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4573A -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4573A
KR20200014573A KR1020180089900A KR20180089900A KR20200014573A KR 20200014573 A KR20200014573 A KR 20200014573A KR 1020180089900 A KR1020180089900 A KR 1020180089900A KR 20180089900 A KR20180089900 A KR 20180089900A KR 20200014573 A KR20200014573 A KR 20200014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crew
concrete
concrete screw
type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2833B1 (ko
Inventor
나종순
Original Assignee
나종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종순 filed Critical 나종순
Priority to KR102018008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283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1Shapes helical or spir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콘크리트 소재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면서 지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Concrete screw type underground support device of solar power generation apparatus,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를 지지하기 위해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 때문에 온실가스와 미세먼지를 줄이며 환경오염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 신재생에너지가 각광받고 있다.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중에서도 태양 에너지는 설치 환경 및 장소에 제약이 적고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 이용 효율을 가지므로,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시설물이 널리 보급되고 있다.
태양광 발전 시설물은 지지 구조물에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하여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시설물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 시설물은 건물의 지붕, 외벽 등에 설치되거나, 태양광을 이용할 수 있는 지상 공간 즉, 지반 위에 설치된다. 태양광 발전 시설물을 지반 위에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 태양전지 모듈을 갖는 패널(이하 '태양전지 패널'이라고도 함)을 지지 구조물을 통해 지지하게 된다.
지지 구조물은 설치 지형이나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는 긴 파이프형 구조물 둘레에 스크류가 설치되어 무굴착 방식으로 땅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는 자연 훼손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기초를 대신하여 이용할 수 있고, 계절과 기후에 관계없이 시공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 제10-119069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160920호 등에도 상기한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 선행 기술을 포함한 종래 태양광 발전 시설물의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는 스크류가 철판으로 제작되어 지지대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내구성도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철판으로 스크류를 제작할 경우에 일정한 나선을 형성하기 위한 철판 가공 및 설치 작업이 쉽지 않아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철판 소재의 특성상 바다 등 습기 또는 염분이 많은 지중(연약지반 포함)에 설치될 경우에 쉽게 녹이 슬면서 사용 수명이 짧아질 수 있는 문제도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190695호 한국 등록특허 제 10-116092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대 둘레에 콘크리트 소재로 스크류를 구성함으로써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 수명을 연장하면서 지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콘크리트 소재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스크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는 내부에 보강 망체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는 땅속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시작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는 둘레면이 경사면이 모아지는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제조 방법은, 지지대의 둘레에 나선형 구조로 스크류 형성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지지대 둘레에 나선 구조로 보강 망체를 설치한 다음, 이 보강 망체를 포함하도록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의 외측 사이에 지지봉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설치 방법은, 땅속을 나선 방향으로 파주도록 이루어진 나선 길내기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땅속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한 다음 역회전시켜 빼내어 지중 라인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은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를 상기 지중 라인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땅속에 삽입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단계 후에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의 상부에 지상 지지대를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단계 후에 땅속 및 지표면의 교란된 땅을 안정시키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부어 안정시킨 다음 상기 제 3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및 그것의 제조 방법은, 지지대 둘레에 콘크리트 소재로 스크류를 설치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철판으로 제작할 때에 비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습기가 많은 땅속에서도 사용 수명을 길게 할 수 있으며, 보다 큰 하중과 부피를 통해 지지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설치 방법은, 나선 길내기 공구를 이용하여 땅속을 파준 다음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를 삽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지중 지지대 설치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의 설치 상태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의 제조 방법이 도시된 주요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나선 길내기 공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의 설치 방법이 도시된 도면들으로서,
도 7은 나선 길내기 공구를 이용해 나선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8은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도 1은 전체 설치 상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땅속에 지중 지지장치(100)가 설치되고, 이 지중 지지장치(100)에 지상 지지대(10) 및 지지 패널(20)이 순서대로 조립된다. 그리고 지지 패널(20)의 상부에 태양광 패널(30)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지상 지지대(10)와 지지 패널(20) 사이에는 보조 지지대(40) 등이 추가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지상 지지대(10), 지지 패널(20), 태양광 패널(30), 보조 지지대(40) 등은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성하는 공지의 구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일부 구성을 삭제하거나 추가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는 지중 지지장치(100)에 조립되는 상부 구조물은 공지의 여러 태양광 발전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 지지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중 지지장치(100)는, 파이프형 구조로 이루어진 지지대(110)와, 이 지지대(110)의 둘레에 설치된 콘크리트 스크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대(110)는 중공의 직선 파이프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소재는 주철, 강철 등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대(110)는 원형 또는 사각 파이프를 비롯해 다각 구조의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고, 금속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기둥을 구성할 수 있는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소재로 구성된 지지대일 수 있다.
지지대(110)의 상단에는 상기 지상 지지대(110)와 조립될 수 있도록 접속 플랜지(130)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 플랜지(130)는 원판형 구조에 볼트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조립홀(132)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지지대(110)의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지판(135)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접속 플랜지(130)는 지상 지지대(110)와의 조립 조건에 따라 그 형상과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땅속에 지지대(110)를 회전시켜 삽입할 때 보다 용이하게 땅속을 파고 들어가고, 땅속에 삽입된 뒤에는 나선 구조를 통해 안정적인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으로서, 지지대(110) 둘레에 다양하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지지대(110)의 둘레에 콘크리트 소재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지지대(110)를 중심으로 대략 360도 정도의 나선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둘레면(121)은 지중에서 상하 방향으로 접지 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상하측에서 경사면으로 모아지는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나선 길이가 360도, 둘레면(121)이 경사 돌출부로 이루어진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콘크리트 스크류(120)은 내부에 철망 등 보강 망체(126)가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삽입 방향으로 시작 부분(122)은 뾰족하게 형성되고, 마지막 부분(124)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마지막 부분(124)도 뾰족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철판으로 스크류를 구성할 때보다 외곽면의 지름을 1.5 ~ 3배 정도 크게 형성하고, 나선 길이는 360도 정도로 작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콘크리트가 갖는 하중을 지중에서 충분히 이용함과 아울러, 나선 길이는 짧지만 충분한 지지 면적을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철판으로 스크류를 형성할 경우에 외곽 지름을 200mm ~ 400mm로 형성하고, 나선 길이도 540도 이상으로 구성하였던 것을, 본 발명에서와 같이 콘크리트 스크류로 할 경우에 외곽 지름을 500mm ~ 1000mm로 하고, 나선 길이를 360도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다.
콘크리트 스크류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지지대(110)의 상측에서 하측까지 전부분에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지지대(110)의 일부분에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지지대(110)의 하측에 콘크리트 스크류(120)가 구성되는 구조를 예시하였다. 또한,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복수 개를 지지대(110)에 일정 간격 이격시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및 도 10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스크류(120)가 2부분으로 나누어져 설치된 구조를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지지대(110)에 필요 및 설계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제, 지지대(110)에 콘크리트 스크류(120)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는 스크류 형성 거푸집이 도시된 주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선 방향의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은 지지대(110) 둘레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투입한 다음 양생하여 앞서 설명한 콘크리트 스크류(120)를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은 나선 방향으로 이어진 통형 구조로 형성되고, 내부에 콘크리트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의 상측과 하측은 지지봉(220)을 통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은 FRP 소재로 이루어진 거푸집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목재, 합성수지재 등 다른 소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은 콘크리트 양생 후에 해체가 용이한 조립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투입구(210)가 있는 상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지지대(110)에 고정하는 구조는 지지대(110)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지지대(110)의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물을 설치하여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은 내부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망체(12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망체(126)는 방사형 구조 또는 격자형 구조로 배치되어 중앙부(127)가 지지대 둘레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의 나선 구조를 따라 이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 망체(126)의 중앙부(127)는 상기 지지대(110)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경우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대(110)가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콘크리트 구조물과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강 망체(126)는 지지대(110) 둘레에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설치하기 전에 지지대(110) 둘레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 등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지지대(110) 둘레에 나선형 구조로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설치한다. 이때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설치하기 전에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대(110) 둘레에 보강 망체(126)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여 설치한 다음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을 설치한다. 그리고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의 위아래 부분을 지지봉(220)으로 연결하여 지지한다.
다음, 스크류 형성 거푸집(200)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일정 시간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하여 지지대(110) 둘레에 콘크리트 스크류(120)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나선 길내기 공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나선 길내기 공구(300)는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설치하기 전에 땅속을 나선 방향으로 파주어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 이용된다.
나선 길내기 공구(300)는 사각 파이프 구조로 이루어진 기둥(310) 둘레에 나선 형성체(320)가 구성된다.
이때, 기둥(310)은 반드시 사각 파이프일 필요는 없고, 나선 형성체(320)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실시 조건에 따라 원형 또는 다른 모양의 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나선 형성체(3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갖는 나선 구조(180도 정도)로 이루어지고, 시작 부분과 끝부분은 파고 들어가기 쉽고 다시 빼내기 쉽도록 모아진 구조(또는 회전 방향으로 뾰족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나선 형성체(320)는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철판을 어느 정도 간격(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 스크류 두께 정도)을 두고 나선 방향으로 설치하고,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서 서로 만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선 형성체(320)를 구성하는 두 철판 사이에는 간격 유지봉(33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나선 길내기 공구(30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의 설치 방법이 도시된 도면들으로서, 도 7은 나선 길내기 공구를 이용해 나선 형성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장비(500)를 이용하여 나선 길내기 공구(300)를 회전시키면서 땅속을 일정 깊이만큼 삽입한 다음 역회전시켜 빼내어 지중 라인을 형성한다.
회전 장비(500)는 나선 길내기 공구(300)를 회전시키는 중장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장비(500)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나선 길내기 공구(300)를 이용하여 형성된 지중 라인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땅속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이후, 필요에 따라 땅속 및 지표면의 교란된 땅을 안정시키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부어 안정시키는 작업을 실시한다.
여기서, 나선 길내기 공구(3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비와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를 회전시키는 회전 장비를 별도로 구성할 경우에, 나선 길내기 공구(300)로 장소를 옮겨가며 차례대로 지중 라인을 형성하고, 뒤이어 각 지중 라인에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들을 차례로 삽입함으로써 연속 설치가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가 설치되면,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110)의 상부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지상 지지대(10) 등을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30)을 설치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는 다른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9는 사시도, 도 10은 정면도이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A)는 지지대(111)가 사각 파이프 구조로 형성되고, 콘크리트 스크류(120)가 지지대(111)의 상측과 하측에 2개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대(111)는 파이프형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콘크리트 기둥을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콘크리트 스크류(120)는 설치 조건에 따라 스크류의 개수 또는 길이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A)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 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100)의 제조 방법 및 설치 방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지상 지지대 20 : 지지 패널
30 : 태양광 패널 40 : 보조 지지대
100, 100A : 지중 지지장치 110, 111 : 지지대
120 : 콘크리트 스크류 126 : 보강 망체
130 : 접속 플랜지 200 : 스크류 형성 거푸집
220 : 지지봉 300 : 나선 길내기 공구
310 : 기둥 320 : 나선 형성체
330 : 간격 유지봉 500 : 회전 장비

Claims (10)

  1.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둘레에 나선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가 설치된 것으로, 콘크리트 소재로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콘크리트 스크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는 내부에 보강 망체가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는 땅속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시작 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4. 지지대의 둘레에 나선형 구조로 스크류 형성 거푸집을 설치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투입하여 양생하고, 거푸집을 제거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제조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지지대 둘레에 나선 구조로 보강 망체를 설치한 다음, 이 보강 망체를 포함하도록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제조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스크류 형성 거푸집의 외측 사이에 지지봉을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제조 방법.
  7. 땅속을 나선 방향으로 파주도록 이루어진 나선 길내기 공구를 회전시키면서 땅속에 일정 깊이만큼 삽입한 다음 역회전시켜 빼내어 지중 라인을 형성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 후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를 상기 지중 라인을 따라 회전시키면서 땅속에 삽입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설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후에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대의 상부에 지상 지지대를 연결하여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설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 후에 땅속 및 지표면의 교란된 땅을 안정시키기 위해 일정량의 물을 부어 안정시킨 다음 상기 제 3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설치 방법.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스크류의 둘레면은 경사면이 모아지는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KR1020180089900A 2018-08-01 2018-08-01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KR102342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0A KR102342833B1 (ko) 2018-08-01 2018-08-01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00A KR102342833B1 (ko) 2018-08-01 2018-08-01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73A true KR20200014573A (ko) 2020-02-11
KR102342833B1 KR102342833B1 (ko) 2021-12-23

Family

ID=6956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00A KR102342833B1 (ko) 2018-08-01 2018-08-01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28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70B1 (ko) * 2020-03-20 2021-01-06 이상곤 양면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613A (ja) * 1983-01-28 1984-08-09 Junichi Tsuzuki 螺旋杭
KR100910884B1 (ko) * 2009-02-16 2009-08-06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다단 콘 기초
KR101160920B1 (ko) 2009-09-14 2012-06-28 유지훈 콘크리트 파일체, 콘크리트 파일용 보강체, 콘크리트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0695B1 (ko) 2011-10-17 2012-10-1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조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613A (ja) * 1983-01-28 1984-08-09 Junichi Tsuzuki 螺旋杭
KR100910884B1 (ko) * 2009-02-16 2009-08-06 주식회사 에이스지오 다단 콘 기초
KR101160920B1 (ko) 2009-09-14 2012-06-28 유지훈 콘크리트 파일체, 콘크리트 파일용 보강체, 콘크리트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90695B1 (ko) 2011-10-17 2012-10-12 (주)지티씨코퍼레이션 조립이 가능한 태양광 발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570B1 (ko) * 2020-03-20 2021-01-06 이상곤 양면 태양광 모듈용 지지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2833B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7029B2 (ja) 太陽光発電装置の設置構造
KR101879141B1 (ko) 태양광 발전 장치용 기초 보강 구조물
JP2014001542A (ja) 支柱設置用基礎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104060617B (zh) 基坑支护系统的预制装配式内支撑体系及施工方法
KR20200014573A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콘크리트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그것의 제조 방법 및 그것의 설치 방법
CN201850557U (zh) 法兰不连续式螺旋桩基础
KR200479516Y1 (ko) 구조물 지지용 나선형 지지대
CN215715401U (zh) 一种可拆卸土钉墙结构
CN201850556U (zh) 一种三点不连续式螺旋桩基础
KR20150004038U (ko) 태양광발전장치 설치대용 기초지주
KR102282583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지주 설치용 기초 시공방법
JP6324165B2 (ja) 太陽光発電装置及びその基礎
RU158889U1 (ru) Свая винтовая
CN203905027U (zh) 基坑支护系统的预制装配式内支撑体系
CN203361179U (zh) 一种柱桩及采用该柱桩的高压电线塔基座
RU2530142C2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шпунтового ограждения при проведении работ на магистральном трубопроводе и шпунтовое сборно-разборное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обустройства котлована
CN219711126U (zh) 一种全预制装配式变电站施工结构
CN201891115U (zh) 一种三点连续式螺旋桩基础
JP2015086654A (ja) 太陽光パネル用トラス梁架台とそれを使用した組立工法
KR100727598B1 (ko) 연장 로드를 갖는 스크루 방식의 앵커 로드
CN210127477U (zh) 一种预应力装配式异形桩墙的基坑与边坡围护结构
RU180017U1 (ru) Пустотелая винтовая свая
KR102344483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스크류형 지중 지지장치
CN209741894U (zh) 一种定日镜螺旋地桩基础
CN212927366U (zh) 一种工地可重复使用的装配式钢筋混凝土围挡防溢底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