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0057A -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 Google Patents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0057A
KR20110000057A KR1020090057405A KR20090057405A KR20110000057A KR 20110000057 A KR20110000057 A KR 20110000057A KR 1020090057405 A KR1020090057405 A KR 1020090057405A KR 20090057405 A KR20090057405 A KR 20090057405A KR 20110000057 A KR20110000057 A KR 20110000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door
polyurethane foam
vacuum
pane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96475B1 (ko
Inventor
이명
황승석
장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09005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475B1/ko
Publication of KR2011000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2Measures preventing the formation of condensed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6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 F16L59/065Arrangements using an air layer or vacuum 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은, 현관문의 외관을 구성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패널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틈새메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현관문의 패널 내부에 수납된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이 0.004 W/mK 수준으로서, 기존 현관문 대비 뛰어난 단열 성능을 발휘한다.
또한, 편복도형 주택의 경우 겨울철 차가운 실외공기가 현관문에 직접 전달되더라도 결로발생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냉난방 부하 또한 감소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현관문, 진공단열재, 심재, 외피재, 폴리우레탄 폼, 패널

Description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Entrance door containing vacuum insulation and polyurethan form}
본 발명은 현관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관문의 패널 내부에 심재 및 외피재를 포함하는 진공단열재를 수납시키고, 상기 패널과 진공단열재 사이의 틈새는 폴리우레탄 폼을 채워서 뛰어난 단열 성능 발휘와 함께 결로발생을 억제하며, 주택의 냉난방 부하 감소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로(結露)는 일종의 습윤상태로서 어떤 면의 온도가 공기의 노점온도보다 낮을때 발생된다. 여름철 차가운 물컵의 표면에 발생되는 물방울이나, 겨울철 대중교통 이용시 안경에 맺히는 물방울 등이 결로현상이라 할 수 있다.
건물 내 에너지 절감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점차 단열 및 기밀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세대내 수증기 배출이 어려워지고, 겨울철 실내와 외부와의 온도차가 발생되어 세대내 결로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외기와 직접 면하는 부위 또는 단열이 연속되지 못하거나 공기가 정체하기 쉬운 구석부위 등에서 결로가 발생되고 있으며, 열전도율이 높은 강재로 구성되고 외기와 접하고 있는 현관문이 결로발생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의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현관문(1)의 외부를 구성하는 스틸(steel) 재질의 외피재(2) 내부에 심재(3) 역할을 하는 단열재가 내장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공동주택의 진입체계에 따른 분류 중 계단실형의 경우 현관문이 외기와 간접적으로 면하고 있어서 문 내부의 결로발생이 적으나, 편복도형은 문이 외기와 직접적으로 접해 있으므로 겨울철 차가운 실외공기가 현관문에 직접 전달됨으로써 결로발생의 문제점이 항상 발생한다.
더욱이 국내 공동주택 중 임대주택의 경우, 편복도형으로 지어지고 있어 결로발생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며, 도 1에 도시된 현관문(1)의 경우 상기 심재(3)가 종이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재질로서 이러한 재질을 갖는 심재(3)의 경우 열전도율이 높지 않으므로 외기와 접하면서 발생되는 전술한 결로 현상을 감소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의 패널 내부에 수납된 심재 및 외피재의 복층 구조를 갖는 진공 단열재를 통해 기존 현관문 대비 뛰어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복도형 주택의 경우 겨울철 차가운 실외공기가 현관문에 직접 전달되더라도 결로발생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냉난방 부하 또한 감소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현관문의 외관을 구성하는 패널; 상기 패널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진공단열재; 및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패널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틈새메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진공단열재는, 심재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는 외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심재는, 증류 실리카(Fumed silica),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글라스 울(Glass fiber)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재(14b)는, 무기소재가 증착된 폴리머 필름(polymer film)이 여러 층으로 접착된 구조를 사용하거나 또는 5~12㎛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과 폴리머 필름이 접착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무기소재는, 알루미늄(Al) 또는 실리콘(Si)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염화 비닐리덴 필름(PVD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K-PET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틈새메움수단은,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현관문의 패널 내부에 수납된 진공단열재의 열전도율이 0.004 W/mK 수준으로서, 기존 현관문 대비 뛰어난 단열 성능을 발휘한다.
둘째, 편복도형 주택의 경우 겨울철 차가운 실외공기가 현관문에 직접 전달되더라도 결로발생을 감소시키고, 주택의 냉난방 부하 또한 감소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단열재를 구성하는 외피재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현관문은 크게 패널(panel)과, 상기 패널에 수납되는 진공단열재와, 상기 진공단열재와 상기 패널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틈새메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패널(12)은 스틸 재질로서 현관문(10)의 외부를 구성한다. 상기 진공단 열재(14)는 상기 패널(12)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수납되며,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공단열재(14)는 내측의 심재(14a)와, 상기 심재를 둘러싸는 외피재(14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심재(14a)는, 증류 실리카(Fumed silica),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글라스 울(Glass fiber)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외피재(14b)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소재가 증착된 폴리머 필름(polymer film)이 여러 층으로 접착된 구조를 사용하거나, 또는 5~12㎛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과 폴리머 필름이 접착된 구조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무기소재는 알루미늄(Al) 또는 실리콘(Si)을 사용하며, 상기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염화 비닐리덴 필름(PVD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외에 특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 물성을 조절한 K-PET 등의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틈새메움수단은, 상기 패널(12)과 진공단열재(14) 사이의 틈새 사이에서 상기 틈새를 메우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틈새메움수단으로서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16)을 사용하였으며,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4c는 코어 백(core bag)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현관문(10)의 패널(12) 내부에 진공단열재(14)가 수납되어 있고, 상기 패널(12)과 진공단열재(14) 사이의 틈새는 폴리우레탄 폼(16)이 채워져 있다.
이때 상기 진공단열재(14)는 심재(14a) 및 외피재(14b)의 복층 구조로서, 상기 패널(12) 내부에 수납된 진공단열재(14)의 열전도율이 0.004 W/mK 수준으로서, 기존 현관문 대비 8~10배 정도 뛰어나므로 기존 현관문 대비 뛰어난 단열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편복도형 주택의 경우 겨울철 차가운 실외공기가 현관문에 직접 전달되더라도 결로발생을 감소시키며, 주택의 냉난방 부하 또한 감소시켜서 에너지 절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현관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관문에 사용되는 진공단열재를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진공단열재를 구성하는 외피재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현관문 12 : 패널
14 : 진공단열재 14a : 심재
14b : 외피재 14c : 코어 백
16 : 폴리우레탄 폼

Claims (7)

  1. 현관문(10)의 외관을 구성하는 패널(12);
    상기 패널(12)의 내부 길이 방향을 따라 수납되는 진공단열재(14); 및
    상기 진공단열재(14)와 상기 패널(12) 사이의 틈새를 메우는 틈새메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14)는,
    심재(14a)와;
    상기 심재(14a)를 둘러싸는 외피재(14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심재(14a)는,
    증류 실리카(Fumed silica),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 글라스 울(Glass fiber)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재(14b)는,
    무기소재가 증착된 폴리머 필름(polymer film)이 여러 층으로 접착된 구조를 사용하거나 또는 5~12㎛ 두께를 갖는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과 폴리머 필름이 접착된 구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소재는,
    알루미늄(Al) 또는 실리콘(Si)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필름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염화 비닐리덴 필름(PVDC),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K-PET 중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메움수단은,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16)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KR1020090057405A 2009-06-26 2009-06-26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KR101296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05A KR101296475B1 (ko) 2009-06-26 2009-06-26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7405A KR101296475B1 (ko) 2009-06-26 2009-06-26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057A true KR20110000057A (ko) 2011-01-03
KR101296475B1 KR101296475B1 (ko) 2013-08-13

Family

ID=43608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7405A KR101296475B1 (ko) 2009-06-26 2009-06-26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4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85Y1 (ko) * 2011-12-20 2013-11-12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0472900Y1 (ko) * 2012-07-18 2014-05-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CN105735496A (zh) * 2016-03-12 2016-07-06 青岛科瑞新型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真空绝热复合装饰保温板及其制备方法
KR101677374B1 (ko) * 2015-06-24 2016-11-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 단열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0029A (ja) 2000-04-03 2001-10-10 Dainippon Printing Co Ltd 断熱性金属ドア
KR100750090B1 (ko) * 2007-01-22 2007-08-21 김미경 진공포켓을 이용한 복합기능 패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85Y1 (ko) * 2011-12-20 2013-11-12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200472900Y1 (ko) * 2012-07-18 2014-05-29 주식회사 케이씨씨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101677374B1 (ko) * 2015-06-24 2016-11-17 주식회사 케이씨씨 진공 단열재
CN105735496A (zh) * 2016-03-12 2016-07-06 青岛科瑞新型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真空绝热复合装饰保温板及其制备方法
CN105735496B (zh) * 2016-03-12 2018-06-26 青岛科瑞新型环保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真空绝热复合装饰保温板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475B1 (ko) 2013-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1259B2 (en) Composite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KR101404239B1 (ko) 다층 박막 진공단열재
KR101296475B1 (ko) 진공단열재 및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현관문
KR20100119937A (ko) 진공 단열체 및 진공 단열체용 외피재
KR101267523B1 (ko) 층간소음 방지 시스템
MX2014006503A (es) Panel de aislamiento de pared.
WO2007082558A1 (en) Insulation material comprising reflection material for buildings
CN101666415A (zh) 真空绝热材料、使用了它的冰箱及供热水器以及制造方法
KR20150034393A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열반사형 단열재
KR101245461B1 (ko) 진공단열재를 적용한 면상 발열체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485057B1 (ko) 폴리에틸렌 수지를 이용한 진공 방음 단열재
KR20120117336A (ko) 벤딩이 용이한 진공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6249769A (ja) 住宅の断熱・防湿・熱反射構造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KR200416574Y1 (ko) 난방기능을 가지는 조립식건물
BRPI0714731A2 (pt) material de construÇço para revestimento, isolante tÉrmico e, preferivelmente, tambÉm acéstico
KR20180001315A (ko) 복합단열재
CN207686212U (zh) 一种隔音地板
JP2009293183A (ja) 断熱改修壁
CN215751222U (zh) 一种建筑用保温性真空绝热板
JPS647175B2 (ko)
JP3223970U (ja) 遮熱体およびその配列構造
JP3223459U (ja) 遮熱体およびその配列構造
JP2000017859A (ja) 収納庫の設置構造
KR101203309B1 (ko) 고성능 단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온-보냉용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