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722A -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722A
KR20200013722A KR1020197038751A KR20197038751A KR20200013722A KR 20200013722 A KR20200013722 A KR 20200013722A KR 1020197038751 A KR1020197038751 A KR 1020197038751A KR 20197038751 A KR20197038751 A KR 20197038751A KR 20200013722 A KR20200013722 A KR 20200013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transceiver module
input
outpu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2497B1 (ko
Inventor
플로리안 하트비히
슈테펜 발커
아르투어 무터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13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2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2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18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all the carriers are amplitude-modu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82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08Bus networks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bus standard
    • H04L2012/40215Controller Area Network C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c Digital Transmiss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의 통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핀(106)을 포함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핀(108)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단(110)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출력단(112)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데이터 버스(116)를 위한 인터페이스(114)를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2 입력단(124) 및 제2 출력단(126)을 구비한 추가 기능 장치(122)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 방법은, 적어도 주기적으로 추가 데이터가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을 경유하여 제2 입력단(124)으로, 그리고/또는 제2 출력단(126)에서부터 제1 출력단(112)을 경유하여 제2 핀(10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본 발명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트랜시버 모듈로 송신한다. 트랜시버 모듈은 데이터 버스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한다. 입력 데이터는 데이터 버스를 통해 트랜시버 모듈에 의해 수신되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로 송신된다. 인터페이스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트랜시버 모듈 상에 TX 핀(pin) 및 RX 핀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모듈 내에서는,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의 전송의 범주에서 이용되는 추가 기능들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추가 기능들은 추가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추가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교환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추가 핀이 필요하다.
그에 비해 개선된 인터페이스가 바람직하다.
이는 독립 청구항들에 따른 방법 및 장치를 통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마찬가지로 제공된다.
본원의 방법과 관련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이 제공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트랜시버 모듈로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핀을 포함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트랜시버 모듈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핀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은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단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은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출력단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은 데이터 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며, 트랜시버 모듈은 제2 입력단 및 제2 출력단을 구비한 추가 기능 장치(additional function device)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적어도 주기적으로 추가 데이터는 제1 핀에서부터 제1 입력단을 경유하여 제2 입력단으로, 그리고/또는 제2 출력단에서부터 제1 출력단을 경유하여 제2 핀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추가 데이터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 없이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사이에서 교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입력단에서 수신된 출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는 역다중화(demultiplexing)되고, 그리고/또는 제1 출력단에서 송신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는 다중화(multiplexing)된다. 이는 특히 간단한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는 기설정된 시점들에 전송된다. 이는 추가 데이터의 결정론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또는 트랜시버 모듈은 활성화 신호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며, 활성화 신호는 제1 핀에서부터 제1 입력단으로, 그리고/또는 제1 출력단에서부터 제2 핀으로 전송된다. 이는 추가 데이터의 전송의 목표되는 트리거링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또는 트랜시버 모듈은 활성화 신호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전송한다. 그에 따라 기간은 결정론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또는 트랜시버 모듈은 비활성화 신호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며, 비활성화 신호는 제1 핀에서부터 제1 입력단으로, 그리고/또는 제1 출력단에서부터 제2 핀으로 전송된다. 이는, 출력 데이터 및/또는 입력 데이터의 결정론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트랜시버 모듈의 대기 핀(standby pin)과 연결되어 있는 제어 핀(control pin)을 포함하며, 추가 데이터는,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1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활성화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추가 데이터의 전송은,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2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비활성화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종료된다. 비트열들은 활성화 신호 및/또는 비활성화 신호의 부호화를 위한 유연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제1 핀에서부터 제1 입력단으로, 그리고/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제1 출력단에서부터 제2 핀으로 주파수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된다. 그렇게 하여, 추가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와 함께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출력 데이터 및/또는 입력 데이터는, 비제로 복귀(Non-Return-to-Zero) 또는 비제로 복귀 반전(Non-Return-to-Zero-Inverted) 라인 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서 전송되며,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더 낮다. 이는 특히 간단하게 실현되는 구현이다.
바람직하게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제1 핀에서부터 제1 입력단으로, 그리고/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제1 출력단에서부터 제2 핀으로 진폭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된다. 그렇게 하여, 추가 데이터는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와 함께 동시에 전송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핀은, 제1 핀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출력 전위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하며,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출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며, 적어도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 중 다른 출력 스위칭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고, 그리고/또는 제2 핀은, 제2 핀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입력 전위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하며,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입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며, 적어도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 중 다른 입력 스위칭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이는 직렬 데이터 버스로의 원활한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추가 신호들은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로 전송된다. 이는 전송을 위한 비용을 감소시키고 기술적으로 매우 간단하면서도 유리하게 실현되는데, 왜냐하면, 주파수 다중화 방법에 비해, 여기서는, 입력 데이터 내지 출력 데이터의 전송 동안, CAN 프로토콜에 의해 무시되는 추가적인 에지들만이 삽입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입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입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이 입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출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출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이 출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된다.
장치와 관련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트랜시버 모듈은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트랜시버 모듈은, 제1 출력단에서 송신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다중화하도록 형성되고 제1 입력단에서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하기 기재내용 및 도면에서 분명하게 제시된다.
도 1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트랜시버 모듈의 부분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시간 다중화 방법을 이용한 통신의 부분들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및 트랜시버 모듈(104)의 부분들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의 통신을 위한 하기에서 기술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장치(100)의 부분이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핀(106)을 포함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핀(108)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단(110)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출력단(112)을 포함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예컨대 높은 전위(High)를 위한 제1 접점(118)과 예컨대 낮은 전위(Low)를 위한 제2 접점(120)을 구비한 데이터 버스(116)용 인터페이스(114)를 포함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또는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트랜시버 모듈(104)과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바람직하게는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에 따라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이런 경우에,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제1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128)를 포함한다. 이런 경우에, 트랜시버 모듈(104) 내의 인터페이스(114)는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트랜시버이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2 입력단(124) 및 제2 출력단(126)을 구비한 추가 기능 장치(122)를 포함한다. 적어도 주기적으로, 추가 데이터는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을 경유하여 제2 입력단(124)으로, 그리고/또는 제2 출력단(126)에서부터 제1 출력단(112)을 경유하여 제2 핀(108)으로 전송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1 접점(118) 및 제2 접점(120)을 경유하여 추가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예컨대 표준 ISO11898-2:2016에 따라서 제1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128)와의 통신을 위한 2개의 판들만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제1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128)와 경우에 따라 제2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예컨대 표준 ISO11898-1:2015에 상응하게 동작하는 회로/구현(implementation)이다. 제1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128)는 예시에서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내에 통합된다. 제1 핀(106)은 TxD로 지칭된다. 제2 핀(108)은 RxD로 지칭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인터페이스로서의 기능 외에 하나의 추가 기능, 또는 복수의 추가 기능, 예컨대 부분 네트워킹도 포함한다. 하나의 추가 기능, 또는 복수의 추가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실행 시간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추가 데이터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교환된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1 입력단(110)에서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를 포함한다.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는 제1 출력단(112)에서 송신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136) 및 추가 데이터(138)를 다중화하도록 형성된다. 더 구체적으로, 추가 데이터는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을 경유하여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의 디멀티플렉서 입력단(130)으로 전송된다.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의 디멀티플렉서 내에서, 추가 데이터는 출력 데이터로부터 분리된다. 추가 데이터는 제1 디멀티플렉서 출력단(132)을 경유하여 제2 입력단(124)으로 전송된다. 출력 데이터는 제2 디멀티플렉서 출력단(134)을 경유하여 트랜시버(114)로 전송된다. 입력 데이터는 트랜시버(114)에서부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의 제1 멀티플렉서 입력단(136)으로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는 제2 출력단(126)에서부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의 제2 멀티플렉서 입력단(138)으로 전송된다. 입력 데이터와 액세스 데이터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 내의 멀티플렉서에 의해 조합되어, 멀티플렉서 출력단(140) 및 제1 출력단(112)을 경유하여 제2 핀(108)으로 전송된다.
하기 방법을 위해, 추가 데이터가 어떤 유형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하기 방법을 위해, 추가 데이터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에서부터 추가 기능으로 송신되는지 그 여부, 또는 추가 데이터가 추가 기능에서부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로 송신되는지 그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추가 데이터는, 예컨대 추가 기능을 구성하여 시작하거나 정지시키기 위해, 추가 기능의 상태를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로 송신하기 위해, 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의 반응을 트리거링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2에는,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의 통신을 위한 예시의 방법의 부분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시간축(t)에는, 한편으로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가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가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는 시퀀스가 도시되어 있다. 트랜시버 모듈(104)은 트랜시버(114)를 통해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시간 제어 방식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항상 시간 다중화 방법에 따라서 추가 데이터가 전송될 때면, 예컨대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 내에서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와 트랜시버(114) 간의 전송이 방지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은 예컨대 활성화 신호(202)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만이, 또는 단지 트랜시버 모듈(104)만이, 활성화 신호(202)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활성화 신호(202)는 예컨대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전송된다. 또한, 활성화 신호(202)는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은, 비활성화 신호(204)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단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만이, 또는 단지 트랜시버 모듈(104)만이, 비활성화 신호(204)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비활성화 신호(204)는 예컨대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전송된다. 또한, 비활성화 신호(204)는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도 전송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되거나 기설정될 수 있는 시점에 전송된다. 활성화 신호(202)의 전송을 통해, 기설정될 수 있는 시점이 기설정된다. 도 2에는, 각각 활성화 신호(202)가 전송되는 제1 시점(206) 및 제2 시점(208)이 도시되어 있다.
추가 데이터의 전송은 바람직하게는 기설정되거나 기설정될 수 있는 시점에 종료된다. 비활성화 신호(204)의 전송을 통해, 기설정될 수 있는 시점이 기설정된다. 도 2에는, 각각 비활성화 신호(204)가 전송되는 제3 시점(210) 및 제4 시점(212)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제1 시점(206)과 제3 시점(210) 사이에, 그리고 제2 시점(208)과 제4 시점(212) 사이에 각각 제1 기간(214)이 위치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1 기간(214)에서는,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독점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오직 추가 데이터만이 전송되는 상기 제1 시간 섹션들은 도 2에서 "A"로 표시되어 있다.
도 2에는, 제3 시점(210)과 제2 시점(208) 사이에, 그리고 제4 시점(212) 이후에 각각 제2 기간(216)이 위치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제2 기간(216)에서는,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독점적으로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에 통신이 이루어진다.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이용되는 시간 다중화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인터페이스(114)에 대한 요건에 따른다.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기 제2 시간 섹션들은 도 2에서 "B"로 표시되어 있다.
활성화 신호 내지 비활성화 신호는 버스 시스템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비트들을 토대로 도출될 수도 있다. 예컨대 CAN 버스의 경우, "프레임 종료(EOF: End of Frame)" 필드가 검출될 수도 있고, 추가 데이터는 상기 시간 동안 전송될 수도 있는데, 그 이유는 EOF 필드는 열성 비트들의 긴 시퀀스에 상응하기 때문이다. 이런 시간 동안,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와 트랜시버(114) 사이의 링크들(134 및 136)은 분리될 수도 있다. 예컨대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에서의 추가 회로는 "136"에서 CAN 버스 신호를 계속하여 관찰하며, 그리고 CAN 버스 상에서 오류 상황이 검출되는 경우 트랜시버(114)의 분리를 취소할 수 있다.
제1 기간(214) 및 제2 기간(216)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시간 섹션들(A) 및 제2 시간 섹션들(B)은 도 2의 예시에서 교호적으로 ABAB로 반복된다. 또한, 또 다른 순서들 역시도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ABBABB 또는 ABBABABBA도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시점들에서 시작되는 제1 시간 섹션들(A) 또는 제2 시간 섹션들(B)은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또는 트랜시버 모듈(104)은, 기설정된 기간(214) 동안 활성화 신호(202)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활성화 신호(202)를 전송한 후에, 트랜시버 모듈(104) 내에서 예컨대 컨트롤 영역 네트워크 트랜시버 기능이 비활성화된다. 이런 경우, 트랜시버 모듈(104) 상의 제1 입력단(110)은, 이런 경우에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버스로서 형성되는 데이터 버스(116)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버스는 제1 출력단(112)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그렇게 하여,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은 추가 데이터를 서로 교환하며, 이때, 이는 데이터 버스(116)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면, 다시 말해 트랜시버 모듈(104) 상에 제2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다면,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은, 다음번에 상호 간에 언제 독점적으로 통신할지에 대해 합의할 수 있다. 이는, 예컨대 주기적으로 매 초일 수 있다. 마이크로 컨트롤러 또는 트랜시버 모듈(104)은 이를 예컨대 전송되는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프레임에 근거하여서도 합의할 수 있다.
추가 데이터의 전송의 종료 후에,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트랜시버 모듈(104) 내에서는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트랜시버 기능이 활성화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의 대기 핀과 연결되어 있는 제어 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데이터는,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1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활성화 신호(202)의 수신에 반응하여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의 전송은,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2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비활성화 신호(204)의 수신에 반응하여 종료될 수 있다.
제1 비트열은 예컨대 비트당 각각 1㎲를 갖는 01010101이고 독점적인 통신이 시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2 비트열은 예컨대 비트당 각각 1㎲를 갖는 00110011이고 독점적 통신이 종료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제3 비트열은 예컨대 오직 1만을 포함하고, 대기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1ms보다 긴 시간 동안 송신된다. 제4 비트열은 예컨대 오직 0만을 포함하고, 대기 모드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1ms보다 긴 시간 동안 송신된다.
또한, 또 다른 비트열들도 제공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추가 데이터는 주파수 다중화 방법으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주파수 다중화 방법에 의해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주파수 다중화 방법에 의해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 전송된다.
출력 데이터 및/또는 입력 데이터는 예컨대 비제로 복귀 또는 비제로 복귀 반전 라인 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에 의해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신호들로서 전송되며, 제1 주파수는 제2 주파수보다 더 낮다.
그 대안으로, 추가 데이터는 진폭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진폭 다중화 방법으로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진폭 다중화 방법으로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 전송된다.
제1 핀(106)은 예컨대 제1 핀(106)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출력 전위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한다.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출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적어도 3개의 출력 임계값 중 다른 출력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제2 핀(108)은, 제2 핀(108)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상이한 입력 전위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한다.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입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적어도 3개의 입력 임계값 중 다른 입력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된다.
그 대안으로, 추가 신호들은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로 전송된다.
입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예컨대 입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된다.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컨대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이 입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된다. 입력 메시지들의 제1 시간 섹션과 다른 입력 메시지들의 제2 시간 섹션에는, 입력 데이터들이 배열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출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출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예컨대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은 출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된다. 출력 메시지들의 제1 시간 섹션과 다른 출력 메시지들의 제2 시간 섹션에는 출력 데이터가 배열된다.
컨트롤 영역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이용된다면, 2㎲ 내지 500㎱ 범위의 비트 길이를 갖는 비트들이 이용된다. 보통,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비트들의 제2 반 비트(bit half)에서 비트들을 스캐닝한다. 또한, 비트가 열성이고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앞서 우성 비트를 수신했다면,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스캐닝 지점(샘플 지점) 전의 값 전환(0/1)을 무시한다.
추가 논리가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내에서 구현되며, 이런 추가 논리를 통해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비트의 제1 반 비트에서 서브 비트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삽입하도록 형성된다. 추가 논리는 트랜시버 모듈(104) 내에서 구현되며, 이런 추가 논리를 통해서 트랜시버 모듈(104)은 상기 서브 비트들을 수신하고 제거하고 평가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거는, 예컨대 트랜시버 모듈(104) 내의 컨트롤러 영역 네트워크 트랜시버가 서브 비트들을 더 이상 관찰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절차들 중 하나를 이용한 통신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7)

  1. 마이크로 컨트롤러(102)와 트랜시버 모듈(104) 간의 통신을 위한 방법으로서,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핀(106)을 포함하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트랜시버 모듈(104)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2 핀(108)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출력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제1 입력단(110)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입력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출력단(112)을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데이터 버스(116)를 위한 인터페이스(114)를 포함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출력 데이터를 송신하고 인터페이스(114)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며,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2 입력단(124) 및 제2 출력단(126)을 구비한 추가 기능 장치(122)를 포함하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주기적으로 추가 데이터는 상기 제1 핀(106)에서부터 상기 제1 입력단(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입력단(124)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제2 출력단(126)에서부터 상기 제1 출력단(112)을 경유하여 상기 제2 핀(10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입력단(10)에서 수신된 출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는 역다중화되고, 그리고/또는 제1 출력단(112)에서 송신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는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시간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는 기설정된 시점들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및/또는 상기 트랜시버 모듈(104)은 활성화 신호(202)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활성화 신호는 상기 제1 핀(106)에서부터 상기 제1 입력단(110)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상기 제2 핀(10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및/또는 상기 트랜시버 모듈(104)은 상기 활성화 신호(202)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를 기설정된 기간 동안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및/또는 상기 트랜시버 모듈(104)은 비활성화 신호(204)에 반응하여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종료하며, 상기 비활성화 신호(204)는 상기 제1 핀(106)에서부터 상기 제1 입력단(110)으로, 그리고/또는 상기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상기 제2 핀(108)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02)는, 상기 트랜시버 모듈(104)의 대기 핀과 연결되어 있는 제어 핀을 포함하며, 추가 데이터는,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1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활성화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추가 데이터의 전송은, 제어 핀에서부터 대기 핀으로 전송되는 제2 비트열을 통해 표현되는 비활성화 신호의 수신에 반응하여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그리고/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 주파수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출력 데이터 및/또는 입력 데이터는, 비제로 복귀 또는 비제로 복귀 반전 라인 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제1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는 제2 주파수를 갖는 신호로서 전송되며, 상기 제1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보다 더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는 제1 핀(106)에서부터 제1 입력단(110)으로, 그리고/또는 추가 데이터 및 입력 데이터는 제1 출력단(112)에서부터 제2 핀(108)으로 진폭 다중화 방법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핀(106)은, 제1 핀(106)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출력 전위의 생성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하며, 상기 3개의 출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출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출력 임계값 중 다른 출력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2 핀(108)은, 제2 핀(108) 상에서 적어도 3개의 입력 전위의 검출을 위한 적어도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을 보유하며, 상기 3개의 입력 스위칭 임계값 중 2개는 입력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며, 상기 적어도 3개의 입력 임계값 중 다른 입력 임계값들은 추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는 연속적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추가 신호들은 입력 데이터 및/또는 출력 데이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입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입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이 입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되고, 그리고/또는 출력 데이터의 비트들은 출력 메시지들에서 프레임들로 연속적으로 전송되며, 추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추가의 상승 및/또는 하강 에지들이 출력 데이터의 하나의 비트의 전송 기간 동안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15. 마이크로 컨트롤러(102) 및 트랜시버 모듈(104)이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시버 모듈(104)은, 제1 출력단(112)에서 송신하기 위한 입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다중화하도록 형성되고 제1 입력단(110)에서 수신되는 출력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역다중화하도록 형성되는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1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형성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7038751A 2017-06-02 2018-05-24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KR1025024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9433.8A DE102017209433A1 (de) 2017-06-02 2017-06-02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Mikrocontroller und einem Transceiver Baustein
DE102017209433.8 2017-06-02
PCT/EP2018/063614 WO2018219766A1 (de) 2017-06-02 2018-05-24 Verfahren zur kommunikation zwischen einem mikrocontroller und einem transceiver baustei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722A true KR20200013722A (ko) 2020-02-07
KR102502497B1 KR102502497B1 (ko) 2023-02-23

Family

ID=6223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8751A KR102502497B1 (ko) 2017-06-02 2018-05-24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88868B2 (ko)
KR (1) KR102502497B1 (ko)
CN (1) CN110663193B (ko)
DE (1) DE102017209433A1 (ko)
WO (1) WO20182197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38906B1 (en) * 2019-07-11 2020-11-17 Nxp B.V. Communication between transceiver and microcontroller
DE102020205278A1 (de) * 2020-04-27 2021-10-28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ommunikationssteuereinrichtung und Sende-/Empfangseinrichtung für eine Teilnehmerstation eines seriellen Bussystems und Verfahren zur Kommunikation in einem seriellen Bussystem
EP4080832A1 (en) 2021-04-23 2022-10-26 Nxp B.V. Additional communication in standardized pinout of a bidirectional interface between a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571A (ko) * 2009-12-28 2012-09-13 엔엑스피 비 브이 버스 송수신기의 설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1439B2 (en) * 2008-04-22 2010-10-26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Programmable CAN bus to analogue signal converter
WO2012125504A2 (en) * 2011-03-11 2012-09-20 Skyworks Solutions, Inc. Dual mode serial/parallel interface and use thereof in improved wireless devices and switching components
EP2713559B1 (de) * 2012-07-16 2015-02-18 ELMOS Semiconductor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Transceivers eines an einen Datenbus angeschlossenen Bus-Teilnehmers
DE102015105110A1 (de) * 2015-04-02 2016-10-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teuergerät zum Verbinden eines CAN-Busses mit einem Funknetzwerk und Kraftfahrzeug mit einem solchen Steuergerät
EP3214803A1 (en) * 2016-03-03 2017-09-06 Nxp B.V. Feedforward ringing suppression circu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1571A (ko) * 2009-12-28 2012-09-13 엔엑스피 비 브이 버스 송수신기의 설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63193A (zh) 2020-01-07
WO2018219766A1 (de) 2018-12-06
KR102502497B1 (ko) 2023-02-23
US11088868B2 (en) 2021-08-10
DE102017209433A1 (de) 2018-12-06
CN110663193B (zh) 2022-02-22
US20200084064A1 (en)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8292B2 (ja) ネットワークリンク端点性能検出
KR102502497B1 (ko)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CN101350823B (zh) 以太网端口链路连接的协商方法及装置
JP5040695B2 (ja) Pon局側装置、pon上り回線通信方法、pon上り回線通信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2044723B1 (ko)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 국, 그리고 버스 시스템의 가입자 국들 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
CN1773995B (zh) 用于数据通信设备中的自动协商的系统和方法
CN100469046C (zh) 自动协商的系统、方法和设备
JP6126600B2 (ja) 回路装置および信号を送信するための方法
EP2048822A1 (en) Data repeating system and data repeating method
KR102520021B1 (ko) 마이크로 컨트롤러와 트랜시버 모듈 간의 통신 방법, 마이크로 컨트롤러 및 트랜시버 모듈
EP1246406B1 (en) Media converter with integrated local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and fault alarm signal transmission system
CN104221342B (zh) Ofdm同轴通信中的可变长度循环前缀
JP2009111507A (ja) 加入者宅側光回線終端装置及び光伝送システム
JP2022533132A (ja) 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の加入局用送受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装置ならびに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US20150146744A1 (en) Automatic configuration of a repeater
US20150229432A1 (en) Full-duplex ethernet communications over coaxial links using time-division duplexing
US20170331592A1 (en) Transmitting device and receiving method
CN112823496A (zh) 帧屏蔽单元、用于串行总线系统的用户站以及用于在串行总线系统中进行通信的方法
US10841085B2 (en) Method for generating a secret or a key in a network
JP5958335B2 (ja) 通信ノード、及び通信システム
JP2020080466A (ja) 光伝送システム及び非使用経路確認方法
KR101328505B1 (ko) Rs-232c를 이용한 원거리 다중경로 제어장치
CN108141357B (zh) 用于在网络中生成秘密的电路装置
JPH11284609A (ja) ピンポン伝送機器、及びピンポン伝送方法
US10084488B1 (en) Chip-to-chip port coherency without overhe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