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5258A -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5258A
KR20200015258A KR1020180090856A KR20180090856A KR20200015258A KR 20200015258 A KR20200015258 A KR 20200015258A KR 1020180090856 A KR1020180090856 A KR 1020180090856A KR 20180090856 A KR20180090856 A KR 20180090856A KR 20200015258 A KR20200015258 A KR 202000152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us
discharge
fine dust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주)네스트아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스트아이앤씨 filed Critical (주)네스트아이앤씨
Priority to KR102018009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5258A/ko
Publication of KR20200015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5258A/ko
Priority to KR1020200072240A priority patent/KR10226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71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 B60H3/0078Electrically conditioning the air, e.g. by ionizing comprising electric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2003/1617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버스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실내의 냉각과 미세 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용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 조절 유닛(12); 유입 조절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집진 전극과 방전 전극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전기 집진 필터(11); 전기 집진 필터(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 모듈(13); 및 열 교환 모듈(13)에 의하여 냉각이 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 모듈(1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A Bus Air Cleaner with a Structure of Having an Electrical Dust Collecting Filter for Removing a Micro Particl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버스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제거하여 실내의 냉각과 미세 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용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버스를 비롯한 다양한 자동차의 실내는 공조 설비에 의하여 정화가 되면서 온도 조절이 될 수 있고, 공조 과정에서 실외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실외 공기는 다양한 필터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지만 일부 미세 입자는 여과가 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고, 예를 들어 PM2.5 또는 그 이하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는 여과가 되지 않고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승객의 출입이 빈번한 버스의 경우 여과가 되지 않는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 물질을 포함하는 실외 공기가 실내에서 순환이 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승객이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의 흡입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버스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수단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14152호는 실내 온도 차이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버스용 에어컨 설치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39542호는 표시 수단을 가지는 차량용 에어컨 필터 구조에 대하여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실내에서 순환되는 공기를 여과시킬 수 있는 수단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14152호(현대자동차 주식회사, 2005년02월07일 공개) 버스용 에어콘 설치 구조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제10-2004-0039542호(기아자동차 주식회사, 2004년05월12일 공개) 차량용 에어컨 필터 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집진 방식으로 버스의 실내를 순환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의 제거가 가능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 조절 유닛; 유입 조절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집진 전극과 방전 전극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전기 집진 필터; 전기 집진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 모듈; 및 열 교환 모듈에 의하여 냉각이 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전기 집진 필터는 마이크로 물 입자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노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실내 공간의 내부 상태를 탐지하여 분석하는 상태 분석 유닛 및 상태 분석 유닛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작동 주기를 설정하는 작동 주기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에 의하여 승객이 미세먼지의 호흡에 따른 위험에 노출이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전기 집진 필터가 공기 청정기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모듈 구조로 제조되는 것에 의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의 오염 수준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버스의 실내 공간이 정해진 환경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적용되는 전기 집진 필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로부터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고, 독립적인 구조로 설치되거나 또는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컨과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른 버스 내부의 공기 순환을 위한 다른 순환 설비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컨과 결합된 구조로 설명이 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버스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로부터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 조절 유닛(12); 유입 조절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집진 전극과 방전 전극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전기 집진 필터(11); 전기 집진 필터(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 모듈(13); 및 열 교환 모듈(13)에 의하여 냉각이 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 모듈(14)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다수인에 의하여 이용되는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시내 차량 버스 또는 고속버스와 같은 차량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내부 공기의 순환 과정에서 실외의 공기가 유입되는 다양한 차량에 적용될 수 있고 차량의 종류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공기 청정기는 독립된 모듈로 설치되거나, 버스 에어컨과 결합되어 내부의 공기의 냉각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차량의 엔진 또는 배터리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차량의 내부의 공기는 유입 조절 유닛(12)을 통하여 전기 집진 필터(11)로 유입될 수 있고, 유입 조절 유닛(12)은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직경이 큰 입자 형태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정 수준의 범위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유입 조절 유닛(12)은 1 유도 도관(G1)을 통하여 실내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전기 집진 필터(11)로 유도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기 집진 필터(11)를 통과하면서 공기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집진 필터(11)는 적어도 일부가 공기의 유동이 가능한 실린더 형상이 되는 집진 전극과 집진 전극의 내부에 배치되어 집진 전극과 정해진 전압 차이를 유지하면서 집진 전극과 방전을 발생시키는 방전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 전극과 방전 전극은 예를 들어 500 내지 50 kV의 전위차로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전자가 생성되면서 미세입자가 음전하를 띨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집진 전극에 수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세입자가 제거된 공기는 2 유도 도관(G2)을 통하여 증발기와 같은 열 교환 모듈(13)로 유도되어 열 교환이 될 수 있다. 열 교환 모듈(13)에서 열 교환이 되면서 냉각이 된 공기가 3 유도 도관(G3)에 의하여 유도되어 배출 유도 모듈(14)로 이송될 수 있다. 배출 유도 모듈(14)은 정해진 범위에서 배출 공기의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배출 유도 모듈(14)에 전하 제거 유닛(15)이 배치될 수 있다. 배출 유도 모듈(14)은 공기의 유동 경로에 설치된 다수 개의 홀이 형성된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양의 전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유동 공기에 포함된 전하가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버스의 내부 공기가 순환되는 것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제거될 수 있고, 실내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수준에 따라 전기 집진 필터(11)의 작동이 조절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는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 적용되는 전기 집진 필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기 집진 필터(11)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1, 2 고정 판(21a, 21b)에 의하여 고정된 실린더 형상의 다수 개의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 및 다수 개의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의 각각의 내부에 고정된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을 포함할 수 있다. 1, 2 고정 판(21a, 21b)은 직사각형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다수 개의 고정 홀이 형성되어 실린더 형상의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의 양쪽 끝이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은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은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의 길이 방향의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는 선형 구조가 될 수 있다. 1, 2 고정 판(21a, 21b)은 금속과 같은 전도성 소재가 될 수 있고, 1, 2 고정 판(21a, 21b)에 절연체 소재의 1, 2 절연 고정 판(23a, 23b)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1, 2 절연 고정 판(23a, 23b)에 의하여 각각의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 개의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의 한쪽 끝이 전도성 소재의 선형 고정 부재(25_1 내지 25_K)에 고정될 수 있고, 각각의 선형 고정 부재(25_1 내지 25_K)는 1 절연 고정 판(23a)에 형성된 선형 고정 홈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2 절연 고정 판(23b)에 각각의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의 다른 끝이 관통되는 관통 홀이 형성될 수 있다. 1, 2 절연 고정 판(23a, 23b)에 공기의 유동을 위한 다수 개의 유도 홀이 형성되거나, 다수 개의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은 공기 유동이 가능하도록 각각의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과 방전 전극(24_1 내지 24_N)은 설치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고, 설치 프레임(F)은 버스 에어컨에 결합 가능한 독립 모듈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11)는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질 수 있고,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동 경로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집진 전극(22_1 내지 22_N)의 내부에 마이크로 물 입자가 분무되어 미세먼지의 포집이 촉진될 수 있다.
집진 전극(22_1)은 속이 빈 실린더 형상이 될 수 있고, 집진 전극(22_1)의 내부에 선형의 방전 전극(24_1)이 고정될 수 있다. 방전 전극(24_1)의 위쪽 끝은 유도 탭(273)에 고정될 수 있고, 유도 탭(273)은 선형 고정 부재(25_1)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선형 고정 부재(25_1)에 결합될 수 있다. 집진 전극(22_1)의 내부를 따라 유체 유동 유닛(272)이 배치될 수 있고, 유체 유동 유닛(272)을 따라 유체가 유동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 유동 유닛(272)에 유체 공급 도관(271)이 연결될 수 있다. 유체 공급 도관(271)에 물 공급 밸브(26a) 또는 압축 공급 밸브(26b)가 결합될 수 있고, 각각의 공급 밸브(26a, 26b)의 조절에 의하여 유체 유도 유닛(272)을 통하여 선형의 방전 전극(24_1)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로 물 또는 압축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각각의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은 각각의 집진 전극(24_1)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은 서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고, 방전 효율을 높이는 방전 핵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의 끝 부분에 분무 팁(241a)이 배치될 수 있고, 분무 팁(241a)은 통하여 물과 압축 공기가 분무되면서 마이크로 물 입자가 생성될 수 있다. 마이크로 물 입자는 필요에 따라 분무될 수 있고, 집진 전극(22_1)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은 집진 전극(22_1)의 내부에 집진되는 미세입자를 세척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버스 에어컨이 작동되지 않는 경우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로부터 물이 집진 전극(22_1)의 내부 벽면으로 분무되어 포집이 된 미세먼지가 세척이 되어 아래쪽으로 낙하할 수 있고, 집진 전극(22_1)의 아래쪽에 형성된 포집 케이스(28)에 포집이 될 수 있고, 포집 케이스(28)의 위쪽 부분은 경사진 뿔 형상이 될 수 있고, 포집 케이스(28)의 아래쪽에 배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포집 케이스(28)의 내부에 이동 벽(28a)이 형성될 수 있고, 세척 과정에서 이동 벽(28a)이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전기 집진 필터(11)의 작동 과정에서 이동 벽(28a)은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을 위하여 이동 벽(28a)이 아래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하여 포집 케이스(28)의 위쪽 부분이 개방되면서 포집 케이스(28)의 내부로 물과 세척이 된 미세물질이 수집이 될 수 있다. 집진 전극(22_1)의 내부에 포집된 미세먼지의 세척이 완료되면 이동 벽(28a)이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의하여 포집 케이스(28)가 닫힐 수 있다. 그리고 고온의 건조 공기가 방전 노즐(241_1 내지 241_M)을 통하여 분무되어 집진 전극(22_1)의 내부가 건조될 수 있고, 집진 전극(22_1) 또는 방전 전극(24_1)은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가 적용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버스의 천정(31)에 냉동 모듈(32a, 32b)이 배치될 수 있고, 천정(31)의 내부 면에 흡입구(IN)가 형성되어 버스 내부의 실내 공기가 전기 집진 필터(11a)를 경유하여 냉동 모듈(32a, 32b)로 유도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11a)에 의하여 유입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가 냉각 모듈(32a, 32b)로 유도되어 열 교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이 된 공기는 유도 팬(33a, 33b)에 의하여 배출구(34a, 34b)를 통하여 다시 버스의 내부로 유도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배출구(34a, 34b)에 전기 집진 필터(11b, 11k)가 배치되어 미세먼지가 추가적으로 제거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 청정기는 버스 구조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전기 집진 필터(11a, 11b, 11k)는 버스의 구조 또는 공기 청정기의 구조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기 청정기는 냉매의 압축을 위한 압축기(42); 압축된 냉매를 응축을 시키는 응축기(43); 및 증발기로 냉매를 공급시켜 팽창이 되도록 하는 팽창 밸브(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팽창 밸브(44)를 통하여 팽창이 된 냉매의 증발열에 의하여 증발기에서 열 교환이 되어 실내(41)의 공기가 냉각이 될 수 있다. 실내(41)의 공기는 흡입구(IN)를 통하여 증발기로 유도될 수 있고, 증발기로 유도되는 경로에 전기 집진 필터(11a)가 배치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11a)에서 미세먼지가 제거되고, 증발기에서 열 교환에 의하여 냉각이 된 냉각 공기는 배출구(OUT)를 통하여 버스 내부의 실내 공간으로 유도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배출구(OUT)에 전기 집진 필터(11a)가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버스의 천정에 실내(41)의 공기 순환을 위한 유도 공간(411)이 형성될 수 있고, 유도 공간(411)의 다양한 위치에 전기 집진 필터(11a, 11b)가 배치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스의 실내(41)에 탐지 센서(412)가 배치될 수 있고, 탐지 센서(412)에 의하여 실내(41)의 공기 온도, 습도 또는 이와 유사한 공기 상태를 탐지할 수 있다. 탐지 센서(412)에 의하여 공기에 포함된 미세입자의 수준이 탐지될 수 있고, 오염 물질의 포함 여부가 탐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탐지 센서(412)는 입자 계수기를 포함할 수 있고, 입자 계수기에 의하여 실내(41)의 공기 수준을 탐지할 수 있다. 탐지 센서(412)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상태 분석 유닛(47)으로 전송될 수 있고, 상태 분석 유닛(47)에 의하여 실내(41)의 공기 수준이 분석될 수 있고, 전기 집진 필터(11a, 11b)의 작동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분석 결과가 작동 주기 유닛(47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11a, 11b)의 작동은 유동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냉각 효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기 집진 필터는 조절된 형태로 작동이 될 필요가 있다. 작동 주기 유닛(471)은 냉각 효율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작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고, 온도 상승이 최소가 되도록 작동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작동 주기가 필터 제어 유닛(46)으로 전송될 수 있고, 필터 제어 유닛(46)은 작동 주기에 따라 전기 집진 필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의 작동을 조절하는 구동 제어 유닛(45)의 작동 정보가 필터 제어 유닛(46)으로 전송될 수 있고, 필터 제어 유닛(46)은 구동 제어 유닛(45)의 구동 정보 및 작동 주기에 따라 필터 제어 유닛(46)은 전기 집진 필터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전기 집진 필터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미세먼지의 제거에 적절한 다양한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공기 청정기는 버스 내부에서 순환되는 공기로부터 미세먼지를 비롯한 오염물질을 제거시키는 것에 의하여 승객이 미세먼지의 호흡에 따른 위험에 노출이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전기 집진 필터가 공기 청정기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모듈 구조로 제조되는 것에 의하여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의 오염 수준에 따라 작동이 조절되는 것에 의하여 버스의 실내 공간이 정해진 환경 수준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11a, 11b, 11k: 전기 집진 필터 12: 유입 조절 유닛
13: 열 교환 모듈 14: 배출 유도 모듈
15: 전하 제거 유닛 21a, 21b: 1, 2 고정 판
22_1 내지 22_N: 집진 전극 23a, 23b: 1, 2 절연 고정 판
24_1 내지 24_N: 방전 전극 25_1 내지 25_K: 선형 고정 부재
26a: 물 공급 밸브 26b: 압축 공급 밸브
28: 포집 케이스 28a: 이동 벽
31: 천정 32a, 32b: 냉동 모듈
33a, 33b: 유도 팬 34a, 34b: 배출구
41: 실내 42: 압축기
43: 응축기 44: 팽창 밸브
45: 구동 제어 유닛 46: 필터 제어 유닛
47: 상태 분석 유닛 241a: 분무 팁
241_1 내지 241_M: 방전 노즐 271: 유체 공급 도관
272: 유체 유동 유닛 273: 유도 탭
411: 유도 공간 412: 탐지 센서
471: 작동 주기 유닛 F: 설치 프레임
G1, G2, G3: 1, 2, 3 유도 도관 IN: 흡입구
OUT: 배출구

Claims (3)

  1. 실내 공간으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유입 조절 유닛(12);
    유입 조절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집진 전극과 방전 전극 사이의 방전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분리시키는 전기 집진 필터(11);
    전기 집진 필터(11)를 통과한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 교환 모듈(13); 및
    열 교환 모듈(13)에 의하여 냉각이 된 공기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 유도 모듈(14)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기 집진 필터(11)는 마이크로 물 입자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프레이 노즐(241_1 내지 241_M)을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실내 공간의 내부 상태를 탐지하여 분석하는 상태 분석 유닛(47) 및 상태 분석 유닛(47)의 분석 결과에 따라 작동 주기를 설정하는 작동 주기 유닛(471)을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KR1020180090856A 2018-08-03 2018-08-03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KR2020001525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56A KR20200015258A (ko) 2018-08-03 2018-08-03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KR1020200072240A KR102260956B1 (ko) 2018-08-03 2020-06-15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856A KR20200015258A (ko) 2018-08-03 2018-08-03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40A Division KR102260956B1 (ko) 2018-08-03 2020-06-15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5258A true KR20200015258A (ko) 2020-02-12

Family

ID=6956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856A KR20200015258A (ko) 2018-08-03 2018-08-03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525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542A (ko) 2002-11-02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필터 구조
KR20050014152A (ko) 2003-07-30 2005-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에어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542A (ko) 2002-11-02 2004-05-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컨 필터 구조
KR20050014152A (ko) 2003-07-30 2005-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에어콘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1703B2 (en) Supply air device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ir in a supply air device
KR102130743B1 (ko) 공조용 필터장치
CN1313791A (zh) 静电式空气净化器
US642861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mist, smoke and particles generated by machine tools
KR20130063688A (ko) 지하시설 공기 정화용 세트형 고효율 전기 집진 시스템
KR102260956B1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US20180326430A1 (en) Removing ultrafine particles from an air stream of a vehicular ac system
CN204967008U (zh) 用于环网柜封闭空间的除湿除尘组合装置
KR20200015258A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전기 집진 필터 구조의 버스용 공기 청정기
CN211781482U (zh) 一种新风装置及空调
US2786544A (en) Air conditioner having electrostatic air filter therein
KR100502187B1 (ko) 공기 유속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청정실 공조 시스템
KR102523190B1 (ko) 공기 정화 장치
KR102260960B1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 청정기의 개폐 장치
KR102392317B1 (ko) 대용량 공기조화기용 미세먼지 제거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대용량 공기조화기
KR102136162B1 (ko) 워터 필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 장치
JPH06411A (ja) 空気清浄・調和方法及び装置
CN114222475A (zh) 正压无磁新风降温、除尘装置
KR101955640B1 (ko) 집진 장치용 압력 조절 모듈 및 이를 가진 지하 터널용 집진 장치
KR20200043653A (ko)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버스 에어컨용 전기집진 공기 청정기의 개폐 장치
CN212431112U (zh) 中央空调出风净化系统
KR10022073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CN112406476B (zh) 送风机以及换气系统
JP391184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空気清浄装置
WO2023166591A1 (ja) フィルタユニット、換気装置およびフィル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