 방법을 개략화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을 통해 설치된 휀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휀스 시공 시 사용되는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지지대의 일 부분인 수직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지지대에 다층 홈과 나선형 홈이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경사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다단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을 통해 설치된 휀스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휀스 시공 시 사용되는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지지대의 일 부분인 수직부의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 및 (b)는 각각 지지대에 다층 홈과 나선형 홈이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경사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다단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을 통해 설치된 휀스의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휀스 시공 시 사용되는 지지대의 사시도이며, (b)는 (a)의 지지대의 일 부분인 수직부의 평면 단면도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은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S10), 상기 굴착된 지면으로, 상단에는 형성되는 투입공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안착시키는 단계(S20), 상기 지지대의 투입공으로 몰탈을 투입하여 배출공으로 분출시키는 단계(S30), 상기 배출된 몰탈을 굳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단계(S40) 및 상기 고정된 지지대로 포스트를 체결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G)을 굴착하는 단계(S10)는 천공, 발파, 퍼내기 등의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지면(G)에 지지대 삽입공(5)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드릴(D)이나 굴삭기의 버켓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드릴(D)로 지면(G)을 굴착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지지대(10)의 구조와, 지지대(10)에 투입되는 몰탈(M)의 사용 효율성을 고려하여 위해 옆으로 퍼지는 형태의 굴착보다는 일자형으로 소정의 깊이로 굴착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S10)가 완료되면, 굴착된 지면(G)으로 지지대(10)를 안착시키는 단계(S20)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대(10)는 후술하는 포스트(20)를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단에는 투입공(20)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투입공(20)과 연결되는 배출공(3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30)은 지지대(10) 길이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대(10) 상단에 형성된 투입공(20) 주변으로는 포스트(50)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공(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조를 위해 지지대(10)는 판(plate)상의 수평부(12)와, 수평부(12)로부터 수직 연장되는 수직부(14)를 포함하는 'T'자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지지대(10)의 수평부(12)에는 투입공(20)과 복수의 체결공(40)이 수직방향으로 깊이가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지지대(10)의 수직부(14) 길이를 따라서 측면에는 복수의 배출공(30)이 수평방향으로 깊이를 형성할 수가 있다. 이로 인해, 투입공(20)으로 몰탈(M)을 주입하면 몰탈(M)이 투입공(20)과 배출공(30)의 연결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어 배출공(30)을 통해 측방으로 분출될 수가 있다. 또한, 판(plate)상의 수평부(12)에는 포스트(50)를 맞대어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T'자형의 지지대(10)는 바람직한 예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지지대(10)는 '工'자형, 'l'자형 등 다양한 실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지지대(10)가 'l'자형으로 형성될 시에는 수평부가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체결공은 수평 깊이를 형성하도록 수직부 상단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마련하며, 포스트(50)를 지지대(10) 상단에 안착시킨 후, 'ㄴ'형태의 체결부재 등으로 체결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T'자형으로 형성되는 지지대(1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투입공(20)은, 몰탈(M)의 투입과 분출, 그리고 포스트(50)의 체결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지지대(10)의 중앙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공(40)은 중앙의 투입공(20)을 기준으로 다각(삼각, 사각, 오각 등) 구조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공(30)은 수직부(14) 길이를 따라 형성될 때에 수직부(14)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공(30)이 복수의 층을 형성하도록 수직부(14)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부(14)의 길이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배출공(30)의 행과 열의 배열이 모두 일치하는 형태이다. 이로 인해, 투입공(20)으로 주입되는 몰탈(M)은 지지대(10)의 수직부(14)에 대해 다방면으로 분출될 수가 있다.
S20 단계에서는 상기와 같은 지지대(10)를 배출공(30)이 굴착되어 형성된 지지대 삽입공(5)에 내입되도록 안착시키게 되는데, 'T'자형의 지지대(10)는 상단에 마련된 수평부(12)를 통해 지면(G)에 안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50)의 체결 시 체결용이성과 편의성을 위해 수평부(12)에 형성된 체결공(40)에 먼저 역방향으로 볼트(B)를 삽입 후 지면에 안착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포스트(50) 체결 시에 볼트를 포스트(50) 측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T'자나 '工'자형 외에 'l'자형과 같은 수평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지지대(10)는 굴착된 지지대 삽입공(5) 끝단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S20 단계가 마무리되면, 지지대(10)의 투입공(20)으로 몰탈(M)을 투입하여 배출공(30)으로 분출시키는 단계(S30)와 배출된 몰탈(M)을 굳혀 지지대(10)를 고정시키는 단계(S40)를 순차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즉, 상술하였듯이 투입공(20)으로 몰탈(M)이 주입되면 지지대(10)의 수직부(14) 길이를 따라 사방면으로 형성된 복수의 배출공(30)으로 분출되고, 이로 인해 지지대 삽입공(5)과 지지대(10) 사이에는 몰탈(M)이 채워지게 되고 이를 굳히면, 굳어진 몰탈(M)로 인해 지지대(10)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고정된 지지대(10)로 포스트(50)를 체결하는 단계(S50)를 거치면 휀스 시공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지지대(10)에 대한 포스트(50)의 체결은 S20 단계에서 볼트(B)를 체결공(40)에 역방향으로 삽입 후 지면(G)에 안착하였을 시에는 포스트(50)의 위치를 맞추어 지지대(10)와 마주하도록 안착시킨 후 너트(미도시) 등만 조이면 간단하게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하였듯이 볼트는 이 단계(S50)에서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하여 체결하여도 무관하다.
상기의 방법으로 시공되는 휀스는, 완성된 휀스톤에 포스트의 크기에 따라 천공하고, 천공된 부분에 포스트를 삽입하여 지반을 정리하는 종래의 방식과 달리, 포스트의 지지를 담당하는 지지대(10)에 맞추어 몰탈이 굳어 지지대(10)를 밀착 지지함과 동시에 지면과 밀착되고, 단지 포스트는 그 위로 체결만 하면 되므로 고정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포스트는 지지대의 역 구조로 형성하여 체결할 수 있는 것으로, 종래 휀스톤과 포스트를 따로 형성한 것과 달리 포스트와 지지대의 구조를 획일화 할 수 있어 휀스 시공 시에 수반되는 제조(생산), 운반, 보관 등의 단계 시에 생산비용 감축, 생산시간 단축, 공간활용, 시공시간 단축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휀스 시공 방법은 상술한 지지대(10)의 구조 또는 배출공(30)의 실시 형태를 달리하여 고정력을 한층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6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배출공이 지지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고, 도 7의 (a) 및 (b)는 각각 지지대에 다층 홈과 나선형 홈이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경사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9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지대에 다단돌출부가 형성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배출공(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다른 예로 서로 행과 열이 겹치지 않도록 지지대(10)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보다 더 다양한 위치로 분출되기 위함으로, 배출공(30)은 가상의 스크류 라인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이나 둘레방향으로 모두 위치가 일치하는 배출공(30)이 없어 위쪽에서 분출되는 몰탈이 아래쪽 배출공(30)을 막아 공극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배출공(3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층으로 형성되거나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형태 모두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몰탈의 분출량 편차를 주는 형태로서, 직경이 크게 되는 하측의 배출공(30)으로는 분출량이 많고, 상측의 배출공(30)으로는 비교적 분출량이 적게 형성되어, 상측에서 분출되어 공기중으로 많이 노출되는 몰탈의 양을 줄임으로써 하측으로부터 공극 없이 밀착되게 쌓여 굳어지는 것을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지지대(10)는 길이를 따라 다층 홈(62) 또는 나선형 홈(6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층 홈(62) 또는 나선형 홈(64)은 분출되는 몰탈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몰탈과 지지대(10) 사이의 면접촉 구간을 줄임으로써 지지대(1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지지대(10)는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경사돌출부(70)는 몰탈에 대해 수직방향으로만 고정되는 지지대(10)를 경사방향으로 한번 더 고정되도록 보조함으로써 있으며, 경사돌출부(70)의 길이에 따라 지지대 삽입공(5)의 원주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도 있어 고정력을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대(10)는 하단에 지지대(10)와 다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단돌출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단돌출부(80)는, 다단돌출부(80)의 무게만 견딜 수 있도록 지지대(10)에 형성되는 고정부(미도시)에 고정되어 있다가 투입공(20)에 몰탈 주입 시에 몰탈의 무게에 의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수단으로서, 하방으로 무게를 더하여 수평부(12)의 지면에 대한 밀착력을 높이고, 길이에 따라서는 지지대 삽입공(5)의 끝단까지 돌출되어 몰탈 투입 시의 지지대(10)의 움직임 등을 제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균형적인 몰탈의 굳힘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다단돌출부(80)는 끝단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나, 끝단에 뾰족한 고정돌기(8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뾰족한 고정돌기(85)는 평평한 끝단의 다단돌출부(80) 보다 지면에 대해 더 강한 고정력을 갖도록 할 수 있어 움직임 제한 효율성을 증대시켜줄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5 : 지지대 삽입공
10 : 지지대
12 : 수평부
14 : 수직부
20 : 투입공
30 : 배출공
40 : 체결공
50 : 포스트
62 : 다층 홈
64 : 나선형 홈
70 : 경사돌출부
80 : 다단돌출부
85 : 고정돌기
B : 볼트
G : 지면
M : 몰탈
10 : 지지대
12 : 수평부
14 : 수직부
20 : 투입공
30 : 배출공
40 : 체결공
50 : 포스트
62 : 다층 홈
64 : 나선형 홈
70 : 경사돌출부
80 : 다단돌출부
85 : 고정돌기
B : 볼트
G : 지면
M : 몰탈
Claims (8)
- 지면을 굴착하는 단계;
상기 굴착된 지면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투입공과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공과 연결되는 복수의 배출공을 포함하는 지지대를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지지대의 투입공으로 몰탈을 투입하여 배출공으로 분출시키는 단계;
상기 배출된 몰탈을 굳혀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된 지지대로 포스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T'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지지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공은 열과 행이 겹치지 않도록 지지대 사선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길이를 따라 다층 홈 또는 나선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측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는 경사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휀스 시공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하단에 지지대와 다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다단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휀스 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3383A KR102103583B1 (ko) | 2018-08-09 | 2018-08-09 | 휀스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3383A KR102103583B1 (ko) | 2018-08-09 | 2018-08-09 | 휀스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17877A true KR20200017877A (ko) | 2020-02-19 |
KR102103583B1 KR102103583B1 (ko) | 2020-04-23 |
Family
ID=69669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3383A KR102103583B1 (ko) | 2018-08-09 | 2018-08-09 | 휀스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35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2385A1 (ko) | 2020-02-13 | 2021-08-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비상 전원 공급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15389B1 (ko) * | 2022-02-08 | 2022-06-30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그라우팅용 동시 주입관 및 이를 이용한 그라우팅 동시 주입 공법 |
KR102415391B1 (ko) * | 2022-02-08 | 2022-06-30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균일성을 보장한 동시 주입 장치를 이용한 그라우팅 주입 공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359B1 (ko) * | 2004-02-04 | 2006-08-30 | 한국법면보호(주) | 소일네일링공법용 삽입지지관 |
KR20110007887A (ko) * | 2009-07-17 | 2011-01-25 | 스마일건설(주) | 지주 고정용 기초틀 |
JP2015113563A (ja) * | 2013-12-09 | 2015-06-22 | 伸和工業株式会社 | 螺旋杭および埋設方法 |
KR101658531B1 (ko) * | 2015-03-27 | 2016-09-21 |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 차선 분리대 |
-
2018
- 2018-08-09 KR KR1020180093383A patent/KR1021035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6359B1 (ko) * | 2004-02-04 | 2006-08-30 | 한국법면보호(주) | 소일네일링공법용 삽입지지관 |
KR20110007887A (ko) * | 2009-07-17 | 2011-01-25 | 스마일건설(주) | 지주 고정용 기초틀 |
JP2015113563A (ja) * | 2013-12-09 | 2015-06-22 | 伸和工業株式会社 | 螺旋杭および埋設方法 |
KR101658531B1 (ko) * | 2015-03-27 | 2016-09-21 | 주식회사 삼영 씨.앤.알 | 차선 분리대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162385A1 (ko) | 2020-02-13 | 2021-08-19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비상 전원 공급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3583B1 (ko) | 2020-04-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00017877A (ko) | 휀스 시공 방법 | |
KR100563272B1 (ko) | 건축 터파기 공사용 토류시설 | |
CN211773698U (zh) | 一种桩锚支护结构 | |
JP4533371B2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CN108222014B (zh) | 一种锚杆锁定装置以及带有该装置的基坑支护结构 | |
KR100923587B1 (ko) |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 |
JP2007291707A (ja) | 盛土構造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 |
JP4190360B2 (ja) | 石積壁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工法 | |
KR101262357B1 (ko) | 지주식 흙막이 공법 | |
JP5124007B2 (ja) | 擁壁構造の施工方法 | |
KR100870861B1 (ko) |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 |
JP4316940B2 (ja) | 石積壁の補強方法 | |
KR100732943B1 (ko) | 흙막이 조립체 | |
KR102282583B1 (ko) |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설치용 기초 시공방법 | |
KR101017979B1 (ko) | 친환경 조경석 옹벽 | |
KR100658495B1 (ko) | 울타리 설치용 기초콘크리트 | |
KR102193866B1 (ko) | 콘크리트 파일용 두부보강 구조 | |
KR102043582B1 (ko) | 기초부 보강방안이 구비된 절토부 패널식 옹벽 시공방법 | |
JP4316939B2 (ja) | 石積壁の補強方法 | |
KR100716278B1 (ko) | 흙막이 조립체 | |
KR20110095538A (ko) | 마이크로 파일의 두부 정착방법 및 그 장치 | |
JP2008133682A (ja) | 盛土構造物の構築方法 | |
KR100727598B1 (ko) | 연장 로드를 갖는 스크루 방식의 앵커 로드 | |
KR102428321B1 (ko) | 무배토, 친환경 구조물 기초 시공방법 | |
KR101496122B1 (ko) | 벽체 기초 및 그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