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998A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998A
KR20200014998A KR1020180090206A KR20180090206A KR20200014998A KR 20200014998 A KR20200014998 A KR 20200014998A KR 1020180090206 A KR1020180090206 A KR 1020180090206A KR 20180090206 A KR20180090206 A KR 20180090206A KR 20200014998 A KR20200014998 A KR 202000149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oor
spring pusher
cylinder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4189B1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8009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1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091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with a gas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2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pneumatic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일측에 치형을 구비한 스프링푸셔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의 치형과 치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푸셔의 선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을 감싸는 실린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바닥부에 체크밸브와 압력조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압력조정구로 실린더부재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여 도어가 닫힐 때 공기압으로 닫힘 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스프링푸셔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이 브레이크실린더부재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를 브레이크파이프로 연통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브레이크부재를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하기 때문에, 초기에도 브레이크부재와 스프링푸셔 사이의 마찰력과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줄일 수 있어 도어 개방 각도의 건 구간에서 도어의 닫힘 속도를 원활하게 줄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방화문 등과 같은 여닫이식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압을 이용한 브레이크와 공기압 자체로 브레이크와 공기압에 의한 감쇄력으로 도어의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방화문 또는 현관문과 같은 여닫이식 도어에는 통상적으로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가 도어에 설치되며, 종래에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링크샤프트(기어축이라고도 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하우징 내부의 일 측에 배치된 스프링과,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스프링을 가압하여 도어 폐쇄를 위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스프링푸셔를 구비한다.
이러한 도어 클로저의 하우징은 도어에 부착되고, 링크샤프트에는 링크의 한쪽 단부가 체결되며, 링크의 다른쪽 단부는 도어프레임에 체결된다.
그리고 일 예로서 하우징을 콤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10-2012-0139177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도어(door)에 고정되는 하우징; 일단이 도어의 프레임(frame)에 연결되는 링크(link);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자신의 상단부가 상기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링크샤프트(link shaft); 상기 링크샤프트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부(rack gear portion), 타측 단부에 피스톤베이스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상기 피스톤베이스를 이어주는 피스톤몸통부를 구비한 피스톤(piston); 및 상기 피스톤몸통부에 끼워지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샤프트가 회전하면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통공과, 상기 랙기어부가 왕복하는 통로로서 상기 랙기어통공이 서로 일렬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통공에 채워지는 댐핑오일(damping oil)과, 상기 댐핑오일이 상기 랙기어통공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실링유닛(sealing unit)을 더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물론 상기 오일 방식의 댐핑 구조를 공기압으로 대체하는 구조도 개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공기압으로 댐핑하는 방식은 하나의 공기실린더를 이용하기 때문에, 도어의 닫힘 속도를 제어하기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히는 초기에 도어의 닫힘 속도를 줄이기에 한계가 있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공기압을 이용한 브레이크와 공기압 자체로 브레이크와 공기압에 의한 감쇄력으로 도어의 회전 속도를 용이하게 감소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스프링푸셔와 기어 사이의 접촉부위의 숫자를 늘림으로써 스프링푸셔와 기어 사이의 마모를 용이하게 줄여서 내구성의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일측에 치형을 구비한 스프링푸셔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의 치형과 치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푸셔의 선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을 감싸는 실린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바닥부에 체크밸브와 압력조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압력조정구로 실린더부재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여 도어가 닫힐 때 공기압으로 닫힘 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스프링푸셔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이 브레이크실린더부재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를 브레이크파이프로 연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체에 치합되는 아이들회전체가 회전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치형을 구비한 보조스프링푸셔가 상기 스프링푸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아이들회전체에 치합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푸셔와 보조스프링푸셔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파이프는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실린더부재의 내부면에 삽입되고, 도어의 개방 각도 10 ~ 40°에서 외기로 연통하는 구멍이 브레이크파이프에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파이프에 브레이크압력조정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브레이크부재를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제한함과 아울러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하기 때문에, 초기에도 브레이크부재와 스프링푸셔 사이의 마찰력과 실린더부재 내의 공기압으로 스프링푸셔의 이동 속도를 줄일 수 있어 도어 개방 각도의 건 구간에서 도어의 닫힘 속도를 원활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압력조정구와 압력조정구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초기와 후단부의 닫힘 속조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회전체의 양측 또는 일측에 아이들회전체를 구비함으로써, 스프링푸셔와 기어 사이 및 회전체와 보조회전체 사이, 보조회전체와 보조스프링푸셔 사이의 접촉으로 인하여 구동 과정에서 접촉부위의 숫자를 늘리기 때문에, 스프링푸셔와 기어 사이 등의 치합 구조의 마모를 용이하게 줄여서 내구성의 향상으로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가 적용되는 방화문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다.
도 8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의 또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의 하나의 예로써 작용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어 클로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어(1)를 개방할 때에는 하우징(11) 내부의 탄성부재(12)를 압축하게 되고, 도어(1)를 정지시키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도어(1)가 도어클로저 내의 상기 탄성부재(12)에 의해 닫히는 것이며, 통상적으로 도어 클로저의 하우징(11)은 도어(1)에 설치되고, 도어 크로저와 연결되는 링크(2)는 도어프레임(1a)에 연결된다.
아무튼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상기 탄성부재(1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스프링푸셔(13)이 회전체(14)와 치합되어 내장되고, 스프링푸셔(13)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피스톤(15) 및 실린더부재(16), 체크밸브(17), 압력조정구(18)가 내장됨과 아울러 브레이크부재(19), 브레이크피스톤(20) 및 브레이크실린더부재부재(21)가 내장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12)는 상기 하우징(11)에 설치되는 조정볼트에 의해 탄성력이 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푸셔(13)는 상기 하우징(11) 내부의 탄성부재(12)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일측에 치형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14) 둘레면에 형성되는 치형과 치합된다.
그러면 상기 도어(1)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링크(2)에 연결되는 회전체(14)가 상기 스프링푸셔(13)와 치합되면서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푸셔(13)의 선단부에 피스톤(15)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15)을 감싸는 실린더부재(16)가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16)의 바닥부에 체크밸브(17)와 압력조정구(18)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17)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압력조정구(18)로 실린더부재(16)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여 도어가 닫힐 때 공기압으로 닫힘 속도를 조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프링푸셔(13)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푸셔(13)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19)가 상기 하우징(11) 내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19)를 작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20)이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부재(22)와 상기 실린더부재(16) 사이를 브레이크파이프(22)로 연통하여 실린더부재(16)의 압력에 따라 브레이크부재(19)가 스프링푸셔(13)에 밀착되어 브레이크력이 작동되는 것이다.
한편 스프링푸셔(13)와 회전체(14) 사이에 하나의 치합 구조를 형성하게 되면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마모되기 쉽기 때문에, 탄성부재(12)를 보다큰 탄성 계수를 갖게 할 수 없어 보다큰 탄성력으로 스프링푸셔(13)를 탄성 지지하기 어렵게 되어 종래와 마찬가지로 폐쇄력 보조장치(폐쇄력 보충장치 등으로 지칭되기도 함)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서 일측면에 치형을 구비한 보조스프링푸셔(13a)가 상기 스프링푸셔(13)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회전체(14)에 치합되는 아이들회전체(14a)가 회전체(14)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 중의 하나가 상기 회전체(14)에 치합됨과 아울러 다른 하나가 상기 아이들회전체(14a)에 치합되며,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 중의 하나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 중의 하나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19)가 브레이크피스톤(20) 및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12)의 탄성력이 다수 위치로 분산되어 보다큰 탄성계수를 갖는 탄성부재를 선택할 수 있어 종래와 같이 폐쇄력 보조장치가 필요없게 된다.
물론 상기 브레이크부재(19)는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 중의 어느 하나에 밀착되더라도 결국에는 회전체(14)의 회전 속도를 제한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도면들과 같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부재(19)의 위치에 따라 도 7과 같은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의 구조가 가변될 수 있음을 자명한 것이다.
더우기 첨부된 각각의 도면과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재(19)는 도어(1)가 닫히는 방향에서 보다 큰 마찰력을 형성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브레이크실린더(21) 내부의 공기압을 조정하는 브레이크압력조정구(23)을 상기 브레이크파이프(22)에 설치하여 브레이크압력조정구(23)와 압력조정구를 별도로 조정함으로써, 초기와 후단부의 닫힘 속도를 원활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는 하우징(11)의 제조과정에서 하우징의 폭을 줄이기 위하여,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품을 컴팩트화할 수 있다.
더우기 상기 브레이크부재(19)와 브레이크피스톤(20) 및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가 상기 스프링푸셔(13)와 보조스프링푸셔(13a)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파이프(22)가 상기 브레이크피스톤(20)을 관통하여 이의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16) 내부 공간으로 위치된다.
특히 상기 브레이크파이프(22)는 상기 브레이크피스톤(20)을 관통하여 실린더부재(16)의 내부면에 삽입되고, 도어(1)의 개방 각도 10 ~ 40°에서 외기로 연통하는 구멍(22a)이 브레이크파이프(2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브레이크파이프(22)를 통하여 실린더부재(16) 내의 공기가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로 원활하게 흐르함과 아울러 피스톤(15)을 원활하게 가이드하는 구조가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체크밸브(17)는 도어가 닫힐 때에는 실린더부재(16)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흐른 것을 차단하고 도어가 개방될 때에는 실린더부재(16)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하는 구조이며, 상기 압력조정구(18)는 피스톤(15)에 의해 압축되는 실린더부재(16) 내의 공기압이 스프링푸셔(13) 등의 속도를 방해할 정도의 압력으로 증대하도록 공기압을 조정할 수 있도록 스프링과 밸브부를 갖추고 있으며, 공기가 외부로 빠질 때에도 유출되는 공기량을 조정하여 감쇄력을 발휘하도록 함이 자명하며, 압력조정구(18)를 통하여 실린더부재(16)의 외부로 원활하게 유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실린더부재(16) 주변에 공기 통로를 형성하거나 압력조정구(18) 자체의 구조로써 공기를 외기로 서서히 유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한다.
특히 도어가 완전히 닫히면 실린더부재(16) 내부의 공기압과 외기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방화문의 경우 실내에서 발생되는 화재에 의한 압력 증대에 따라 방화문이 저절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력조정구(18)의 밸브부(18a)의 선단부를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로 연장 형성하고, 도어가 닫히는 직전에 상기 피스톤(15)이 상기 압력조정구(18)의 밸브부(18a)의 선단부를 눌러서 실린더부재(15) 내부의 공기와 외기의 압력 차이를 제거하여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반하는 힘을 제거하게 된다.
물론 상술한 방와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는 하우징(11) 내에 형성되는 직선 형태 또는 부채꼴 등의 홈 형태를 각각의 구성요소에 맞추어서 형성됨은 자명한 것이며, 특히 브레이크부재의 이동이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됨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도 10과 도 11과 같이 하나의 실시예로써 그 작용을 설명하고자 하며, 다른 예도 상술한 설명에 비추어서 동일하게 작용될 수 있으므로 그 밖의 다른 예의 작용 설명을 생략한다.
아무튼 도 10와 같이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초기에 도어가 닫히면서 링크(2)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푸셔(13)와 피스톤(15)의 이동에 의해 실린더부재(16) 내에 공기압이 증대하면서 브레이크파이프(22)를 통하여 흐르는 공기에 의해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 내의 공기압이 형성됨과 동시에 브레이크피스톤(20)에 의해 브레이크부재(19)가 스프링푸셔(13)의 일측면에 밀착되어 스프링푸셔(13)의 이동을 제한하여 회전체(14)의 회전 속도를 줄여서 결국에는 링크(2)의 회전 속도를 줄임으로써 도어(1)의 닫힌 속도를 줄이게 된다.
도 10에서 도 11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2)의 탄성력은 저하되고, 피스톤(15)의 이동에 따라 실린더부재(16) 내의 공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스프링푸셔(13)의 이동 속도가 보다 많이 줄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 각도 10 ~ 40°에서 브레이크파이프(22)의 구멍(22a)이 피스톤(15)에 막히면서 실린버부재(16) 내의 공기가 브레이크실린더부재(21)로 흐르게 않도록 함과 아울러 더 나아가 최종적으로는 외부로 노출되어 브레이크파이프(22) 내의 공기압이 외기의 공기압과 동일하게 되면서 브레이크부재(19)와 스프링푸셔(13) 사이의 밀착력이 제거되며, 그 후에는 실린더부재(18) 내의 공기압만으로 스프링푸셔(13)의 이동 속도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도어가 닫히는 직전에서는 피스톤(15)이 압력조정구(18)의 밸브부(18a)의 선단부를 눌러서 실린더부재(15) 내부의 공기와 외기의 압력 차이를 제거하여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반하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방화문의 경우에 방화문 앞뒤의 압력차이로 인한 방화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부재의 마찰력과 실린더부재의 공기압으로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원활하게 제한할 수 있으며, 더우기 실린더부재의 공기압이 소정의 압력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압력조정구로 인하여 도어가 닫히다가 정지한 뒤에 다시 닫힐 때에도 도어의 닫힌 속도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1 : 도어 2 : 링크
11 : 하우징 12 : 탄성부재
13 : 스프링푸셔 13a : 보조스프링푸셔
14 : 회전체 14a : 보조회전체
15 : 피스톤 16 : 실린더부재
17 : 체크밸브 18 : 압력조정구
19 : 브레이크부재 20 : 브레이크피스톤
21 : 브레이크실린더부재 22 : 브레이트파이프
23 : 브레이크압력조정구

Claims (7)

  1.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일측에 치형을 구비한 스프링푸셔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의 치형과 치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프링푸셔의 선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을 감싸는 실린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바닥부에 체크밸브와 압력조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압력조정구로 실린더부재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여 도어가 닫힐 때 공기압으로 닫힘 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스프링푸셔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푸셔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이 브레이크실린더부재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를 브레이크파이프로 연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
  2.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일측에 치형을 구비한 스프링푸셔가 상기 탄성부재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도어의 개폐에 따라 회전되는 링크에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스프링푸셔의 치형과 치합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에 치합되는 아이들회전체가 회전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면에 치형을 구비한 보조스프링푸셔가 상기 스프링푸셔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아이들회전체에 치합되고, 상기 스프링푸셔와 보조스프링푸셔의 선단부에 피스톤을 설치하고, 상기 피스톤을 감싸는 실린더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실린더부재의 바닥부에 체크밸브와 압력조정구가 설치되어 상기 체크밸브로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고 상기 압력조정구로 실린더부재의 내부 압력에 따라 공기를 배출하여 도어가 닫힐 때 공기압으로 닫힘 속도를 조정하며, 상기 스프링푸셔의 일측면에 접촉되어 스프링푸셔 또는 보조스프링푸셔의 이동을 방해하는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를 작동하는 브레이크피스톤이 브레이크실린더부재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실린더부재와 상기 실린더부재 사이를 브레이크파이프로 연통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푸셔와 보조스프링푸셔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파이프에 브레이크압력조정구가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클로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재와 브레이크피스톤 및 브레이크실린더부재가 스프링푸셔와 보조스프링푸셔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브레이크파이프가 상기 브레이크피스톤을 관통하여 브레이크파이프의 선단부가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파이프는 상기 피스톤을 관통하여 실린더부재의 내부면에 삽입되고, 도어의 개방 각도 10 ~ 40°에서 외기로 연통하는 구멍이 브레이크파이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정구의 밸브부의 선단부를 상기 실린더부재의 내부로 연장 형성하고, 도어가 닫히는 직전에 상기 피스톤이 상기 압력조정구의 밸브부의 선단부를 눌러서 실린더부재 내부의 공기와 외기의 압력 차이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KR1020180090206A 2018-08-02 2018-08-02 도어 클로저 KR102094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06A KR102094189B1 (ko) 2018-08-02 2018-08-02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06A KR102094189B1 (ko) 2018-08-02 2018-08-02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998A true KR20200014998A (ko) 2020-02-12
KR102094189B1 KR102094189B1 (ko) 2020-03-27

Family

ID=6956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206A KR102094189B1 (ko) 2018-08-02 2018-08-02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6A1 (ko) * 2020-07-13 2022-01-20 (주)예성글로벌 공압식 도어클로저
KR20220051973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태 공압식 도어클로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50B2 (ko) * 1984-03-06 1993-05-17 Nabuko Kk
KR20180032841A (ko) * 2016-09-23 2018-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오픈 구조
JP2019188583A (ja) * 2018-04-28 2019-10-31 福建省通通発科技発展有限公司 近代化した新型なワークのクランプにおけるの治具部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550B2 (ko) * 1984-03-06 1993-05-17 Nabuko Kk
KR20180032841A (ko) * 2016-09-23 2018-04-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오픈 구조
JP2019188583A (ja) * 2018-04-28 2019-10-31 福建省通通発科技発展有限公司 近代化した新型なワークのクランプにおけるの治具部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4786A1 (ko) * 2020-07-13 2022-01-20 (주)예성글로벌 공압식 도어클로저
KR20220008156A (ko) * 2020-07-13 2022-01-20 (주)예성글로벌 공압식 도어클로저
KR20220051973A (ko) * 2020-10-20 2022-04-27 김경태 공압식 도어클로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4189B1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69697B1 (en) Hydraulic door closer
EP0544254A1 (en) Method of swinging a pivoted door to a selected position and cam and follower mechanism for use in the method
KR20200014998A (ko) 도어 클로저
US9181744B2 (en) Door actuator
EP1175541B1 (en) Operation device
ATE462057T1 (de) Türschliesser
KR100865494B1 (ko) 제동기능이 구비된 힌지장치
KR20200014996A (ko) 도어 클로저
KR102019588B1 (ko) 도어 클로저
KR101957012B1 (ko) 도어 클로저
KR20200014999A (ko) 도어 클로저
KR101988114B1 (ko) 도어 클로저
KR101984393B1 (ko) 도어 클로저
KR101995640B1 (ko) 도어 클로저
JP3894843B2 (ja) フロアヒンジ
CN110206432B (zh) 一种停定式闭门器
KR101926968B1 (ko) 도어 클로저
JP7246607B2 (ja) フロアヒンジ
EP1826417B1 (en) Hydraulic actuator for swing gates or overhead doors with pressure switch
KR0153544B1 (ko) 도어의 플로어 힌지
JP6711712B2 (ja) ドアクローザ用速度調整弁
EP3712366A1 (en) Door closer and door assembly
JP7292478B2 (ja) フロアヒンジ
JP7109342B2 (ja) フロアヒンジ
KR200282081Y1 (ko) 철도차량용 도어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