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466A -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466A
KR20200012466A KR1020180087795A KR20180087795A KR20200012466A KR 20200012466 A KR20200012466 A KR 20200012466A KR 1020180087795 A KR1020180087795 A KR 1020180087795A KR 20180087795 A KR20180087795 A KR 20180087795A KR 20200012466 A KR20200012466 A KR 20200012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t
transmission line
fastening region
underground transmission
eddy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관수
임상현
송혜은
김경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08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2466A/ko
Publication of KR20200012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공극을 형성하여 금구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를 제시한다. 제시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복수의 송전 케이블이 수용된 클리트 및 클리트에 개재되어 복수의 송전 케이블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클리트는 공극이 형성되되, 공극은 클리트를 관통하여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APPARATUS FOR FIXING UNDERGROUND TRANSMISSION LINE}
본 발명은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되어 전력을 이송하는 지중송전선로를 고정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와전류 손실은 일반적으로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변압기 코어에서 xy 단면으로 시간에 대해 정현적으로 변하는 자속이 발생하고 이 자속에 의해 1, 2차 권선에 기전력이 유도되어 변압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권선에만 기전력이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철심에도 기전력이 유도된다. 순철의 도전율 (약
Figure pat00001
)은 동의 1/6 수준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철심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 전류가 흐르며 이 전류를 와전류라고 한다.
와전류는 철심 내에서 흐르는 전류로 철심의 저항에 의해 열로 손실(소비)되며, 이 손실을 와전류손이라고 한다. 철심의 와전류는 변압기의 2차 측 부하전류와 마찬가지로 기자력을 발생한다. 철심의 와전류를 상쇄하기 위해 1차 측에는 여분의 부하전류가 흐르고 이 전류는 손실 전류가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전류손의 성질을 알아보기 위해 임의의 폐곡면을 잡으면 이 폐곡면을 통과하는 자속은 식은
Figure pat00002
로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좌측은 변압기 코어 단면으로 변하는 자속을 도시하고, 우측은 변하는 자속에 의한 유도전류를 도시한다.
자석이나 전류에 의하여 위아래로 변화하는 자기장이 발생되면 그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도체에는 회전하는 전류가 발생되게 된다. 이렇게 도체에 발생되는 와전류는 주파수에 따라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감에 따라 그 크기가 감소하게 된다. 이를 표피 심도(skin depth)라 하고 하기의 수학식1에 의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하기의 수학식1에서 f는 주파수이고, μ는 투자율이고, σ는 도전율이다.
Figure pat00003
표피 심도에 의하여 도체 표면을 위주로 와전류(즉, 맴돌이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도체에 열이 발생하고, 이열은 곧 와전류 손실이 된다. 또한, 와전류 손실뿐만 아니라 발생되는 열의 온도에 따라 화재의 발생 및 주변 지지물의 변형 등의 막대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지중송전선로는 지하에 매설되기 때문에 와전류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송전 효율이 저하되거나, 와전류에 의한 화재로 인해 송전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91728호(명칭: 지중송전케이블의 불완전 순환전류 측정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극을 형성하여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키도록 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복수의 송전 케이블이 수용된 클리트 및 클리트에 개재되어 복수의 송전 케이블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클리트는 공극이 형성된다.
공극은 클리트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클리트는 복수의 송전 케이블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클리트 및 복수의 송전 케이블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 클리트에 체결되는 상부 클리트를 포함하고, 공극은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체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클리트는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의 일단에 제1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제1 체결 영역에서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가 이격되어 제1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클리트는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의 타단에 제2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제2 체결 영역에서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가 이격되어 제2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송전 케이블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클리트 및 송전 케이블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부 클리트에 체결되는 상부 클리트를 포함하고,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공극이 형성된다.
체결 영역은 하부 클리트의 일단 및 상부 클리트의 일단 사이에 형성된 제1 체결 영역 및 하부 클리트의 타단 및 상부 클리트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제2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공극은 제1 체결 영역 및 제2 체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체결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 클리트 및 상부 클리트는 제1 체결 영역에서 이격되어 제1 공극을 형성하고, 제2 체결 영역에서 이격되어 제2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에 공극을 형성하여 지중송전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송전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클리트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와전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의 와전류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의 와전류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의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지중송전선로는 송전 케이블의 배열에 따라 삼각 배열 및 수평 배열로 구분된다. 지중송전선로는 3개의 송전 케이블로 구성되어 3상 교류전류가 흐르는 상태로 상시 운영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지중송전선로의 송전 케이블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지중송전선로를 구성하는 송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cleat)이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삼각 배열 및 수평 배열의 지중송전선로에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기존에 변압기에서 발생하는 와전류와는 다르게, 적층구조가 아닌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는 금구류 안쪽면과 바깥면에서 경로(path)를 형성하며 흐른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와전류의 경로를 끊어내어 와전류의 분포를 줄여준다. 이때,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기계적인 강도를 고려해 와전류가 가장 큰 부분의 경로를 끊어내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자기장을 줄여줌으로써 금구류에 발생되는 와전류의 분포를 감소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의 와전류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삼각 배열로 배치되는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지중송전 선로 고정 장치는 지중송전선로(10)가 매설되는 전력구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앵글지지대(2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행거(30)에 설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삼각 배열의 지중송전선로(10)는 하단에 두개의 송전 케이블(12)이 배치되고, 상단에 하나의 송전 케이블(12)이 배치되어, 수직 방향 단면이 삼각형 형태를 이룬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다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3개의 송전 케이블(12)을 동시에 지지한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하부 클리트(110), 상부 클리트(120) 및 스페이서(130)를 포함한다.
하부 클리트(110)는 지중송전선로(10)가 매립된 전력구의 행거(30)에 설치된다. 이때, 행거(30)는 전력구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앵글지지대(2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부 클리트(110)는 지중송전선로(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이때, 하부 클리트(110)는 지중송전선로(10)를 구성하는 3개의 송전 케이블(12) 중 하단에 배치된 2개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상부 클리트(120)는 지중송전선로(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즉, 상부 클리트(120)는 상부 클리트(120)는 하부 클리트(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클리트(120)는 하부 클리트(110)와 체결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구성하는 3개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의 양단은 체결 영역(140)을 형성한다.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는 체결 영역(140)에 설치되는 체결 부재(150)를 통해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 부재(150)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 중 하나에는 공극(16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극(160)은 상부 클리트(120) 및 하부 클리트(110) 중에서 와전류가 가능 큰 위치에 형성되며, 클리트(110, 1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부 클리트(110) 또는 상부 클리트(120)에 공극(160)이 형성되면, 클리트(110, 12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즉, 공극(160)은 클리트(110, 12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하는 힘도 저하된다.
이에, 공극(160)은 클리트(110, 120)의 체결 영역(140)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영역(140)은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때, 체결 영역(140)은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체결 영역(140a) 및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체결 영역(140b)을 포함할 수 있다.
공극(160)은 제1 체결 영역(140a) 및 제2 체결 영역(140b)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즉, 공극(160)은 제1 체결 영역(140a)에서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공극(160a), 제2 체결 영역(140b)에서 하부 클리트(110) 및 상부 클리트(12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공극(160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극(160)에는 절연 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상부 클리트(120) 및 하부 클리트(110) 사이에 개재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이때, 스페이서(130)는 상부 클리트(120) 및 하부 클리트(11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3개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스페이서(130)는 3개의 수용 홈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홈 및 공극(160)이 형성되지 않은 제1 클리트, 홈이 형성된 제2 클리트 및 공극(160)이 형성된 제3 클리트에 형성되는 와전류의 분포를 도시한다. 이때,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와전류의 값이 큰 부분이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와전류의 값이 작은 부분이다.
홈 또는 공극(160)이 형성되지 않은 제1 클리트는 국부적으로 와전류가 크게 형성된다. 이때, 제2 클리트는 와전류가 가장 크게 형성된 부분에 완전한 공극(160)이 아닌 절반 정도의 홈을 형성하였으나, 제1 클리트에 비해 와전류가 감소되지 않고 거의 같은 분포를 나타낸다.
이에 반해, 제3 클리트는 와전류가 가장 크게 형성된 부분에 공극(160)을 형성하여 와전류의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에 와전류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제3 클리트는 부분적으로 와전류의 분포가 남아 있는 곳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와전류의 분포와 값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제3 클리프는 공극(160)을 형성함에 따라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클리트의 체결 영역(140)에 공극(160)을 형성한다. 즉,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와전류가 큰 부분의 경로를 차단하는 대신 볼트와 너트로 체결이 되는 체결 영역(140)에 동일한 사이즈의 공극(160)을 형성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클리트(110, 120)에 형성되는 와전류의 분포가 제1 클리트 및 제2 클리트와 유사한 분포를 갖지만, 와전류의 값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와전류의 값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와전류의 경로를 차단하는 것 이외에도 공극(160)을 통해 자기장의 값을 감소시켜 와전류를 최소화한다. 즉, 전류는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은 자속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자속은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켜 와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클리프의 체결 영역(140)에 공극(160)을 형성하여 전류의 흐름의 감소시킴으로써,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리프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 영역(140)(즉, 제1 체결 영역(140a) 및 제2 체결 영역(140b))에 모두 공극(160)을 형성하면, 하나의 체결 영역(140)에만 공극(160)을 형성한 경우와 유사한 와전류 분포를 나타낸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클리프의 양단의 체결 영역(140)에 모두 공극(160)을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시 균형을 맞출 수 있어 하나의 체결 영역(140)에만 공극(160)을 형성할 때보다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100)는 종래에 비해 대략 36.5% 내지 28% 정도의 와전류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와전류가 가장 높은 위치에 공극(160)을 형성하는 경우 와전류를 최소화할 수 있으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므로, 클리프의 체결 영역(140)에 공극(160)을 형성하여 와전류를 감소시키면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선선로 고정 장치의 와전류 저감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수평 배열로 배치되는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지중송전 선로 고정 장치는 지중송전선로(10)가 매설되는 전력구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앵글지지대(2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행거(30)에 설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수평 배열은 3개의 송전 케이블(12)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된 배열이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하나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를 포함한다.
하부 클리트(210)는 지중송전선로(10)가 매립된 전력구의 행거(30)에 설치된다. 이때, 행거(30)는 전력구의 벽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앵글지지대(20)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하부 클리트(210)는 지중송전선로(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이때, 하부 클리트(210)는 지중송전선로(10)를 구성하는 3개의 송전 케이블(12) 중 하나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상부 클리트(220)는 지중송전선로(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지지한다. 즉, 상부 클리트(220)는 상부 클리트(220)는 하부 클리트(2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부 클리트(220)는 하부 클리트(210)와 체결되어 지중송전선로(10)를 구성하는 3개의 송전 케이블(12) 중 하나의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한다.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의 양단은 체결 영역(230)을 형성한다.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는 체결 영역(230)에 설치되는 체결 부재(240)를 통해 체결된다. 여기서, 체결 부재(240)는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것을 일례로 한다.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 중 하나에는 공극(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극(250)은 상부 클리트(220) 및 하부 클리트(210) 중에서 와전류가 가능 큰 위치에 형성되며, 클리트(210, 2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하부 클리트(210) 또는 상부 클리트(220)에 공극(250)이 형성되면, 클리트(210, 220)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즉, 공극(250)은 클리트(210, 220)를 관통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송전 케이블(12)을 지지하는 힘도 저하된다.
이에, 공극(250)은 클리트(210, 220)의 체결 영역(230)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영역(230)은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때, 체결 영역(230)은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의 일단에 형성된 제1 체결 영역(230a) 및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의 타단에 형성된 제2 체결 영역(230b)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공극(250)에는 절연 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공극(250)은 제1 체결 영역(230a) 및 제2 체결 영역(230b) 중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즉, 공극(250)은 제1 체결 영역(230a)에서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공극(250a), 제2 체결 영역(230b)에서 하부 클리트(210) 및 상부 클리트(220)가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2 공극(250b)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3은 홈 및 공극(250)이 형성되지 않은 제1 클리트, 하나의 공극(250)이 형성된 제2 클리트 및 2개의 공극(250)이 형성된 제3 클리트에 형성되는 와전류의 분포를 도시한다. 이때,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와전류의 값이 큰 부분이고,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와전류의 값이 작은 부분이다.
제1 클리트는 홈 또는 공극(250)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와전류의 경로가 유지되어 전체 영역에 걸쳐 와전류가 크게 형성된다.
이에 반해, 제2 클리프는 와전류가 가장 크게 형성된 부분에 공극(250)을 형성하여 와전류의 경로를 완전히 차단하기 때문에 와전류의 분포가 전체적으로 감소한다. 제2 클리트는 부분적으로 와전류의 분포가 남아 있는 곳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와전류의 분포와 값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제2 클리프는 공극(250)을 형성함에 따라 기계적인 강도가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클리트(210, 220)의 체결 영역(230)에 공극(250)을 형성한다. 즉,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와전류가 큰 부분의 경로를 차단하는 대신 볼트와 너트로 체결이 되는 체결 영역(230)에 동일한 사이즈의 공극(250)을 형성한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클리트(210, 220)에 형성되는 와전류의 분포가 제2 클리트와 유사한 분포를 갖지만, 와전류의 값이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와전류의 값이 작아지는 효과가 있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와전류의 경로를 차단하는 것 이외에도 공극(250)을 통해 자기장의 값을 감소시켜 와전류를 최소화한다. 즉, 전류는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이 자기장은 자속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자속은 유도 자기장을 발생시켜 와전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클리프의 체결 영역(230)에 공극(250)을 형성하여 전류의 흐름의 감소시킴으로써, 전류에 의한 자기장을 감소시키고, 결과적으로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클리프의 양단에 형성되는 체결 영역(230; 즉, 제1 체결 영역(230a) 및 제2 체결 영역(230b))에 모두 공극(250)을 형성하면, 하나의 체결 영역(230)에만 공극(250)을 형성한 경우와 유사한 와전류 분포를 나타낸다.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클리프의 양단의 체결 영역(230)에 모두 공극(250)을 형성하기 때문에, 체결시 균형을 맞출 수 있어 하나의 체결 영역(230)에만 공극(250)을 형성할 때보다 기계적인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종래에 비해 대략 32.6% 내지 55.2% 정도의 와전류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200)는 클리프의 체결 영역(230)에 공극(250)을 형성하여 와전류를 감소시키면서 기계적 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지중송전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에 공극을 형성하여 지중송전선로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킴으로써, 지중송전선로의 송전 효율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는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클리트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면서 클리트 및 스페이서에서 발생하는 와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예 및 수정 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200: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110, 210: 하부 클리트 120, 220: 상부 클리트
130: 스페이서 140, 230: 체결 영역
150, 240: 체결 부재 160, 250: 공극

Claims (10)

  1. 복수의 송전 케이블이 수용된 클리트; 및
    상기 클리트에 개재되어 상기 복수의 송전 케이블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포함하고,
    상기 클리트는 공극이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클리트를 관통하여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상기 복수의 송전 케이블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클리트; 및
    상기 복수의 송전 케이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클리트에 체결되는 상부 클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양단에 형성된 체결 영역들 중 하나 이상의 체결 영역에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일단에 제1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 영역에서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가 이격되어 제1 공극을 형성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트는,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타단에 제2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 영역에서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가 이격되어 제2 공극을 형성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7. 송전 케이블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송전 케이블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클리트에 체결되는 상부 클리트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체결 영역에 공극이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영역은,
    상기 하부 클리트의 일단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일단 사이에 형성된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하부 클리트의 타단 및 상기 상부 클리트의 타단 사이에 형성된 제2 체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 체결 영역 중 하나 이상의 체결 영역에 형성된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는 상기 제1 체결 영역에서 이격되어 제1 공극을 형성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리트 및 상기 상부 클리트는 상기 제2 체결 영역에서 이격되어 제2 공극을 형성하는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KR1020180087795A 2018-07-27 2018-07-27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KR20200012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95A KR20200012466A (ko) 2018-07-27 2018-07-27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95A KR20200012466A (ko) 2018-07-27 2018-07-27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466A true KR20200012466A (ko) 2020-02-05

Family

ID=69515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95A KR20200012466A (ko) 2018-07-27 2018-07-27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24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40B1 (ko) 2020-03-23 2020-05-20 주식회사 테라 고착물 분리가 용이한 지중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20210119771A (ko) * 2020-03-25 2021-10-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 이상상태 점검 시스템
KR20230078215A (ko) 2021-11-26 2023-06-0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 고정용 받침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28B1 (ko) 2004-09-30 2007-03-12 이관우 지중송전케이블의 불완전 순환전류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1728B1 (ko) 2004-09-30 2007-03-12 이관우 지중송전케이블의 불완전 순환전류 측정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040B1 (ko) 2020-03-23 2020-05-20 주식회사 테라 고착물 분리가 용이한 지중배전케이블 고정장치
KR20210119771A (ko) * 2020-03-25 2021-10-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로봇을 이용한 지중 케이블 이상상태 점검 시스템
KR20230078215A (ko) 2021-11-26 2023-06-02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 고정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2466A (ko) 지중송전선로 고정 장치
EP2433289B1 (en) Submersible dry distribution transformer
EP1598911A1 (en) A method for applying a magnetic shielding along an AC power line.
EP3273557B1 (en) Thermal cooling interface for electrical joints
CN107078508B (zh) 用于在电力系统中使用的电磁屏蔽
EP2065902B1 (en) Electric three-phase power cable system
US2469445A (en) Bus bar housing
Cruz-Romero et al. Magnetic field shielding of underground cable duct banks
US7923640B2 (en) High current cable
KR100889929B1 (ko) 지중송전케이블의 접지구조
US6064004A (en) Electrical wiring installation apparatus and method
CA3149834C (en) Protection of an ac device
da Silva et al. Electromagnetic and thermal simulation of an oil insulated power transformer
JP7309646B2 (ja) バスダクト
Parise et al. Grounding system in Marinas: The microsystem approach
JP7065711B2 (ja) 静止誘導器
KR101459672B1 (ko) 유도발열시스템
Im et al. Reduction of Eddy Current Loss in Metal Sheath of 154 kV Transmission Cable
US3147389A (en) Means for balancing losses in enclosures of isolated phase bus
Huang et al. Rating of HVDC submarine cable crossings
JP2021040030A (ja) 静止誘導器
JP2024004043A (ja) バランサ
Orton et al. Impact of electromagnetic fields on current ratings and cable systems
KR20150134478A (ko) 상분리 모선
Yoon How to specify metal-clad cable and busways: Wiring methods like metal-clad cable and busways, using premanufactured components, can offer significant labor savings, but their limitations should be understood before specifying th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