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6803A -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 Google Patents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6803A
KR20200016803A KR1020190095440A KR20190095440A KR20200016803A KR 20200016803 A KR20200016803 A KR 20200016803A KR 1020190095440 A KR1020190095440 A KR 1020190095440A KR 20190095440 A KR20190095440 A KR 20190095440A KR 20200016803 A KR20200016803 A KR 202000168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handle
circumferential surface
holding
hold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6641B1 (ko
Inventor
장민호
이수복
전진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트
Priority to CN201990000946.4U priority Critical patent/CN215273484U/zh
Priority to PCT/KR2019/009837 priority patent/WO2020032556A1/ko
Publication of KR2020001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구강 스캐너의 파지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 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은,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구강 내부의 화상이 광의 형태로 내부로 유입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에 사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싸서, 상기 스캐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캐너 홀딩부와,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배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HANDLE FOR 3-DIMENSIONAL INTRAORAL SCANNER}
본 발명은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병원 등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인상체득과정(impressin taking)을 통해 환자의 손상된 치아에 대한 치료 및 진료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석고 모형을 제작하는 인상체득과정에서는 재료의 소모 및 교차 감염 등의 문제와 제작된 모형의 파손 가능성 및 보존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인상재를 사용하여 환자의 손상된 치아에 대한 인상을 수작업으로 체득함에 따라서, 보철물 제작시 정확한 제작 수치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제작되는 보철물의 3차원 정보에 대한 오차 정도를 확인할 수 없고, 이러한 이유로, 실제 제작되는 보철물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일치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상재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손상된 치아에 대한 정확한 3차원 정보를 취득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정확한 치수의 보철물을 제작하도록 할 수 있는 3차원 구강 스캐너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547호(2018.07.04. 공고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이미징 센서의 앞단에 광경로 변경부를 배치함으로써, 상기 이미징 센서가 배치된 이미징 보드의 배치 자유도를 높이고, 내부공간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3차원 구강 스캐너'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3차원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누워있는 환자의 치아 데이터를 스캔할 때에는 정확한 데이터의 스캔 및 스캔시간 단축을 위해 스캐너를 세밀하게 움직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악과 하악 등 스캐너의 방향을 자유자재로 회전 혹은 이동시켜가며 데이터 스캔을 진행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환자의 구강 내로 광을 조사함과 아울러, 구강 내부의 화상이 광의 형태로 입력되기 위한 '개구부'가 상기 스캐너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스캐너로 스캔한 후, 다른 하나를 상기 스캐너로 스캔할 시, 상기 스캐너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스캐너를 회전시키고 이동시켜 사용하는 경우, 파지하는 방법 혹은 사용자의 신체 구조에 따라서 스캐너를 잡거나 스캔하기에 불편한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4547호(2018.07.04. 공고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구강 스캐너의 파지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 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상기 구강 스캐너를 이용하여 치아의 상, 하악 스캔 시 상기 구강 스캐너의 위치 변경을 쉽게 할 수 있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구강 스캐너를 작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은 3차원 구강 스캐너를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3차원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다. 상기 3차원 구강 스캐너는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구강 내부의 화상이 광의 형태로 내부로 유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은 스캐너 홀딩부 및 그립부로 구성된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싸서, 상기 스캐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배치된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아우터 홀딩부 및 이너 홀딩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홀딩부이 외주면에는 상기 그립부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홀딩부는 상기 아우터 홀딩부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홀딩부는 상기 아우터 홀딩부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환형의 아우터 휠, 환형의 이너 휠 및 복수개의 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휠의 외주면에는 상기 그립부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휠은 상기 아우터 휠 내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휠은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은 상기 아우터 휠 및 상기 이너 휠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은 상기 이너 휠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볼은 제1 복수개의 볼 및 제2 복수개의 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복수개의 볼은 상기 제1 복수개의 볼로부터 상기 스캐너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상기 스캐너 내에 구비된 반사 미러 및 렌즈가 소정의 배치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그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는 제1 접점단자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내주면에는 제2 접점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점단자는 상기 제1 접점단자와 접점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은, 스캐너 홀딩부 및 그립부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부를 잡고 환자의 구강 내부를 쉽게 스캔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구강 내부 중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스캔이 다소 어려운 부위의 스캔 시 구강 스캐너의 파지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 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스캐너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스캔한 후 다른 하나를 스캔할 시, 상기 스캐너의 개구부가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스캐너를 상기 스캐너 홀딩부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핸들을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거나, 상기 스캐너를 상기 스캐너 홀딩부에 장착한 상태로 상기 스캐너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구강 내부의 스캔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들이 상기 스캐너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접점단자와,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내주면에 구비된 제2 접점단자가 서로 접점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그립부를 잡은 채로 상기 그립부에 구비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조작하여서 상기 스캐너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이 적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한 쌍의 렌즈를 이용한 광 경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a)도는 구강 내의 하악 스캔 시 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도는 구강 내의 상악 스캔 시 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이 적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이 적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평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이 적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1)는, 구강 내에 입입 및 인출이 가능한 케이스(10)를 포함한다.
케이스(1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스테레오 카메라(20)로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일 카메라(20)로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가 한 쌍의 스테레오 카메라(20)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일단부로부터 입사된 광을 각각 상이한 경로로 통과시키도록 케이스(10)의 폭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20)는 한 쌍의 스테레오 카메라(20)로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전제로 설명하나, 한 쌍의 스테레오 카메라(20) 대신에 단일 카메라(20)의 적용을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상기 '광(光)'이라 함은,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스캔하고자 하는 환자의 구강 내부의 모습(이하, '화상'이라 약칭함)을 말한다.
따라서, 케이스(10)에는 일단부를 통해 화상이 광의 형태로 내부로 유입되도록 개구된 개구부(16)가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16)는, 케이스(10) 외부의 광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일 수 있다. 개구부(16)를 통하여 입사된 광은 각각 상이한 광 경로로 한 쌍의 렌즈(20)를 투과하게 된다. 한 쌍의 렌즈(20)를 투과한 광은 후술하는 이미징 보드(31a, 32a)에 구비된 이미징 센서(31b, 32b)를 통해 수용되고, 이미징 센서(31b, 32b)에 각각의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화상은 동시에 2개의 이미지 데이터로 확보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렌즈(20)의 이격 거리 및 각 렌즈를 통하여 촬영된 대상 지점의 초첨 거리를 알면 화상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렌즈(20)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구강 내의 화상에 대하여 초점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렌즈(20)를 투과한 광을 각각 이미징 처리하는 이미징 센서(31b, 32b)를 가진 이미징 보드(31a, 32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렌즈(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전장부품이 실장된 카메라 제어보드 및 스캐닝된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전장부품이 실장된 스캐닝 제어 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케이스(10)는 상술한 한 쌍의 렌즈(20), 이미징 보드(31a, 32a), 카메라 제어 보드(미도시) 및 스캐닝 제어 보드(미도시)가 내장되도록 소정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0)는 상기 구성들이 내장되는 소정 공간이 형성된 로워 케이스(12)와, 로워 케이스(12)의 상측에 구비되되, 로워 케이스(1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구성들을 커버하는 어퍼 케이스(13)로 이루어진 본체 케이스(11)를 포함한다.
케이스(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5)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는 스캐너(1)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압력 또는 조도 등의 센싱 장치,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5)를 누르면 스캐너(1)는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는 어퍼 케이스(13)에 형성된 입력부 설치홀(19)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케이스(10)는, 본체 케이스(11)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상술한 개구부(16)가 형성되어 개구부(16)를 통해 본체 케이스(11) 내부로 입사되는 광 및 개구부(16)를 통해 본체 케이스(11) 내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가이드하는 입출광 경로부(17)가 형성된 팁 케이스(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6)를 통해 본체 케이스(11) 내부로 입사되는 광(이하, '입사 광'이라 한다)은, 환자의 구강 내부의 모습인 화상을 의미하고, 개구부(16)를 통해 본체 케이스(11) 내부에서 출사되는 광(이하, '출사 광'이라 한다)은, 후술하는 광 프로젝터(70)로부터 조사되는 조사 광을 의미한다.
팁 케이스(14)의 내부 구조는, 상기 입사 광과 출사 광이 용이하게 케이스(10)의 내외부로 조사되는 광 가이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부(16)는, 팁 케이스(1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일측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캐너(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스캐너(1)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면 상, 개구부(16)는 스캐너(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구부(16)에는 후술하는 반사 미러(6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렌즈(20)의 일단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팁 케이스(14) 측에서 수렴되게 배치되되, 팁 케이스(14) 측으로 소정거리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렌즈(20)의 타단부는, 본체 케이스(11)의 내부에 고정된 카메라 마운팅부(50)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도 2 내지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렌즈(20) 사이를 통하여 소정의 출사 광을 방사하되, 케이스(10)의 일단부에 형성된 개구부(16)를 통하여 상기 출사 광을 조사하는 광 프로젝터(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을 케이스(10) 내부에 배치하되, 환자의 구강으로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팁 케이스(14)를 가능한 한 길고 슬림하게 형성하면서도, 본체 케이스(11) 또한 최소의 두께로 형성된 최적의 배치 구조를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팁 케이스(14)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용이하게 인입되도록 길게 형성되는 바, 개구부(16)와 한 쌍의 렌즈(20) 사이가 상대적으로 이격되어 있는 점 및 한 쌍의 렌즈(20)의 일단부가 상호 수렴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점이 고려된 케이스(10) 내부에의 한 쌍의 렌즈(20), 이미징 센서(31b, 32b)가 구비된 이미징 보드(31a, 32a)의 위치 설계와 관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렌즈(20)의 일단부는 팁 케이스(14) 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한 쌍의 렌즈의 타단부가 삽입 설치됨과 아울러, 한 쌍의 렌즈(20)를 투과한 입사 광 또는 광 프로젝터(70)로부터 조사되는 출사 광의 경로인 광도파관을 형성하는 카메라 마운팅부(50)가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마운팅부(50)에 형성된 광도파관은, 개구부(16)로부터 입사되는 입사 광과 광 프로젝터(70)로부터 조사되는 출사 광이 상호 구획되어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암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광도파관은, 광 프로텍터로부터 조사된 출사 광의 팁 케이스(14) 측까지의 광 경로를 제공하는 출사광 경로부(53)와, 한 쌍의 렌즈(20) 중 일측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 광의 광 경로를 제공하는 일측 입사광 경로부(51)와, 한 쌍의 렌즈(20) 중 타측의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입사 광의 광 경로를 제공하는 타측 입사광 경로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사광 경로부(53)와 일측 입사광 경로부(51) 및 타측 입사광 경로부(52) 각각은 상호 구획되도록 구비됨으로써 각각의 경로의 광이 상호 영향을 전혀 미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광 프로텍터는 케이스(10)의 폭 방향으로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렌즈(20)의 타단부 중앙 부분에 위치되는 바, 출사광 경로부(53)는 일측 입사광 경로부(51)와 타측 입사광 경로부(52)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측 입사광 경로부(51) 및 타측 입사광 경로부(52)는, 한 쌍의 렌즈(20)로부터 입사되는 입사 광이 투광되도록 각각에 대응되는 렌즈의 길이방향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되, 각각 카메라 마운팅부(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징 센서(31b, 32b)가 집적된 이미징 보드(31a, 32a)는, 케이스(10)의 폭방향 일측벽 및 폭방향 타측벽에 밀착되도록 상하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의 이미징 보드(31a, 32a)는, 카메라 마운팅부(5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되, 케이스(10)의 폭방향 일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타측의 이미징 보드(31a, 32a)는, 카메라 마운팅부(50)의 타측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도, 케이스(10)의 폭방향 타측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의 이미징 보드(31a, 32a)는, 그에 집적된 이미징 센서(31b, 32b)가 일측 입사광 경로부(51)에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타측의 이미징 보드(31a,32a)는, 그에 집적된 이미징 센서(31b, 32b)가 타측 입사광 경로부(52)에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렌즈(20)를 각각 투과한 입사 광의 경로를 이미징 보드(31a, 32a)에 집적된 이미징 센서(31b, 32b)를 향하여 각각 변경시키도록 배치된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 중 하나는, 일측 입사광 경로부(51)를 통하여 투과된 입사 광을 일측의 이미징 보드(31a, 32a)에 집적된 이미징 센서(31b, 32b)로 조사되도록 입사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일측 광경로 변경 미러(41)이고,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 중 다른 하나는, 타측 입사광 경로부(52)를 통하여 투과된 입사 광을 타측의 이미징 보드(31a, 32a)에 집적된 이미징 센서(31b, 32b)로 조사되도록 입사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는 타측 광경로 변경 미러(42)일 수 있다.
여기서의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는, 광의 전반사가 가능한 전반사 거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전반사 거울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반사가 가능한 여하한 광학 요소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는 빔스플리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는 빔스플리터로 구비되어, 입사 광을 지정된 비율로 2개의 빔(beam)으로 분리하여 변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한 쌍의 렌즈(20)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내부 모습(즉, 화상)의 3차원 영상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렌즈(20)의 일단부(도면상 팁 케이스(14)가 구비된 방향을 말함)는 각각 하나의 개구부(16)에 구비된 반사 미러(60)를 향하도록 상호 수렴되는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한편, 한 쌍의 렌즈(20)의 타단부(도면상 광 프로젝터(70)가 구비된 방향을 말함)는 각각을 투과한 입사 광을 직선 방향으로 투과시키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한 쌍의 이미징 보드(31a, 32a)를 한 쌍의 렌즈(20) 각각의 타단부의 일직선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도록 케이스(10)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한 쌍의 이미징 보드(31a, 32a)의 길이에 의하여 본체 케이스(11)의 폭방향 두께를 증가시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입사광 경로부(51, 52)가 카메라 마운팅부(50)의 일측면 및 타측면으로 각각 개구되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이미징 보드(31a, 32a)의 설치 위치를 카메라 마운팅부(50)의 일측면과 타측면 및 케이스(10)의 일측벽과 타측벽 사이에 수직 배치하고, 한 쌍의 렌즈(20)를 통과한 입사 광의 광 경로를 변경시키는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를 구비함으로써, 본체 케이스(11)를 측정자가 엄지 손가락, 집게 손가락 및 가운데 손가락만으로 손쉽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슬림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는, 한 쌍의 렌즈(20)를 투과한 입사 광이 한 쌍의 이미징 보드(31a, 32a)에 구비된 각각의 이미징 센서(31b, 32b)의 일면에 기 결정된 각도로 입사되는 각도의 리플렉터면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광경로 변경부(41, 42)는, 리플렉터면이 케이스(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일측 광경로 변경 미러(41)는, 일측 렌즈(21)를 투과한 입사 광이 일측 입사광 경로부(51)를 통해 입사된 후 일측 광경로 변경 미러(41)의 리플렉터면에 의해 굴절되어 일측 이미징 보드(31a)의 이미징 센서(31b, 32b)에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타측 광경로 변경 미러(42)는, 타측 렌즈(22)를 투과한 입사 광이 타측 입사광 경로부(52)를 통해 입사된 후 타측 광경로 변경 미러(42)의 리플렉터면에 의해 굴절되어 타측 이미징 보드(31b)의 이미징 센서(31b, 32b)에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팁 케이스(14)에 형성된 개구부(16)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반사 미러(60)가 구비될 수 있다. 반사 미러(60)는, 본체 케이스(11) 내부로 입사되는 입사 광 및 본체 케이스(11) 내부로부터 출사되는 출사 광을 일정 경로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반사 미러(60)는, 케이스(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어느 일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개구부(16)를 통해 한 쌍의 렌즈(20)를 통한 촬영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작동 모습을 첨부된 도면(특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한 쌍의 렌즈를 이용한 광 경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도 5의 측단면도이다.
측정자가 환자의 구강 내로 본 발명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1)의 일 실시예를 이용하여 스캔을 하기 위해 케이스(10)의 상부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5)를 누른다.
그러면, 도 5 및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광 프로텍터로부터 출사 광이 조사된다. 광 프로텍터로부터 조사된 출사광은, 순차적으로 카메라 마운팅부(50)에 형성된 광도파관 중 출사광 경로부(53) 및 팁 케이스(14)에 형성된 입출광 경로부(17)를 경유하여 개구부(16) 측으로 조사되고, 반사 미러(60)에 의하여 개구부(16)를 통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조사된다.
동시에, 도 5 및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측정자가 사용자 입력부(15)를 누르는 동작에 의해 한 쌍의 렌즈(20)가 작동됨으로써 화상의 어느 일 지점을 동일한 초점으로 하는 2개의 이미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때, 환자의 구강 화상은 출사 광에 의하여 광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출사 광과는 반대로, 순차적으로 개구부(16)를 통해 팁 케이스(14) 내부로 입사되되, 반사 미러(60)를 통해 경로가 변경되고, 실질적으로 반사미러(60)의 반사면을 촬영하는 한 쌍의 렌즈(20) 각각으로 상술한 입출광 경로부(17), 대응하는 렌즈 및 광도파관 중 대응하는 입사광 경로부(51, 52)를 경유하여 입사된다. 그리고, 각각의 광경로 변경부(41, 42)에 의하여 해당하는 이미징 보드(31a, 32a)의 이미징 센서(31b, 32b)에 조사됨으로써 소정의 화상 데이터 2개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보된 2개의 화상 데이터를 토대로 환자의 구강 화상에 관한 3차원 데이터가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3차원 구강 스캐너(1)는, 개구부(16)가 스캐너(1)의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스캐너(1)로 스캔한 후, 다른 하나를 스캐너(1)로 스캔할 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다른 하나를 스캐너(1)로 스캔해야 한다.
즉, 사용자가 스캐너(1)의 개구부(16)가 하측을 향하게 하여서 환자의 하악을 스캔한 후, 환자의 상악을 스캔하기 위해서는 개구부(16)가 상측을 향하도록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환자의 상악을 스캐너(1)로 스캔해야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스캐너(1)의 개구부(16)가 상측을 향하게 하여서 환자의 상악을 스캔한 후, 환자의 하악을 스캔하기 위해서는 개구부(16)가 하측을 향하도록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킨 후 상기 환자의 하악을 스캐너(1)로 스캔해야 한다.
하지만, 스캐너(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캐너(1)를 파지한 상태로 손목의 각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스캐너(1)를 파지한 상태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정밀하게 회전시키기 쉽지 않을 수 있고, 환자의 구강 내부를 스캔할 때에도 스캐너(1)를 정밀하게 위치 이동을 하기도 쉽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100, 200, 300)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100)은, 스캐너 홀딩부(110) 및 그립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는 스캐너(1)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싸서 스캐너(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는 스캐너(1)의 외주면 중 사용자 입력부(15)가 설치된 부분을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쌀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의 일측에는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는 일측에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환형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115)는 스캐너(1)의 외주면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15)를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부(15)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5)는 본체 케이스(11)의 외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5)는 어퍼 케이스(13)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캐너(1)가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에서 분리된 상태일 때, 사용자는 스캐너(1)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의 내주면은 스캐너(1)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캐너(1)의 외주면과 밀착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스캐너 홀딩부(110)의 외주면에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스캐너 홀딩부(110)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도면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도면상 수직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립부(120)는 도면상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그립부(120)는 스캐너 홀딩부(110)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장될 수도 있다.
스캐너 홀딩부(110)는 아우터 홀딩부(111) 및 이너 홀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홀딩부(111)의 외주면에는 그립부(120)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홀딩부(111)는 그립부(120)와 동일한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우터 홀딩부(111)는 경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홀딩부(113)는 아우터 홀딩부(111)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홀딩부(113)는 아우터 홀딩부(111)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스캐너(1)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홀딩부(113)는 피접촉 대상과 밀착력이 우수한 실리콘일 수 있다.
이너 홀딩부(113)는 상기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스캐너(1)가 스캐너 홀딩부(110)에 장착된 상태일 때 스캐너(1)의 외주면에 밀착됨으로서, 스캐너 홀딩부(110)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너 홀딩부(113)는 반드시 상기 실리콘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스캐너(1)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이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스캐너 홀딩부(110)는 이너 홀딩부(113)가 아우터 홀딩부(111)보다 연질인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캐너 홀딩부(110)의 밀착력이 향상되어, 스캐너(1)가 핸들(100)에서 둘레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스캐너 홀딩부(110)는 경질인 아우터 홀딩부(111)와,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인 이너 홀딩부(113)로,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스캐너 홀딩부(110)는 탄성력을 가지는 하나의 파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스캐너(1)의 외주면에는 제1 접점단자(91, 9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접점단자(91, 9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접점단자(91, 92)는 전기가 통하는 단자일 수 있다. 제1 접점단자(91, 92)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91)는 양극의 전기가 통할 수 있고, 다른 하나(예를 들면, 92)는 음극의 전기가 통할 수 있다.
그리고, 스캐너 홀딩부(110)의 내주면에는 제2 접점단자(131, 13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접점단자(131, 132)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 접점단자(131, 132)는 전기가 통하는 단자일 수 있다. 제2 접점단자(131, 132)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131)는 양극의 전기가 통할 수 있고, 다른 하나(예를 들면, 132)는 음극의 전기가 통할 수 있다.
스캐너(1)가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에 장착된 상태일 때, 제2 접점단자(131, 132)는 제1 접점단자(91, 92)와 접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캐너(1)가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에 장착된 상태일 때, 제1 접점단자(91) 및 제2 접점단자(131)가 접점될 수 있고, 제1 접점단자(92) 및 제2 접점단자(132)가 접점될 수 있다.
그리고, 그립부(120)에는 사용자 입력부(125)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5)는 제2 접점단자(131, 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캐너(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캐너(1)가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에 장착된 상태일 때, 사용자는 그립부(12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로서, (a)도는 구강 내의 하악 스캔 시 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도는 구강 내의 상악 스캔 시 핸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a)도를 참조하면, 스캐너(1)는 스캐너(1)의 개구부(16)가 하측을 향하도록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 내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후에, 사용자는 핸들(100)의 그립부(120)가 하측을 향하도록 그립부(120)를 손으로 잡은 후, 스캐너(1) 중 개구부(16)가 형성된 일단부를 환자의 구강 내로 인입할 수 있다.
이후에, 사용자는 그립부(12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켜서 환자의 구강 내의 하악을 스캔할 수 있다.
도 11의 (b)도를 참조하면, 상기 환자의 구강 내의 하악의 스캔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핸들(100)의 그립부(120)가 상측을 향하도록 핸들(100)을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리하면, 스캐너(1)의 개구부(16)는 상측을 향하게 된다.
이후에, 사용자는 그립부(12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켜서 환자의 구강 내의 상악을 스캔할 수 있다.
한편, 그립부(120)에 사용자 입력부(125)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핸들(100)의 스캐너 홀딩부(110)에는 스캐너(1)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5)를 노출시키는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캐너(1)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킬 수도 있지만, 핸들(100)의 그립부(12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 스캐너(1)를 작동시키는 것이 보다 더 편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의 종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의 횡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스캐너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제2 접점단자(131, 132) 및 사용자 입력부(125)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본 제2 실시예에서도 제2 접점단자(131, 132) 및 사용자 입력부(125)는 구비될 수 있다. 본 제2 실시예에서 제2 접점단자(131, 132)는 후술하는 이너 휠(213)이 내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200)은 스캐너 홀딩부(210) 및 그립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220)는 베어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캐너 홀딩부(220)는 환형의 아우터 휠(211), 환형의 이너 휠(213) 및 복수개의 볼(B1, B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휠(211)의 외주면에는 그립부(220)가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휠(213)은 아우터 휠(211) 내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휠(213)은 스캐너(1)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쌀 수 있다.
복수개의 볼(B1, B2)은 아우터 휠(211) 및 이너 휠(2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볼(B1, B2)은 이너 휠(213)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복수개의 볼(B1, B2)은 제1 복수개의 볼(B1) 및 제2 복수개의 볼(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볼(B2)은 제1 복수개의 볼(B1)로부터 스캐너(1)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 복수개의 볼(B1)은 스캐너 홀딩부(21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복수개의 볼(B2)은 스캐너 홀딩부(210)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220)는 스캐너 홀딩부(210)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져서 연장될 수 있다. 즉, 그립부(220)의 연장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직선(L2)은, 스캐너 홀딩부(210)의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가상의 직선(L1)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220)는 스캐너(1)의 타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θ)는 0도에서 45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 상세하게는 20도에서 30도 사이의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그립부(22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캐너 홀딩부(210)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그립부(120)도 스캐너 홀딩부(110)의 반경방향에 대해 상기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될 수도 있고, 후술할 제3 실시예의 그립부(320)도 스캐너 홀딩부(310)의 반경방향에 대해 상기 소정의 각도(θ)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이너 휠(213)의 내주면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너 홀딩부(113)와 같은 실리콘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200)은, 환자의 구강 내의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스캐너(1)로 스캔 한 후, 그립부(220)를 어느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도 1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스캐너(1)가 이너 휠(213)과 함께 180도 회전될 수 있고, 이후에 환자의 구강 내의 상악 및 하악 중 다른 하나를 스캐너(1)로 스캔할 수 있다.
물론, 이너 휠(213)은 아우터 휠(211)에 180도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이너 휠(213)은 선택적으로 각도를 설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너 휠(213)은 90도 간격으로 회전되도록 아우터 휠(211)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스캐너(1)로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스캔 한 후, 그립부(220)를 어느 한손으로 잡고, 다른 한손으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상악 및 하악의 교합면을 스캐너(1)로 스캔할 수 있다.
스캐너 홀딩부(210)는 스캐너(1) 내에 구비된 반사 미러(60) 및 렌즈가 소정의 배치각도를 유지하면서 그립부(2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동작될 수 있다. 즉,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반사 미러(60)의 중심과 개구부(16)의 중심을 지나는 제3 직선(L3)과, 렌즈의 중심을 지나는 제4 직선(L4)은, 서로 소정의 배치각도를 갖는다. 예를 들어, 도면상, 제3 직선(L3)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제4 직선(L4)은 수평으로 배치된다. 사용자가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킬 시, 제3 직선(L3) 및 제4 직선(L4)의 서로 직교되는 배치각도가 유지되면서 스캐너(1) 전체가 둘레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팁 케이스(14) 내에 형성된 입출광 경로부(17)는 반사 미러(60) 및 광 프로젝터, 렌즈의 위치 및 각도 등에 의하여 설계되어 구현되므로, 입출광 경로부(17)를 형성하는 일부 요소가 변경되었을 경우 화상 데이터의 신뢰도가 낮아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내용과 같이 제3 직선(L3) 및 제4 직선(L4)의 임의의 배치각도가 유지되면서 스캐너(1) 전체가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데이터 및 편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기재된 제2 접점단자(131, 132) 및 사용자 입력부(125)의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실질적으로 본 제3 실시예에서도 제2 접점단자(131, 132) 및 사용자 입력부(125)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에 대해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300)은 스캐너 홀딩부(310) 및 그립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캐너 홀딩부(110)의 일측에는 개구부(115)가 형성되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스캐너 홀딩부(310)의 일측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스캐너 홀딩부(110)는 스캐너(1)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일부 감싸서 스캐너(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었으나, 본 제3 실시예의 스캐너 홀딩부(310)는 스캐너(1)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전체 감싸서 스캐너(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스캐너 홀딩부(310)의 내주면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이너 홀딩부(113)와 같은 실리콘이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그립부(320)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스캐너 홀딩부(310)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θ)로 경사져서 연장될 수 있다. 즉, 그립부(320)는 스캐너(1)의 타단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300)의 동작은,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10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100, 200, 300)은, 스캐너 홀딩부(110, 210, 310) 및 그립부(120, 220, 320)로 구성되어 그립부(120, 220, 320)를 잡고 환자의 구강 내부를 쉽게 스캔할 수 있다. 특히, 환자의 구강 내부 중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스캔이 다소 어려운 부위의 스캔 시 구강 스캐너(1)의 파지 각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으로 구강 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팁 케이스(14)는 측정자의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부분으로서 잦은 교체가 필요하다. 따라서, 스캐너 홀딩부(110, 210, 310)는 스캐너(1)의 무게 중심을 잡아주되 편안한 교체 작업을 위하여 팁 케이스(14)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캐너(1)로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중 어느 하나를 스캔한 후 다른 하나를 스캔할 시, 스캐너(1)의 개구부(16)가 반대방향에 위치하도록, 스캐너(1)를 스캐너 홀딩부(110, 310)에 장착한 상태로 핸들(100, 300)을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거나, 스캐너(1)를 스캐너 홀딩부(210)에 장착한 상태로 스캐너(1)를 둘레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서, 상기 구강 내부의 스캔을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핸들(100, 200, 300)이 스캐너(1)에 결합된 상태일 때, 스캐너(1)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접점단자(91, 92)와, 스캐너 홀딩부(110, 210, 310)의 내주면에 구비된 제2 접점단자(131, 132)가 서로 접점된다. 그리고, 그립부(120, 220, 320)에는 제2 접점단자(131, 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입력부(125)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립부(120, 220, 320)를 잡은 채로 그립부(120, 220, 320)에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125)를 조작하여서 스캐너(1)를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3차원 구강 스캐너
16 : 개구부
91, 92 : 제1 접점단자
100, 200, 300 :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110, 210, 310 : 스캐너 홀딩부
111 : 아우터 홀딩부
113 : 이너 홀딩부
115 : 개구부
120, 220, 320 : 그립부
125 : 사용자 입력부
131, 132 : 제2 접점단자
211 : 아우터 휠
213 : 이너 휠
B1, B2 : 볼

Claims (10)

  1. 구강 내에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고, 길이방향의 일단부 중 상기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일면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구강 내부의 화상이 광의 형태로 내부로 유입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에 사용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적어도 일부 감싸서 상기 스캐너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스캐너 홀딩부; 및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외주면에서 돌출 배치되는 그립부;를 포함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홀딩부에는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배치된 사용자 입력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상기 그립부가 외주면에 돌출 배치되는 아우터 홀딩부와,
    상기 아우터 홀딩부의 내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아우터 홀딩부보다 연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이너 홀딩부를 포함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상기 그립부가 외주면에 돌출 배치되는 환형의 아우터 휠과,
    상기 아우터 휠 내에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을 둘레방향으로 감싸는 환형의 이너 휠과,
    상기 아우터 휠 및 상기 이너 휠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이너 휠이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볼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볼은,
    제1 복수개의 볼과,
    상기 제1 복수개의 볼로부터 상기 스캐너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2 복수개의 볼을 포함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반경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반경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서 연장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홀딩부는,
    상기 스캐너 내에 구비된 반사 미러 및 렌즈가 소정의 배치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그립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동작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는 상기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홀딩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캐너의 외주면에 배치된 제1 접점단자와 접점되는 제2 접점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제2 접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되는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KR1020190095440A 2018-08-07 2019-08-06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KR102266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90000946.4U CN215273484U (zh) 2018-08-07 2019-08-07 三维口腔扫描仪用手柄
PCT/KR2019/009837 WO2020032556A1 (ko) 2018-08-07 2019-08-07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1970 2018-08-07
KR1020180091970 2018-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6803A true KR20200016803A (ko) 2020-02-17
KR102266641B1 KR102266641B1 (ko) 2021-06-21

Family

ID=69670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440A KR102266641B1 (ko) 2018-08-07 2019-08-06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216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메디트 얼라인 상태 표현 장치 및 방법
WO2021172928A3 (ko) * 2020-02-28 2021-10-21 주식회사 메디트 얼라인 상태 표현 장치 및 방법
KR20220012645A (ko) * 2020-07-23 2022-02-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차원 구강 스캐너
KR20230060336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구강 스캐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11B1 (ko) * 2013-07-11 2014-03-10 김성국 구강용 스캐너
KR20170111848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바텍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874547B1 (ko) 2018-05-03 2018-07-04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구강 스캐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211B1 (ko) * 2013-07-11 2014-03-10 김성국 구강용 스캐너
KR20170111848A (ko) * 2016-03-30 2017-10-12 주식회사바텍 착탈식 모듈을 갖는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1874547B1 (ko) 2018-05-03 2018-07-04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구강 스캐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0216A (ko) * 2020-02-28 2021-09-07 주식회사 메디트 얼라인 상태 표현 장치 및 방법
WO2021172928A3 (ko) * 2020-02-28 2021-10-21 주식회사 메디트 얼라인 상태 표현 장치 및 방법
KR20220012645A (ko) * 2020-07-23 2022-02-04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3차원 구강 스캐너
KR20230060336A (ko) * 2021-10-27 2023-05-04 주식회사 메디트 3차원 구강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641B1 (ko)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7250B2 (ja) 三次元口腔スキャナ
KR20200016803A (ko) 3차원 구강 스캐너용 핸들
ES2970406T3 (es) Escaneo de cavidades con accesibilidad restringida
KR102096612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KR20200064922A (ko) 구강 스캐너
KR20160004994A (ko) 검이경
KR102403595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WO2011052129A1 (ja) 口腔内カメラ
KR101533341B1 (ko) 휴대형 스캐너
JP2015136615A (ja) 口腔内の固定型3次元口腔スキャナー
KR101699250B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CN215273484U (zh) 三维口腔扫描仪用手柄
KR101524605B1 (ko) 구강내 치아에 대한 3차원 측정 장치
KR20160136558A (ko) 개별 자동 초점 조절이 가능한 액체 렌즈를 구비한 구강 스캐너
KR102195076B1 (ko) 자동 인트라 구강 스캐닝 트레이
US20240098240A1 (en) Three-dimensional scanner
WO2015174741A1 (ko) 치과용 3차원 스캐너
KR102458837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KR102458838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CN209751018U (zh) 一种口腔数字观察仪
WO2012105159A1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JP2002153425A (ja) 歯用ミラー装置
JPH1132989A (ja) 側視型画像入力装置
KR20230012248A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200187236Y1 (ko) 의료용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