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769A -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69A
KR20200017769A KR1020180093090A KR20180093090A KR20200017769A KR 20200017769 A KR20200017769 A KR 20200017769A KR 1020180093090 A KR1020180093090 A KR 1020180093090A KR 20180093090 A KR20180093090 A KR 20180093090A KR 20200017769 A KR20200017769 A KR 20200017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ensor
emitting device
position change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덕선
Original Assignee
박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덕선 filed Critical 박덕선
Priority to KR102018009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769A/ko
Publication of KR20200017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F21L4/022Pocket lamps
    • F21L4/027Pocket lamps the light sources being a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receiving a signal from a remote control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57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operating status of the lighting device, e.g. to detect failure of a light source or to provide feedback to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9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a change in orientation, a movement or an accel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e.g. a tilt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발광색이 다른 다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으로 이루지는 발광 블럭(140),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160), 상기 위치 변동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경계별로 온오프가 미리 설정되는 온오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 중 해당 발광등을 동작 제어를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및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Portable light emitting apparatus for adjusting luminescence using a sens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절대압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최근의 콘서트에서는 응원문화가 다양화됨에 따라 여러 가지 응원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야간 또는 어두운 곳에서 진행되는 콘서트의 특성상, 빛을 발할 수 있는, 야광봉, 야광팔찌, LED(Light Emitting Diodes) 조명이 구비된 응원봉과 머리띠 등 다양한 응원도구가 콘서트를 즐기는 이용자에 의해 사용된다.
특히, 야광봉의 경우, 형광물질을 도포하거나 별도로 전지를 구비하여 조명 효과를 얻는 막대 모양의 물건을 사용되고 있다.
물론, 야광봉은 응원도구뿐만 아니라, 야간 활동, 등산, 각종 이벤트 등에 사용되고 있고, 특히 다양한 색깔을 표시하도록 제작할 수 있어, 콘서트장을 비롯한 다양한 공연장의 어두운 실내에서 관객들의 응원도구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수의 이름을 만들거나 특정한 형상을 만드는데에도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야광봉은 관객들의 응원도구로서뿐만 아니라 특정 형상을 만들어 공연연출의 하나로 사용되고 있으며, 관객들이 가진 야광봉을 공연을 연출하는 제작자 측에서 제어하여 다양한 글씨 내지 형상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처럼 야광봉을 통해 공연의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기는 하나, 야광봉은 불빛을 내는 기능만을 갖고 있어 관객의 흥미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도 불구하고,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야광봉 사용자가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야광봉을 들고 움직이는 경우라도, 여전히 이전의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역동적인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1.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710307호(등록일: 2017.02.20) 2.한국등록특허번호 제10-1822968호(등록일: 2018.01.23) 3.일본공개특허번호 제2012-207009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변경, 보행 속도 변경 등을 반영하여 발광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 변경, 보행 속도 변경 등을 반영하여 발광을 조절할 수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발광색이 다른 다수의 발광등으로 이루지는 발광 블럭;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
상기 위치 변동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경계별로 온오프가 미리 설정되는 온오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발광등 중 해당 발광등을 동작 제어를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 및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위치 변동 정보는 높이, 속도, 및 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센서까지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속도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리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따라 감지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는 높이 측정 센서, 거리 센서 및 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를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 중 하나를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외부의 통신 단말기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설치되는 앱을 통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는, 상기 하우징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박스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 바디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a) 센서가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제어기가 상기 위치 변동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경계별로 온오프가 미리 설정되는 온오프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기가 결정된 온오프 설정 정보에 따라 발광색이 다른 다수의 발광등으로 이루지는 발광 블럭 중 해당 발광등을 동작 제어를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구동 회로가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위에서 기술된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발광 컬러의 변환, 발광 주기 조절, 감도 조절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로서는 현재 응원 상황이 시시각각 변화됨에 따라 이를 능동적으로 반영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사용자의 위치 변경, 보행 속도 변경에 따라 이를 반영하여 자동적으로 발광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와 이동 통신 단말기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를 갖는 라이트 스틱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발광색이 변경되는 개념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모드가 변경되는 개념들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발광색 또는 모드가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한다. 제 1, 제 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구성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발광 장치(100)는, 다수의 컬러를 발광하는 발광 블럭(140), 상기 발광 블럭(140)을 특정 설정 모드로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상기 발광 블럭(140)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발광 블럭(140)을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기(11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IC(Integrated Circuit), 마이콤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회로(120)는 제어기(110)의 동작 제어에 따라 발광 블럭(140)에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개별 및/또는 전체로 온 또는 오프한다. 또한, 배터리(130)로부터 전원을 받아 이를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구동 회로(120)에는 스위칭 회로, 분배 회로, IC 등이 구성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LED(Light 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등이 될 수 있다. 특히,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각각 다른 색으로 발광된다. 물론,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은 컬러별로 병렬연결될 수 있다. 부연하면, 레드(red)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고, 블루(blue) 컬러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되며, 그린(green) 컬러에 3개의 발광등이 직렬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레드 컬러, 블루 컬러, 및 그린 컬러가 서로 병렬로 배치되는 것을 들 수 있다. 물론, 여기서 기술한 컬러는 예시에 불과하여 다른 컬러도 가능하다.
배터리(13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구성되는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배터리(130)는 충전 가능한 2차 전지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일반 건전지, 버튼셀 등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지시등(15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지시등(150)은 발광 블럭(140)과 별도로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파워 온 상태,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센서(160)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주위 환경을 센싱하여 주위 환경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센서(160)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감지하는 음파 센서, 조명의 세기(조도 세기)를 감지하는 광센서, 조도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물론, 주위 환경 정보는 센서(160)에 의해 생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미리 제어기(110)에 프로그래밍될 수도 있다.
통신 회로(170)는 이동 통신 단말기와 통신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은 IrDA(Infrared Data) 통신, 블루투쓰, LiFi(Light 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ntrol) 등이 될 수 있다.
조작부(180)는 사용자의 명령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180)에는 버튼, 마이크 등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서치등(190)이 구동 회로(120)에 연결될 수 있다. 서치등(190)은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설치된 특정 로고의 이미지를 밖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서치등(190)은 LED 이미지 라이트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다수의 설정 모드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로 구성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발광 장치(100)와 이동 통신 단말기(210) 간의 무선 통신 개념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210)와 휴대용 발광 장치(100)가 무선 통신 라인(230)을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21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앱(220)을 통해 휴대용 발광 장치(100)에 대한 기능을 설정하거나 이미 있는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이동 통신 단말기(210)는 휴대폰(mobile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노트 패드, MP3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발광 장치(100)를 갖는 라이트 스틱(3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라이트 스틱(3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 상기 하우징 바디(320)로부터 연통되는 손잡이(310), 상기 하우징 바디(320)와 상기 손잡이(310)에 위치하는 목부(350) 등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목부(350)에는 하우징 바디(320)와 목부(350)를 구분하는 띠가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띠는 형광색이 될 수 있다. 하우징 바디(320)의 맨 상단에는 투명 커버(321)가 결합된다.
하우징 바디(320)는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재질이 사용된다. 실리콘, 우레탄, PVC(Polyvinyl chloride)등이 될 수 있다.
손잡이(310)에는 조작부(도 1의 180)에 구성되는 상버튼(330) 및 하버튼(340) 등이 배치된다. 상버튼(330)은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와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약 2초동안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약 2초 동안 상버튼(330)이 눌려지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서치라이트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상버튼(330)이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오프(Power ON/OFF)가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부연하면, 상버튼(330)이 처음으로 약 5초동안 눌려지면 파워 온이 되고, 다시 약 5초 동안 눌려지면 파워 오프가 된다.
하버튼(340)은 일반모드에서 컬러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부연하면, 일반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질때마다, 컬러가 Red -> Blue -> Green -> Orange … 등과 같이 변화하게 된다. 물론, 리듬 비트 모드에서도 하버튼(340)이 이용될 수 있다. 부연하면,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센서(도 1의 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즉, 눌려지는 연속적인 순서에 따라 전환될 수 있고, 연속 눌려지는 횟수에 따라 전환될 수도 있다.
또한,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눌려지면 서치등(도 1의 190)이 온/오프된다. 부연하면,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온된다. 또한, 서치등(190)이 온된 상태에서 다시 약 3초이상 하버튼(340)이 1회 눌려지면 서치등(190)이 오프된다.
부연하면, 상버튼 및 하버튼(330,340)은 누름 횟수 및/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라이트 스틱(300)은 사용자가 쉽게 잡고 사용하도록 볼링핀 형상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라이트 스틱(300)의 저면도이다. 즉, 도 4는 손잡이(310)의 밑면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전잭(410), 밴드홀(420), 센서홀(430), 지시등(150)이 배치된다.
충전잭(410)은 배터리(도 1의 130)에 연결된다. 따라서, 충전기(미도시)를 이 충전잭(410)에 연결함으로써 충전이 가능하다. 충전기의 전원은 약 5V가 될 수 있다. 밴드홀(420)은 제품에 따라 나온 띠를 매는 홀의 역할을 한다.
센서홀(430)은 리듬 비트 모드를 작동시키는 센서(도 1의 160)가 삽입 고정되는 홀이다. 지시등(150)은 파워온시 블루 LED 온이고, 충전시 레드 LED 온이고, 충전완료시 레드 LED 오프이다.
한편, 일반 모드는 단일한 컬러(예를 들면, Red, Yellow, White, Blue, Green 등)로 라이팅한다. 일반 모드에서 하버튼(340)을 짧게 누르면, 컬러 모드가 전환된다. 또한, 앱(220)과의 연동을 통해, 앱(220)에서 256 컬러 변환이 가능하며, 밝기 조정도 가능하다. 또한, 연속적으로 컬러가 변경되는 3가지 라이팅 방식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일정 시간 동안, Red + Yellow + Blue의 라이팅이 가능하다. 또는, 예를 들면, 일정시간 동안, Red -> Yellow -> Blue 순으로 라이팅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듬 비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듬 비트 모드는 주위에서 들리는 음악 소리의 신호를 센서(160)를 통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음악 소리에 따라 빛이 깜빡거리는 모드이다. 상버튼(도 3의 330)이 약 2초간 눌려지면 일반 모드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부연하면, 센서(160)를 통해 주변의 상황으로부터 획득되는 스피커의 음파 신호를 획득하고, 획득된 음파 신호에서 음파 신호의 크기(강도)가 임계값 이상의 레벨로 산출된다. 이 산출되는 음파 신호의 크기에 대응해서 발광 블럭(14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부연하면, 음파 신호의 도달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등이 온된다. 즉, 공연 참석자들이 스피커를 정면으로 보며 위치하는 경우, 스피커로부터 거리가 다양하다. 따라서, 스피커의 소리도 시간차를 두고 도달하므로 이러한 도달 시간에 따라 해당 위치에 있는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된다. 물론, 전부 온될 수 있지만 일부의 컬러에 해당하는 발광등만이 온될 수도 있다.
또한, 스피커를 기준으로 좌우 채널의 음량 조정에 의해 좌우 방향 정보 및/또는 상기 스피커를 기준으로 깊이 방향 정보에 따라 휴대용 발광 장치(100)의 제 1 내지 제 n 발광등(140-1 내지 140-n)이 온될 수 있다.
또한, 리듬 비트 모드에서 하버튼(도 3의 340)이 짧게 한 번씩 눌려지면 센서(160)의 감도가 고/중/저 레벨로 전환된다. 따라서, 사용환경의 소리 크기에 따라 적당한 감도 레벨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210)에 설치되는 앱(220)에서 리듬 비트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며, 센서(160)의 감도를 업/다운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앱 연동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치 라이트 모드 상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300)의 정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좋아하는 특정 로고(610)를 영화 필름처럼 불빛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서치등(도 1의 190)을 통해 특정 로고(610)를 광방출(620)에 의해 공중, 벽면등에 비추는 기능을 수행한다. 물론, 이러한 로고는 변경될 수 있다. 부연하면, 서치등(190)에 로고 필름을 바꾸어 삽입함으로써 로고를 변경할 수 있다. 물론, 서치 라이트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 모드를 구현하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 바디(320)내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가 구성될 수 있다. 모터 박스(700)는,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720)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모드를 보여주는 라이트 스틱의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내부에 특정 로그(740)가 설치되며, 저속으로 회전된다. 회전 모드는 일반 모드나 리듬 비트 모드에서 상버튼(330)을 짧게 누르면 모터(710)가 온된다. 물론, 누르고 있는 시간, 누름 횟수의 조합을 통해 온 또는 오프할 수도 있다. 이 회전 모드도 앱과 연동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주변의 상황 변화에 따른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기(도 1의 110)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일반 모드, 리듬 비트 모드, 및 서치 라이트 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910,S920).
단계 S920에서, 일반 모드가 선택되면, 컬러 변환이 이루어진다(단계 S930,S931).
이와 달리, 단계 S920에서, 리듬 비트 모드가 선택되면, 센서(도 1의 160)를 통해 주위 환경에 대한 센싱이 수행되어 주위 환경 정보가 생성된다(단계 S940,S941).
제어기(110)는 주위 환경 정보중 스피커의 음파 신호에 대한 크기(또는 강도)를 산출하여 발광 블럭(140)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에 대한 빛 출력의 깜빡 거림을 조절한다(단계 S943,S945).
한편, 단계 S920에서, 서치 라이트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기(110)는 서치등(190)을 통해 로고에 대한 빛 출력을 수행한다(단계 S950,S951).
도 9에서는 센싱 단계(940)가 리듬 비트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대기 모드 상태에서 센싱 단계가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음파 신호만을 센싱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주변의 조도 등을 센싱하여 이에 대응하게 모드를 선택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발광색(또는 발광 컬러)이 변경되는 개념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센서(도 1의 160)가 높이 측정 센서일 경우, 높이의 경계(1010)별로 다른 발광색이 된다.
부연하면, 사용자가 발광 장치(100)를 휴대하고 경사진 장소에서 이동함에 따라 위치 변동이 발생한다. 이 경우, 높이 측정 센서는 지면(즉 미리 설정되는 기준면)으로부터 센서 자체까지의 높이를 측정하여 위치 변동 센서 정보를 생성한다.
제어기(도 1의 110)는 이러한 변동 센서 정보로부터 현재의 센싱 높이와 미리 설정되는 경계(1010)의 값을 비교하여 해당 경계내에 해당하는 발광색(1020)을 출력한다. 즉, 해당 발광등(140-1 내지 140-n)을 온하고 다른 발광등은 오프한다. 만일 사용자가 계속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면, 경계를 지날때마다 R(레드)->G(그린)->W(화이트)->O(오랜지)…순으로 발광색이 변경된다. 물론, 어느 경계내에서는 어떤 발광등이 온되고 오프되며, 다른 경계 내에서는 어떤 발광등이 온되고 오프되는지에 대해서는 온오프 설정 정보로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모드가 변경되는 개념들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높이의 경계(1110)별로 다른 모드(1120)가 실행된다. 부연하면, 경계를 지날때마다 일반모드->리듬 비트 모드-> 서치 라이트 모드 순으로 변경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높이에 따라 발광색 또는 모드가 변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센서(160)가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한다(단계 S1210).
이후, 제어기(110)는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현재 센싱 높이가 미리 설정되는 다른 경계범위내에 해당하는 지를 판단한다(단계 S1220). 부연하면, 제 1 경계는 0 ~ 0.50m, 제 2 경계는 0.51m ~ 1.00m, 제 3 경계는 1.10 ~ 1.50m 등으로 설정할 수 있고, 현재 센싱 높이가 어느 경계 범위내인 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단계 S1220에서, 현재 센싱 높이가 현재 경계범위내이면 현재 모드 또는 발광색 출력이 유지된다.
이와 달리, 단계 S1220에서, 현재 센싱 높이가 다른 경계범위에 속하면, 제어기(110)는 해당 모드 또는 해당 경계범위내에 속하는 다른 발광색을 출력한다(단계 S1240).
이후, 제어기(110)는 강제적으로 이러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오프가 실행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1250). 오프는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 S1250에서, 오프가 실행되면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와 달리, 단계 S1250에서, 오프가 실행되지 않으면 단계 S1210 내지 S1240가 다시 실행된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높이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사용자의 이동 거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즉, 센서(160)가 거리 센서이면, 일정 거리마다 경계를 설정하고, 그 경계마다 다른 발광색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경계는 0 ~ 5.00m, 제 2 경계는 5.01m ~ 10.00m, 제 3 경계는 10.01 ~ 15.00m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공연 무대로부터 일정 거리를 벗어 날때마다 다른 발광색이 출력된다.
또한, 속도 센서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연하면, 사용자가 발광 장치(도 1의 100)를 휴대하고 이동하는 이동 속도를 감지하여 그 속도별로 다르게 발광색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경계는 0 ~ 1.00m/s, 제 2 경계는 1.01m ~ 3.00m/s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 코드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블루레이 등과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 코드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반도체 기억 소자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명령) 코드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100: 휴대용 발광 장치
110: 제어기
120: 구동회로
130: 배터리
140: 발광 블럭
140-1 내지 140-n: 제 1 내지 제 n LED(Light Emitting Diode)
150: 지시등
160: 센서
170: 통신 회로
180: 조작부
190: 서치등

Claims (17)

  1. 발광색이 다른 다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으로 이루지는 발광 블럭(140);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하는 센서(160);
    상기 위치 변동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경계별로 온오프가 미리 설정되는 온오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 중 해당 발광등을 동작 제어를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기(110); 및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구동 회로(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동 정보는 높이, 속도, 및 거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상기 센서(160)까지의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감지된 속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는 사용자의 이동 거리에 따라 감지된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60)는 높이 측정 센서, 거리 센서 및 속도 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하는 일반 모드, 상기 발광 블럭(140) 중 하나(140-1 내지 140-n)를 온 오프하는 온오프 주기를 반복하는 리듬 비트 모드, 및 제 1 특정 로그를 비추는 서치등(190)을 온하는 서치라이트 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의 통신 단말기(210)와 통신으로 연결되는 통신 회로(17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는 상기 통신 단말기(210)에 설치되는 앱(220)을 통해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바디(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의 일측면에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330,340)으로 이루어지는 조작부(18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설정 모드에 대한 선택은 다수의 버튼(330,340)의 누름 횟수 또는 누르고 있는 시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내 설치되는 제 2 특정 로그(740)를 회전시키는 모터 박스(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박스(700)는, 상기 제 2 특정 로그(740)의 하단에 설치되는 베어링(730); 및 상기 베어링(730)과 연결되는 모터(710);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730)은 볼팅 방식에 의해 상기 모터(71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투광을 위한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바디(320)는 볼링 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16. (a) 센서(160)가 사용자가 이동함에 따른 위치 변동을 감지하여 상기 위치 변동에 따른 위치 변동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제어기(110)가 상기 위치 변동 정보에 연동하여 상기 위치 변동 정보의 경계별로 온오프가 미리 설정되는 온오프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제어기(110)가 결정된 온오프 설정 정보에 따라 발광색이 다른 다수의 발광등(140-1 내지 140-n)으로 이루지는 발광 블럭(140) 중 해당 발광등을 동작 제어를 수행하거나 미리 설정되는 다수의 설정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및
    (d) 구동 회로(120)가 상기 동작 제어에 따라 상기 해당 발광등을 온 또는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따른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80093090A 2018-08-09 2018-08-09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0A KR20200017769A (ko) 2018-08-09 2018-08-09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90A KR20200017769A (ko) 2018-08-09 2018-08-09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69A true KR20200017769A (ko) 2020-02-19

Family

ID=6967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90A KR20200017769A (ko) 2018-08-09 2018-08-09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76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ja)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101710307B1 (ko)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야광봉을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KR101822968B1 (ko)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7009A (ja) 2011-03-29 2012-10-25 Chukei Nomura 桑小枝粉砕微粉末の製法
KR101710307B1 (ko) 2016-07-18 2017-02-24 주식회사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야광봉을 이용한 공연연출 제어시스템
KR101822968B1 (ko) 2017-01-25 2018-01-29 주식회사 트래딧 응원봉을 구비한 공연 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5581B1 (ko) 공연 정보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CN108474531B (zh) 照明内容编辑系统和方法
JP5727024B2 (ja) 照明付き化粧鏡セット
JP6933862B2 (ja) ライト調整システムおよびライト
CN102726124A (zh) 交互式照明控制系统和方法
KR101795717B1 (ko) 스틱형 발광 장치
US11176854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wearable object with lighting function
US8506107B2 (en) Movement-based feedback device
CN109156068A (zh) 用于控制照明设备的方法和系统
KR102229017B1 (ko) 공연 영상 정보 제공을 발광 스틱으로 확인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73A (ko) 음원 방향에 연동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71416B1 (ko) 응원을 위한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69A (ko)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휴대용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017771A (ko) 다른 발광 장치와 연동하여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17772A (ko) 확산 발광을 구현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17768A (ko) 행사장의 발광을 조절하는 발광 제어 시스템 및 이의 방법
KR20200072210A (ko) 무드등
US20210274620A1 (en) Method and controller for selecting media content based on a lighting scene
KR102263493B1 (ko) 좌석 위치 안내를 위한 발광 제어를 구현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0013478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731490B2 (ja) 雰囲気生成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制御構成
KR102263490B1 (ko) 참가자의 구호에 연동되어 휴대용 발광 스틱에 공연 정보를 표시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AU2017261532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frame provided with the same
KR102263492B1 (ko) 주변 기상 정보를 발광 제어 정보에 반영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263491B1 (ko) 지정 참가자와 공연자를 연결하는 공연 연출 제어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