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176A -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176A
KR20200013176A KR1020180084917A KR20180084917A KR20200013176A KR 20200013176 A KR20200013176 A KR 20200013176A KR 1020180084917 A KR1020180084917 A KR 1020180084917A KR 20180084917 A KR20180084917 A KR 20180084917A KR 20200013176 A KR20200013176 A KR 20200013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illar
driver
displ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채원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3176A/ko
Publication of KR20200013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1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60K2370/2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2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 B60R2300/202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display used displaying a blind spot scene on the vehicle part responsible for the blind sp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A-필러에 의해 발생하는 사각지대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A-필러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를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조절하고,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 중 A-필러에 의해 가려진 부분의 영상을 선택하여 A-필러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사용자의 시선에 맞게 표시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해 사용자는 운전 중 A-필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시야 가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VIEWING BLIND SPOT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 중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보완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그 크기와 운전석의 구조로 인해 운전자가 직접 눈으로 상황을 확인할 수 없는 많은 사각지대가 발생한다. 자동차는 그 무게와 속도가 상당하기 때문에 사각지대를 확인하지 않고 운행하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그래서 자동차 제조사들은 사각지대를 없애기 위해 계속 노력해 왔다. 운전자의 전방, 측면에 거울을 설치하여 후방을 관찰한다거나, 차량의 전, 후방 또는 윗부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사각지대의 상황을 확인하거나, 초음파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곳의 장애물 유무를 확인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노력에 의해 사각지대를 많이 줄일 수 있었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혹은 비용의 문제로 여전히 사각지대를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 상황이다. 자동차의 A-필러(A-Pillar)가 그 중 하나인데, 직진할 때는 운전자가 거의 앞만 주시하기 때문에 A-필러가 시야를 방해하지는 않지만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할 때는 진행방향을 A-필러가 가리게 되므로 보행자나 장애물이 보이지 않아 사고의 위험이 있다.
종래기술 중 하나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0619호의 발명은 A 필러에 의한 사각지대를 두 개의 거울을 이용하여 없애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자세에 따라 달라지는 시선의 위치와 방향 때문에 운전자에 따라 거울의 위치나 방향을 조절해줘야 하고, 따라서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없는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이 극복하지 못한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노력해왔고, A-필러에 의해 발생하는 사각지대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시야 확보 장치를 완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인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A-필러에 의해 발생하는 사각지대의 시야를 효과적으로 확보하는데 있다.
종래의 사각지대 보완 기술이 사용자별로 효과적으로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위치와 시선을 센서기술을 활용하여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사각지대의 시야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와, 자동차의 A-필러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한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A-필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을 선택하여 A-필러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을 표시하고, 자동차의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는 둘 이상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운전자가 보는 방향에는 상기 둘 이상의 카메라 중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보는 방향에는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사각지대의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각지대 없는 전, 측방 시야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 달라지는 사각지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각지대 때문에 "M생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의 전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가 A-필러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영상이 A-필러에 표시되는 모습의 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어느 실시예를 조수석에서 바라봤을 때의 모습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의 설치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를 조수석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방법의 흐름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의 전체 구조도이다.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10)는 센서부(110), 카메라(120), 제어부(130) 및 디스플레이(140)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10)는 운전자의 시각을 파악하기 위해 사용된다. 운전자의 체형이나 운전자의 운전자세에 따라 운전자의 시각은 달라진다. 따라서 운전자에 따라 사이드미러나 룸미러를 조절하는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10)의 카메라(130) 방향도 운전자의 시선에 따라 조절이 필요하다. 센서부(110)는 카메라(130)의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운전자의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센서부(110)는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카메라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120)는 자동차의 A-필러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차량 내의 운전자가 A-필러에 가려 볼 수 없는 부분을 촬영한다. 운전자의 시선방향에 따라 방향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모터 또는 서보 모터(Servo Mo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센서부(110)에 의해 수집된 운전자의 위치 및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토대로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계산하여 카메라(120)의 방향을 조절한다. 또한 운전자의 시선 방향 및 A-필러와의 거리에 따라 A-필러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달라지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이를 고려하여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될 영상을 선택하고 디스플레이(140)에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40)는 자동차의 A-필러의 내부에 부착되어 A-필러에 의해 가려진 사각지대의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40)는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10)는 메모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카메라(120)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여 블랙박스의 역할을 겸하기 위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가 자동차의 A-필러에 설치된 단면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자동차의 A-필러는 바디 사이드 아우터(Body side outer, 162), 강화 캔트레일(Reinforce cantrail, 164), 프론트 필러 이너(FR PLR INR, 166), A-필러 트림(A PLR trim, 168)으로 이루어진다. 카메라(120)는 A-필러의 아우터(162)에 장착되고, 디스플레이(140)는 트림에 장착되는데, 차량의 강성을 보장하기 위한 강화 캔트레일(164)이나 프론트 필러 이너(166)를 피해 장착함으로써 충돌 시 A-필러의 강성 확보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왼쪽 방향을 바라봤을 때 A-필러의 디스플레이(140)에 표시되는 보행자(3)의 모습을 나타낸다. 좌회전을 할 때 A-필러에 의해 가려져 보이지 않던 보행자(3)의 모습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140)에 의해 표현됨으로써 마치 A-필러가 없는 것처럼 운전자는 느낄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바라보는 시선일 때만 적용되는 것이고, 조수석에 앉은 승객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
도 4는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140)를 본 관점을 나타낸다.
운전자(1)와 승객(2)의 시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조수석 승객(2)의 시점에서는 보행자(3)가 A-필러에 가리지 않음에도 디스플레이(140)에는 카메라(120)로 촬영한 보행자(3)의 모습이 표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물론 조수석 승객(2)의 시야는 안전운전과는 무관하기는 하지만 조수석 승객(2)이 A-필러의 디스플레이(140)로 인해 시야의 혼란을 겪는다면 승차감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도 5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야 확보 장치의 장착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메라(222, 224)가 두 대 필요하다. 운전석에서의 시선 방향과 조수석에서의 시선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두 방향의 촬영을 위해 두 대의 카메라(222, 224)가 필요하다. 제1 카메라(222)는 운전자(1)의 시선에서 A-필러 바깥쪽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224)는 조수석 승객(2)의 시선에서 A-필러 바깥쪽을 촬영한다.
디스플레이(240)는 편광 장치 등에 의해 운전자(1)의 시선(11)과 조수석 승객(2)의 시선(22)에 따라 서로 다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운전자(1)의 시선(11)으로 볼 때는 제1 카메라(222)에 의한 영상을 보여주고, 조수석 승객(2)의 시선(22)으로 볼 때는 제2 카메라(224)에 의한 영상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은 이렇게 운전자(1)와 조수석 승객(2)에게 다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했을 때의 조수석 승객(2)의 시야를 대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의 (a)는 조수석 승객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A-필러의 디스플레이(240)가 검정색 등으로 아무 것도 표시하지 않았을 때를 나타낸다. 조수석에서는 마치 종래의 A-필러가 달려있는 것처럼 시선의 혼란을 겪을 우려가 없다. 따라서 A-필러 외부의 제2 카메라(224)도 필요가 없다.
도 6의 (b)는 조수석 승객의 시선에서 보았을 때 A-필러의 디스플레이(240)에 A-필러에 가려 있던 다른 보행자(4)가 표시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조수석 승객의 시선에 맞게 조절된 제2 카메라(224)를 이용하여 다른 보행자(4)의 모습을 나타냄으로써 시선의 혼란을 없애고 조수석 승객도 A-필러가 투명하게 보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방향에 서로 다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는 운전석 뿐만 아니라 조수석에 앉아있는 승객에게도 혼란을 주지 않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방법의 대략적인 흐름도이다.
우선 센서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 방향을 파악한다(S710). 운전자의 자세나 눈의 위치 등을 이용하여 시선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운전자의 시선을 파악한 후 이를 이용하여 A-필러의 외부에 설치된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한다(S720).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한 후 영상을 촬영하면 제어부는 운전자의 눈의 위치와 시선방향을 고려하여 A-필러에 표시할 영상을 선택한다(S730).
자동차의 A-필러의 안쪽에 설치된 디스플레이에 선택한 영상을 표시한다(S740). 표시된 영상을 본 운전자는 A-필러가 없고 옆 창문과 앞 창문이 이어진 것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다.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차량용 블랙박스 역할을 함께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각지대 시야 확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언어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3)

  1. 운전자의 눈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와, 자동차의 A-필러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한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방향을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 상기 센서부에 의해 측정된 운전자의 눈의 위치에 따라 자동차의 A-필러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의 영상을 선택하여 A-필러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을 표시하고, 자동차의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는 상기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둘 이상이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보는 방향에 따라 다른 영상을 표시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의 운전자가 보는 방향에는 상기 둘 이상의 카메라 중 제1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조수석에 앉은 사용자가 보는 방향에는 제2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 확보 장치.
KR1020180084917A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31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7A KR20200013176A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17A KR20200013176A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176A true KR20200013176A (ko) 2020-02-06

Family

ID=6956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17A KR20200013176A (ko) 2018-07-20 2018-07-20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17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6618A (zh) * 2021-08-20 2021-11-19 东北大学 一种透明a柱的智能显示系统及方法
KR20230041875A (ko)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차량의 에이필러용 사각지대 모니터링 방법 및 차량의 에이필러용 사각지대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20037A (ko) 2022-02-08 2023-08-16 박정민 소독 로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6618A (zh) * 2021-08-20 2021-11-19 东北大学 一种透明a柱的智能显示系统及方法
KR20230041875A (ko) 2021-09-17 2023-03-27 주식회사 제이앤에스테크 차량의 에이필러용 사각지대 모니터링 방법 및 차량의 에이필러용 사각지대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120037A (ko) 2022-02-08 2023-08-16 박정민 소독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68603B2 (ja) 車両用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の画像表示システムを搭載した車両
KR101822890B1 (ko) 차량의 전방 촬영 카메라 모듈
US8570188B2 (en) Driver vision support system and vehicle including the system
EP2746833A1 (en) Vehicle adaptation to automatic driver independent control mode
US20130096820A1 (en) Virtual display system for a vehicle
CN107209850B (zh) 用于确定驾驶员辅助系统的驾驶员特定盲点的方法,驾驶员辅助系统以及机动车辆
US20150124097A1 (en) Optical reproduction and detection system in a vehicle
KR20200013176A (ko) 자동차의 사각지대 시야확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8537221B2 (en) Lane change control system
JP6453929B2 (ja) 車両の表示システム及び車両の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2018004015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BR112019016014A2 (pt) Método e sistema para alertar um motorista de caminhão
KR102130059B1 (ko) 디지털 백미러 제어 유닛 및 방법
BR102014023644B1 (pt) Sistema visual
KR20150044346A (ko) 차량의 전방필러에 의한 사각지대의 사고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4127439A1 (pt) Dispositivo eletrônico par eliminar pontos cegos de veículos automotivos
KR20150139540A (ko) 방향 오리엔테이션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구비하는 시각적 포지셔닝
CN216184804U (zh) 一种辅助驾驶系统及车辆
KR101491946B1 (ko) 자동차 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BR102013006317B1 (pt) sistema de visualização de área traseira para um veículo automotor
CN113386669A (zh) 一种辅助驾驶系统及车辆
CN113682232A (zh) 图像显示装置
ES2770601T3 (es) Sistema de asistencia a la conducción para un vehículo, vehículo ferroviario y procedimiento de uso asociados
JP2021046095A (ja) 車外モニタ装置
JP2008222196A (ja) 自動車の視野確保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