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245A -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245A
KR20200017245A KR1020180092599A KR20180092599A KR20200017245A KR 20200017245 A KR20200017245 A KR 20200017245A KR 1020180092599 A KR1020180092599 A KR 1020180092599A KR 20180092599 A KR20180092599 A KR 20180092599A KR 20200017245 A KR20200017245 A KR 202000172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notification message
external electronic
notifica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1194B1 (ko
Inventor
이재혁
문태균
이재훈
최종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2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1194B1/ko
Priority to CN201910729610.8A priority patent/CN110830929A/zh
Priority to CN202211032630.8A priority patent/CN115499792A/zh
Priority to US16/535,683 priority patent/US10992489B2/en
Priority to PCT/KR2019/009997 priority patent/WO2020032636A1/en
Priority to EP19190768.2A priority patent/EP3608750B1/en
Publication of KR20200017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1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11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short real-time information, e.g. alarms, notifications, alerts, upd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04W52/0254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detecting a user operation or a tactile contact or a motion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20

Abstrac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밖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후술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communication network)의 발전 및 전자 장치의 소형화로 인하여, 사용자는 휴대 가능한 복수의 전자 장치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과 같은 제1 전자 장치 및 스마트워치와 같은 제2 전자 장치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는, 통신망 또는 제1 전자 장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때마다, 제2 전자 장치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단체 채팅방내에서 대량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는 대량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을 제2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1 전자 장치는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를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제2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시점은 제2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와 독립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서, 제1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 다음, 알림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면서, 제2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전력을 소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알람 메시지를 제공 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는, 디스플레이,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입력회로, 센서회로,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회로, 상기 센서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입력회로 또는 센서회로에서 전달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하도록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식별하고, 지정된 값을 상기 식별된 제1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하고(restrict),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2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값과 다른 값을 상기 식별된 제2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2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식별된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하고, 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electronic device) 및 그의 방법은,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는 시점은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와 관련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의 송신이 제한됨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빈도가 감소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는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들을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가 출력하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7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들을 획득하는 동작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의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를 조건부로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3a 내지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메모리 내에 알림 메시지를 누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림 메시지를 동기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a 내지 1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를 동기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속적으로 식별되는 알림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예시적인 상황에서의 신호 흐름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및 제2 전자 장치의 다른 예시적인 상황에서의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hardware)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AP(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 또는 폴더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르는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르는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 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예: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이 구성요소들 중 일부들은 하나의 통합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은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채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실행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처리 또는 연산의 적어도 일부로서,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고, 휘발성 메모리(132)에 저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운영 가능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보조 프로세서(123)은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실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소프트웨어로서 저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은,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예를 들면, 스피커 또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리시버는 착신 전화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별개로, 또는 그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표시 장치(160)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설정된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상기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도록 설정된 센서 회로(예: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거나, 반대로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 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예: 사용자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전자 장치(101)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직접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지정된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예를 들면,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그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단자(178)은,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들, 이미지 센서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들, 또는 플래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388)은,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189)는,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직접(예: 유선) 통신 채널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가입자 정보(예: 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IMSI))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확인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예: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은,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도전체 또는 도전성 패턴 이외에 추가적으로 다른 부품(예: RFI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안테나 모듈(197)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고, 이로부터, 제 1 네트워크(198)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신호 또는 전력은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통신 모듈(190)과 외부 전자 장치 간에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 and 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외부 전자 장치들(102, 104, or 108) 중 하나 이상의 외부 장치들에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 또는 다른 장치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에게 그 기능 또는 그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를 수행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하나 이상의 외부 전자 장치들은 요청된 기능 또는 서비스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요청과 관련된 추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실행하고, 그 실행의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의 적어도 일부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140)을 예시하는 블록도(200)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체제(142), 미들웨어(144), 또는 상기 운영 체제(142)에서 실행 가능한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예를 들면, AndroidTM, iOSTM, WindowsTM, SymbianTM, TizenTM, 또는 BadaTM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 중 적어도 일부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제조 시에 전자 장치(101)에 프리로드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104), 또는 서버(108))로부터 다운로드되거나 갱신 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시스템 리소스들(예: 프로세스, 메모리, 또는 전원)의 관리(예: 할당 또는 회수)를 제어할 수 있다. 운영 체제(142)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전자 장치(101)의 다른 하드웨어 디바이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또는 안테나 모듈(197)을 구동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전자 장치(101)의 하나 이상의 리소스들로부터 제공되는 기능 또는 정보가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146)으로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4)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 윈도우 매니저(203), 멀티미디어 매니저(205), 리소스 매니저(207), 파워 매니저(209),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 패키지 매니저(213), 커넥티비티 매니저(215),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 로케이션 매니저(219), 그래픽 매니저(221), 시큐리티 매니저(223), 통화 매니저(225), 또는 음성 인식 매니저(227)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0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생명 주기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203)는, 예를 들면, 화면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GUI 자원들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205)는, 예를 들면,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포맷들을 파악하고, 그 중 선택된 해당하는 포맷에 맞는 코덱을 이용하여 상기 미디어 파일들 중 해당하는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207)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의 소스 코드 또는 메모리(130)의 메모리의 공간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209)는, 예를 들면, 배터리(189)의 용량, 온도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이 중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장치(101)의 동작에 필요한 관련 정보를 결정 또는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파워 매니저(209)는 전자 장치(101)의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미도시)와 연동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211)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46)에 의해 사용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213)는, 예를 들면,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갱신을 관리할 수 있다. 커넥티비티 매니저(21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무선 연결 또는 직접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는, 예를 들면, 지정된 이벤트(예: 착신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로케이션 매니저(219)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221)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제공될 하나 이상의 그래픽 효과들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시큐리티 매니저(223)는, 예를 들면,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을 제공할 수 있다. 통화(telephony) 매니저(22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에 의해 제공되는 음성 통화 기능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할 수 있다. 음성 인식 매니저(227)는,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서버(108)로 전송하고,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수행될 기능에 대응하는 명령어(command), 또는 그 음성 데이터에 적어도 일부 기반하여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서버(108)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244)는 동적으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142)의 일부로 포함되거나, 또는 운영 체제(142)와는 다른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146)은, 예를 들면, 홈(251), 다이얼러(253), SMS/MMS(255), IM(instant message)(257), 브라우저(259), 카메라(261), 알람(263), 컨택트(265), 음성 인식(267), 이메일(269), 달력(271), 미디어 플레이어(273), 앨범(275), 와치(277), 헬스(279)(예: 운동량 또는 혈당과 같은 생체 정보를 측정), 또는 환경 정보(281)(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46)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로 지정된 정보 (예: 통화, 메시지, 또는 알람)를 전달하도록 설정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도록 설정된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이메일 어플리케이션(269))에서 발생된 지정된 이벤트(예: 메일 수신)에 대응하는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노티피케이션 릴레이 어플리케이션은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 또는 그 일부 구성 요소(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전원(예: 턴-온 또는 턴-오프) 또는 기능(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의 밝기, 해상도, 또는 포커스)을 제어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삭제, 또는 갱신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휴대용 통신 장치 (예: 스마트폰), 컴퓨터 장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 휴대용 의료 기기,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또는 가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현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듈은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 전자 장치(101))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 내장 메모리(136) 또는 외장 메모리(138))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예: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 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의 블록도이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ce), 랩톱 PC 또는 데스크톱 PC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40), 통신 모듈(190) 또는 표시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의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 메모리(140), 통신 모듈(190) 및 표시 장치(160)들 각각은 도 1의 프로세서(120), 메모리(140), 통신 모듈(190) 및 표시 장치(16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냉장고, TV(television), 청소기, 에어컨(air-conditioner), 세탁기 및 조명 장치와 같은 가전 제품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프로세서(330), 메모리(340), 통신 모듈(320), 표시 장치(350) 및 배터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사용자의 심박수, 혈압 및 체온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370)는 제2 전자 장치(310)의 자세 또는 움직임을 측정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370)는 제2 전자 장치(310)의 주변 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마이크, 초음파 센서(acoustic sensor) 및 조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0, 330) 각각은 메모리들(140, 340) 각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120, 330)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 예를 들어, IC(Integrated Circuit), ALU(Arithmetic Logic Un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LSI(Large Scale Integr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들(140, 340) 각각은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들(140, 340)은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DRAM(Dynamic RAM) 등을 포함하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거나, ROM(Read Only Memory), MRAM(Magnetoresistive RAM), STT-MRAM(Spin-Transfer Torque MRAM), PRAM(Phase-change RAM), RRAM(Resistive RAM), FeRAM(Ferroelectric RAM) 뿐만 아니라 플래시 메모리, eMMC(Embedded Multi Media Card), SSD(Solid 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들(140, 340)은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인스트럭션 및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와 관련된 인스트럭션을 저장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프로세서들(120, 330)에 의해 실행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프로세서들(120, 330) 각각은 운영 체제를 실행함으로써,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 각각에 포함된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관리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제외한 나머지 소프트웨어인 어플리케이션으로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들(140, 340) 내에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의 집합인 어플리케이션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들(140, 340)에 설치되었다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들(140, 340) 각각에 연결된 프로세서들(120, 33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형태(format)로 저장되었음을 의미한다.
표시 장치들(160, 350)은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장치들(160, 350)을 통해 출력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보다 직관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1 전자 장치(101) 및/또는 제2 전자 장치(310)는 표시 장치들(160, 350) 위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미도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 패널들은 저항막(resistive film), 정전성 소자(capacitive components), 표면 초음파(surface acoustic wave) 및 적외선(infrared)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들(160, 350)을 터치하거나 표시 장치들(160, 350) 위에서 호버링되는 오브젝트(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스타일러스)의 위치를 탐지할 수 있다.
통신 모듈들(190, 320)은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및 LAN(Local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에 기초하여 제1 전자 장치(101) 및/또는 제2 전자 장치(310)를 제1 네트워크(198) 및 제2 네트워크(199) 중 적어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 모듈들(190, 320)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유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통신 회로,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및 통신 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는 통신 모듈들(190, 320)에 기초하는 제1 네트워크(198)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실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표시 장치(16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을 동시에 실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표시 장치(160)를 통하여, 복수의 어플리케이션들 각각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1 네트워크(198) 또는 제2 네트워크(199)로부터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제2 네트워크(199)를 통해 제1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네트워크 서비스(예를 들어, 메신저 서비스)로부터, 푸쉬 알림 형태로 제공되는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프로세서(120)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예를 들어 도 2의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에 기초하여 처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운영 체제에 기초하여 생성된 UI(예를 들어, 알림 센터, 홈 스크린, 락 스크린(lock screen), 토스트(toast)와 같은 팝업 윈도우(pop-up window)) 내에,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와 관련된 동작(예를 들어, 시각적 객체를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게 특정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제1 네트워크(198)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프로세서들(120, 330) 중 어느 하나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식별된 알림 메시지가 통신 모듈들(190, 320)에 의해 프로세서들(120, 330) 사이에서 공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전자 장치(101)의 알림 메시지를 포워드받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제1 전자 장치(101)의 표시 장치(160) 및 제2 전자 장치(310)의 표시 장치(350) 전부에서 동시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제2 전자 장치(310)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용자는 제1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310)의 하드웨어 컴포넌트,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 메모리(340), 통신 모듈(320) 및 표시 장치(350)들은, 배터리(360)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40), 통신 모듈(190) 및 표시 장치(160)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회로, 예를 들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가 켜진 이후,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330)의 상태는 일관적으로(consistently) 활성 상태(activate state)를 유지하지 않을 수 있다. 활성 상태는 프로세서(330)의 부팅이 완료된 이후의 상태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활성 상태는, 프로세서(330)가 PMIC를 통해 배터리(360)로부터 정상 전력, 기준 전력 또는 지정된 전력(전압 또는 전류) 이상의 전력을 수신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활성 상태는 제 1 전자 장치(101)에서 알림 메시지 통신 모듈(320)으로 수신하거나, 디스플레이를 통한 UI의 출력하거나, 입력장치(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 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팅이 완료된 이후, 프로세서(330)의 상태는 활성 상태 및 슬립 상태(sleep state) 사이에서 스위칭될 수 있다. 슬립 상태는, 프로세서(330)가 상기 활성 상태로의 전환을 위해 부팅을 요구하지 않으나, PMIC로부터 정상 전력을 획득하는 것을 요구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제2 전자 장치(310)의 PMIC로부터 기준 전력보다 낮은 전력을 획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상기 슬립 상태는, 비활성 상태(inactive state), 유휴 상태(idle state), 대기 상태(standby state), 또는 저전력 상태(low power state)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 및 통신 모듈(320)은 하나의 IC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슬립 상태는, 상기 IC 내의 통신 모듈(320)은 PMIC 로부터 정상 전력을 획득하는 동안, 프로세서(330)는 PMIC로부터 정상 전력 미만의 전력을 획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330)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AP(Application Processor) 및 통신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는 CP(Communication Processor) 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 상태는,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AP가 PMIC로부터 정상 전력 미만의 전력을 획득하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AP가 PMIC로부터 정상 전력 미만의 전력을 획득하는 동안,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CP가 PMIC로부터 획득하는 전력의 크기는 AP가 획득하는 전력의 크기와 독립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AP가 PMIC로부터 정상 전력 미만의 전력을 획득하는 동안, 프로세서(330)에 포함된 CP는 PMIC로부터 정상 전력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활성 상태 및 슬립 상태(sleep state)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것은,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 사이에서 전달되는 무선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may triggered).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활성 상태 및 슬립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되는 것은 사용자의 지정된 액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상황에서,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310)의 하우징에 배치되는 토글 버튼(예를 들어, 전원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다이얼을 돌리는 경우, 프로세서(330)의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10)는 공간 내에서 제2 전자 장치(310)의 자세(posture)를 감지하기 위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한 제2 전자 장치(310)의 자세의 변경에 응답하여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중력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서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프로세서(330)의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한 제2 전자 장치(310)를 얼굴을 향하도록 이동시키는 경우, 프로세서(330)의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상황에서,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제1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제1 네트워크(198)를 통해 통신 모듈(320)에 도달한 경우, 통신 모듈(320)은 프로세서(330)의 상태를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신호(예를 들어, 인터럽트 신호)를 프로세서(330)로 입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통신 모듈(320)의 신호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한 다음, 통신 모듈(320)을 통해 수신한 알림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가 알림 메시지를 처리하는 것은, 다양한 출력 수단(예를 들어, 표시 장치(350), 스피커, 진동 모터 및 LED 중 적어도 하나)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는, 제1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네트워크(199)로부터 식별한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제2 네트워크(199)로부터 생성된 알림 메시지는,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되는 즉시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1)의 알림 메시지가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되는 시점은, 알림 메시지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식별되는 시점,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시점 및 알림 메시지의 즉시성(instantaneity)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될 될 수 있다(may associate). 알림 메시지의 즉시성은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값 또는 파라미터 내에 표시될 수 있다(may be indicated in).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가 LED의 작동, 디스플레이를 통한 UI의 출력, 지정된 음성 신호의 출력 및 진동 모터의 작동과 같은 외부 출력(external output)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알림 메시지를 즉시성을 가지지 않는 알림 메시지로 결정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지 여부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의 타입, 어플리케이션의 알림 메시지의 출력 형태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외부 출력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대화방(chatting room) 별로 알림 메시지의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3명 이상과 관련된 단체 대화방의 알림 여부를 뮤트로 설정하여, 단체 대화방과 관련된 알림 메시지의 외부 출력을 제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를 뮤트(mute) 알림 메시지 또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제1 전자 장치(101)와 관련된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하는 것을 조건부 제한할 수 있다(may conditionally restrict).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뮤트 알림 메시지인 경우, 프로세서(120)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전송이 제한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은,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할 때에, 프로세서(330)가 활성 상태로 전환하여 외부 출력을 발생하므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와 함께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다.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330)는, 슬립 상태에서 식별된 뮤트 알림 메시지의 전송이 조건부 제한됨을 고려하여,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제1 전자 장치(101)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전송이 제한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전자 장치(310)가 제1 전자 장치(101) 내에 계류중인(pending)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동기화하는 동작을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 전환된 이후, 제1 네트워크(199)를 통하여 첫번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수신된 첫번째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장치(3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첫번째 알림 메시지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첫번째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한 이후, 제1 전자 장치(101)는 뮤트로 설정된 두번째 알림 메시지부터,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뮤트(mute) 알림 메시지 또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 중에서, 프로세서(330)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 전환된 이후 첫번째로 식별된 알림 메시지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조건부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들을 획득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00)이다. 도 4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4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는 외부 출력, 예를 들어, LED의 작동, 디스플레이를 통한 UI의 출력, 지정된 음성 신호의 출력 및 진동 모터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를 요구하는 메시지일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제1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모듈(320))은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을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30))로 알릴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4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active state)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은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과 관련된 인터럽트 신호를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로 전달하여,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때에,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동작(420)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동작(420)을 동작(410)과 함께 또는 동작(41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제1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전자 장치를 다루지(handling) 않는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 이후에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지정된 시간 이내에 전자 장치를 다루는 경우,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버튼을 누르거나, 다이얼을 돌리거나,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경우, 프로세서는 상기 지정된 시간 이후에도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활성 상태로의 전환에 응답하여, 동작(4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전자 장치에 포함된 표시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표시 장치(35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내에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는 (1)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 중인 운영 체제 또는 (2)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되고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의 형태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에 종속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다양한 형태의 알림(예를 들어, 진동 발생, LED의 깜박임, 음성 신호의 출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4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은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 즉, 뮤트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제2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조건부 요청할 수 있다(may conditionally requests). 예를 들어, 제1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임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가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 이전에 뮤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동작(4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알림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동작(44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로 외부 전자 장치에 계류 중인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가 복수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경우,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복수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이 생성된 시간에 따라, 복수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차례대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2 알림 메시지의 요청과 관련된 동작(440) 없이도 제2 알림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제1 알림 메시지와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이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전자 장치로 송신되는 순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제1 알림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 각각을 식별한 순서와 관련될 수 있다(may associate).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4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신한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동작(430)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된 제1 알림 메시지 다음에(next to),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 및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부터 차례대로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가 출력하는 알림 메시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들 각각은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b의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4의 전자 장치에 대응하고, 도 5a 내지 5b의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4의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네트워크 또는 제1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제1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10, 520, 530)을 제1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10, 520, 530)은 지정된 UI(예를 들어, 알림 센터, 락 스크린(lock screen)) 내에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이 생성된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알림 센터는 활성화된 제1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 위에서 수행되는 사용자의 지정된 동작(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의 상단을 터치한 손가락을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 스와이프하는 동작)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되는 UI일 수 있다. 락 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한 제1 전자 장치(101)의 웨이크업(wake-up) 이후에 출력되고, 사용자에게 제1 전자 장치(101)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정보(예를 들어, 지문, 안면, 홍채, 음성, 비밀 번호, 패턴)를 요구하는 UI일 수 있다.
시각적 객체들(510, 520, 530)이 디스플레이 내에서 출력되는 순서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가 먼저 출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시각적 객체들(510, 520, 530) 중 최근에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10)가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출력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되고, 제3 알림 메시지 이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20)가 시각적 객체(510) 하단에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10, 520, 530)은 스택의 형태로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될 수 있다. 새로운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새로운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기존의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 보다 상단에 출력할 수 있고, 기존의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을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가장 최근에 식별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알림 메시지가 생성되었을 때에, 제3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30)는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출력될 수 있다. 제3 알림 메시지 이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20)를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520)의 출력에 응답하여, 시각적 객체(53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 이후에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10)를 디스플레이의 최상단에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510)의 출력에 응답하여, 시각적 객체들(520, 53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의 하단으로 쉬프트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이고,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 및 제3 알림 메시지 등이 뮤트 알림 메시지인 경우, 제1 알림 메시지의 생성 이전에,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알림 메시지 및 제3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조건부로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와 연결된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알림 메시지 및 제3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신호, 음성 정보 신호 및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제1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인지 여부와 독립적으로,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4의 동작(410) 내지 동작(430)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40)를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음성 신호의 생성 요청을 식별한 경우,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음성 신호를 재생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로부터, 진동 정보 신호의 생성 요청을 식별한 경우, 제2 전자 장치(310)는 진동 정보에 대응하여 진동 모터를 작동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540)의 레이아웃은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레이아웃 정보 또는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도4의 동작(440)에 기초하여,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 전자 장치(101)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로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를 차례대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는 순서는,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먼저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는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50, 560)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고 가장 먼저 전송된 제1 알림 메시지가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다음에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b를 참고하면,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50, 560)은, 제2 전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540) 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540, 550, 560)이 제2 전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내에서 출력되는 순서는, 제2 전자 장치(310)가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3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순서에 대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동안, 제2 전자 장치(310)는 가장 최근에 수신한 뮤트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기존에 출력된 시각적 객체의 하단에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전자 장치(310)가 도4의 동작(440)에 기초하여,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제1 전자 장치(101)로 조건부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4의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대응하여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440)이다. 도 6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6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6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4의 동작(440)과 관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동작(6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 플래그 및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될 시각적 객체의 생성 요청, 음성 정보 신호의 생성 요청 및 진동 정보 신호의 생성 요청 중 어느 하나도 제1 알림 메시지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라고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메시지에 대한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는 동작에서, 각각 가지고 있는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서 지정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외부 출력의 타입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스피커 정보, LED 정도, 진동 모터 정보)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가 상기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라고 판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자 장치에서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이용할 수 있는 외부 출력의 타입들(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스피커 정보, LED 정도, 진동 모터 정보)을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에 상기 타입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활성화와 관련된 정보를 결합하여,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외부 출력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 경우, 동작(6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를 활성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를 참(true)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이후에 수신되는 다른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황 또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상황에서, 상기 플래그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도 8에서 후술).
도 6을 참고하면, 동작(6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하기 이전에, 예를 들어, 플래그를 활성화하는 동안, 전자 장치는 적어도 제1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LED를 온(on) 시키거나,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지정된 아이콘을 출력하여, 제1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 또는 상기 LED를 이용하여제1 알림 메시지의 표시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하기 이전에,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확인하는 신호(예를 들어, Ack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가 슬립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의 동작(620) 내지 동작(630)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신호, 음성 정보 신호 또는 진동 정보 신호 전부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 제1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뮤트로 설정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먼저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현재 수신된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제2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인 경우, 동작(6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들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가 활성화된 경우,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들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동작(6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는 제1 알림 메시지 이후에 수신되고, 뮤트로 설정된 다른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의 수행에 응답하여 비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를 거짓(false)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b는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제2 전자 장치(310)가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b의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7a 내지 7b의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4 또는 도 6의 전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는 AOD(Always-On-Display)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표시될 컨텐트를 포함하는 프레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AOD 모드는,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컨텐트를 출력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AOD 모드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텐트를 표시하는 시간 구간의 적어도 일부 동안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가 상기 슬립 상태에 있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AOD 모드는, 제2 전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ing IC, DDI)의 내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획득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AOD 모드는, DDI 자체의 동작에 따른 화면의 표시라는 측면으로부터 셀프-디스플레이(self-display) 모드로 참조될 수 있다.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는 AOD 모드를 제공하는 동안 표시될 컨텐트 내에,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720)를 추가할 수 있다. 도 7a를 참고하면, 시각적 객체(720)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아이콘(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일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예를 들어, 도 6의 동작(630)에 기초하여, 활성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되더라도, 제2 전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내에 시각적 객체(720)가 계속 출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는 하우징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LED(710)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310)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색상, 주기 및 지속 시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LED(710)를 작동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 중 제일 먼저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하고, 이후의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시각적 객체(720) 또는 LED(710)를 통해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다(may recognize).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310)의 웨이크 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전자 장치(310)의 하우징에 배치된 버튼들(740, 750) 중 적어도 하나를 누르거나, 제2 전자 장치(310)의 디스플레이 주변에 배치된 다이얼(730)을 돌림으로써, 제2 전자 장치(310)의 웨이크 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의 출력 이후에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는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로, 전송이 제한되었던(has been restricted)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각적 객체(720)의 출력 또는 LED(710)의 작동 이후에 웨이크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제2 전자 장치(310)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b를 참고하면,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웨이크 업과 관련된 동작에 따라 활성화된 제2 전자 장치(310)가 도시된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이 제한되었던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전송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760, 770)을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들(760, 770)이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되는 순서는, 시각적 객체들(760, 770) 각각에 대응하는 알림 메시지들이 생성된 시간과 관련될 수 있다.
도 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들을 획득하는 동작의 다른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800)이다. 도 8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동작(8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웨이크업과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는 슬립 상태일 수 있다. 슬립 상태에서, 전자 장치는 AOD 모드와 관련된 컨텐트(예를 들어, 현재 시간과 관련된 UI,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7a의 다이얼(730)을 돌리거나, 버튼들(740, 750) 중 적어도 하나를 눌러, 전자 장치의 웨이크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의 수신에 응답하여, 동작(8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UI를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UI 내에서, 전자 장치에 저장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이,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부터 순서대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동작(8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가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래그는 도 6에 기초하여,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가 거짓(false)인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하지 않을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플래그가 활성화된 경우, 동작(8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 여부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또는 플래그가 참(true)인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플래그의 활성화와 관련된 뮤트 알림 메시지 이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가장 먼저 생성된 순서에 따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동작(8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부터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도 9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900)이다. 도 9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9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33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90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외부 출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사용자 또는 외부 전자 장치에 의해 설정된 외부 출력의 타입(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는시각적 객체, LED의 작동, 음성 신호의 출력, 진동 신호의 출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어떤 외부 출력도 생성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9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전자 장치의 동작은 프로세서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예를 들어, 도 3의 통신 모듈(320))은 알림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신호를 프로세서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상태가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슬립 상태가 아닌 경우,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이후에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동작(91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출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음성 신호 또는 진동 신호의 출력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신호를 출력하거나 진동 모터를 작동할 수 있다. 동작들(905, 910, 915)을 참고하면,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었는 지와 독립적으로, 전자 장치는 사용자에게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알림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상태가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슬립 상태인 경우,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상태가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 경우, 동작(9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의 통신 모듈에서 생성된 알림 메시지의 수신과 관련된 신호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의 상태는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할 때에, 프로세서는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 이후 만료되는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타이머를 시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한 이후, 동작(92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로 시각적 객체를 출력하기 위한 정보, LED의 작동을 위한 정보, 음성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정보 및 진동 신호의 출력을 위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라 결정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과 관련된 어떤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 경우, 동작(9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7a의 LED(710) 또는 시각적 객체(720)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린 이후, 동작(9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9의 동작들(930, 960)은 도 6의 동작들(620, 630)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 경우,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것은 동작(920)의 카운터의 만료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동작들(920, 925, 930)을 참고하면,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전자 장치는, 활성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린 이후,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수신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가 아닌 경우, 동작(93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6의 동작들(610, 620)에 기초하여 활성화된 플래그에 기초하여, 동작(905) 이전에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동작(925)를 도 8의 동작(830)에 기초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동작(9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동작(940)은 동작(440)에 대응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동작(905)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 이전에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동작(940)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는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제1 알림 메시지와 함께,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되고, 뮤트로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동작(940)은 생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와 함께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고려하여, 동작(940)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동작들(935, 940)을 참고하면,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 이전에 수신되고,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는 정보, 음성 정보 신호 및 진동 정보 신호 전부를 생성하지 않도록 설정된 다른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 및 다른 알림 메시지 사이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요청하는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94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동작(905)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되었던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을 획득할 수 있다. 동작(945)에 기초하여 획득되는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의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로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가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은 후술한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9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905)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 및 동작(945)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내에서, 동작(905)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는 동작(945)에서 획득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질 수 있다. 동작(935)에서, 동작(905)의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전에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들(940, 945)을 수행하지 않고, 동작(905)에서 수신된 알림 메시지만을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동작(955)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920)의 프로세서의 상태의 전환 이후 지정된 시간이 지났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가 타이머를 시작한 경우, 전자 장치는 타이머의 완료를 탐지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지나기 이전에, 사용자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을 수행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지정된 시간 이후에도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이 지나거나, 타이머가 완료된 경우, 동작(9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정된 시간이 지나기 이전에, 사용자로부터 전자 장치와 관련된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프로세서는 활성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스위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가 슬립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AOD 모드에 대응하는 UI(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UI)가 출력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은,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가 활성 상태인 시간 구간 내로 집중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슬립 상태를 고려하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점을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의 슬립 상태를 고려하여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조건부 제한하는 동작을 도 10 내지 도 16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00)이다. 도 10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0의 동작은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동작(10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전자 장치에서 실행 중인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는 전자 장치와 연결된 네트워크 서비스로부터 푸쉬 알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동작(10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식별된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 이전에, 전자 장치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였고, 다른 알림 메시지의 전송 이후 지정된 시간(예를 들어, 10초)이 지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동작(10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가 활성 상태에 대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10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동작들(1030, 1040)을 참고하면,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가 활성 상태에 있는 동안, 알림 메시지를 식별하는 즉시에, 전자 장치는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활성 상태에 대응하지 않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10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조건부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되어 있고,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 이전에 외부 전자 장치로 뮤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한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1010)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동작(1050)과 관련하여 수행하는 구체적인 동작은 도 12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그램(140)을 도시한 블록도(200)이다. 도 11의 전자 장치는 도 10의 전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1의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어,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14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11을 참고하면, 프로그램(140)은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는 미들웨어(144)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외부 전자 장치를 착용한 이후, 와치(277)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를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써 실행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사이의 이벤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추측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추측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지정된 파라미터 내에,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추측한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사이에 송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 또는 슬립 상태 중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에서 슬립 상태로 전환될 때에, 외부 전자 장치는 슬립 상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를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하는 신호(예를 들어, 웨이크업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상기 신호의 송신에 응답하여,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를 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지정된 시간을 가지는 카운터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관련된 지정된 이벤트(예를 들어,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의 송신) 이후 지정된 시간 동안,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146)에 기초하여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에 기초하여,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차례대로(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로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 내에 저장되는 알림 메시지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지 여부에 기초하여, 외부 디바이스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의 상기 파라미터가 활성 상태를 나타내는 값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에서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로 송신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가 활성 상태인 경우, 전자 장치에서 식별된 알림 메시지는 외부 전자 장치로 실질적인 지연 없이(without substantial delay)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들 각각에서 동시에 출력되도록,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의 상기 파라미터가 슬립 상태를 나타내는 값에 대응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노티피케이션 매니저(217)에서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로 송신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외부 전자 장치가 슬립 상태인 경우, (1)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 및 (2)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 전환된 이후 첫번째로 식별된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알림 메시지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 내에 계류될 수 있다(may be pend in).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는 외부 전자 장치로 즉각적으로 전송되지 않는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은 스택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의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스택은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 별로 생성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알림 메시지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치(277)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와치(277)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MS/MMS(255)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SMS/MMS(255)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및 상기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대화방의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전송하지 않고, 전자 장치 내에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도 10의 전자 장치가 알림 메시지를 조건부로(conditionally) 전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050)이다. 도 12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2의 동작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도 3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2의 동작은 도 11의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와 관련될 수 있다. 도 12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는 도 10의 동작(1050)과 관련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대응하는 동안, 전자 장치는 도 12의 동작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동작(12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식별된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기초하여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알림 매니저(217)에서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로 송신된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알림 메시지 내에서,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의해 요구되는 외부 출력의 형태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는 정보신호, 음성 정보 신호 또는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알림 메시지 내에 직접적으로 포함되거나, 상기 신호의 출력을 활성화하는 플래그의 형태로 알림 메시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는 정보 신호, 상기 음성 정보 신호 및 상기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12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 또는 활성 상태인지와 독립적으로, 전자 장치에 의해 식별되는 즉시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의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이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서 제한됨에도 불구하고,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하면서,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지정된 시간 동안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기 이전에, 알림 메시지의 속성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지정된 외부 출력(예: 디스플레이, 진동,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을 요구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는 외부 전자 장치로 즉각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사용자에게 지정된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전자 장치는 지정된 조건을 만족하기 전까지,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고, 전자 장치의 메모리(예를 들어, 도 11의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조건은, (1)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식별하는 경우 및 (2)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에 액세스하는 경우(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부 전자 장치로 웨이크업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즉각적으로 전송할 필요가 있는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상기 다른 알림 메시지)를 먼저 송신한 이후, 외부 전자 장치로 메모리 내에 저장된 알림 메시지를 이후 송신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인 경우, 동작(12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내에서 뮤트(mute)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되는 정보 신호, 상기 음성 정보 신호 및 상기 진동 정보 신호 중 어떤 신호도 알림 메시지로부터 식별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알림 메시지를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라 결정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내의 상기 영역은 도 11의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상기 영역은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상기 영역은 지정된 값(예를 들어, 뮤트 또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도록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동작(12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식별된 메모리 내의 영역 내에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내에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계류 중인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메모리의 지정된 영역이 초기화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초기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동작(12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식별된 메모리 내의 영역 내에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뮤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가 초기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뮤트 알림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계류(pending of notification message)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되는 뮤트 알림 메시지는, 상기 뮤트 알림 메시지 이후의 다른 뮤트 알림 메시지의 송신 제한 및 계류를 외부 전자 장치로 알리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도 6의 동작들(610, 620)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가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는 뮤트 알림 메시지의 송신 이후, (1) 사용자에 의한 외부 전자 장치의 활성화 또는 (2)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다른 알림 메시지의 송신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식별된 메모리 내의 영역 내에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동작(12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내의 지정된 영역 내에,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메시지의 송신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의 송신이 제한된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전자 장치는 (1)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 및 (2)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 중에서, 첫번째로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제외한 나머지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의 지정된 영역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동작(1240)에 기초하여 메모리 내에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3a 내지 13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메모리(140) 내에 알림 메시지를 누적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13b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b의 메모리(140)는 도 3의 메모리(14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b의 전자 장치의 동작은 도 12의 동작(1240)과 관련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메모리(140) 내에 스택에 대응하는 데이터 구조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11의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의 데이터베이스 내에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뮤트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140) 내에 저장하는 것은,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시점 t0 이후의 시점 t1에서 생성된 제2 알림 메시지가 시점 t0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보다 먼저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2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전자 장치는,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과거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보다 먼저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되도록,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메모리(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가장 먼저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부터 내지 제n-1 알림 메시지가 가장 먼저 생성된 순서대로 메모리(140) 내에 누적될 수 있다.
시점 tn-1 이후의 시점 tn에서 식별된 제n 알림 메시지(1310)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제n 알림 메시지(1310)가 제n-1 알림 메시지보다 먼저 외무 전자 장치로 송신되도록, 제n 알림 메시지(1310)를 메모리(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는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동안 생성된 알림 메시지이고,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의 알림 타입(alert type)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는 "mute"일 수 있다. 상기 알림 타입은,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사용자의 설정(예를 들어, 사용자가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채팅방의 알림을 "off"로 설정하는 경우) 또는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예를 들어, 시스템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를 식별한 시간 순서대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뮤트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140) 내에 누적한 이후,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메모리(140) 내에 누적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누적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 가장 먼저 생성된 뮤트 알림 메시지부터 차례대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와 그 이전 생성된 지정된 개수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누적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송신하면서, 메모리(140) 내에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이 초기화될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를 시간 순서 및 식별자에 따라 구분하여 메모리(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식별된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를,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채팅방의 식별자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별로 구별되는 하나 이상의 스택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b에서는, ID k를 식별자로 가지는 m번째 뮤트 알림 메시지가 k-m 알림 메시지로 도시된다. 전자 장치는 식별자별로, 식별된 시간 순서에 따라 뮤트 알림 메시지를 메모리(14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ID 1을 식별자로 가지는 1-1 알림 메시지 내지 1-a 알림 메시지들이 가장 먼저 생성된 알림 메시지부터 차례대로 ID 1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ID 2를 식별자로 가지는 2-1 알림 메시지 내지 2-b 알림 메시지들이 가장 먼저 생성된 알림 메시지부터 차례대로 ID 2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에 저장될 수 있다. ID 1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 및 ID 2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은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2-b+1 알림 메시지(1320)의 식별에 응답하여, 2-b+1 알림 메시지(1320)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2-b+1 알림 메시지(1320)는 ID 2를 식별자로 가지는 뮤트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ID 2는 어플리케이션의 식별자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커스터마이즈된 식별자일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2-b+1 알림 메시지(1320)가 ID 2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내에서 가장 먼저 출력되도록, ID 2에 대응하는 메모리(140)의 영역 내에 2-b+1 알림 메시지(132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3a 내지 13b에 기초하여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은, 외부 전자 장치의 뮤트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동기화 요청(예를 들어, 도 9의 동작(940)에 기초한 요청) 또는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다른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지정된 임계치보다 많은 뮤트 알림 메시지들이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경우,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 일부만을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40) 내에 저장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개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만이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될 수 있다. 도 13a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지정된 k개의 뮤트 알림 메시지(예를 들어, 제n-k+1 알림 메시지부터 제n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뮤트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별로 구별되는 지정된 개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만을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3b를 참고하면, 전자 장치는 ID 1을 가지는 a개의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나중에 생성된 1-a 알림 메시지만을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 장치는 ID 2를 가지는 b+1 개의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2-b+1 알림 메시지(1320)만을, ID 3을 가지는 c 개의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3-c 알림 메시지만을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1-a 알림 메시지, 2-b+1 알림 메시지(1320) 및 3-c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순서는, 알림 메시지들이 생성된 시간의 순서와 관련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전자 장치가 도 13a 내지 13b에 기초하여 메모리(140) 내에 뮤트 알림 메시지를 누적함으로써, 외부 전자 장치가 뮤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빈도가 줄어들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가 뮤트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빈도가 줄어들 수 있다. 프로세서의 상태를 활성 상태로 전환하는 빈도가 줄어들기 때문에, 외부 전자 장치는 소비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로, 도 13a 내지 13b에 기초하여 메모리(140) 내에 누적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송신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도 1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요청에 응답하여 알림 메시지를 동기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400)이다. 도 14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4의 동작은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동작(14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는 도 9의 동작(930)에 기초하여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기초하여 뮤트 알림 메시지가 슬립 상태에 있는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된 이후, 외부 전자 장치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의 수신 또는 외부 전자 장치의 웨이크업과 관련된 사용자의 동작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이 제한된 알림 메시지들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요청하는 신호에 응답하여, 동작(14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메모리 내에서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가 누적되어 있는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1의 외부 디바이스 매니저(1110)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대응하는 메모리의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식별된 메모리의 영역 내에서, 하나 이상의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들이 도 13a 내지 13b에서 설명한 동작에 기초하여 저장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동작(14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된 영역 내에 포함된 알림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지정된 값(예를 들어, 뮤트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요청을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메모리의 지정된 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도 13a 내지 13b에서 설명한 동작에 기초하여 누적된 하나 이상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할 수 있다.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요청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식별된 영역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식별된 영역 내에서, 외부 전자 장치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식별된 뮤트 알림 메시지들이, 뮤트 알림 메시지를 식별한 시간 순서대로 뮤트 알림 메시지의 식별자별로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된 영역 내에서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이 생성된 시간과 관련된 순서에 따라, 외부 전자 장치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송신할 수 있다. 식별된 영역 내에서 전송이 제한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서 식별된 복수의 식별자들에 대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복수의 식별자 각각에서 지정된 개수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가장 나중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와 그 이전 생성된 지정된 개수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ID를 가지는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이 제1 전자 장치(101)에 누적된 경우 1-a, 2-b, 3-c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이 제한된 알림 메시지들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제한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전송이 제한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가 송신됨에 따라, 알림 메시지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서 동기화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 사이에서 동기화되는 시점은, 외부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전환된 이후일 수 있다.
도 15a 내지 15b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가 알림 메시지를 동기화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15b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들 각각은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들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15b의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0 내지 도 14의 전자 장치에 대응하고, 도 15a 내지 15b의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10 내지 도 14의 외부 전자 장치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은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의 알림 타입은 "mute"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시각적 객체들(1310)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식별된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2의 동작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 중 가장 먼저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101)는 도 14a와 유사하게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은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서,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 순서대로 저장될 수 있다.
도 15a를 참고하면,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의 식별 이후에, 제1 전자 장치(101)는 제n+1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제n+1 알림 메시지는 뮤트로 설정되지 않은 알림 메시지로써,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1 알림 메시지의 알림 타입은 "mute"가 아닐 수 있다. 예를 들어, 제n+1 알림 메시지는 시각적 객체(1510)의 출력, 음성 신호의 출력, 진동 신호의 출력 및 LED의 작동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10)를, 디스플레이 내에서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310) 보다 위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5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제n+1 알림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제n+1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는 슬립 상태에서 활성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디스플레이 내에 수신된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20)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가 외부 전자 장치로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 중 가장 먼저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고,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저장한 경우,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20)를 출력하는 동안,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전자 장치(101)로 제1 알림 메시지 및 제n+1 알림 메시지 사이에 생성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메모리 내에 저장된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 중 적어도 하나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n+1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후, 제2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530)을,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20) 이후에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a를 참고하면,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530)을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20) 아래에 출력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1 알림 메시지들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520, 1530)이 제2 전자 장치(310) 내에서 출력되는 순서는 도 15a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1)는, 메모리에 저장된 서로 다른 식별자들을 가지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들 각각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 또는 지정된 개수의 알림 메시지만을,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5b를 참고하면, ID k를 식별자로 가지는 m번째 뮤트 알림 메시지가 제k-m 알림 메시지로 도시된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 변경된 이후, 서로 다른 ID를 가지는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이 제1 전자 장치(101)에 누적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 내에,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이 생성된 순서에 기초하여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320)을 출력할 수 있다. 시각적 객체들(1320) 각각에 대응하는 뮤트 알림 메시지들은, 예를 들어, 도 14b와 같이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누적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전자 장치(101)는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 이후에 식별되고,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제n+1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n+1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로 변경된 이후 제n+1 알림 메시지 이전까지 생성된 뮤트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제1 전자 장치(101)로 요청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서로 다른 ID를 가지는 복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ID 별로 지정된 개수의 뮤트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는 ID 2를 가지는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제2-b+1 알림 메시지, ID 1을 가지는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제1-a 알림 메시지 및 ID 3을 가지는 뮤트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제3-c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2-b+1 알림 메시지, 및 제3-c 알림 메시지들이 제n+1 알림 메시지 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도록, 제2-b+1 알림 메시지, 및 제3-c 알림 메시지들을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1540)을 제n+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1520) 이후에 출력할 수 있다.
도 1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연속적으로 식별되는 알림 메시지들을 처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1600)이다. 도 16의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의 외부 전자 장치는 도 3의 제2 전자 장치(310)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6의 동작은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또는 도 3의 프로세서(1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동작(161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이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제1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외부 출력, 제1 알림 메시지의 알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동작(162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정보에 지정된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값은 제1 알림 메시지의 알림 타입이 뮤트임을 나타내는 값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지정된 값이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 알림 메시지에 대응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동작(1620)은 도 12의 동작(121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뮤트와 관련된 지정된 값을 제1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메모리의 지정된 영역 내에 저장되고, 상기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지정된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동작(16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알림 메시지가 뮤트 알림 메시지가 아닌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제1 정보에 지정된 값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알림 메시지는 전자 장치 및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질적인 시간 차이 없이 출력될 수 있다.
지정된 값을 상기 식별된 제1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163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도 12의 동작(1220) 이후의 동작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는 제1 알림 메시지 보다 과거에 생성된 다른 알림 메시지 보다 먼저 송신되도록 상기 메모리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알림 메시지가 외부 전자 장치의 슬립 상태로의 전환 이후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첫번째 알림 메시지인 경우, 전자 장치는 동작(1630)에도 불구하고, 제1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동작(164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2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는 제1 알림 메시지 이후에 식별되거나 생성된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2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외부 출력, 제2 알림 메시지의 알림 타입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 포함된 상기 지정된 값과 다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정보는 제2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의 출력을 나타낼 수 있다.
지정된 값과 다른 값을 식별된 제2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동작(165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2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내에 제2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알림 메시지의 송신 이후에, 동작(1660)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알림 메시지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2 알림 메시지의 수신 이후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는 제2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 이후에, 제1 알림 메시지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의 예시적인 상황에서의 신호 흐름도(1700)이다. 도 17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진입한 이후, 제1 전자 장치(101)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1710)를 식별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와 관련된 타이머의 만료, 제2 전자 장치(310)로부터 송신된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1710)는,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에 진입한 이후 처음으로 생성된 뮤트 알림 메시지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1710)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1710) 이후 식별되는 뮤트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송신이 제한되는 뮤트 알림 메시지는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누적될 수 있다.
뮤트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1710)를 수신한 제2 전자 장치(310)는, 지정된 시점(예를 들어,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또는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310)의 웨이크업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는 시점)에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지정된 시점은 제2 전자 장치(310)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필요가 있는 시점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시점에서,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전자 장치(101)로 동기화 요청을 포함하는 신호(1720)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101)는 신호(1720)에 응답하여, 제2 전자 장치(310)로 제1 전자 장치(101)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1730)을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1730)의 수신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내에,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1730)이 생성된 순서에 따라,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들(1730)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을 출력할 수 있다.
도 18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의 다른 예시적인 상황에서의 신호 흐름도(1800)이다. 도 18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는 도 3의 제1 전자 장치(101) 및 제2 전자 장치(31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뮤트로 설정된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이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인 동안에 생성된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 이후에 생성되고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1810)의 식별 이후에,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을 가장 최근에 생성된 제n 알림 메시지부터 차례대로 제2 전자 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1810)의 송신 이후에,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제1 알림 메시지 내지 제n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들을,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1810)에 대응하는 시각적 객체 이후에 출력할 수 있다.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1810)의 송신과 함께, 제1 전자 장치(101)는 지정된 시간을 가지는 타이머를 작동할 수 있다. 지정된 시간은 알림 메시지(1810)에 대응하여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식별되는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가 만료되기 이전에 식별되는 뮤트 알림 메시지(1820)에 응답하여, 제1 전자 장치(101)는 뮤트 알림 메시지(1820)를 제2 전자 장치(310)로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점을,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알림 메시지가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점을,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지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할 수 있다.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알림 메시지의 송신은,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로 변경된 이후로 조절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는 시점을,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활성 상태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알림 메시지를 즉각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경우, 제1 전자 장치(101)는 제2 전자 장치(310)로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알림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의 프로세서의 상태가 슬립 상태인 경우, 외부 출력을 요구하지 않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중에서, 첫번째로 생성된 알림 메시지가 제2 전자 장치(310)로 즉각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제2 전자 장치(310)는 첫번째로 생성된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지정된 시점(예를 들어, 외부 출력을 요구하는 다른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는 시점 또는 사용자가 제2 전자 장치(310)를 활성화하는 시점)에 알림 메시지의 동기화를 수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28)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 신호, 음성 정보 신호 또는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도록 설정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적어도 하나의제2 알림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제2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서 표시되는 순서는,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가 각각 생성된 시간과 관련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요청하지 않도록 하는 전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의 출력 이후에 감지되는 사용자의 액션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의 출력 이후에 수신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디스플레이 내에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표시한 이후에, 상기 프로세서의 활성 상태를 슬립 상태로 전환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제3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또는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들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도록,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다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표시 하도록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수신된 제3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알림 메시지가 있는 상태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입력회로;
    센서회로;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 상기 입력회로, 상기 센서회로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프로세서가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입력회로 또는 상기 센서회로에 전달된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활성 상태(active state)로 전환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제1 알림 메시지를 요청하고,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된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하도록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 내에서 생성되었던(has been generated)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도록하는 전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가 생성된 시간과 관련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알림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에 표시하도록하는 전자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프로세서의 슬립 상태를 상기 프로세서의 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기 이전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제2 알림 메시지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요청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 또는 다이얼과 관련된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회로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상기 전자 장치의 자세(posture)를 변경하는 사용자의 액션에 의해 생성되는 전자 장치.
  17.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1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식별하고,
    지정된 값을 상기 식별된 제1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제한하고(restrict),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제2 알림 메시지에 대한 제2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지정된 값과 다른 값을 상기 식별된 제2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제2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지정된 값을 상기 식별된 제1 정보로부터 획득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내에서 상기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설정된 지정된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제1 알림 메시지 이전에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된 다른 알림 메시지가 저장된 상기 지정된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의 송신을 제한하고,
    상기 다른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지 않은 상기 지정된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요청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메모리 내의 지정된 영역 내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의 송신이 제한된 상기 제1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지정된 영역은,
    상기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가 저장되도록 설정된 영역인 전자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지정된 값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요청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지정된 영역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식별하고,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서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이 생성된 시간과 관련된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서로 다른 식별자들을 가지는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상기 지정된 영역 내에서 식별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식별자들 각각에서, 가장 최근에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3.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외부 전자 장치와의 무선 연결을 수립하는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 및 상기 통신 회로와 작동적으로 결합된(operatively coupled)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실행시,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식별된 알림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하고,
    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고,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메모리 내에서 뮤트(mute)로 설정된 알림 메시지를 저장하는 영역을 식별하고,
    초기화된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영역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와 관련된 신호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비활성 상태에 대응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신호, 음성 정보 신호 또는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정보 신호, 상기 음성 정보 신호 또는 상기 진동 정보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의 전송의 제한에도 불구하고, 상기 식별된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송이 제한된 알림 메시지들과 관련된 요청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이 제한된 하나 이상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상기 메모리 내에서 전송이 제한된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을 식별한 것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알림 메시지들 각각에서 식별된 복수의 식별자들에 대하여, 상기 복수의 식별자 각각에서 지정된 개수의 알림 메시지를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알림 메시지의 전송에 따라 활성화되는 카운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식별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180092599A 2018-08-08 2018-08-08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211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9A KR102521194B1 (ko) 2018-08-08 2018-08-08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N201910729610.8A CN110830929A (zh) 2018-08-08 2019-08-08 用于提供通知消息的电子装置及其方法
CN202211032630.8A CN115499792A (zh) 2018-08-08 2019-08-08 用于提供通知消息的电子装置及其方法
US16/535,683 US10992489B2 (en) 2018-08-08 2019-08-08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and method thereof
PCT/KR2019/009997 WO2020032636A1 (en) 2018-08-08 2019-08-08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and method thereof
EP19190768.2A EP3608750B1 (en) 2018-08-08 2019-08-08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notification me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599A KR102521194B1 (ko) 2018-08-08 2018-08-08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245A true KR20200017245A (ko) 2020-02-18
KR102521194B1 KR102521194B1 (ko) 2023-04-13

Family

ID=6765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599A KR102521194B1 (ko) 2018-08-08 2018-08-08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92489B2 (ko)
EP (1) EP3608750B1 (ko)
KR (1) KR102521194B1 (ko)
CN (2) CN115499792A (ko)
WO (1) WO2020032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58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26140A1 (en) * 2021-07-24 2023-01-26 Vmware, Inc. Synchronization of notification actions across multiple enrolled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8437A1 (en) * 2011-08-08 2013-02-14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for task and notification handling in a connected car
US20160142407A1 (en) * 2014-11-14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7863B1 (en) * 2001-10-16 2014-07-1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rvice based communication module activation
US8345586B2 (en) * 2008-12-23 2013-01-01 Nxp B.V.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85337B1 (ko) 2011-10-26 2019-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운용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101891259B1 (ko) * 2012-04-04 2018-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능형 이벤트 정보 출력 지원 방법 및 단말기
WO2015065494A1 (en) 2013-11-04 2015-05-07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Detecting stowing or unstowing of a mobile device
US10534900B2 (en) * 2014-02-21 2020-01-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356925B1 (ko) * 2014-02-21 2022-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KR101582266B1 (ko) * 2014-04-17 2016-01-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US20150319223A1 (en) 2014-05-02 2015-11-05 Microsoft Corporation Delivering Content
US20150341900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WO2015178734A1 (en) * 2014-05-23 2015-11-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setting reception of notification message therein
US11343335B2 (en) 2014-05-29 2022-05-24 Apple Inc. Message processing by subscriber app prior to message forwarding
KR20160113903A (ko) * 2015-03-23 2016-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05611505B (zh) * 2015-08-17 2020-04-0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消息推送装置和终端
KR20170027606A (ko) * 2015-09-02 2017-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08319B1 (ko) * 2015-10-1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 타입 단말기
CN105979088B (zh) * 2016-05-06 2020-02-0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消息推送方法及装置
CN105915250B (zh) * 2016-05-31 2018-07-24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穿戴设备同步移动终端中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CN106126713A (zh) * 2016-06-30 2016-11-1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可穿戴设备及其同步应用消息展示方法
CN106657570B (zh) * 2016-09-14 2020-03-06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可穿戴设备的通知推送方法和系统
CN106658365A (zh) * 2016-11-18 2017-05-1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低功耗蓝牙协议的通信方法和装置
US9942849B1 (en) * 2017-05-19 2018-04-10 Apple Inc. Bluetooth# low-energy scanning and ranging
CN107395858B (zh) * 2017-06-07 2021-10-15 努比亚技术有限公司 一种通知消息的提示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7493568B (zh) * 2017-08-31 2020-10-30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消息处理方法和装置
CN108206777A (zh) * 2017-11-28 2018-06-2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消息推送方法及服务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8437A1 (en) * 2011-08-08 2013-02-14 Panasonic Corporation System for task and notification handling in a connected car
US20160142407A1 (en) * 2014-11-14 2016-05-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in electronic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9258A1 (ko) * 2022-07-22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되는 신호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0929A (zh) 2020-02-21
KR102521194B1 (ko) 2023-04-13
US20200052922A1 (en) 2020-02-13
EP3608750A1 (en) 2020-02-12
WO2020032636A1 (en) 2020-02-13
CN115499792A (zh) 2022-12-20
US10992489B2 (en) 2021-04-27
EP3608750B1 (en)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3519B (zh) 包括力传感器的电子设备
CN105589336B (zh) 多处理器设备
US10520979B2 (en) Enhanced application preview mode
US10963211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path thereof
KR102294180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전원제어 방법
CN107710724B (zh) 控制显示器的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2390647B1 (ko)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객체 제어 방법
EP307057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batter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thereof
EP3961386A1 (en) Device and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CN107111443B (zh) 电子设备及其显示方法
EP3506047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providing interface of the same, and accessory for the same
US1022872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29435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 알림을 제어하는 방법
KR20160014481A (ko) Idle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65678B1 (ko) 외부 장치를 이용한 화면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4128A (ko)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및 외부 디스플레이 전부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473790B1 (ko) 저전력 상태에서 시간 정보 제공 방법 및 이 방법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10940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 제어 방법
US20200264727A1 (en) Touch recogni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executing same
KR102536148B1 (ko)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150086932A (ko)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521194B1 (ko)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555229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1455139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independent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displays
KR102408032B1 (ko) 전자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에 연동된 생체 센서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