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2273A -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2273A
KR20200012273A KR1020180087363A KR20180087363A KR20200012273A KR 20200012273 A KR20200012273 A KR 20200012273A KR 1020180087363 A KR1020180087363 A KR 1020180087363A KR 20180087363 A KR20180087363 A KR 20180087363A KR 20200012273 A KR20200012273 A KR 202000122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panel
protective panel
vacuum insulation
receiv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144B1 (ko
Inventor
남상민
Original Assignee
남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상민 filed Critical 남상민
Priority to KR1020180087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1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와, 상기 진공 단열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간봉과,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보호패널과,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상부 보호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외측을 보호패널로 커버하고 보호패널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여 2중 진공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진공도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 파괴 위험요소로부터 진공 단열재를 보호하여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공 단열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Double Vacuum Insulating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기존의 외피 내부에 심재가 채워진 진공 단열재의 외측을 보호패널로 진공 포장하여 진공 단열재의 단열 성능 향상 및 진공 수명을 증대시키는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기업과 국가의 핵심 경쟁력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모든 건축물에 대해서 에너지 고효율설계가 필수적으로 시행되고 있고, 더 나아가 외부 에너지에 의존하지 않는 제로 에너지 건축물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들을 선점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치열한 기술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건축물의 냉난방 에너지 손실방지는 건물외피 단열, 창호의 단열을 통해서 전체 에너지 절약의 50% 이상 실현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건물외피 단열, 창호 단열은 건축물 에너지 절약에서 가장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건물 단열재로 쓰이는 재료는 폴리우레탄 폼의 발포제인 CFC, 스티로폼, 유리섬유(glass wool) 등이 이용되었으나 이보다 더욱 단열성능이 뛰어난 진공 단열재(VIP, Vacuum Insulation Panel)과 에어로겔(Aerogel)이 제시되고 있다.
유리섬유를 심재로 채운 진공 단열재의 단열성능은 유리섬유의 16배 이상, 폴리우레탄 폼이나 스티로폼의 10배 이상으로 평가받고 있다.
진공 단열재의 구조는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한 차폐재로서 금속 박판 또는 내산성 플라스틱 필름을 이용하고 패널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심재를 채워 넣어 내부 진공이 유지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는 기존의 단열재보다 높은 단열효과 및 내화성과 내열성이 우수하고, 자재의 재활용성이 높으며 방음력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나 차폐재로만 감싸서 진공을 유지시킨 진공 단열재를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시공이나 운반 중에 차폐재에 미세한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내부의 진공도가 저하되고 단열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진공 파괴 위험요소로부터 안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진공 단열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3-0072717호(공개일 2003.09.19)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356540호(등록일 2002.10.01)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외측을 보호패널로 커버하고 보호패널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여 2중 진공상태가 유지되게 함과 동시에 진공 파괴 위험요소로부터 진공 단열재를 보호하여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공도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진공 단열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는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와, 상기 진공 단열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간봉과,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보호패널과,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상부 보호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간봉은 상기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상기 진공 단열재가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의 공간을 채워 상기 진공 단열재를 지지시키는 지지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간봉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봉은 저면이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내측 바닥면과 접착제로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저면과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보호패널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이 외향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보호패널은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개방된 수용공간 커버하며,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플랜지와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보호패널에 의해 차폐된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은 진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 바닥면에는 상기 진공 단열재와의 간격유지를 위한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의 제조방법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간봉을 결합하는 S10단계와, 상기 간봉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를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S20단계와, 상기 간봉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착제 위에 상부 보호패널을 고정시켜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S30단계와, 상기 하부 보호패널과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하는 S40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40단계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진공을 위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진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10단계 이전에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의 공간을 채워 상기 진공 단열재를 지지시키는 지지틀이 일체로 구성되는 간봉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봉의 고정틀과 지지틀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는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상기 진공 단열재와의 간격유지를 위한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외측을 보호패널로 커버하고 보호패널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여 2중 진공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진공도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진공 파괴 위험요소로부터 진공 단열재를 보호하여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공 단열 수명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분해 도시된 2중 진공 단열패널을 결합하여 도시한 결합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에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공정도의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가 부착되는 단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가 공정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2중 진공 단열패널(100)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110)와,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간봉(120)과,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보호패널(130)과, 하부 보호패널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수용공간에 안착된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상부 보호패널(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진공 단열재(110)는 다공성 충진물과 이를 싸고 있는 차단성 외피로 구성되는데, 외피 내부의 기체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수년이상 유지함으로써 매우 낮은 열전도도를 갖게 된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110)는 그 단열성능이 내부의 진공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진공도의 저하에 따라 단열성능도 저하하게 된다. 상기에서 다공성 충진물은 구조상 미세한 공간이 상호 연결되어 있어 원활한 배기가 가능하고, 겉보기 밀도가 낮으면서도 압력차에 의한 압착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외피는 기체투과를 차단하면서도 자체로 융착성이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진공 단열재(110)의 내부 심재는 유리섬유로 사용하고, 외포장재 즉, 차폐재는 알루미늄을 증착한 고진공용 다층 필름을 적용하여 감싸며, 그 안에 유기물 가스 및 수분 흡착제인 게터를 삽입하여 진공 배기한 진공 단열재를 사용한다.
이외에도 단열재의 종류로 폴리에스테르 흡음 단열재, 인조 광물섬유 단열재, 발포 폴리스티렌(PS) 단열재, 경질 폴리우레탄 폼(PU) 단열재, 패놀 폼(PF)보드 단열재, 흄드실리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난연성능별 1급(불연재료), 2급(준불연재료), 3급(난연재료), 4급(가연재료)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110)의 테두리에 간봉(120)이 결합된다.
도 2에 요부 확대되어 도시된 간봉(120)은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틀(121)과, 진공 단열재를 지지시키는 지지틀(122)이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지지틀(122)은 고정틀(121)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진공 단열재(110)가 하부 보호패널(13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하부 보호패널(130) 내부의 공간을 채워 진공 단열재(110)를 지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정틀(121)과 지지틀(122)로 구성된 간봉(120)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으로 가공된다.
하부 보호패널(130)은 수용공간(131)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이 외향 절곡되어 플랜지(132)를 형성한다.
상부 보호패널(140)은 하부 보호패널(130)의 내부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하부 보호패널(130)의 내부에 끼워 맞춤되는 크기를 갖는다. 즉, 상부 보호패널(140)은 하부 보호패널(130)의 플랜지(132) 내측면과 접촉되어 개방된 수용공간(131)을 커버한다.
여기서, 하부 보호패널(130)과 상부 보호패널(140)은 알루미늄(AL), 스테인레스(SUS), 강(STEEL)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2중 진공 단열패널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110)의 테두리에 간봉(120)을 결합한다.(S10단계)
여기서, S10단계 이전에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을 통해 간봉(120)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120)의 저면에 접착제(123)를 도포하고, 간봉(120)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110)를 하부 보호패널(130)의 수용공간(131)에 안착시켜 고정시킨다.(S20단계) 이때, 간봉(120)의 지지틀(122)은 진공 단열재(110)가 하부 보호패널(130)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진공 단열재(110)를 지지시키게 되며 접착제(123)에 의해 하부 보호패널(130)의 바닥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120)의 상면에 접착제(123)를 도포하고 접착제(123) 위에 상부 보호패널(140)을 고정시켜 수용공간에 안착된 진공 단열재(110)를 차폐시킨다.(S30단계) 이때, 상부 보호패널(140)의 상면과 하부 보호패널(130)의 플랜(132)지 상면은 동일선상의 높이를 갖는다.
그리고, 도 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호패널(130)과 상부 보호패널(140)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150)을 한다.(S40단계)
이때, 수용공간(131)의 진공을 위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입하여 수용공간(131)을 진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용공간(131)의 진공은 유기물 가스 및 수분 흡착제인 게터를 삽입하여 진공시키거나, 진공펌프로 공기를 배출시키고 배출구를 밀봉하여 진공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진공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보호패널(140)에 의해 차폐된 하부 보호패널(130)의 수용공간(131)은 진공상태이며, 수용공간(131)의 진공상태 유지 시 진공 단열재(110)와 하부 보호패널(130)의 수용공간(131) 바닥면과의 간격유지를 위해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호패널(130)의 수용공간(131) 바닥면에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160)를 더 구비하는 경우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서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160)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의(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간봉을 결합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160)를 부착한 다음,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를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며,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120)의 상면에 접착제(123)를 도포하고 접착제(123) 위에 상부 보호패널(140)을 고정시켜 수용공간에 안착된 진공 단열재(110)를 차폐시킨 다음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보호패널(130)과 상부 보호패널(140)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150)을 한다. 이때에도, 수용공간(131)의 진공을 위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입하여 수용공간(131)을 진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c)단계에서 진공 단열재가 안착된 수용공간 내의 진공공간에는 충진재(미도시)가 채워질 수도 있다. 충진재(미도시)는 도 5의 (e)단계에서 수용공간을 진공시킬 때 상부 보호패널이나 하부 보호패널이 굴곡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유지시켜 주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단열기능을 한다. 여기서 충진재는 폴리에틸렌, 화이버글라스 재질을 포함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는 하부 보호패널과 상부 보호패널의 폭과 길이에 따라 수용공간 내에 복수 개 안착될 수 있다.
즉, 하부 보호패널과 상부 보호패널은 사용용도에 따라 또는 필요에 따라 폭과 길이가 달라질 수 있으며, 하부 보호패널과 상부 보호패널의 폭과 길이에 따라 간봉이 결합된 진공단열재가 수용공간 내에 복수 개 안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부의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외측을 보호패널로 커버하고 보호패널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게 하여 2중 진공상태가 유지되게 함으로써 진공도 및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진공 파괴 위험요소로부터 진공 단열재를 보호하여 미세한 구멍이나 균열이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진공 단열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은 균등물들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0: 2중 진공 단열패널 110: 진공 단열재
120: 간봉 121: 고정틀
122: 지지틀 123: 접착제
130: 하부 보호패널 131: 수용공간
132: 플랜지 140: 상부 보호패널
150: 실리콘 코킹 160: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

Claims (13)

  1.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
    상기 진공 단열패널의 테두리에 결합되는 간봉;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가 안착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수용공간을 갖는 하부 보호패널; 및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개방된 수용공간을 커버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상부 보호패널;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은 상기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상기 진공 단열재가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의 공간을 채워 상기 진공 단열재를 지지시키는 지지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으로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은 저면이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내측 바닥면과 접착제로 고정되고, 상면이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저면과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호패널은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측벽의 상단이 외향절곡되어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 보호패널은 상기 플랜지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개방된 수용공간 커버하며,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플랜지와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보호패널에 의해 차폐된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은 진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 바닥면에는 상기 진공 단열재와의 간격유지를 위한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단열재가 안착된 수용공간 내의 진공공간에는 충진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는 상기 하부 보호패널과 상부 보호패널의 폭과 길이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 내에 복수 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10.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해 차폐재로 감싸진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간봉을 결합하는 S10단계;
    상기 간봉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간봉이 결합된 진공 단열재를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에 안착시켜 고정시키는 S20단계;
    상기 간봉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을 커버하도록 상기 접착제 위에 상부 보호패널을 고정시켜 상기 수용공간에 안착된 상기 진공 단열재를 차폐시키는 S30단계; 및
    상기 하부 보호패널과 상기 상부 보호패널의 접촉면을 따라 실리콘 코킹하는 S40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40단계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의 진공을 위해 공기를 배출시키거나 흡입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진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제조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 이전에는 상기 진공 단열재의 테두리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틀과, 상기 하부 보호패널 내부의 공간을 채워 상기 진공 단열재를 지지시키는 지지틀이 일체로 구성되는 간봉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간봉의 고정틀과 지지틀은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 압출성형을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제조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S10단계와 S20단계 사이에는 상기 하부 보호패널의 수용공간 바닥면에 상기 진공 단열재와의 간격유지를 위한 진공 간격유지 스페이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진공 단열패널 제조방법.
KR1020180087363A 2018-07-26 2018-07-26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72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63A KR102172144B1 (ko) 2018-07-26 2018-07-26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363A KR102172144B1 (ko) 2018-07-26 2018-07-26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273A true KR20200012273A (ko) 2020-02-05
KR102172144B1 KR102172144B1 (ko) 2020-10-30

Family

ID=69514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363A KR102172144B1 (ko) 2018-07-26 2018-07-26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1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621B1 (ko) * 2021-02-15 2021-08-26 (주)엔비텍이앤씨 무용접 단열하지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540B1 (ko) 1998-06-05 2003-04-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판넬
KR20030072717A (ko) 2002-03-06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9939A (ko) * 2009-05-04 2010-11-12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및 진공 단열체용 외피재
KR200472900Y1 (ko) * 2012-07-18 2014-05-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170100844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단열 복합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540B1 (ko) 1998-06-05 2003-04-03 삼성전자 주식회사 진공단열판넬
KR20030072717A (ko) 2002-03-06 200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단열재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119939A (ko) * 2009-05-04 2010-11-12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및 진공 단열체용 외피재
KR200472900Y1 (ko) * 2012-07-18 2014-05-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170100844A (ko) * 2016-02-26 2017-09-05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단열 복합패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삭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621B1 (ko) * 2021-02-15 2021-08-26 (주)엔비텍이앤씨 무용접 단열하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144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459B1 (ko) 진공단열패널
CN105074113B (zh) 具有真空绝缘玻璃(vig)单元和含有真空绝缘结构的窗
US7845142B2 (en) High R-value window unit with vacuum IG unit and insulating frame
EP2462391B1 (en) Vacuum insulation member and method for fabricating an vacuum insulation member
US20150315779A1 (en) Construction Panels
US20190257077A1 (en) Building insulation system
KR102499261B1 (ko) 단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5533962A (ja) 厚い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収容するように設計された窓枠内に真空断熱ガラス窓ユニットを設置するためのスペーサーシステム
KR20150112434A (ko) 진공단열패널
WO2007009820A1 (en) A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KR101789089B1 (ko) 진공 단열 패널
KR20200012273A (ko) 2중 진공 단열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32073A (ko) 진공단열재가 내장된 건축용 단열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KR101496848B1 (ko) 진공 단열재
JP6403531B2 (ja) 断熱構造、建物及び断熱改修方法
KR20180072376A (ko) 하니콤 형태의 진공단열판재 제조방법
RU2702399C1 (ru) Система оконной рамы для вакуумного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стеклопакета
JP2010013839A (ja) 断熱壁
KR20110000057A (ko)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RU198761U1 (ru) Вакуумная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ая панель
JP2006029448A (ja) 真空断熱パネル、および真空断熱パネルを用いた冷蔵庫
JP2012012860A (ja) 断熱材付き内装建材
JP2008095365A (ja) 建物
JP5092955B2 (ja) 断熱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