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723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723A
KR20200017723A KR1020180092954A KR20180092954A KR20200017723A KR 20200017723 A KR20200017723 A KR 20200017723A KR 1020180092954 A KR1020180092954 A KR 1020180092954A KR 20180092954 A KR20180092954 A KR 20180092954A KR 20200017723 A KR20200017723 A KR 20200017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oreign material
foreign matter
groov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02B1 (ko
Inventor
최지원
김동준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02B1/ko
Priority to US16/534,917 priority patent/US11185199B2/en
Priority to EP19190616.3A priority patent/EP3616584B1/en
Publication of KR20200017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7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66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adapted for removing nail dust, hair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02Dust sepa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고 피청소면에 놓여 회전하는 드럼브러시를 가진 이물흡입유닛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가 개시된다. 상기 드럼브러시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물수거홈부를 가진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배치된 청소부재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청소부재를 가로질러 나선으로 연장 배치되어 이물을 상기 이물수거홈부 측으로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상기 이물수거홈부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되는 이물을 감는 이물감김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드럼브러시는 카펫 등의 바닥에 있는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을 드럼 단부로 효과적으로 유도하여 감김하고 절삭함으로써 이물의 누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A VACCUM CLEANER}
본 발명은 이물흡입유닛,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 흡입 성능이 개선된 드럼브러시를 가진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카펫과 같이 이물이 깊숙한 곳에 부착되는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드럼브러시를 가진 이물흡입유닛을 구비하고 있다. 드럼 브러시는 회전하면서 대상물을 타격하여 카펫 또는 바닥 틈새에 있는 이물을 카펫 또는 바닥 틈새로부터 분리시킨다. 진공청소기는 이렇게 분리된 이물을 이물흡입유닛을 통해 흡입한다. 이와 같이 드럼 브러시는 진공청소기의 흡입구를 카펫 표면에 접근시켜 카펫의 모(毛)들 사이의 깊숙한 곳에 부착된 이물을 흡입할 때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드럼 브러시는 외주면에 청소솔을 가진 청소부재, 예를 들면 융 원단이 감겨진 드럼을 포함한다. 그러나 드럼에 배치된 부드럽고 미세한 청소솔은 머리카락 등의 감김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청소솔로 사용되는 융 원단은 경도가 낮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머리카락이나 가늘고 긴 이물이 누적된다. 결과적으로 드럼 브러시는 누적된 이물에 의해 회전이 구속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을 효과적으로 유도하고 강하게 감아서 절삭 및 흡입할 수 있게 하는 드럼브러시를 가진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물을 유도하는 노즐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드럼브러시를 가진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물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드럼브러시를 가진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진공청소기가 제공된다. 진공청소기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고 피청소면에 놓여 회전하는 드럼브러시를 가진 이물흡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브러시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물수거홈부를 가진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배치된 청소부재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청소부재를 가로질러 나선으로 연장 배치되어 상기 이물수거홈부 측으로 이물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상기 이물수거홈부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되는 이물을 감는 이물감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이물수거홈부의 일부에 배치되는 이물감김부에 의해 유도되는 머리카락들을 강하고 수월하게 감을 수 있다.
상기 이물감김부는 상기 노즐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됨으로 제조 및 장착이 쉽고 노즐의 벗겨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물흡입유닛은 상기 이물감김부에 감긴 이물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감김부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함으로써 감겨진 이물을 효과적으로 절삭하여 흡입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또는 상기 이물감김부는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로 이루어짐으로써 이물에 대한 강한 마찰력을 제공하여 쉽게 유도하고 감을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2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함으로써 바닥의 이물들이 쉽게 노출되고, 청소부재와 노즐 사이에 이물이 끼지 않고, 드럼 단부 측의 이물수거홈부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될 수 있다.
상기 드럼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하여 관통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걸림턱부를 가진 노즐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연장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걸림턱부에 삽입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걸림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함으로써 노즐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 중 하나는 다른 블레이드보다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물 청소효율이 향상되고 블레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3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블레이드 중 중앙의 블레이드는 다른 블레이드보다 더 높게 형성함으로써 이물 청소효율이 향상되고 블레이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노즐은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최외각 블레이드를 지나 연장하는 바닥연장부를 포함함으로써 청소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노즐은 2 이상의 블레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결합부를 포함함으로써 블레이드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바닥부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연장함으로써 청소부재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청소부재는 기재와 상기 기재에 부착된 청소솔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은 상기 청소솔보다 낮게 형성됨으로써 청소를 위해 드럼이 회전할 때 발생하는 타격소음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이물수거홈부는 부채꼴 형상으로 상기 드럼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유도된 이물이 효과적으로 감길 수 있다.
상기 이물수거홈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함몰 형성된 오목홈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유도되는 이물이 감기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물수거홈부는 상기 이물감김부를 장착하는 장착홈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물감김부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물감김부는 상기 이물수거홈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됨으로써 유도되는 이물이 우선적 이물감김부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이물감김부는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제1 및 제2스탠딩벽부와, 상기 제1스탠딩벽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벽부와, 상기 경사벽부와 상기 제2스탠딩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벽부를 포함함으로써 유도된 이물을 감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중 상기 드럼에 인접한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쓰루우홀 및 나머지 플랜지부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벽부는 각각 상기 쓰루우홀과 상기 체결홈부에 삽입함으로써 장착된 이물감김부가 동작 중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는 양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이물수거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이물수거홈부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 이상의 드럼을 포함함으로써 이물의 유도 경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드럼브러시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상기 중간이물수거홈부에 장착되는 중간이물감김부를 포함함으로써 이물의 유도 경로를 줄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고무 노즐에 의해 카펫이나 바닥 틈새에 있는 예를 들면 머리카락 같은 가늘고 긴 이물을 드럼 단부 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고무와 같이 마찰력이 좋은 재질의 이물감김부를 드럼 양측의 이물수거홈부에 설치하여 노즐에 의해 유도되는 이물을 강하고 쉽게 감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누적된 이물들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브러시가 구속되는 문제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노즐 및 이물감김부는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에서 노즐 및 이물감김부는 드럼 및 이물수거홈부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상면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4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흡입유닛의 분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5의 Ⅳ-Ⅳ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의 일부를 확대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이물감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노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문서에서는 진공청소기(1)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진공청소기(1)가 로봇 진공청소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캐니스터 타입 진공청소기, 업라이트 타입 진공청소기, 스틱 타입 진공청소기 등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1)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2) 및 이물흡입유닛(10)을 포함한다.
청소기본체(2)는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입모터(미도시) 및 집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흡입모터는 피청소면의 오물을 흡입하기 위한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한다.
집진부는 흡입력에 의해 이물흡입유닛(10)을 통해 청소기본체(2) 내로 흡입되는 오물을 수거할 수 있다. 집진부는 흡입력에 의해 흡입되는 이물을 여과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부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흡입된 공기로부터 오물을 분리하는 사이클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진공청소기(1)는 케이스(11)와, 케이스(11) 내에 설치되어 구동부(12)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브러시(13), 그라인더(18) 및 베이스부재(1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1)는 서로 조립되는 상부케이스(111)과 하부케이스(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케이스(111) 및 하부케이스(112)는 단일 부재로 일체로 제작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하부케이스(112)는 바닥을 향하는 부분에 드럼브러시(13)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는 대략 반원통 형상의 드럼수용부(113)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드럼수용부(113)는 내측 후방으로 흡입유로(114)와 연통되는 흡입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피청소면의 이물은 드럼브러시(13)에 의해 드럼수용부(113) 내로 수거된 후 흡입구(115) 및 흡입유로(114)를 통해 흡입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하부케이스(112)는 하부의 전방을 따라 이물을 드럼수용부(113) 내로 흡입할 수 있도록 복수의 이물흡입홈(116)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112)가 마루 바닥과 같은 피청소면에 안착될 때, 하부케이스(112)의 저면과 피청소면 사이는 아이들 휠(미도시)에 의해 소정의 간극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피청소면의 이물은 복수의 이물흡입홈(116)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하부케이스(112)의 저면과 피청소면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드럼수용부(113)으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1)는 흡입모터에 의해 흡입유로에 부압이 형성되면 드럼수용부(113)에도 부압이 형성된다. 따라서 피청소면의 이물(이물, 오물, 머리카락 등)은 드럼수용부(113)의 외측 주변과의 압력 차에 의한 공기의 흐름에 의해 흡입된다. 통상적으로 카펫(미도시)과 같은 소재에 이물이 부착되는 경우에, 공기의 흡입만으로는 카펫의 내부에 깊이 부착된 이물을 흡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드럼브러시(13)는 카펫의 다수의 모(毛) 사이에 깊숙이 부착된 이물을 털어줌으로써 이물을 카펫 상부로 비산시키고, 이렇게 비산된 이물은 드럼수용부(113) 내의 흡입구(115)로 흡입된다.
이물흡입유닛(10)은 구동부(12), 드럼브러시(13), 그라인더(18) 및 베이스부재(19)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분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럼브러시의 측면도, 도 8은 도 7의 Ⅰ-Ⅰ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도 7의 Ⅱ-Ⅱ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7의 Ⅲ-Ⅲ선을 따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구동부(12)는 드럼브러시(13)의 회전체(1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케이스(1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부(12)는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드럼브러시(13)로 회전력을 전달하여 드럼브러시(13)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한다.
드럼브러시(13)는 회전체(130), 회전체(130)의 외주면에 마련된 청소부재(145)와, 회전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마련되어 이물을 유도하는 노즐(150)과, 노즐(150)의 일단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유도되는 이물을 감는 이물감김부(160), 및 회전체(130)의 중간에 마련된 중간이물감김부(165)를 포함한다.
회전체(130)는 길이방향의 회전축부(도 8의 131)을 따라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어셈블리(132), 드럼어셈블리(132)의 양단부에 마련된 1쌍의 이물수거홈부(134), 및 드럼어셈블리(132) 중간에 마련된 중간이물수거홈부(136)를 포함한다.
드럼어셈블리(132)는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일렬로 배열된 1쌍의 드럼(132-1,132-2)을 포함한다. 1쌍의 드럼(132-1,132-2)은 각각 1쌍의 청소부재(145) 및 1쌍의 노즐(150)을 지지한다. 각각의 드럼(132-1,132-2)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길게 연장하는 1쌍의 노즐장착부(133)를 포함한다. 드럼어셈블리(132)는 1개의 드럼 또는 3개 이상의 드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드럼어셈블리(132)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1쌍의 노즐장착부(133)는 각각의 드럼(132-1,132-2) 외주면에 회전 중심축에 대해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다. 노즐장착부(133)는 드럼(132-1,132-2)의 길이방향으로 나선으로 관통하는 걸림홈부(135) 및 걸림홈부(135)보다 좁은 폭으로 드럼(132-1,132-2)의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걸림턱부(137)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150)은 드럼어셈블리(132)의 양단부에서 걸림홈부(135)와 걸림턱부(137)를 통하여 중앙부분까지 끼워져 장착된다. 노즐장착부(133)는 상술한 구조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점)착 방식, 후크 걸림 방식, 억지끼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드럼(132-1,132-2)의 외주면에 나선으로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노즐장착부(133)는 각각의 드럼(132-1,132-2)에 대해 1개 또는 3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1을 참조하면, 1 쌍의 이물수거홈부(134)는 스풀(spool) 형상으로 드럼어셈블리(132)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하거나 일체로 마련된다. 이물수거홈부(134)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원형 플랜지부(138-1,138-2), 한 쌍의 플랜지부(138-1,138-2)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마련된 예를 들면,'V'자형상의 오목홈부(139), 및 회전체(130)의 회전축부(131)에 결합하는 축결합부(142)를 포함한다. 드럼(132)에 인접한 플랜지부(138-1)에는 노즐(150)이 통과하는 쓰루우홀(140)가 형성된다. 오목홈부(139)에는 이물감김부(160)가 장착되는 장착홈부(141)가 형성된다. 장착홈부(141)는 이물감김부(160)의 하부 및 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장착홈부(141)는 이물감김부(160)를 장착하였을 때 이물감김부(160)의 상부가 오목홈부(139)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할 정도의 깊이로 형성된다. 장착홈부(141)는 오목홈부(139) 및 플랜지부(138-2)에 걸쳐 함몰 형성된다. 장착홈부(141)는 후술하는 이물감김부(160)의 제2스탠딩벽부(164)가 삽입되도록 플랜지부(138-2) 내면에 회전축부(131)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어 있는 체결홈부(144)를 포함한다. 체결홈부(144)는 삽입 체결된 이물감김부(160)의 제2스탠딩벽부(164)가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제한하기 때문에, 회전 작동 시 이물감김부(160)가 벗겨지지 않는다. 또한, 이물감김부(160)는 체결홈부(144)와 더불어 플랜지부(138-1)의 쓰루우홀(140)에 의해 방사상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중간이물수거홈부(136)는 드럼어셈블리(132)의 드럼(132-1)과 드럼(132-2) 사이에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중간이물수거홈부(136)는 스풀 형상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원형 플랜지부(138-1,138-2)와 한 쌍의 플랜지부(138-1,138-2)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마련된 예를 들면, 'V'자형상의 오목홈부(139')를 포함한다. 오목홈부(139')에는 인서트사출에 의해 중간이물감김부(165)가 장착된다. 회전체(130)가 1개의 드럼(132)으로 구성될 경우, 중간이물수거홈부(136)는 생략될 수 있다. 중간이물수거홈부(136)는 드럼(132-1,132-2)와 별도로 제작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오목홈부(139)는 'V'형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W'형, 'U'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청소부재(145)는 예를 들면 면사로 짠 직물과 같은 기재(146)에 부드러운 모(毛)와 같은 청소솔(147)이 마련된다. 청소부재(145)는 드럼어셈블리(132) 외주면에 마련되어 카펫이나 바닥 틈새의 이물을 청소한다. 1쌍의 청소부재(145)는 각 드럼(132-1,132-2)의 노즐장착부(133)를 경계로 하여 외주면에 마련된다. 청소부재(145)는 노즐장착부(133)의 수, 즉 노즐의 수에 의해 분리될 수도 있고 드럼(132-1,132-2)의 외주면 전체를 감을 수 있는 원통형으로 제작한 후 노즐(150)이 통과할 수 있는 개방부를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1쌍의 노즐(150)은 각 드럼(132-1,132-2)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으로 연장하는 1쌍의 노즐장착부(133)에 삽입 장착된다. 노즐(150)은 피청소면의 이물들을 이물수거홈부(134) 측으로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노즐(150)은 1쌍으로만 제한되지 않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 마련될 수도 있다.
노즐(150)은 노즐장착부(133)의 걸림홈부(135)에 삽입되도록 길게 연장하는 걸림부(151) 및 걸림턱부(137)에 삽입되도록 걸림부(151)보다 좁은 폭으로 걸림부(151)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연결부(152), 연결부(152)로부터 가로방향으로 확장하는 바닥부(153), 및 바닥부(153)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부(154)를 포함한다.
노즐(150)은 일단부에 이물감김부(160)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노즐(150)은 타단부를 걸림부(151)와 연결부(152)가 각각 노즐장착부(133)의 걸림홈부(135)와 걸림턱부(137)에 끼워져 중간이물수거홈부(136)까지 삽입된다. 따라서, 노즐(150)은 견고하게 드럼(132-1,132-2)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노즐(150)은 나선형이 아닌 일자형으로 제작하여 재질의 탄성변형 특성을 이용하여 나선형 노즐장착부(133)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노즐(150)은 나선형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나 일자형이 더 저렴하고 쉽게 제작될 수 있다.
걸림부(151)는 방사방향에 가로로 넓은 폭으로 연장하는 형태로서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걸림턱부(137)에 걸려 빠지지 않는다. 걸림부(151)는 재질 자체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연결부(152)에 비해 넓고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51)는 사각형 또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52)는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걸림턱부(137)을 통과할 수 있도록 폭이 좁고 길게 방사상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연결부(152)의 폭은 삽입 시 파손 우려를 피할 수 있는 적절한 두께로 설계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바닥부(153)는 드럼(132-1,132-2)의 원주를 따라 아치형으로 연장한다. 바닥부(153)는 드럼(132-1,132-2)의 외주면 사이에 청소부재(145)의 기재(146)의 일부를 개재시켜 고정 지지한다. 바닥부(153)는 이와 같이 청소부재(146)의 기재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청소부재(145)가 드럼(132-1,132-2)으로부터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닥부(153)는 후술하는 블레이드부(154) 중 최외곽 블레이드(155,156)를 지나 확장하는 바닥연장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연장부(153')는 청소부재(146)의 기재(146)를 지지하는 면적을 더 확보할 수 있게 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블레이드부(154)는 바닥부(153)로부터 서로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가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을 마찰할 때 피청소면에 있는 이물들을 양측의 이물수거홈부(134) 또는 중앙의 중간이물수거홈부(136)로 용이하게 유도함으로써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 사이의 공간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넓어져 이물이 사이에 끼이지 않게 한다. 블레이드부(154)는 2열 또는 4열 이상의 블레이드로 구성하여도 청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 중 중앙의 블레이드(157)는 상대적으로 양측의 외곽 블레이드(155,156)보다 높다. 드럼브러시(13)의 회전 시에, 중앙의 블레이드(157)는 피청소면과의 마찰에 의해 변형된다. 이때 변형되는 중앙의 블레이드(157)는 낮은 높이의 외곽 블레이드(155,156) 중 어느 하나에 지지되어 추가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과잉변형으로 인한 손상을 막아준다. 물론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는 모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소솔(147)보다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청소솔(147)은 블레이드부(154)보다 높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피청소면에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드럼브러시(13)의 회전 시에 블레이드부(154)는 피청소면을 직접 타격하지 않기 때문에 타격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레이드부(154)는 바닥부(153)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결합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3열의 블레이드(155,156,157)는 얇고 길게 연장하기 때문에 지나치게 쉽게 변형되어 과잉변형으로 인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부(154)는 중간에 적정한 간격으로 중간결합부(158)가 마련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물감김부(160)는 드럼어셈블리(132)의 양단부에 위한 1쌍의 이물수거홈부(134)의 장착홈부(141)의 일부에 각각 마련된다. 이물감김부(160)는 노즐(150)의 일단부에 일체로 마련된다. 이물감김부(160)는 노즐(150)이 유도하여 보내는 이물들, 특히 머리카락, 동물의 털과 같은 가늘고 긴 이물을 고무재질의 마찰력으로 강하게 감을 수 있다. 이물감김부(160)는 노즐(150)과 함께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물론 이물감김부(160)는 노즐(150)과 분리 제작될 수도 있다. 이물감김부(160)는 노즐(150)과 분리 제작될 경우 이물수거홈부(134)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마련될 수도 있다.
이물감김부(160)는 간격을 두고 이격된 제1 및 제2 스탠딩벽부(161,164), 제1스탠딩벽부(161)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벽부(162), 및 경사벽부(162)와 제2스탠딩벽부(164)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63)를 포함한다.
제1스탠딩벽부(161)는 플랜지부(138-1)의 쓰루우홀(140) 내에 끼워진다. 또한, 제2스탠딩벽부(164)는 장착홈부(141)의 체결홈부(144)에 삽입 체결된다. 이와 같이 이물감김부(160)는 제1 및 제2스탠딩벽부(161,164)의 체결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경사벽부(162)는 부채꼴 표면으로 이물수거홈부(134)의 표면보다 높게 돌출하여 유도되는 이물, 특히 머리카락이나 동물의 털을 고무 마찰력으로 강하게 감는다.
중간이물감김부(165)는 중간이물수거홈부(136)의 오목홈부(139')에 인서트사출 방식으로 마련된다. 중간이물감김부(165)는 이물감김부(160)와 다르게 오목홈부(139') 원주 전체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중간이물감김부(165)는 인서트사출 방식 외에 접(점)착 방식, 후크 걸림 방식, 억지끼움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중간이물감김부(165)는 서로 이격되게 마련된 제1 및 제2스탠딩벽부(166,169), 제1스탠딩벽부(166)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벽부(167) 및 경사벽부(167)와 제2스탠딩벽부(169)를 연결하는 연결벽부(168)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10을 참조하면, 3개의 그라인더(18)는 베이스부재(19)에 장착되어 한 쌍의 이물수거홈부(134) 및 중간이물수거홈부(136)에 각각 마련된 한 쌍의 이물감김부(160)의 경사벽부(162) 및 중간이물감김부(165)의 경사벽부(167)에 근접 배치된다. 따라서, 그라인더(18)는 드럼브러시(13)의 회전 시에 노즐(150)에 의해 유도된 후 이물감김부(160)의 경사벽부(162) 및 중간이물감김부(165)의 경사벽부(167)에 감긴 이물을 마찰력으로 분쇄한다. 이와 같이 분쇄된 이물은 청소기본체(2)의 흡입력으로 흡입구(115) 및 흡입유로(114)를 통해 수거된다.
그라인더(18)는 이물감김부(160)의 경사벽부(162) 및 중간이물감김부(165)의 경사벽부(167)에 상응하는 경사진 다수의 경사칼날(182)를 포함한다.
그라인더(18)는 연마석으로 형성하거나, 표면만을 다이아몬드 코팅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으며, 전조(轉造)가공을 통해 표면에 연마용 줄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물은 그라인더(18)와 경사벽부(162,167) 사이의 간극에 누적된다. 이 간극에 머리카락 같은 이물이 누적적으로 쌓이다가 이물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그라인더(18)의 면과의 마찰에 의해 이물이 절단된다. 간극이 너무 좁게 형성되면 그라인더(18)와 드럼어셈블리(132)의 진동에 의하여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간극은 1.5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19)는 이물흡입유닛(10)의 하부를 커버한다. 베이스부재(19)는 3개의 그라인더(18)를 장착하는 반원호 형상 의 그라인더지지부(191), 및 2개의 드럼(132-1,132-2)의 하부를 수용하는 한 쌍의 하부드럼수용부(192)를 포함한다.
3개의 그라인더지지부(191)는 각각 한 쌍의 이물감김부(160)의 경사벽부(162) 및 중간이물감김부(165)의 경사벽부(167)에 상응하는 위치인 한 쌍의 하부드럼수용부(192) 측면에 위치한다.
한 쌍의 하부드럼수용부(192)는 2개의 드럼(132-1,132-2)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회전 가능하도록 충분히 여유 공간을 갖고 수용한다. 이때, 노출된 드럼(132-1,132-2)의 하부는 회전하면서 피청소면에 접촉하여 피청소면을 타격함으로써 이물을 피청소면으로부터 분리해낸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진공청소기
2: 청소기본체
10: 이물흡입유닛
11: 케이스
12: 구동부
13: 드럼브러시
130: 회전체
132: 드럼어셈블리
132-1,132-2: 드럼
133: 노즐장착부
134: 이물수거홈부
136: 중간이물수거홈부
141: 장착홈부
145: 청소부재
146: 기재
147: 청소솔
150: 노즐
151: 걸림부
153: 바닥부
154: 블레이드부
155,156,157: 블레이드
158: 중간결합부
160: 이물감김부
162:167: 경사벽부
165: 중간이물감김부
18: 그라인더
19: 베이스부재

Claims (19)

  1. 진공청소기에 있어서,
    흡입력을 생성하는 청소기본체와, 상기 흡입력으로 이물을 흡입하고 피청소면에 놓여 회전하는 드럼브러시를 가진 이물흡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드럼브러시는,
    원통형의 드럼과 상기 드럼의 양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물수거홈부를 가진 회전체와;
    상기 드럼의 외주면에 배치된 청소부재와;
    상기 드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청소부재를 가로질러 나선으로 연장 배치되어 상기 이물수거홈부 측으로 이물을 유도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과;
    상기 이물수거홈부의 일부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되는 이물을 감는 이물감김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감김부는 상기 노즐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흡입유닛은 상기 이물감김부에 감긴 이물을 절삭하기 위하여 상기 이물감김부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는 그라인더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및 상기 이물감김부는 합성고무, 합성수지 또는 천연고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2 이상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하여 관통하는 걸림홈부 및 상기 걸림홈부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드럼의 외주 방향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하는 걸림턱부를 가진 노즐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상기 걸림홈부에 삽입되도록 연장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보다 좁은 폭으로 상기 걸림턱부에 삽입되고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걸림부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 중 하나는 다른 블레이드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서로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는 3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3개의 블레이드 중 중앙의 블레이드는 다른 블레이드보다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최외각 블레이드를 지나 연장하는 바닥연장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2 이상의 블레이드의 하단을 연결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여 상기 2 이상의 블레이드를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결합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는 상기 드럼의 원주 방향을 따라 아치형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재는 기재와 상기 기재에 마련된 청소솔을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은 상기 청소솔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거홈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플랜지부와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사이에 함몰 형성된 오목홈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진공청소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수거홈부는 상기 이물감김부를 장착하는 장착홈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감김부는 상기 이물수거홈부의 오목홈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장착홈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감김부는 서로 이격되어 세워진 제1 및 제2스탠딩벽부와, 상기 제1스탠딩벽부로부터 하향 경사진 경사벽부와, 상기 경사벽부와 상기 제2스탠딩벽부를 연결하는 연결벽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부는 상기 한 쌍의 플랜지부 중 상기 드럼에 인접한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귄취부통과부 및 나머지 플랜지부에 상기 드럼의 중심축 방향으로 함몰된 체결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탠딩벽부는 각각 상기 쓰루우홀과 상기 체결홈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양단부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중간이물수거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간이물수거홈부에 의해 분리된 적어도 2 이상의 드럼을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브러시는 상기 중간이물수거홈부에 인서트사출에 의해 장착되는 중간이물감김부를 포함하는 진공청소기.
KR1020180092954A 2018-08-09 2018-08-09 진공청소기 KR102546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54A KR102546702B1 (ko) 2018-08-09 2018-08-09 진공청소기
US16/534,917 US11185199B2 (en) 2018-08-09 2019-08-07 Vacuum cleaner
EP19190616.3A EP3616584B1 (en) 2018-08-09 2019-08-07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954A KR102546702B1 (ko) 2018-08-09 2018-08-09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723A true KR20200017723A (ko) 2020-02-19
KR102546702B1 KR102546702B1 (ko) 2023-06-22

Family

ID=6758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954A KR102546702B1 (ko) 2018-08-09 2018-08-09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85199B2 (ko)
EP (1) EP3616584B1 (ko)
KR (1) KR102546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15022A (zh) 2016-09-09 2019-05-03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除毛搅拌器
CN113509076B (zh) 2017-05-26 2023-08-01 尚科宁家运营有限公司 毛发切割刷辊
US11247245B2 (en) * 2017-12-27 2022-02-15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anti-hair wrap management systems
US11672393B2 (en) 2017-12-27 2023-06-13 Sharkninja Operating Llc Clea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JP1659997S (ko) * 2019-03-12 2020-05-25
CN211299799U (zh) * 2019-09-05 2020-08-21 天佑电器(苏州)有限公司 滚刷组件及具有该滚刷组件的吸尘器
KR20210069405A (ko) * 2019-12-03 2021-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DE102020115219A1 (de) 2020-06-09 2021-12-09 Miele & Cie. Kg Saugroboter
JP7390623B2 (ja) 2020-07-16 2023-1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ローラ
JP2023536277A (ja) 2020-07-29 2023-08-24 シャークニンジャ オペレーティング エルエルシー 表面処理装置のためのノズルおよび同ノズルを有する表面処理装置
USD1016417S1 (en) * 2021-07-30 2024-02-27 Bissell Inc. Autonomous floor cleaner
GB2618794A (en) * 2022-05-16 2023-11-22 Techtronic Cordless Gp A cleaner head for a surface cleaning appliance
GB2619299A (en) * 2022-05-30 2023-12-06 Dyson Technology Ltd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7930A (ja) * 1986-03-18 1987-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JP2009131418A (ja) * 2007-11-29 2009-06-18 Kowa Co Ltd 清掃体、回転清掃体、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US20090306822A1 (en) * 2005-09-02 2009-12-10 Neato Robotics, Inc Multi-function robotic device
KR20180079998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68684A (ja) 2008-05-07 2009-11-19 Kowa Co Ltd 回転ロータ、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KR102467325B1 (ko) * 2016-01-29 2022-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청소기
KR102426086B1 (ko) * 2016-03-29 2022-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흡입노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GB2569309B (en) * 2017-12-12 2020-10-21 Dyson Technology Ltd A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er
US10905297B2 (en) * 2018-01-05 2021-02-02 Irobot Corporation Cleaning head including cleaning rollers for cleaning robo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7930A (ja) * 1986-03-18 1987-09-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US20090306822A1 (en) * 2005-09-02 2009-12-10 Neato Robotics, Inc Multi-function robotic device
JP2009131418A (ja) * 2007-11-29 2009-06-18 Kowa Co Ltd 清掃体、回転清掃体、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KR20180079998A (ko) * 2017-01-03 2018-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16584B1 (en) 2021-01-27
EP3616584A1 (en) 2020-03-04
KR102546702B1 (ko) 2023-06-22
US11185199B2 (en) 2021-11-30
US20200046183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6702B1 (ko) 진공청소기
KR102426086B1 (ko) 흡입노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청소기
KR101031560B1 (ko) 흡입구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CN105592765B (zh) 用于真空吸尘器的清洁器头
CN111787836B (zh) 端盖组合件
AU2010212337B2 (en) Vacuum accessory tool
EP3733036B1 (en) Vacuum cleaner
KR102386214B1 (ko) 진공청소기
KR20210022876A (ko) 진공청소기
US20220061611A1 (en) Vacuum cleaner
TWI653023B (zh) 清掃機
KR102620155B1 (ko) 청소기
EP1827193B1 (en) Agitator for suction nozzle in vacuum cleaner
KR20050059575A (ko) 회전 브러시 및 이를 구비한 진공청소기
JPH08173355A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2012235867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CN114760899B (zh) 用于真空清洁器具的清洁头
KR100480142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헤드
KR200457118Y1 (ko) 진공청소기용 헤드
CN217645111U (zh) 尘杯组件及表面清洁设备
CN114831534B (zh) 尘杯组件及吸尘器
KR20220062967A (ko) 진공청소기
KR20230107038A (ko) 진공 청소기
WO2023227990A1 (en) Agitator element for a vacuum cleaner
WO2021069860A1 (en) Cleaner head for a vacuum cleaning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