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012B1 - 도어 클로저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012B1
KR101957012B1 KR1020170039534A KR20170039534A KR101957012B1 KR 101957012 B1 KR101957012 B1 KR 101957012B1 KR 1020170039534 A KR1020170039534 A KR 1020170039534A KR 20170039534 A KR20170039534 A KR 20170039534A KR 101957012 B1 KR101957012 B1 KR 101957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otating body
elastic member
brak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5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599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700395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01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6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ricti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는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가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링크와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에 와이어 또는 체인이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쪽 단부가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도어가 개방될 때에 회전되는 링크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이동체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어 링크가 회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또한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감쇄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도어의 회전력을 증대하는 회전력보충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체인이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가변하기 때문에,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의 마모에 의한 작동 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브레이크수단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력을 감쇄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유압 누출에 의한 고장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저{DOOR CLOSER}
본 발명은 여닫이식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체인이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가변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방식으로 회전력을 감쇄함으로써, 종래의 기어 마모를 제거함과 아울러 유압 누출에 의한 고장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 클러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아파트, 오피스텔 등의 현관문 또는 방화문과 같은 여닫이식 도어에는 통상적으로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가 도어에 설치되며, 종래에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대략 중앙부를 관통하는 링크샤프트(기어축이라고도 함)에 결합되는 피니언기어와, 하우징 내부의 일 측에 배치된 스프링과,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를 구비하여 도어가 개방될 때 스프링을 가압하여 도어 폐쇄를 위한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스프링푸셔를 구비한다.
이러한 도어 클러저의 하우징은 도어에 부착되고, 링크샤프트에는 링크의 한쪽 단부가 체결되며, 링크의 다른쪽 단부는 도어프레임에 체결된다.
그리고 일 예로서 하우징을 콤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특허출원 제10-2012-0139177호로 출원되어 등록된 기술이 개발되었는 바, 이는 도어(door)에 고정되는 하우징; 일단이 도어의 프레임(frame)에 연결되는 링크(link);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자신의 상단부가 상기 링크의 타단에 연결되는 링크샤프트(link shaft); 상기 링크샤프트와 동축(同軸) 회전하는 피니언기어(pinion gear);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되며, 일측 단부에 상기 피니언기어에 치합되는 랙기어부(rack gear portion), 타측 단부에 피스톤베이스부, 및 상기 랙기어부와 상기 피스톤베이스를 이어주는 피스톤몸통부를 구비한 피스톤(piston); 및 상기 피스톤몸통부에 끼워지며,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링크샤프트가 회전하면 압축되어 탄성에너지를 축적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코일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통공과, 상기 랙기어부가 왕복하는 통로로서 상기 랙기어통공이 서로 일렬로 연결되게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통공에 채워지는 댐핑오일(damping oil)과, 상기 댐핑오일이 상기 랙기어통공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막는 실링유닛(sealing unit)을 더 구비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어클러저는 랙기어부와 피니언기어 사이에 기어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마찰부위의 마모로 인하여 작동 불량이 발생하게 되고, 오일 댐핑 방식으로 속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오일의 누출로 인하여 댐핑 작용이 재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재 발생시에 오일의 누출에 의한 이차 화재의 원인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인이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가변함과 아울러 브레이크 방식으로 회전력을 감쇄함으로써, 종래의 기어 마모를 제거함과 아울러 유압 누출에 의한 고장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도어 클러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가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링크와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에 와이어 또는 체인이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쪽 단부가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도어가 개방될 때에 회전되는 링크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이동체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어 링크가 회전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도어 클러저를 제공한다.
또한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감쇄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됨과 아울러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도어의 회전력을 증대하는 회전력보충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는 체인이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가변하기 때문에,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의 마모에 의한 작동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브레이크수단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력을 감쇄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유압 누출에 의한 고장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가 적용되는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어 클러저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도어(1)를 닫히게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1)의 내부에 탄성부재(12)와 이동체(13), 회전체(14), 체인(15) 또는 와이어(미도시)가 배치되어 통상 하우징(11)이 도어(1)에 설치되고, 도어프레임(1a)과 하우징(11) 내의 회전체(14) 사이에 링크(16)로 연결되며, 도 2은 도어가 닫힌 상태의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어 클로저의 단면도로서, 상기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도 4와 같은 상태의 도어(1)가 도 2와 같은 상태의 도어(1)로 닫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12)는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13)가 상기 탄성부재(12)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어 이동체(13)의 이동에 의해 탄성부재(12)가 압축되어 탄성부재(12)에 의해 이동체(13)이 이동된다.
물론 상기 탄성부재(12)의 압축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볼트(12a)가 상기 탄성부재(12)의 다른쪽 단부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11)에 치합되는 것을 자명한 것이다.
아무튼 상기 회전체(14)는 상기 하우징(11) 외부의 링크(16)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13)와 회전체(14) 사이에는 와이어 또는 체인(15)이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15)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13)에 힌지로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쪽 단부가 상기 회전체(14)의 둘레면에 힌지로 연결된다.
그러면 도어(1)가 개방될 때에 회전되는 링크(16)에 의해 회전체(14)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14)의 둘레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15)의 장력에 의해 이동체(13)가 탄성부재(12)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고, 도어(1)가 닫힐 때에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13)가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15)의 장력에 의해 회전체(14)가 회전되어 링크(16)가 회전되어 도어(1)가 탄성부재(12)에 의해 닫히는 것이다.
물론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체인(15)을 도시하고 있으나,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체인(15)을 플렉시블 와이어로 대체할 수도 있다.
한편 도어가 닫힐 때, 탄성부재(12)에 의해 도어가 닫히면 도어의 닫힘 속도가 빨라서 안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줄일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1)가 닫힐 때 상기 회전체(14)의 회전력을 감쇄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회전체(14)의 주위에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즉 상기 회전체(14)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15)이 삽입되는 둘레홈(14a)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회전체(14)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21)가 제1브레이크탄성부재(22)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14)의 둘레면 일측에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체(14)의 회전 속도를 줄여서 최종적으로 도어(1)의 닫힌 속도를 줄이게 된다.
아무튼 상기 브레이크패드(21)에 형성되는 패드경사면(21a)에 밀착되는 경사면(23a)을 구비한 패드가압부재(23)가 상기 브레이크패드(2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가압부재(23)의 일측에 제2브레이크탄성부재(24)가 설치된다.
그러면 도어(1)가 닫힐 때 상기 브레이크패드(21)가 패드가압부재(23)의 경사면(23a)을 따라 이동되어 패드가압부재(23)가 이동하면서 제2브레이크탄성부재(24)를 압축하여 상기 제2브레이크탄성부재(24)의 탄성력이 상기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의 마찰면에 마찰력을 증대하여 회전체(14)의 회전 속도를 줄이게 된다.
물론 상기 제1브레이크탄성부재(22)는 상기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의 최소 마찰력을 부여하여 도면상 회전체(14)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 브레이크패드(21)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며, 도어(1)를 개방할 때 즉 도면상 회전체(1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때에는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에는 최소 마찰력만 작용하게 되며, 상기 제2브레이크탄성부재(24)는 상기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브레이크탄성부재조정볼트(24a)에 의해 탄성력이 조정된다.
다른 한편 방화문의 경우에는 화재 발생시에 실내의 화재로 인하여 실내의 압력이 증대되는 것이어서, 도어(1)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도어의 회전력을 증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도어(1)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도어의 회전력을 증대하는 회전력보충수단이 상기 회전체(14)의 주위에 설치된다.
즉 상기 회전체(14)의 둘레면에 홈부(14b)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력보충수단은 상기 회전체(14)의 홈부에 착탈되는 스틸볼(31)이 회전력보충탄성부재(32)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도어(1)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도어 개방 각도에서 상기 스틸볼(31)이 회전체(14)의 홈부(14b)에 삽입되어 회전력보충탄성부재(32)에 의해 회전체(14)의 회전력을 증대하게 된다.
물론 상기 회전력보충탄성부재(32)의 탄성력을 조정하기 위한 회전력보충탄성조정볼트(32a)가 설치됨을 자명한 것이다.
더우기 상기 탄성부재(12)와 이동체(13), 브레이크패드(21), 제1,제2브레이크탄성부재(22,24), 패드가압부재(23), 스틸볼(31), 회전력보충탄성부재(32) 등이 하우징(11) 내에서 원활하게 이동하게 함과 아울러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우징(11) 내에 이러한 구성요소의 설치홈이나 가이드홈이 형성됨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러저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5와 같이 도어(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1)가 닫힐 때 탄성부재(12)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13)이 이동하면서 체인(15)을 당기게 된다.
그러면 체인(15)의 한쪽 단부가 이동체(13)와 함께 이동하면서 체인(15)의 장력으로 회전체(14)가 회전됨과 더불어 링크(16)가 회전되어 도어(1)가 최종적으로 도 8과 같이 닫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브레이크패드(21)이 상승하면서 패드가압부재(23)가 제2브레이크탄성부재(24)를 압축하면서 브레이크패드(21)와 회전체(14)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하게 되며, 이에 따라 회전체(14)의 회전 속도를 줄이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도어(1)의 닫힘 속도를 줄이게 된다.
한편 도 6과 같이 회전체(14)가 회전되면서 스틸볼(31)이 회전체(14)의 홈부(14b)에 삽입하려고 하면서 도 7과 같이 도어(1)가 닫히기 직전 즉 종래의 방화문의 경우와 같이 도어의 개방 각도 5 ~ 10 °에서 스틸볼(31)이 회전체(14)의 홈부(14b)에 삽입되면서 폐쇄력보충탄성부재(32)의 탄성력이 스틸볼(31)을 통하여 회전체(14)의 회전력을 증대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도 8과 같이 완전히 도어(1)를 닫히게 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서는 유압을 사용하지 않고도 도어의 닫힘 속도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어 맞물림 구조를 탈피함으로써 기어 마모에 의한 작동 불량을 원활하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
1 : 도어 11 : 하우징
12 : 탄성부재 13 : 이동체
14 : 회전체 15 : 체인
16 : 링크 21 : 브레이크패드
22,24 : 제1,제2브레이크탄성부재 23 : 패드가압부재
31 : 스틸볼 32 : 회전력보충탄성부재

Claims (3)

  1. 도어를 닫히게 하는 도어 클로저에 있어서,
    하우징의 내부에 탄성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이동하는 이동체가 상기 탄성부재의 한쪽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외부의 링크와 연결되는 회전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체와 회전체 사이에 와이어 또는 체인이 설치되되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한쪽 단부가 상기 이동체에 연결됨과 아울러 다른쪽 단부가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연결되며, 도어가 개방될 때에 회전되는 링크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감기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이동체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고, 도어가 닫힐 때에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체가 이동되면서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의 장력에 의해 회전체가 회전되어 링크가 회전되며, 도어가 닫힐 때에 상기 회전체의 회전력을 감쇄하는 브레이크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와이어 또는 체인이 삽입되는 둘레홈을 구비하며, 상기 브레이크수단은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밀착되는 브레이크패드가 제1브레이크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형성되는 패드경사면에 밀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한 패드가압부재가 상기 브레이크패드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패드가압부재의 일측에 제2브레이크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브레이크패드가 패드가압부재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패드가압부재가 이동하면서 제2브레이크탄성부재를 압축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와 회전체 사이의 마찰면에 마찰력을 증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러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도어의 회전력을 증대하는 회전력보충수단이 상기 회전체의 주위에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체의 둘레면에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력보충수단은 상기 홈부에 착탈되는 스틸볼이 회전력보충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각도에서 상기 스틸볼이 회전체의 홈부에 삽입되어 회전력보충탄성부재에 의해 회전체의 회전력을 증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도어 클러저.
KR1020170039534A 2017-03-28 2017-03-28 도어 클로저 KR101957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34A KR101957012B1 (ko) 2017-03-28 2017-03-28 도어 클로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534A KR101957012B1 (ko) 2017-03-28 2017-03-28 도어 클로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99A KR20180109599A (ko) 2018-10-08
KR101957012B1 true KR101957012B1 (ko) 2019-03-11

Family

ID=6386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534A KR101957012B1 (ko) 2017-03-28 2017-03-28 도어 클로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096A (ko) 2020-10-04 2022-04-12 박용훈 여닫이식 도어용 도어클러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6050B1 (ko) * 2019-01-15 2019-11-04 박준우 제연구역 내 도어클로저 듀얼 폐쇄력 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4789A (ja) 2007-09-27 2009-04-23 Ryobi Ltd 閉鎖力補助装置
CN201810091U (zh) * 2010-07-06 2011-04-27 江晓彬 一种新型的多功能闭门器
KR101085418B1 (ko) * 2009-03-28 2011-11-21 정주석 방화도어용 클로져 보조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621B1 (ko) * 2012-12-21 2014-12-03 (주)에이스앤아이 방화문용 도어클로저의 폐쇄력 보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4789A (ja) 2007-09-27 2009-04-23 Ryobi Ltd 閉鎖力補助装置
KR101085418B1 (ko) * 2009-03-28 2011-11-21 정주석 방화도어용 클로져 보조기구
CN201810091U (zh) * 2010-07-06 2011-04-27 江晓彬 一种新型的多功能闭门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5096A (ko) 2020-10-04 2022-04-12 박용훈 여닫이식 도어용 도어클러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99A (ko) 201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37448A (en) Method of swinging a pivoted door to a selected position and cam and follower mechanism for use in the method
CA2924872C (en) Apparatus for providing constant torque output from a door closer or operator
KR101957012B1 (ko) 도어 클로저
EP1672159A2 (en) Braking apparatus of door
JP2017511848A (ja) ドア用のベアリング装置
EP0856628B1 (en) Door closer
KR101995640B1 (ko) 도어 클로저
KR100865494B1 (ko) 제동기능이 구비된 힌지장치
KR101926968B1 (ko) 도어 클로저
JP6516198B2 (ja) 扉用閉鎖制動装置
KR102094189B1 (ko) 도어 클로저
KR101988114B1 (ko) 도어 클로저
KR101984393B1 (ko) 도어 클로저
KR20190089359A (ko) 도어 클로저
CN105672799A (zh) 地弹簧
KR102094187B1 (ko) 도어 클로저
JP2012012845A (ja) ドアクローザ
CN110206432B (zh) 一种停定式闭门器
KR200223101Y1 (ko) 출입문용 피벗힌지
KR20200014999A (ko) 도어 클로저
KR100808627B1 (ko) 플로어 힌지
JPH08135298A (ja) 温度補償機構付ドアクローザ用ダンパー装置
JP3189994U (ja) 非油圧式オートマチックドアクローザー
KR102488672B1 (ko) 공압식 도어클로저
KR102454486B1 (ko) 공압식 도어클로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