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0735A -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0735A
KR20050000735A KR1020030041235A KR20030041235A KR20050000735A KR 20050000735 A KR20050000735 A KR 20050000735A KR 1020030041235 A KR1020030041235 A KR 1020030041235A KR 20030041235 A KR20030041235 A KR 20030041235A KR 20050000735 A KR20050000735 A KR 2005000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message
data
database
xm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1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7865B1 (ko
Inventor
최진욱
전종훈
서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빅
최진욱
전종훈
서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빅, 최진욱, 전종훈, 서현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빅
Priority to KR1020030041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865B1/ko
Publication of KR2005000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0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th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 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한 의료 기관에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환자의 임상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각 의료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이기종의 임상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표준 HL7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HL7 기반이 아닌 병원정보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적은 부하로 HL7 표준 인터페이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를 XML로 인코딩한 후 소켓을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HL7 메시지 서버로 전송해주는 XML Wrapper와 Event Sender를 데이터베이스 내부의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HL7 메시지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전송받은 트리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HL7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해서 HL7의 각 데이터 필드에 대한 매핑 함수들로 구성되어 있는 HL7 매핑 클래스를 참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 모듈 설치로 표준 HL7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여러 의료 기관에서도 환자의 임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대상 HL7 메시지의 확장 및 메시지의 컨텐츠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Description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Database based system for forming and transmitting Health Level 7 messages in real-tim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환자 또는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한 의료 기관에 분산되어 존재하고 있는 환자의 임상 정보를 쉽게 공유할 수 있도록, 각 의료기관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는 이기종의 임상정보시스템의 데이터를 표준 HL7(Health Level 7) 메시지로 생성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HL7은 서로 다른 보건의료분야 애플리케이션 간에 정보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으로, 텍스트 기반의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이다. HL7은 두 시스템 간의 정보의 교환을 촉발시키는 모든 이벤트를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로 정의하고 있으며, HL7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HL7에서 정의된 해당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러한 HL7은 1987년에 처음 개발되었으며, 현재 북아메리카에서는 의료정보의 전자적 교환을 위한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이다. HL7 Version 2.3.1은 1999년 4월 ANSI(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표준으로 인정되었으며, 현재 객체지향 개발 방법론과 RIM(Reference Information Model)을 사용한 Version 3이 초안으로 발표된 상태이다.
따라서, 처음부터 HL7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된 병원정보시스템들의 경우 정보시스템 간의 통신이 표준을 준수하고 있으므로 시스템의 확장이 용이하다. 그러나, 이러한 표준화를 고려하지 않고 각 의료기관마다 개별적으로 개발된 병원정보시스템들의 경우 계열병원 간 정보교환 또는 시스템 확장 및 통합 등이 용이하지 않다. 또한, 대한민국의 병원정보시스템들은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2-tier)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미들웨어가 추가된 모델(3-tier)로 구축되어 있는데, 데이터베이스의 구조 또한 각 의료기관마다 달라 타 의료기관과의 정보교환은 더욱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의료 환경에서도 디지털 의료정보에 대한 관심과 함께 환자 진료 수준의 질을 높이고 의료기관의 업무의 효율화를 꾀하기 위해서 의료기관 간의 정보교환에 대한 필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민국에서도 대형 병원을 기점으로 HL7 표준이 서서히 도입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HL7 기반의 시스템 정보 교환을 적은 비용으로 단기간에 구축하기 위해서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시스템을 그대로 유지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HL7 트리거 이벤트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지속적으로 폴링함으로써, HL7 이벤트를 감지하고 HL7 메시지를 생성하여 타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도 1은 현재 대한민국 대학병원들 중 하나에 구축되어 있는 HL7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서는 실제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 HIS)(10)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 PACS)(20) 사이에 정보교환을 위해서 두 시스템 사이에 HL7 브로커(16, 26)가 동작을 하면서 HL7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송수신한다. 정보교환을 위해서 두 시스템(10, 20)은 데이터베이스(12, 22)의 데이터 테이블(13, 23)로부터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고, 식별된 HL7 트리거 이벤트정보를 데이터베이스 트리거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2, 22)의 큐 테이블(Queue Table)(14, 24)로 통합하는 방식으로 HL7 메시지에 포함되어 전송되는 모든 데이터를 관리한다. 그리고, HL7 브로커(16, 26)가 큐 테이블(14, 24)을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폴링(polling)함으로써 새로운 HL7 트리거 이벤트가 발생했는지 감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폴링 방식에 의하면, 두 시스템(10, 20) 간의 정보교환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큐 테이블(14, 24)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어야 하고, 데이터베이스(12, 22)에 대한 연속적인 질의 처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스템(10, 20)에 무용한 부하를 주게 된다. 실시간으로 시스템 간의 정보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12, 22)의 큐 테이블(14, 24)에 대한 폴링 시간 간격은 더욱 짧아져야 하므로 그에 따른 오버헤드가 한층 더 증가하게 된다.
또한,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종래기술에 의한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베이스의 특정 레코드 세트를 중심으로 HL7 메시지별 모듈들로 구현된다. 따라서, 향후 다른 HL7 메시지 타입을 추가로 구현할 경우 그에 따른 모듈을 새로이 작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으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식별된 HL7 트리거 이벤트 정보로부터 실시간으로 HL7 메시지를 생성하고,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병원정보시스템과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 사이에 정보교환을 위해서 구축되어 있는 HL7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이 구현되는 환경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에서 HL7의 검사결과보고 메시지와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도시화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요소인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a는 검사결과보고 이벤트 발생시 전송되는 XML 문서의 DTD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이벤트 발생시 전송되는 XML 문서의 DTD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요소인 HL7 메시지 서버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의 뷰 레이어에 정의된 뷰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각각 HL7 메시지 서버에서 생성한 HL7 메시지의 예들을 도시한다.
도 10은 HL7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송수신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101 : 병원정보시스템
102 : 임상병리정보시스템 103 : 임상병리 검사장비
110 :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 112 : 데이터베이스 트리거
114 : XML 변환 모듈 116 : 이벤트 전송 모듈
117 : 소켓 118 : 이벤트 로그 테이블
119 : 뷰 레이어 120 : HL7 메시지 서버
121 : 이벤트 관리자 122 : 이벤트 큐
123 : HL7 변형기 124 : 데이터 로더
125 : 메시지 전송부 126 : HL7 메시지 데이터베이스
127 : HL7 매핑 클래스 128 : 메타 매핑 테이블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베이스 트리거, 데이터베이스 트리거에 의해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 종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하는 XML 변환 모듈 및 XML로 인코딩된 이벤트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이벤트 전송 모듈을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이벤트 전송부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고 HL7 변형기를 작동시키는 이벤트 관리자,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각 XML 요소 명칭과 대응하는 매핑 함수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변형기,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한 HL7 메시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XML 변환부는 소정의 이벤트 타입에 대해서는 전체 이벤트 데이터의 질의에 필요한 중요 데이터만을 XML로 인코딩하고, 상기 HL7 메시지 서버는 상기 중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는 데이터 로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HL7 변형기는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이벤트 타입이 상기 소정의 이벤트 타입인 경우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도록 상기 데이터 로더를 작동시키고, 메타 매핑 테이블과 매핑 함수 세트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중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하는 뷰 레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로더는 상기 뷰 레이어를 통해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고, 상기 메타 매핑 테이블은 상기 질의를 통해 조회된 레코드 세트의 각 "뷰 필드명"과 대응하는 "HL7 데이터 필드 매핑 함수명"의 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자는 소정의 시간 내에 동일한 이벤트 타입의 이벤트 데이터를 연이어 전송받는 경우 나중의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상기 HL7 변형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방법의 일 측면은 (a)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b)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 종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하는 단계; (c) XML로 인코딩된 이벤트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실시간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고,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를 차례로 꺼내 이벤트 데이터의 각 XML 요소 명칭과 대응하는 매핑 함수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방법의 타 측면은 (a)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b)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에 대하여 전체 이벤트 데이터의 질의에 필요한 중요 데이터만을 XML로 인코딩하는 단계; (c) XML로 인코딩된 중요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실시간 전송된 중요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면서, 소정의 시간 내에 동일한 이벤트 타입의 중요 데이터를 연이어 전송받은 경우 나중의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더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e) 이벤트 큐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는 단계; (f) 조회된 레코드 세트에 대하여 메타 매핑 테이블과 매핑 함수 세트를 적용하여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기본적으로 HL7 Version 2.3.1을 기반으로 한 메시지 생성 기술을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HL7의 특정 버전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정의된 HL7 메시지들 중에서 검사결과보고 메시지와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를 예시적으로 제공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그 타입의 메시지들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타입의 HL7 메시지들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100)이 구현되는 환경을 도시한 것으로, 실시간으로 환자 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버(200)를 구축함으로써 여러 의료기관 및 병원에 분산되어 존재하는 환자의 임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전체 시스템을 개략화하여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100)은 다양한 의료기관의 이기종 병원정보시스템(HIS)과 연동되어 환자의 임상병리 검사결과와 그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고 있는 의사 마스터 정보를 HL7 메시지 형식으로 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버(200)로 전송해 준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환자 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의료기관 및 병원의 임상병리정보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System)(102)은 병원정보시스템(HIS)(101)을 구성하는 일부 시스템이고, 일반 혈액 분석기 등의 임상병리 검사장비(LIS Equipment)(103)에서 발생한 환자 검체 샘플의 검사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기 위해서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LIS Database)(11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임상병리 검사장비(103)로부터 새로운 검사결과가 발생하고 데이터베이스(110)의 해당 테이블(105)에 저장될 때, 데이터베이스(110)는 HL7의 검사결과 보고 이벤트의 발생을 식별하고 발생한 이벤트에 대한 관련 정보를 HL7 메시지 서버(120)로 알려줌으로써 검사결과 보고 메시지가 생성된다. 환자 임상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버(200)의 HL7 메시지 아카이버(HL7 Message Archiver : HMA)(210)는 여러 의료기관에서 전송되어 오는 대량의 HL7 메시지를 처리하여 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Central Clinical Database : CCDB)(220)에 체계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환자 임상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 및 웹 서버(200)는 데스크톱 컴퓨터(310)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320)를 사용해서 환자 임상정보 통합데이터베이스(220)를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웹 인터페이스 엔진(Web Interface Engine)(230)을 제공한다.
도 4는 실제 운영되고 있는 임상병리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110)에서 HL7의 검사결과보고 메시지와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는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도시화한 것이다. 검사결과보고 메시지는 환자의 기본 인적사항 정보, 외래 및 입원 정보 및 임상병리 검사 결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는 의사의 기본 인적사항 및 연락처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에서 최근검사결과 테이블(A)과 의사마스터 테이블(B)을 기준으로 각각 HL7의 검사결과보고 이벤트(R01 이벤트)와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이벤트(M02 이벤트)를 식별하고 HL7 메시지 서버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는 내부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의하면,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는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베이스 트리거(112), 데이터베이스 트리거(112)에 의해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 종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하는 XML 변환 모듈(XML Wrapper)(114) 및 XML로 인코딩된 이벤트 데이터를 소켓(117)을 통해 실시간으로 HL7 메시지 서버(120)로 전송하는 이벤트 전송 모듈(EventSender)(116)를 구비한다.
HL7 이벤트는 특정 테이블에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통해서 식별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베이스 트리거(112)를 사용하여 특정 이벤트 발생 후의 처리 절차를 기술한다. 또한, XML 변환 모듈과 이벤트 전송 모듈은 자바 가상 기계(Java Virtual Machine) 상의 자바 내장 프로시저(XML Wrapper(114) 및 Event Sender(116))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바 내장 프로시저는 일반적인 사용 목적으로 데이터베이스 내부에 저장되어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에서 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바 함수이다.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자바를 지원하고 있으며, 다양한 벤더(vendor)에 의해 출시된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에 이식성을 제공해 준다.
최근검사결과 테이블(A)의 AFTER INSERT trigger(112a)는 새로 발생한 검사결과를 보고하기 위한 것이며, XML Wrapper(114)와 Event Sender(116)의 두 자바 내장 프로시저를 사용하여 새로운 검사결과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 정보만 XML로 인코딩하여 소켓(117)을 사용하여 HL7 메시지 서버(120)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검사결과보고 XML Wrapper(114) 프로시저는 환자 번호, 검사분류 코드, 검사항목 코드, 검체 코드 등의 데이터를 인수(parameter)로 받아 이벤트 타입과 이벤트 발생 일시를 포함한 도 6a의 형식의 XML 문서를 생성한다. 검사결과보고 메시지는 환자 기본 인적사항 정보, 외래 및 입원 정보, 검체 관련 정보 등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만, 데이터베이스(110)와 외부의 HL7 메시지 서버(120) 사이의 많은 데이터 통신으로 야기되는 오버헤드를 없애기 위해서 이러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는키가 되는 중요 정보만 XML로 인코딩해서 보내는 방식을 취한다.
데이터베이스(110)와 HL7 메시지 서버(120) 사이의 통신은 소켓(117)을 기반으로 하며, 데이터베이스(110)의 Event Sender(116)가 HL7 메시지 서버(120)와의 통신에 필요한 소켓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통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Event Sender(116)는 부가적으로 HL7 메시지 서버(120)와의 연결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를 대비하여, 이벤트 로그 테이블(Event Log Table)(118)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장애시에 발생한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저장 관리한다. 그리고 이후 연결이 재수립되었을 때 "<doc event="Z01" date="200301010101">"과 같은 내용을 갖는 XML 문서를 생성하여 HL7 메시지 서버(120)로 한 번 전송한다. Z01 이벤트는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HL7의 사용자 정의 이벤트로써 과거에 전송하지 못한 이벤트가 이벤트 로그 테이블(118)에 하나 이상 있음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단 한번의 Z01 이벤트의 전송으로 HL7 메시지 서버가 과거에 발생한 이벤트를 향후 성공적으로 처리할 것을 보장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XML Wrapper(114)와 Event Sender(116)는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이벤트(M02 이벤트)의 발생시에도 같은 방법으로 적용된다. 단지 AFTER INSERT OR UPDATE OR DELETE trigger(112b)는 의사마스터 테이블(B)에 삽입, 삭제, 업데이트가 발생했을 경우에 그 정보를 XML로 인코딩하는 XML Wrapper(114)를 호출하여 특정 XML 문서를 생성하는 것만 다르다. 도 6b가 의사마스터 테이블(B)에 새로운 레코드가 삽입되었을 경우에 생성되는 XML 문서의 구조를 DTD로 보여주고 있다.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이벤트(M02 이벤트)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는 검사결과보고 이벤트(R01 이벤트)와 비교해서 데이터의 양이 비교적 적으므로 중요 키 정보뿐만 아니라 메시지에 포함되는 모든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해서 전송하더라도 LIS 데이터베이스(110)에 오버헤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두가지 전송 방법 즉, 발생한 이벤트와 관련해서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 중에서 중요 식별 정보만 전송하는 경우와 모든 관련 데이터를 전송해 주는 방법은 HL7 메시지에 포함되는 컨텐츠 특성 및 양에 따라 달라진다. 이러한 전송 방식의 구분은 실시간 데이터 통신에 있어서 중요한 데이터베이스 통신 오버헤드를 줄이며 데이터베이스에 부하를 주지 않기 위함이다.
도 7의 HL7 메시지 서버(120)는 도 5의 Event Sender(116)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HL7 트리거 이벤트 정보를 이용하여 HL7에서 정의된 해당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이러한 HL7 메시지 서버(120)의 각 구성요소를 도 7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L7 메시지 서버(120)의 이벤트 관리자(Event Manager)(121)는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발생하는 검사결과보고 이벤트(R01 이벤트) 및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이벤트(M02 이벤트)를 수신하게 되며, 이벤트 타입을 식별한 후 해당 이벤트 큐(Event Queue)(122)에 삽입하고 응답 메시지를 Event Sender(116)로 보낸다. 또한, 이벤트 관리자(121)는 타이머(timer)(도시되지 않음)를 이용하여 HL7 변형기(HL7 Transformer)(123)를 작동시킨다. 즉, 이벤트 관리자(121)는 대기 시간(예를 들어, 2초) 내에 동일한 이벤트 타입의 이벤트 데이터를 연이어 전송받는 경우 나중의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대기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HL7 변형기(123)를 작동시킨다. 이때, 대기 시간은 모든 이벤트 타입에 대하여 동일하게 적용할 수도 있고, 이벤트 타입별로 다르게 결정하여 HL7 메시지의 생성 시점을 HL7 메시지의 중요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Event Sender(116)와 이벤트 관리자(121)는 이와 같은 데이터 전송과 응답 메카니즘을 통해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게 된다.
이벤트 큐(122)는 HL7 이벤트 타입별로 정의가 되어 있으며,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전송받은 HL7 트리거 이벤트 정보를 선입선출(First-In-First-Out) 매카니즘으로 저장 및 처리한다.
HL7 변형기(123)는 이벤트 큐(122)에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HL7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며, 본 발명은 효율적인 메시지 생성을 위해서 HL7 메시지의 각 필드(field) 및 콤포넌트(component)에 매핑될 데이터에 대한 매핑 함수들을 정의한 후 이를 호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HL7 매핑 클래스는 HL7 메시지를 구성하는 각각의 데이터에 대한 HL7 매핑 함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매핑 함수의 이름을 메타 매핑 테이블에서 참조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한 HL7 메시지 생성의 두 가지 방법을 상세히 살펴보면서 매핑 함수의 적용 방법을 설명한다.
첫째로, 검사결과보고 메시지의 경우, HL7 메시지 서버(120)는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그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는 중요 정보만을 전송받는다. 이러한 경우에 데이터베이스(110)에 다시 질의를 하여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와야 하는데, 이때 HL7 메시지 서버(120)와 데이터베이스(110)와의독립적인 연동을 위해서 데이터베이스(110)에 뷰 레이어(View Layer)(119)를 설계하였다.
뷰 레이어(119)는 HL7의 검사결과 보고 메시지와 관련된 데이터를 각 세그먼트에서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뷰로 정의하여 생성한 것으로써, 환자의 기본 인적사항 및 방문정보, 검사 분류 헤더 정보, 각 검사 항목의 검사결과 정보를 각각 PID_PV1, OBR, OBX 뷰로 정의하고 있다. 도 8은 LIS 데이터베이스(110)의 뷰 레이어(119)에 정의된 뷰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HL7 변형기(123)는 뷰 레이어(119)를 통한 재 질의에 의해 얻어진 레코드 세트를 기반으로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데, 메시지 생성 과정은 메타 매핑 테이블(128)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메타 매핑 테이블(128)은 데이터베이스(110)의 뷰 질의로부터 생긴 레코드 세트의 각 "뷰 필드명"과 이 데이터에 대한 HL7 매핑 함수명을 연결시키는 "HL7 데이터 필드 매핑 함수명"의 두 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HL7 변형기(123)는 메타 매핑 테이블(128)을 참조하면서 뷰 질의 결과에 대한 각 레코드 세트의 데이터 하나에 대하여 대응하는 HL7 매핑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HL7 메시지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둘째로,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의 경우, HL7 메시지 서버(120)는 임상병리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전송받는다. 이와 같이 메시지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110)에 대한 재 질의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본 발명에서는 메시지의 각 필드 및 콤포넌트에 대한 매핑 함수명을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전송받은 XML문서의 각 요소(element) 이름과 일치시킴으로써 단순한 XML 문서 탐색 방법을 통해 자동으로 HL7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HL7 메시지 서버(120)에 의해 생성된 최종 HL7 메시지는 메시지 전송부(125)를 통해서 환자임상정보 통합 데이터베이스(220)의 인터페이스인 HL7 메시지 아카이버(210)로 네크워크를 통해 전송된다. 일시적인 네크워크 장애로 전송하지 못한 HL7 메시지는 HL7 메시지 데이터베이스(126)라는 내부의 작은 데이터베이스에 임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연결이 재수립된 후에 다시 전송이 시도된다.
도 9a 내지 도 9d는 HL7 메시지 서버(120)에서 상기의 방식을 사용하여 생성한 HL7 메시지의 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 9a는 상기에서 설명한 메시지 생성 방법 중 데이터베이스 뷰에 대한 재 질의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생성한 HL7의 검사결과보고이벤트 메시지의 한 예이다. 도 9b 내지 도 9d는 각각 HL7 메시지 서버(120)가 데이터베이스(110)의 의사 마스터 테이블(B)의 특정 트랜잭션에 따른 정보를 XML로 수신받고, 그 정보만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생성한 HL7의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들로서, 도 9b는 삽입 트랜잭션에 따른 메시지이고, 도 9c는 업데이트 트랜잭션에 따른 메시지이고, 도 9d는 삭제 트랜잭션에 따른 메시지이다.
도 10에서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실시간으로 HL7 트리거 이벤트를 전송받은 후 이벤트 타입에 따라 상기에서 설명한 두 가지 메시지 생성 방법을 사용하여 HL7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송수신하는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도구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HL7의 검사결과보고 메시지와 의사마스터파일변경보고 메시지에 대해서 전송 대기 중인메시지는 Messages Sending(C) 부분에서 보여지며, HL7 아카이버(210)로 성공적으로 전송된 메시지는 Messages Sent(D)에서 메시지 타입별로 전송 순서대로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두 메시지에 대한 전송응답 메시지는 ACK Messages 탭(E)에서 순서대로 보여지며, 메시지 생성 후 검증 에러가 발생한 경우 Validation Error Messages 탭(F)에서 에러가 발생한 메시지와 에러 내용을 보여줌으로써 향후 오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시지를 보내고자 하는 원거리 시스템과의 통신 연결설정은 Setting 메뉴에서 제공해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의 데이터베이스 모듈 설치로 표준 HL7 인터페이스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여러 의료 기관에서도 환자의 임상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다. 또한, 구현 대상 HL7 메시지의 확장 및 메시지의 컨텐츠 변경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8)

  1.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데이터베이스 트리거, 데이터베이스 트리거에 의해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 종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하는 XML 변환 모듈 및 XML로 인코딩된 이벤트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이벤트 전송 모듈을 구비한 데이터베이스; 및
    이벤트 전송부로부터 실시간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고 HL7 변형기를 작동시키는 이벤트 관리자,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각 XML 요소 명칭과 대응하는 매핑 함수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HL7 변형기,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구비한 HL7 메시지 서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ML 변환부는 소정의 이벤트 타입에 대해서는 전체 이벤트 데이터의 질의에 필요한 중요 데이터만을 XML로 인코딩하고,
    상기 HL7 메시지 서버는 상기 중요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는 데이터 로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HL7 변형기는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의 이벤트 타입이 상기 소정의 이벤트 타입인 경우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도록 상기 데이터 로더를작동시키고, 메타 매핑 테이블과 매핑 함수 세트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중요 데이터에 대응하는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하는 뷰 레이어가 설치되고,
    상기 데이터 로더는 상기 뷰 레이어를 통해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고,
    상기 메타 매핑 테이블은 상기 질의를 통해 조회된 레코드 세트의 각 "뷰 필드명"과 대응하는 "HL7 데이터 필드 매핑 함수명"의 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관리자는
    소정의 시간 내에 동일한 이벤트 타입의 이벤트 데이터를 연이어 전송받는 경우 나중의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더 경과한 후에 상기 HL7 변형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이벤트 타입별로 다르게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시스템.
  6. (a)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b)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 종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를 XML로 인코딩하는 단계;
    (c) XML로 인코딩된 이벤트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실시간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고, 이벤트 큐에 저장된 이벤트 데이터를 차례로 꺼내 이벤트 데이터의 각 XML 요소 명칭과 대응하는 매핑 함수에 의해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e)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방법.
  7. (a) 데이터베이스에 발생되는 트랜잭션을 통해 HL7 트리거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b) 식별된 이벤트 타입과 트랜잭션별로 대응하는 이벤트 데이터에 대하여 전체 이벤트 데이터의 질의에 필요한 중요 데이터만을 XML로 인코딩하는 단계;
    (c) XML로 인코딩된 중요 데이터를 소켓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
    (d) 실시간 전송된 중요 데이터를 이벤트 큐에 저장하면서, 소정의 시간 내에 동일한 이벤트 타입의 중요 데이터를 연이어 전송받은 경우 나중의 이벤트 데이터 수신 시간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더 경과할 때까지 대기하는 단계;
    (e) 이벤트 큐에 저장된 중요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는 단계;
    (f) 조회된 레코드 세트에 대하여 메타 매핑 테이블과 매핑 함수 세트를 적용하여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g) 생성된 HL7 메시지를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중요 데이터에 대응하여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정의하는 뷰 레이어를 통해 전체 이벤트 데이터를 질의하는 단계이고,
    상기 (f) 단계의 상기 메타 매핑 테이블은 상기 질의를 통해 조회된 레코드 세트의 각 "뷰 필드명"과 대응하는 "HL7 데이터 필드 매핑 함수명"의 필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 방법.
KR1020030041235A 2003-06-24 2003-06-24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67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35A KR100567865B1 (ko) 2003-06-24 2003-06-24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1235A KR100567865B1 (ko) 2003-06-24 2003-06-24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0735A true KR20050000735A (ko) 2005-01-06
KR100567865B1 KR100567865B1 (ko) 2006-04-04

Family

ID=37216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235A KR100567865B1 (ko) 2003-06-24 2003-06-24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865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282B1 (ko) * 2004-11-04 2006-07-31 최진욱 Hl7 cda를 기반으로 한 cda 문서 작성장치 및작성방법과, cda 문서 작성방법을 실행하기 위한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39570B1 (ko) * 2006-03-07 2007-07-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214B1 (ko) * 2006-03-07 200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32711B1 (ko) * 2007-11-05 2009-1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249B1 (ko) * 2007-11-16 2010-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101440926B1 (ko) * 2012-04-26 2014-09-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Edc시스템 주도로, 전자건강기록으로부터 임상시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KR20200013400A (ko) * 2018-07-30 2020-02-07 (주)플라잉마운틴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282B1 (ko) * 2004-11-04 2006-07-31 최진욱 Hl7 cda를 기반으로 한 cda 문서 작성장치 및작성방법과, cda 문서 작성방법을 실행하기 위한소프트웨어를 기록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739570B1 (ko) * 2006-03-07 2007-07-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92214B1 (ko) * 2006-03-07 2008-01-0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Hl7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32711B1 (ko) * 2007-11-05 2009-12-2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49249B1 (ko) * 2007-11-16 2010-03-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양방향 의료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9686748B2 (en) 2011-12-29 2017-06-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of terminal
KR101440926B1 (ko) * 2012-04-26 2014-09-1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Edc시스템 주도로, 전자건강기록으로부터 임상시험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3400A (ko) * 2018-07-30 2020-02-07 (주)플라잉마운틴 진료정보 변환방법과 이를 위한 진료정보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7865B1 (ko) 200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42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atient Record Synchronization In a Healthcare Setting
KR101666831B1 (ko)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상태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US8583694B2 (en) Health-care related database middleware
Laleci et al. SAPHIRE: a multi-agent system for remote healthcare monitoring through computerized clinical guidelines
CA2646996C (en) Health-care related database middleware
RU2409858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подключениями на основе обмена сообщениями
EP1719065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udit records
AU2016365729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integration
US20090157837A1 (en) Ndma socket transport protocol
KR100567865B1 (ko)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실시간 hl7 메시지 생성/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48720A (ko) 코앱기반의 파이어 리소스를 사용하는 개인의료장치 정보모델 구조
US20160063077A1 (en) Data brokering system for fulfilling data requests to multiple data providers
CN115834650A (zh) 一种dicom对象存储远程查询调阅系统及使用方法
Broyles et al. The evolving health information infrastructure
Yoo et al. Realization of real-time clinical data integration using advanced database technology
KR101524181B1 (ko) 지연 응답 모델 기반의 진료정보 교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A2861754A1 (en) Data brokering system for fulfilling data requests to multiple data providers
CN113778560B (zh) 医院就诊流程定制开发及执行的方法与系统、设备与介质
Yooa et al. HL7 based Real-Time Clinical Data Integration System Using Advanced Database Technology
US201603504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medical information of object
Yiu et al. Network management for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RU2586854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ставления данных, относящихся к пациентам медицинского учреждения
CN117609369A (zh) 医院信息系统的数据同步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Maher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Design of a Remote Maintenance System for Clinical Analysers
US200702998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strumentation using a native-asset-interface reposit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