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400A -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400A
KR20200013400A KR1020180088561A KR20180088561A KR20200013400A KR 20200013400 A KR20200013400 A KR 20200013400A KR 1020180088561 A KR1020180088561 A KR 1020180088561A KR 20180088561 A KR20180088561 A KR 20180088561A KR 20200013400 A KR20200013400 A KR 20200013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information
data
standard
medic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6603B1 (ko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주)플라잉마운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잉마운틴 filed Critical (주)플라잉마운틴
Priority to KR1020180088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6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3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5/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reports, e.g. generation or transmission thereof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 간에 의료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진료정보를 표준에 맞추어 변환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에 따라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API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Method For Converting Health Inform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Information}
본 발명은 병원 간에 의료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진료정보를 표준에 맞추어 변환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자가 의료기관 내 타 진료부서로 이동하거나 타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경우, 환자가 방문하는 의료기관은 의료기관 간에 상기 환자에 대해 필수적으로 공유해야 할 정보를 포함하는 이전 의료정보 문서를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에 의해 직접 전달받거나 또는 환자가 이전에 방문하였던 의료기관으로부터 FAX, 우편 등으로 전달 받아야 했다. 따라서 환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었고, 의료정보 문서 전달 중 누락, 분실 위험도 있었다.
나아가 의료기관은 환자가 이전에 수행하였던 동일한 검사(예를 들어, 임상병리검사, 방사선촬영 등)를 반복 수행하여, 환자에게 의료비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키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의료기관 내 구축되는 응용 프로그램들은 진료 데이터와 유기적인 연관성 없이 설계되어 의료기관 내 진료 데이터를 불필요하게 증가시켰고, 이를 유지, 보수, 관리하기 위한 인력 및 비용 증가되고 있다.
이에 더하여, 복수 의료기관에 구축된 시스템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타 의료기관의 시스템에서 생성된 의료정보 문서를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또 다른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만 하며, 이로 인해 비용 및 의료정보 문서의 혼재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방법 및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을 따르고 있는지 검증하여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의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및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기관에서 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자신의 니즈에 맞게 변환하여 전달받을 수 있는 변환방법 및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진료기록 변환방법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에 따라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API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정보 표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에 따른 표준데이터 항목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을 상기 표준데이터의 각 항목에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을 매칭하는 단계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매칭할 표준데이터 항목으로 끌어 놓는 동작을 통해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이 매칭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을 매칭하는 단계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선택한 후 매칭할 표준데이터 항목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P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PI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API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생성한 것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API를 수신하는 단계;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API를 통해 로딩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데이터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를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정보의 데이터 항목의 배치가 정의된 템플릿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의 상기 데이터 항목에 상기 데이터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은 미리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API를 이용하여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은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제1의료기관에서 선택했다는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정보에 따른 API를 이용하여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은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상기 제1의료기관에서 선택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를 서버로 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상기 수신된 API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변환규칙 설정부;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생성하는 API 생성부; 상기 API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 및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의료기관은 진료정보를 자신이 원하는 포맷 및 자신의 원하는 항목의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규칙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정보 표준이 추가되거나 수정되더라도,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만 추가하거나 수정하면, 추가되거나 수정된 의료정보 표준을 이용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의료기관에서 쉽고 편하게 생성 및 검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생성된 API를 이용하여 의료기관에서 타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자신이 원하는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의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의 데이터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 개시된 실시예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나아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 또는 축소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 및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은 크게 의료기관(10)과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의료기관(10)은 진료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와, 서버(20)와 통신하고 정보를 송수신하는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 상에서 의료기관(10)은 의료기관 내지 병원 자체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주로 의료기관 내지 병원이 보유하고 있는 진료정보와 관련된 각종 장비 및 시스템을 의미하는 관념적인 용어로 사용된다.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진료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하기 위하여 여러 환자의 진료정보를 항목에 맞게 분류하고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환자의 진료정보만이 아니라 환자의 기본적인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환자의 이름, 담당 의사, 신체 정보, 검사 정보, 처방 정보, 수술 및 치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데이터명과, 데이터명에 대응되는 데이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명은 환자의 이름일 수도 있고, 특정 질병명일 수도 있다.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서버(20)와 통신하면서, 서버(2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하거나, 서버(20)로부터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20)는 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것이다. 서버(20)의 진료정보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여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생성하여 의료기관(10)에 제공할 수 있다.
의료정보 표준은 서로 다른 시스템,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 서로 다른 병원 간에 진료정보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 표준을 말한다. 의료정보 표준은 HL7 CDA, HL7 FHIR을 포함할 수 있고, 이 외에도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정한 다양한 표준을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는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다. 또는 서버(20)는 클라우드 서버와 일반 서버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
서버(20)는 변환규칙 설정부(210)와, API 생성부(220)와, 변환부(230)와 검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규칙 설정부(21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변환규칙 설정부(21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변환규칙 설정부(210)는 먼저 다양한 의료정보 표준 중 특정 표준을 선택했다는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10)의 담당자는 의료기관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진료정보가 변화되기를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의료기관 단말장치를 통해 의료정보 표준을 선택하면 의료기관 단말장치는 선택 정보를 변환규칙 설정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변환규칙 설정부(210)는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에 따른 표준데이터 항목을 준비한다. 이는 여러 종류의 의료정보 표준 포맷 중 하나의 포맷을 정하여, 해당 포맷의 각 항목을 준비 내지 추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의료기관 종류 내지 상황에 따라 의료정보 표준 포맷이 포함하는 항목 중 일부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변환규칙 설정부(210)가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에 따른 표준데이터 항목을 준비하는 것은 표준데이터 항목을 시각화하여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변환규칙 설정부(210)는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이 포함하고 있는 표준데이터 항목 전체 내지 표준데이터 항목 중에서도 선택된 일부를 시각화하여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변환규칙 설정부(210)로부터 수신한 표준데이터 항목과 함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단말장치(12)는 화면의 일측에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표시하고, 타측에는 표준데이터 항목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의 화면을 좌우 또는 상하로 분할하여, 일측에는 복수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일렬로 배치하여 표시하고, 타측에는 복수의 표준데이터 항목을 일렬로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준비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할 수 있다. 즉,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여 변환과정에서 실제 데이터가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각 항목에 입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매칭은 의료기관(10)의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의료기관(10)의 담당자가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고, 매칭에 대한정보를 변환규칙 설정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서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는 것은 시각화하여 표시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는 것을 의미하고,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료기관(10)의 담당자는 Drag&Drop 방식 또는 클릭 방식으로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표준데이터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할 수 있다.
Drag&Drop 방식은 먼저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매칭할 표준데이터 항목으로 끌어 놓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Drag&Drop 방식을 통해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표준데이터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이 매칭될 수 있다.
클릭 방식은 먼저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선택하고, 바로 이어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클릭 방식을 통해 의료정보 표준 포맷의 표준데이터 항목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이 매칭될 수 있다.
변환규칙 설정부(210)에서 변환규칙 설정이 완료되면, API 생성부(220)는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API를 생성한다. API는 미리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경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또는 변환규칙 설정부(210)에 의해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변환을 수행하는 루틴을 가진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API 생성부(220)는 변환규칙에 따른 API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 API 생성부(220)는 API를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PI를 특정 의료기관에 의해 생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API는 미리 서버(2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즉, API는 의료기관은 미리 서버(20)에 저장된 API를 이용하기만 할 수도 있다. 이렇게 미리 서버(20)에 저장된 API는 의료기관이 아닌 기업체, 공공기관에서 생성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해당 의료기관(10)에 외에 다른 의료기관에 의해 생성되어서 서버(20)에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나아가 서버(20)에 저장된 API는 하나 이상일 수도 있으며, 특정 의료기관, 특정 기업체 또는 특정 공공기관에서 하나 이상의 API를 생성 및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서버(20)에 저장된 API는 특정 의료기관에서만 사용될 수도 있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의료기관에서 특정 API를 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변환부(230)는 API를 통해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230)는 API 생성부(220)와 연결되어 API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되고 저장된 API를 불러올 수 있다.
변환부(230)는 1차적으로 의료기관(10)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신된 데이터를 API 생성부(220)에 의해 불러들인 API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환부(230)는 서버(2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변환부(230)는 서버(20)가 아닌 의료기관(10)의 자체 시스템 또는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즉, API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것이 서버(2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의료기관 단말장치(120)가 먼저 서버(20)에서 API를 수신하고, 다음으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로딩하여 바로 API를 이용하여 로딩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검증부(240)는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 포맷에 대응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검증부(240)는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검증부(240)는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의 항목을 준비하고,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의 항목과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비교할 수 있다. 검증부(240)는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를 판단하여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를 판단한다.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은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 내지 조건일 수 있다. 또는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은 의료정보 표준의 기준, 규격 내지 조건일 수 있다.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은 CDA 스키마, FHIR 스키마, 각 CDA문서 및 FHIR 리소스 구현가이드라인 및 이를 검증하기 위한 스키마트론, Consolidated CDA 구현가이드라인 및 스키마트론, CDG(Continua Design Guideline) 등일 수 있다.
검증부(240)는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생성될 때마다 의료정보 표준 문서의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고,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모두 생성된 후에 전체 의료정보 표준 문서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나아가 표본으로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 중 일부를 추출하여 해당 의료정보 표준 문서에 대해서만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검증부(240)는 서버(20)에 포함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검증부(240)는 서버(20)가 아닌 의료기관 단말장치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검증부(240)는 서버(20)와 의료기관 단말장치에 모두 포함될 수도 있다.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의료기관의 담당자를 기준으로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데이터를 검색 내지 필터링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명을 수신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의 담담자는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검색하고자하는 데이터명을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 입력할 수 있다. 데이터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의 이름, 질병의 명칭, 의사의 이름 등일 수 있다.
의료기관 단말장치(120)에 데이터명이 입력되면,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서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가 호출된다.
다음으로 호출된 데이터 정보의 데이터 항목의 배치가 정의된 템플릿이 호출된다. 템플릿은 호출된 데이터 정보를 가장 적절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데이터 항목의 배치가 미리 정해져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데이터 정보와 템플릿이 호출되면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템플릿에 배치가 정의된 데이터 항목에 호출된 데이터 정보를 매칭하고, 데이터 정보가 포함된 템플릿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료기관의 담당자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데이터를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다. 즉,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는 담당자가 원하는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료기록 관리시스템에 따른 진료기록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고하면, 먼저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기 위한 변환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S11)
변환규칙은 복수의 의료정보 표준 중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포맷에 따른 표준데이터 항목을 준비하고, 해당 표준데이터 항목에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110)의 항목을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변환규칙 설정이 완료되면,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변환을 실행하는 API를 생성 및 저장할 수 있다.(S12)
API가 생성되면,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기관(10)에서 수신하여,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S13)
또는 의료기관(10)에서 API를 서버(20)에서 수신하여 수신된 API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도 있다.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는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거치는데, 해당 검증은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S14)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진료정보 변환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시스템과 그 구성이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은 변환규칙을 설정하거나, API를 생성하지 않는다.
변환규칙 및 API는 미리 설정되어 서버(20)에 저장되어 있다. 변환규칙 및 API는 해당 의료기관 또는 다른 의료기관에 의해 설정 및 저장된 것일 수도 있고,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생성 및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규칙을 설정하거나, API를 생성하지 않고, 먼저 API를 선택할 수 있다. (S21)
API를 선택하는 단계는 의료기관 단말장치(120)를 통해 API 선택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서버(20)가 API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API 선택정보는 서버(20)의 변환부(230)에서 수신할 수 있다. 변환부(230)는 API 선택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API를 API 생성부(220)에서 불러올 수 있다.
이후 해당 API를 통해 변환하는 단계(S22),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검증하는 단계(S23)는 앞의 실시예와 중복되는 부분에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은 제1의료기관(11), 제2의료기관(12) 및 서버(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의료기관(11) 및 제2의료기관(12)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앞서 설명한 의료기관(1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관리시스템은 의료기관이 2개인 것을 제외하고, 앞의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의료기관(11)에서 제2의료기관(12)의 진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앞의 첫 번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따라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변환규칙 및 API 생성은 제1의료기관(11)을 통해 이루어지되, 사용되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제2의료기관(12)의 데이터베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제1의료기관(11)의 의료기관 단말장치를 통해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의료정보 표준 포맷을 매칭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환규칙은 변환규칙 설정부(210)에서 이루어지며, 생성된 변환규칙은 변환규칙 설정부(210)에 저장될 수 있다.
생성된 변환규칙에 의해 API 생성부(220)는 API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API는 서버(20)에 저장될 수 있다.
변환부(230)는 API 생성부(220)에 저장된 API를 불러와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변환부(230)가 수신하는 진료기록 데이터는 제2의료기관(12)의 진료기록 데이터베이스일 수 있다. 즉, 서버(20)는 제2의료기관(12)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진료기록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할 수 있다.
이렇게 변환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는 검증부(240)를 통해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되며, 검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는 제1의료기관(11)에 제공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따라 제1의료기관(11)은 자신의 의료기관, 자신의 의료기관의 시스템에 맞는 의료정보 표준 항목 및 의료정보 표준 포맷을 선택하여 해당 포맷으로 제2의료기관(12)의 진료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의 실시예와 달리 API를 생성하지 않고, 제1의료기관(11)에서 미리 저장된 API를 선택하여, 해당 API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제1의료기관(11)이 과거에 변환규칙 및 API를 미리 설정하여 과거의 API를 선택하면 되는 경우일 수 있다. 또는 제1의료기관(11)이 직접 변환규칙 및 API를 생성한 것은 아니나, 비슷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른 의료기관 또는 다른 기업체 내지 공공기관에서 이미 변환규칙 및 API를 생성하였고, 이를 제1의료기관(11)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경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의료기관(11)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서버는 제1의료기관(11)으로부터 API 선택 정보를 수신한 후에 제2의료기관(12)에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요청한다. 동시에 서버(20)는 API 생성부(220)로부터 제1의료기관(11)이 선택한 API를 불러올 수 있다.
제1의료기관(11)에서 API를 직접 지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의료기관(11)은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만을 선택하고, 서버(20)에서 제1의료기관(11)이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과, 제2의료기관(12)의 데이터를 고려하여 적절한 API를 선택할 수도 있다.
서버(20)의 요청에 따라 제2의료기관(12)은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서버(20)는 제2의료기관(12)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API 생성부(220)로부터 수신한 API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한다. 의료정보 표준 문서 생성은 변환부(23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는 검증부(240)에서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될 수 있다.
검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제1의료기관(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정보 표준 문서 생성이 제2의료기관(12)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의료기관(12)의 의료기관 단말장치(미도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의료기관(11)은 미리 저장된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선택 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한다. 즉, 제1의료기관(11)은 제1의료기관(11)에서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데이터를 변환하는 API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는 제1의료기관(11)으로부터 API 선택 정보를 수신한 후에 해당 선택정보를 제2의료기관(12)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2의료기관(12)은 해당 선택정보에 따른 API를 서버(20)에서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의료기관(11)에서 API를 직접 지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1의료기관(11)은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만을 선택하고, 서버(20)에서 제1의료기관(11)이 원하는 의료정보 표준과, 제2의료기관(12)의 데이터를 고려하여 적절한 API를 선택하여 제2의료기관(12)에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2의료기관(12), 즉, 제2의료기관(12)의 진료정보 단말장치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2의료기관(12)은 수신된 데이터를 수신된 API를 이용하여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한다.
이렇게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는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될 수 있다.
제2의료기관(12)은 검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제1의료기관(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의료기관
11 : 제1의료기관
12 : 제2의료기관
20 : 서버
210 : 변환규칙 설정부
220 : API 생성부
230 : 변환부
240 : 검증부

Claims (13)

  1.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에 따라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API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단계는,
    복수의 의료정보 표준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에 따른 표준데이터 항목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각 항목을 상기 표준데이터의 각 항목에 매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을 매칭하는 단계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선택하고,
    선택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 항목을 매칭할 표준데이터 항목으로 끌어 놓는 동작을 통해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이 매칭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과 표준데이터 항목을 매칭하는 단계는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항목을 선택한 후 매칭할 표준데이터 항목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I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API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진료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API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생성한 것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클라우드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API를 수신하는 단계;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로딩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API를 통해 로딩된 데이터를 상기 선택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를 검증하는 단계는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표준 구현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를 검색하는 단계는,
    데이터명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명에 대응하는 데이터 정보를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호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정보의 데이터 항목의 배치가 정의된 템플릿을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템플릿의 상기 데이터 항목에 상기 데이터 정보를 매칭하여 상기 템플릿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10. 미리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API를 이용하여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11.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API 중 하나를 제1의료기관에서 선택했다는 선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정보에 따른 API를 이용하여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12. 제1의료기관에서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진료정보 변환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상기 제1의료기관에서 선택한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를 서버로 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의료기관에서 상기 수신된 API를 이용하여 상기 제2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정보 변환방법.
  13. 의료기관의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변환규칙을 설정하는 변환규칙 설정부;
    설정된 변환규칙에 따라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포맷으로 변환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생성하는 API 생성부;
    상기 API를 이용하여 상기 진료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의료정보 표준 문서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생성된 의료정보 표준 문서가 의료정보 표준에 대응되는지 검증하는 검증부를 포함하는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KR1020180088561A 2018-07-30 2018-07-30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KR102246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61A KR102246603B1 (ko) 2018-07-30 2018-07-30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61A KR102246603B1 (ko) 2018-07-30 2018-07-30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400A true KR20200013400A (ko) 2020-02-07
KR102246603B1 KR102246603B1 (ko) 2021-04-30

Family

ID=6957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61A KR102246603B1 (ko) 2018-07-30 2018-07-30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6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70A (ko) * 2020-03-12 2021-09-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6161B1 (ko) * 2021-06-11 2023-04-27 주식회사 에필 반려동물 의료데이터 표준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반려동물 질병 발생 예측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35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셀빅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5868B1 (ko) * 2004-11-30 2006-10-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
JP2006302118A (ja) * 2005-04-22 2006-11-02 King Jim Co Ltd 文書情報印刷システム、文書情報印刷方法、及び、文書情報印刷プログラム
US20090112882A1 (en) * 2007-10-30 2009-04-30 Guy Maresh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US20110184760A1 (en) * 2010-01-12 2011-07-28 Michael Sh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ed information extract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large scale networks
KR101587025B1 (ko) 2014-10-08 2016-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저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0735A (ko) * 2003-06-24 2005-01-06 주식회사 셀빅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35868B1 (ko) * 2004-11-30 2006-10-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
JP2006302118A (ja) * 2005-04-22 2006-11-02 King Jim Co Ltd 文書情報印刷システム、文書情報印刷方法、及び、文書情報印刷プログラム
US20090112882A1 (en) * 2007-10-30 2009-04-30 Guy Maresh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managing medical images and records
US20110184760A1 (en) * 2010-01-12 2011-07-28 Michael Shen Apparatus and method of automated information extraction and implementation through large scale networks
KR101587025B1 (ko) 2014-10-08 2016-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저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및 기록매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5170A (ko) * 2020-03-12 2021-09-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603B1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6265B2 (en) Method for automating collection, association, and coordination of multiple medical data sources
US11195610B2 (en) Priority alerts based on medical information
US20060080142A1 (en) System for managing patient clinical data
US10977796B2 (en) Platform for evaluating medical information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20220084645A1 (en) Intelligent, individualized medical and image management system
US20100131890A1 (en) Zero pixel travel systems and methods of use
US10424403B2 (en) Adaptive medical documentation system
US20110179094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viding documentation and/or annotation capabilities for volumetric data
JP6683934B2 (ja) 遠隔読影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39900A (ja) 診断依頼支援装置、医師検索装置、診断依頼方法および画像診断管理方法
KR102246603B1 (ko)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JP4645264B2 (ja) 医用画像読影管理システム
US11742063B2 (en) Aggregation and viewing of health records received from multiple sources
US2017013232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Health level 7 Data from One or More Sending Applications to a Dictation System
US20140278579A1 (en) Medical Form Generation, Customization and Management
JP4474846B2 (ja) 医療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医療情報管理方法
US20190244691A1 (en) Medical record/management system with augmented patient images for rapid retrieval
KR20170061251A (ko) 병원정보 기반의 환자 맞춤형 의료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30098B1 (ko) 의료 영상과 관련된 장치들 간에 송수신되는 의료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1002847A1 (en) Method for automating collection, association, and coordination of multiple medical data sources
RU2723075C2 (ru) Определение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сти радиологических изображений для оптимальной пропускной способности считываний
US20170132321A1 (en) System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Clinical Data from One or More Sending Applications to a Dictation System
JP7216660B2 (ja) 下流のニーズを総合することにより読み取り環境を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JP5783544B1 (ja) 医療会計システム及び医療会計方法
US20180366219A1 (en) Hospital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