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652A -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652A
KR20200017652A KR1020180092792A KR20180092792A KR20200017652A KR 20200017652 A KR20200017652 A KR 20200017652A KR 1020180092792 A KR1020180092792 A KR 1020180092792A KR 20180092792 A KR20180092792 A KR 20180092792A KR 20200017652 A KR20200017652 A KR 20200017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lip unit
roll
support
roll bli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문종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종배 filed Critical 문종배
Priority to KR1020180092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7652A/ko
Publication of KR20200017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6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의 지지부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클립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지지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스크린의 상하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롤블라인드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큰 유리창 또는 수평개폐식 창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Roll blind apparatus including clip unit for screens}
본 발명은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지지부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클립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지지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스크린의 상하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롤블라인드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큰 유리창 또는 수평개폐식 창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 사무실 등 창문이 설치된 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롤블라인드장치들이 설치된다. 롤블라인드장치는 유리창을 통해 건물 내부로 입사하는 직사광선을 막고 광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방충망으로 구비되어 벌레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롤블라인드 장치 중에서도 특히 실린더에 감겨 기계적인 방식으로 승하강하는 스크린방식의 롤블라인드장치는 조작이 간편하고 편리하여 다양한 장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크린방식의 롤블라인드장치는 유리창의 사이즈에 제한을 받으며, 통유리로 된 유리창 및 수평으로 절첩되면서 구동되는 수평개폐식 창에 적용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또한, 구동 중에 스크린에 대한 장력이 스크린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지 못하게 되어 스크린에 주름이 생기며 롤프레임에 권취될 수 있으며, 장기간 여러 번 사용으로 인해 스크린의 측단부가 마모될 수 있다. 이에 롤블라인드장치의 기능을 저하를 초래하고 미관상 좋지 않으므로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0955 (2016.07.29. 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의 지지부와 연동하여 동작되는 클립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인접한 지지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스크린의 상하개폐가 이루어지게 하여 롤블라인드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큰 유리창 또는 수평개폐식 창에도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롤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는 복수의 롤프레임과 상기 롤프레임의 각각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장치로써,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롤프레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유닛과 상기 지지부는 상호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또 다른 지지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상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클립유닛; 및 상기 롤프레임에 인접한 또 다른 롤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제 2 클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의 최외측 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로부터 소정의 이격 거리를 갖고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리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리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립유닛은 지퍼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은 메쉬 형상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은 지지부와 연동하여 동작됨으로써 복수의 스크린들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부에 연결가능한 클립유닛을 포함하는 롤블라인드장치는 클립유닛에 의해 복수의 롤스크린의 지지부들이 연결됨으로써 롤블라인드장치 구동 시 각각의 롤스크린들이 하나로 구동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롤스크린의 흔들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는 클립유닛을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일반적인 롤블라인드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좋으며, 큰 유리창 또는 수평개폐식 창에도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클립유닛을 지퍼식으로 구비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을 연결가능한 클립유닛을 구비하는 롤블라인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낸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 언급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롤블라인드장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롤블라인드장치(1)는 유리창, 유리문 등에 설치되어 직사광선을 막거나 방충망 등으로 구비되어 벌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막고 롤프레임(2)은 유리창이 가까운 천장에 롤브라인드장치(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크린(3)은 롤프레임(2)에 연결될 수 있으며, 롤프레임(2)에 스크린(3)에 권취되도록 연결하여 롤블라인드장치(1)가 사용될 수 있다. 스크린(3)은 롤프레임(2)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권취될 수 있는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스크린(3)을 아래로 구동시켜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3)을 위로 권취시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3)이 이동되면서 불균일한 장력에 의해 뒤틀리면서 유리창에 부딪혀서 유리창 및 스크린(3)의 표면에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롤블라인드장치(1)의 장기간 이용 시 성능을 저하시키는 등 문제점이 있다. 또한, 통유리창 및 수평 개폐하는 창에는 크기의 제한이 있었으며, 복수의 스크린(3)을 개별적으로 조작해야 하는 등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부(32)와 연동하여 동작됨으로써 복수의 스크린(30)을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클립유닛(50)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클립유닛(50)에 의해 복수의 스크린들(30)의 지지부(32)가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롤프레임들(20)이 하나로 구동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큰 유리창 또는 수평개폐식 창에도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 호환성이 강화된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 2의 클립유닛을 지퍼식으로 구비한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장치(10)는 복수의 롤프레임(20)과 복수개의 스크린(30)을 구비한다. 롤프레임(20)은 유리창이 가까운 천장에 롤브라인드장치(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롤프레임(20)의 일측단부에 클립유닛(50)이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에는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지지부(32)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양측단부에 지지부(32)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30)의 지지부(32)는 스크린(30)의 최외측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스크린(30)으로부터 이격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32)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탄성력이 강화된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내충격성을 강화할 수 있으며, 방수성을 더욱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하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의 탄성력을 강화할 수 있는 수지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유닛(50)은 지퍼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립유닛(50)은 제1 지지부(32a)와 제2 지지부(32b)가 일부 면 접촉되도록 지퍼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클립유닛(50)을 지퍼식으로 구비함으로써 제1 스크린(30a) 및 제2 스크린(30b)이 효과적으로 연결되며 롤블라인드장치(10) 권취 시 더욱 부드럽게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제1 스크린(30a) 및 제2 스크린(30b)이 롤블라인드장치(10) 구동 시 효과적으로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클립유닛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유닛(50)은 베이스부(57), 가이드리드부(56a, 56b)로 구성된다. 클립유닛(50)은 일측이 롤프레임(20)의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은 스크린(30)의 지지부(32)를 향해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클립유닛(50)은 롤블라인드장치(10)의 구동 시 이격되어 있는 지지부들(32a, 32b)이 밀착되도록 지지할 수 있으며, 클립유닛(50)으로 인해 한쌍의 지지부들(32a, 32b)이 면접촉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클립유닛(50)은 지지부들(32a, 32b)을 향할수록 경사도가 감소될 수 있으며, 지지부들(32a, 32b)에 밀착되는 선단부는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클립유닛(50)의 경사도가 감소되게 구비함으로써, 지지부들이 면접촉되어 연결하는데 있어 클립유닛(50)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지지부들의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고 장기간 사용시 마찰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이드리드부(56a, 56b)는 제1 절곡부(56a') 및 제2 절곡부(5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리드부(56a, 56b)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됨으로써 지지부들(32a, 32b)을 효과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표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클립유닛(50)의 가이드리드부(56)의 형상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들에 구속될 것은 아니며 지지부들(32a, 32b)이 클립유닛(50)에 의해 잘 지지될 수 있고, 지지부들(32a, 32b)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모두 가능하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롤블라인드 장치의 작동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장치(10)는 가로로 넓은 큰 유리창(7)에 설치되어 사용할 수 있다. 롤블라인드장치(10)는 복수의 롤프레임들(2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제1 롤프레임(20a), 제2 롤프레임(20b) 및 제3 롤프레임(20c)을 나란하게 구비할 수 있다. 제1 롤프레임(20a)의 일측에는 제1 클립유닛(5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스크린(30a)의 제1 지지부(32a)와 제2 스크린(30b)의 측단 지지부(32b)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롤프레임(20b)의 일측에는 제2 클립유닛(50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스크린(30b)의 제3 지지부(32b')와 제3 스크린(30c)의 측단 지지부(32c)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립유닛(50a) 및 제2 클립유닛(50b)에 의해 롤블라인드장치(10) 구동 시 스크린들(30a, 30b, 30c)이 연결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스크린(30a), 제2 스크린(30b) 및 제3 스크린(30c)의 지지부들(32a, 32b, 32b, 32c)이 연결되는 바, 롤블라인드장치(10) 구동 시 한꺼번에 효과적으로 연동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스크린들(30a, 30b, 30c)은 롤프레임들(20a, 20b, 20c)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권취될 수 있는 바, 클립유닛(50a)에 의하여 제1 지지부(32a) 및 일부가 인접한 제2 지지부(32b)가 접촉 또는 해제되면서 클립유닛(50a)과 지지부들(32a, 32b)이 상호연동하여 동작됨으로써 복수의 스크린들(30a, 30b, 30c)이 한번에 구동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직사광선을 차단하기 위해 복수의 스크린들(30a, 30b, 30c)을 아래로 구동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스크린들(30a, 30b, 30c)을 위로 권취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 에서는 3 개의 스크린들(30a, 30b, 30c)과 2 개의 클립유닛들(50a, 50b)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속하는 것은 아니며 유리창의 크기 및 롤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클립유닛(50)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크린들(30)을 연동하여 동작하지 않을 때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절첩식 문에 간편하게 부착하여 스크린들(30)을 연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롤블라인드 장치(10)는 롤프레임(20) 일측에 모터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모터부(40)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롤블라인드 장치(10)를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스크린(30)은 메쉬 형상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벌레 및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메쉬 또는 그물망구조로 구비됨으로써 바람에 의해 스크린이 흔들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10: 롤블라인드장치 2,20: 롤프레임 3,30: 스크린
32: 지지부 50: 클립유닛 50a: 제1 클립유닛
50b: 제2 클립유닛 57: 베이스부 56: 가이드리드부 56a,b: 연장부 56a',b';절곡부

Claims (10)

  1. 복수의 롤프레임과 상기 롤프레임의 각각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스크린을 포함하는 롤블라인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
    상기 롤프레임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클립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유닛과 상기 지지부는 상호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클립유닛에 의하여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또 다른 지지부에 접촉되는 상태로 상기 스크린의 상하 개폐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클립유닛; 및
    상기 롤프레임에 인접한 또 다른 롤프레임의 적어도 일측에 구비된 제 2 클립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스크린의 외측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스크린으로부터 이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에 고정되어 있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일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가이드리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리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절곡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유닛은 지퍼식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유닛은 상기 롤프레임으로부터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실리콘, 부타디엔, 이소프렌의 동종중합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실록산 엘라스토머, (메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의 공중합체로 이루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메쉬 형상의 그물망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KR1020180092792A 2018-08-09 2018-08-09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KR202000176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92A KR20200017652A (ko) 2018-08-09 2018-08-09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92A KR20200017652A (ko) 2018-08-09 2018-08-09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652A true KR20200017652A (ko) 2020-02-19

Family

ID=69670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92A KR20200017652A (ko) 2018-08-09 2018-08-09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765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93A (ko) 2021-05-27 2022-12-06 김상익 블라인드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5Y1 (ko) 2015-03-09 2016-07-29 문제선 롤 블라인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955Y1 (ko) 2015-03-09 2016-07-29 문제선 롤 블라인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0193A (ko) 2021-05-27 2022-12-06 김상익 블라인드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06553A1 (en) Roll-up shade with cord capture
US4712598A (en) Screen door assembly
CA2529682C (en) Screen device
JP6195582B2 (ja) ブラインド機能付き網戸
US20120291964A1 (en) Blind assembly with two blind head rail
US20070000618A1 (en) Roman blind assembly
KR101925855B1 (ko) 커튼월형 방진망을 구비한 창호
US20100024994A1 (en) Window Covering Having at Least One Deformable Connector
KR20200017652A (ko) 스크린을 연결하는 클립유닛을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JP6783158B2 (ja) ブラインド
KR20110085337A (ko) 슬랫의 완전차광 및 현수시 쏠림방지 기능을 갖는 베니션 블라인드
DE102009011578B3 (de) Rollladenbespannung
KR102100555B1 (ko) 가이드리브를 구비한 롤블라인드장치
US997600A (en) Rolling window-screen.
JP2016199969A (ja) 日射遮蔽装置
JP2011012444A (ja) ブラインド
US938147A (en) Combination shade and screen for windows.
RU2121051C1 (ru) Оконное экра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745201A (en) Window-screen.
JP3092344U (ja) 通風換気スペースを形成したロールスクリーン
CN201209393Y (zh) 调光百叶防蚊纱窗窗帘
CN220267560U (zh) 一种柔性连接防火卷帘
KR101946413B1 (ko) 통풍기능을 가진 차양장치
KR20190035360A (ko) 블라인드 연결장치
JP2017031574A (ja) ドア内設置用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