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1688A -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 Google Patents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1688A
KR20200011688A KR1020180086450A KR20180086450A KR20200011688A KR 20200011688 A KR20200011688 A KR 20200011688A KR 1020180086450 A KR1020180086450 A KR 1020180086450A KR 20180086450 A KR20180086450 A KR 20180086450A KR 20200011688 A KR20200011688 A KR 20200011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eok
growth
formation
cultur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9644B1 (ko
Inventor
이문순
김학현
부희옥
권수정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86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6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1Culture apparatus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01H1/08Methods for producing changes in chromosome numb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2Culture media for tissue cultur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4/00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Tissue culture techniques therefor
    • A01H4/005Methods for micropropagation; Vegetative plant propagation using cell or tissue culture techniqu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6/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botanic taxonomy
    • A01H6/26Campanulace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3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01N43/3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 A01N43/3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hree ring hetero at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reeding Of Plants And Reproduction By Means Of Culturing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의 기내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의 엽절편과 기관의 분화를 왕성하게 유도할 수 있는 생장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과 이를 이용하여 더덕을 대량 번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며, 더덕을 비교적 단기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Composition for in-vitro culture of diploid or tetraploid roots and method for mass culture of roots}
본 발명은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의 기내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더덕의 엽절편과 기관의 분화를 왕성하게 유도할 수 있는 생장 조절 물질을 포함하는 배양액과 이를 이용하여 더덕을 대량 번식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과(Campanulaceae sp.)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에 분포하며, 사삼 또는 백삼이라고도 부른다. 재배역사는 오래지 않고 주로 야생에서 자라는 것을 채취하여 잔대 대용 한약재와 식용으로 하던 것을 순화재배 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더덕의 뿌리를 약용 또는 식용으로 널리 사용하여 왔고, 한방에서는 해독, 강장, 거담, 진해 등의 효능이 있고, 기관지염, 편도선염, 궤양, 폐결핵, 천식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예로부터 사삼이라 불리며 인삼 대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또한, 더덕 뿌리는 항염증, 항궤양제 등으로 많이 사용하였을 뿐 아니라 간과 위, 폐 신장의 작용을 강화시켜 주는 약재로도 사용해 왔다.
이와 같이, 더덕은 기능성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작물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장점이 있으나, 더덕과 같은 뿌리 작물은 재배 기간이 수년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빠르게 대량 배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기술이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기내 배양 방법을 이용한 방법은, 부정근의 증식 속도 및 유효성분의 생산 비율이 높아 천연물의 연구에 있어 적합한 방법으로 보고되어 있다. (Yu et al., 2005) 더덕의 경우 유효 성분이 뿌리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천연물질을 의약품 또는 기능성 식품 의 원료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일정한 양과 질의 산물을 만들어 내기 위하여 부정근 유도 배양 방법은 매우 효율적인 배양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기존의 더덕 기내 배양의 경우 더덕 재분화율 및 부정근의 형성률이 낮아 기내 배양의 효율성 및 대량 생산 효과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더덕의 부정근 배양을 위한 기술로서, 기내 배양 방식을 이용하여 더덕을 배양할 수 있는 배양액의 조성과, 이를 이용하여 더덕 2배체 또는 4배체를 대량으로 배양할 수 있는 배양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허출원 제10-2013-0063804호 특허출원 제10-2016-01736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더덕의 성장 조절 물질로서 옥신류인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또는 사이토카이닌류인 BA(Benzyladenine), 키네틴, TDZ(Thidiazuron)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더덕 기내 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덕을 1/4MS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1/4MS 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인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BA(Benzyladenine), 키네틴, TDZ(Thidiazur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의 성분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더덕의 기내 배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정 농도의 생장조절물질이 포함된 더덕 기내배양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기내배양용 조성물은, 기본 배지인 1/4MS 배지 조성물에,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에 속하는 물질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특히 2배체 또는 4배체의 더덕의 부정근 형성률을 향상시키고, 더덕을 대량 배양할 수 있는 배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옥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및 NAA(Naphthaleneacetic acid)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며, 사이토카이닌은 BA(Benzyladenine), 키네틴 및 TDZ(Thidiazuron)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배양액 조성물 안에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은 단용 또는 병용 처리되어 포함될 수 있으며, 생장 촉진용 또는 부정근 형성용 등 용도에 따라 적절한 성분을 선택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더덕 2배체의 부정근 형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IBA를 기본 1/4MS 배지에 포함하였으며, 상기 IBA의 농도는 0.1 내지 10mg/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더덕 2배체의 신초 또는 부정근의 형성을 모두 촉진하기 위하여, TDZ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TDZ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5 내지 1.0 mg/L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TDZ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신초의 형성을 촉진하였으나, 부정근의 형성에 있어서는 0.5mg/L 의 농도에서 최대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더덕 4배체의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IAA 또는 IBA를 각각 0.1mg/L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오히려 높은 농도로 처리 시, 캘러스가 유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다른 생장조절물징의 첨가로 있하여 생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또한 본 발명은 더덕을 1/4MS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1/4MS 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인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BA(Benzyladenine), 키네틴, TDZ(Thidiazur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의 성분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더덕의 기내 배양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기내 배양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생장조절물질은 서로 다른 용도로서 첨가될 수 있으며, 신초의 형성 및 생장,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에 작용하는 효과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확인한 바, IAA 또는 NAA는 더덕의 2배체에 있어 신초와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에 모두 억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IAA 또는 NAA를 포함하여 식물 배양을 할 경우, 발근이 촉진되는 효과를 확인하였으나, 더덕의 경우에는 성장 조절물질의 효과가 다르게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의 더덕 기내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기내배양 방법은, 더덕 2배체 또는 4배체의 배양 시, 필요한 생장조절물질을 배양액 내에 포함하여 더덕의 부정근 또는 신초의 형성 및 생장을 조절하여, 더덕을 비교적 단기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된 더덕 2배체 및 4배체의 사진이다.
도 2는 2배체 더덕에 IB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 및 도면이다.
도 3은 2배체 더덕에 IA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4는 2배체 더덕에 NA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5는 2배체 더덕에 B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6은 2배체 더덕에 키네틴을 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7은 2배체 더덕에 TDZ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8은 4배체 더덕에 IB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 및 도면이다.
도 9는 4배체 더덕에 IA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0은 4배체 더덕에 NA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1은 4배체 더덕에 BA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2는 4배체 더덕에 키네틴을 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도 13은 4배체 더덕에 TDZ를 처리하여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 결과를 확인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내배양을 이용하여 2배체 또는 4배체의 더덕의 부정근 형성 및 생장 촉진, 신초 형성 및 생장 촉진을 위한 배양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을 배양 방법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더덕의 기내배양용 조성물에는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을 기본 배지에 추가적으로 포함함으로써, 배양되는 더덕의 부위에 따라 신초의 형성 및 생장 또는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을 조절하는 기능을 가지는 조성의 배양액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을 배양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배수체(polyploidy)"란 2쌍 이상의 유전체가 있는 개체를 의미하며, 체세포는 통상 이배체(2n로 나타냄)이지만 유전체가 중복하여 3배체(3n), 4배체(4n)등으로 되는 경우가 있다. 유전체의 중복은 자연에서도 일어나지만, 콜히친 등의 약품 처리 또는 온도처리 등의 물리적 자극에 의해서도 고빈도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일유전체를 중복하여 포함하는 개체를 동질배수체, 다른 유전체를 포함하는 경우를 이질배수체라고 하며, 본 발명에 따른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은 2배 또는 4배의 염색체수를 갖는 더덕 개체(2n, 4n)를 말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을 이용하여, 기내배양을 통해 부정근과 신초의 형성을 유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을 가지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 방법은, 기내배양된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의 절 또는 엽절편을 기본 배지 및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은 식물 생장조절물질로서 역할을 가진다.
상기 “옥신(auxin)”은 식물의 생장 조절 물질의 하나로 식물의 성장 및 발근을 촉진하고, 낙과를 방지하며, 착과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화학 물질로서, 본 발명에서는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를 사용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더덕 2배체의 경우 IBA를 처리할 경우에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이 촉진됨을 확인하여, 2배체 기내배양 시, 배양액 내에 IBA를 포함하여 줄기 및 부정근 유도를 촉진시킬 수 있다. 반면 4배체 배양 시, IAA를 포함하는 경우,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이 촉진됨을 확인하였으나, 고농도로 포함 시에는 오히려 캘러스가 유기되는 문제점이 있어, 배양액 내 0.1mg/L의 농도 이하로 포함되도록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사이토카이닌(cytokinin)”은 식물호르몬의 일종으로, 주로 식물의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잎의 노쇠를 지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이토카이닌 은 BA(Benzyladenine), kinetin, TDZ(Thidiazuron)를 사용하였으며, 예를 들어 TDZ의 경우에 2배체 더덕의 신초와 부정근의 형성을 모두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옥신 또는 사이토카이닌을 포함하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은 식물의 특정 생장반응을 조절하는 물질의 총칭으로 생장을 촉진 작용하는 것과 촉진 저해작용을 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생장조절물질은 IBA, IAA, NAA, BA, 키네틴 및 TDZ일 수 있으며, 이러한 식물생장조절물질은 세포의 신장, 조직의 비대, 세포분열, 부정아와 액아형성 억제 및 배형성을 유도하는 활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식물생장조절물질에 의한 효과는 세포의 분화상태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는데, 즉, 분열하지 않는 세포에서는 세포증식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왕성하게 분열하는 생장점 세포에서는 분열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종래 방법과는 달리 기내에서 배양중인 더덕 절편에 직접 처리하여 신초 형성 및 부정근 유도 효율을 높인 특징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기내에서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부정근을 유도할 수 있는 유도배지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기도 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유도배지는 0.00001~0.01%의 식물생장조절물질, 0.00002~0.05%의 무기영양소, 5%의 탄소원, 및 0.6%의 교질재료를 포함하는 배지이며, 상기 식물생장조절물질은 옥신류인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와 사이토카이닌류(BA(Benzyladenine), kinetin, TDZ(Thidiazuron)이고, 상기 무기영양소는 황산염, 질산염, 할라이드, 인산염 또는 FeEDTA이고, 상기 탄소원은 수크로즈이고, 상기 교질재료는 한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정근 유도를 위해 사용한 배지의 형태는 고체, 액체 또는 반 고체 배지일 수 있으며 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배지에 함유된 각 성분은 기재된 함량의 범위 내로 배지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각 성분이 상기 범위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 더덕 부정근이 제대로 유도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반면 각 성분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하는 함량 대비 부정근의 유도 효율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앞서 기술한 성분의 적정 농도 범위로 함유된 배지를 사용할 경우, 단기간에 걸쳐 더덕의 신초 또는 부정근을 효과적으로 유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실험재료 및 방법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엽절편과 절로부터의 기관분화를 왕성하게 유도할 수 있는 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옥신류(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와 사이토카이닌류(BA(Benzyladenine), kinetin, TDZ(Thidiazuron))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IBA, IAA, NAA, BA, kinetin 및 TDZ를 각각 0, 0.1, 0.5, 1, 5, 10 mg/L 농도로 기본 배지에 첨가하여 배양하였다.
기본 배지는 고체배지로 이는 배지의 기본 형태이며, 배양액에 교질재료를 첨가하여 반고체 상태로 만든 것이다. 가장 널리 사용하는 형태이므로 일반적으로 배지라고 하면 고체배지를 의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배지의 성분은 식물생장조절물질, 무기영양소(황산염, 질산염, 할라이드, 인산염 또는 FeEDTA), 탄소원, 비타민, 탄소원(수크로오즈), 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 배지의 조성은 식물생장조절물질 0.0001~0.01%, 교질재료(한천) 0.6%, 무기영양원소 0.00002~0.05%, 탄소원 5%, 비타민 0.003~0.01% 및 잔량이 물로 이루어진 배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기본 배지의 조성에서, 2배체 더덕은 1/4MS, sucrose 5%, agar 0.6%, pH는 5.8로 조절하였으며, 4배체 더덕은 1/4MS, sucrose 7%, agar 0.6%를 첨가하였으며, pH는 5.8로 조절하였다. 배양조건은 25±1℃, 40μmolㆍm-2ㆍs-1의 광으로 1일 16시간 조명하였으며, 6주간 배양한 후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과 생장률 등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조사하였다.
<실시예 2> 2배체 더덕 생장 효과 확인
기내 배양에 의한 '더덕'의 대량번식에 미치는 생장조절제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엽절편(0.8cm2)과 절(0.8cm)을 배양재료로 사용하여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에 1에 기재된 방법으로 다양한 농도의 옥신 및 사이토카이닌을 상기 배양 재료가 배양되는 기본 배지에 첨가하여 처리하고, 부정근의 형성량 및 길이(생장 정도)와 신초의 형성량 및 길이(생장 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옥신 중 IBA 처리한 배지에서는 절을 재료로 0.5 mg·L-1 첨가배지에서 신초의 형성이 양호한 반면 생장은 무첨구에서 오히려 좋았다. 부정근은 절을 재료로 10 mg·L-1 첨가배지에서 절편체당 8.7개로 가장 높은 형성을 보였으나 생장은 저조하였다. (도 2)
IAA를 처리한 배지는 절을 배양 재료로 IAA 1.0 mg·L-1 첨가한 배지에서 가장 신초의 형성이 좋았으며, 신초의 생장은 무첨가구에서 왕성한 결과를 나타냈다. 부정근은 절을 재료로 무첨가 배지에서 가장 많은 부정근의 형성을 보였으며, 생장 또한 가장 좋았다. 따라서 IAA는 더덕의 부정근 형성 및 생장에 억제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도 3)
NAA의 경우에는 엽절편보다 절을 배양한 경우에 양호한 결과를 보였으며 오히려 NAA의 농도가 높을수록 신초의 형성 및 생장은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도 신초의 결과와 유사하여 무첨가 배지에서 부정근의 형성 및 생장이 왕성했다. (도 4)
Cytokinin의 경우, BA는 절을 재료로 0.5 mg·L-1 첨가배지에서 신초의 형성이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는데 절편체당 3.8개가 형성되었으나, 생장은 저조하여 오히려 무첨가 배지에서 생장이 가장 좋았다. 부정근 또한 무첨가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도 5)
Kinetin은 절을 재료로 5.0 mg·L-1 첨가배지에서 양호한 신초의 형성을 보였으나 생장은 저조하였다. 부정근은 무첨가구에서 양호한 형성을 보인반면 부정근 생장은 0.1 mg·L-1 첨가구에서 좋았다. (도 6)
TDZ는 절을 재료로 한 경우, 농도가 높아질수록 신초의 형성이 좋아 1.0 mg·L-1 첨가구에서 절편체당 3.3개로 가장 양호하였다. 신초의 생장은 무첨가구에서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엽절편은 극히 미미한 반응을 나타냈다. 부정근의 형성은 0.5 mg·L-1 이상의 농도로 첨가할수록 급격히 저하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생장 또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도 7)
상기 결과를 종합해 보면, 더덕 2배체의 신초 형성 및 생장, 부정근 형성 및 생장에 대한 효과는 각 배양액 내 생장조절물질에 따라서 다르게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에는 IBA가 촉진적으로 작용하며, BA 및 Kinetin, TDZ 등의 사이토카이닌을 첨가한 군의 경우 신초의 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4배체 더덕 생장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 및 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4배체 더덕의 엽절편(0.8cm2)과 절(0.8cm)을 배양 재료로 하여 4배체 더덕의 신초 및 부정근의 배양 효과를 확인하였다.
생장조절제인 IBA, IAA, NAA, BA, kinetin 및 TDZ 중 하나의 물질을 선택하여 기본 배지에 첨가해 배양하였으며, 부정근의 형성량 및 길이(생장 정도)와 신초의 형성량 및 길이(생장 정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IBA는 엽절편을 배양재료로 농도가 높을수록 양호하였으며 5 mg·L-1 첨가구에서 부정근의 형성이 양호하였으며 절의 경우에는 신초의 형성은 첨가구보다 무첨가 배지에서 더 높았으나 생장은 IBA 0.1 mg·L-1 에서 가장 좋았다. Callus의 경우 IBA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노란색의 callus가 많이 유기되는 경향이었다. (도 8)
IAA의 경우 절을 배양재료로 신초의 형성은 무첨가구에서 양호하였으며 생장은 0.5 mg·L-1 첨가배지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부정근의 형성은 IAA 첨가에 의해 촉진되는 경향이었으며 특히 IAA 0.1 mg·L-1 배지에서 가장 많이 형성되었고 생장은 5 mg·L-1 배지에서 왕성하였다. (도 9)
NAA는 4배체 더덕의 신초 및 생장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며 많은 callus가 유기됨을 알 수 있었다. 신초의 경우 절을 배양재료로 NAA 0.1 mg·L-1 첨가를 제외한 나머지 농도 처리구에서는 극히 미미한 형성을 보이거나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부정근은 NAA 0.5 mg·L-1 배지에서 가장 많이 형성된 반면 생장은 0.1 mg·L-1 배지에서 양호한 반응을 보였다. (도 10)
BA는 엽절편을 재료로한 경우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절의 경우에는 BA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많은 신초의 형성을 보여 1.0 mg·L-1 첨가구에서 가장 많은 신초가 형성된 반면 0.1 mg·L-1 배지에서 가장 좋은 생장을 나타냈다. 부정근은 무첨가구를 제외한 나머지 BA첨가구에서는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도 11)
Kinetin은 절을 배양재료로 한 경우에만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을 나타내었으며 신초는 10 mg·L-1 배지에서 가장 많은 형성을 보인 반면 생장은 가장 저조하였다. 부정근은 무첨구에서 양호한 형성 및 생장을 보였다. (도 12)
TDZ의 경우 신초의 형성은 0.5 mg·L-1 첨가 배지에서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나 비정상적인 신초의 모습을 나타냈다. 신초의 생장은 무첨가배지에서 양호하였다. 부정근은 무첨가구와 0.5 mg·L-1 첨가구에서 양호한 형성 및 생장을 나타냈다. (도 13)
상기와 같이 4배체를 대상으로 한 실험의 경우, 신초 형성 및 생장, 부정근 형성 및 생장에 대한 효과는 각 배양액 내 생장조절물질에 따라서 다르게 조절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신초 및 부정근의 형성에는 IBA가 촉진적으로 작용하며, BA 및 Kinetin, TDZ 등의 사이토카이닌을 첨가한 군의 경우 신초의 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IBA의 경우 고농도로 함유되면 캘러스의 유기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어, 적절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옥신류에 속하는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 또는 사이토카이닌류에 속하는 BA(Benzyladenine), 키네틴, TDZ(Thidiazuron)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더덕 기내 배양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더덕의 신초 또는 부정근 배양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기내 배양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덕은 2배체 또는 4배체 더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기내 배양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IBA, BA, 키네틴 및 TDZ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인, 더덕 기내 배양용 조성물.
  5. 더덕을 1/4MS 배지에서 배양하는 단계;
    상기 1/4MS 배지에 생장조절물질인 IAA(Indole 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Naphthaleneacetic acid), BA(Benzyladenine), 키네틴, TDZ(Thidiazuron)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이상의 성분을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더덕의 기내 배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덕은 2배체 또는 4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덕 기내 배양 방법.

KR1020180086450A 2018-07-25 2018-07-25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KR102259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50A KR102259644B1 (ko) 2018-07-25 2018-07-25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6450A KR102259644B1 (ko) 2018-07-25 2018-07-25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688A true KR20200011688A (ko) 2020-02-04
KR102259644B1 KR102259644B1 (ko) 2021-06-02

Family

ID=69571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450A KR102259644B1 (ko) 2018-07-25 2018-07-25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6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9394A (zh) * 2021-07-15 2021-10-22 云南中医药大学 一种红果参多倍体诱导及多倍体植株的高效人工育苗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804A (ko)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KR20140142447A (ko) * 2013-06-04 2014-12-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기내배양을 이용한 4배체 도라지의 배양 및 부정근 유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3804A (ko) 2011-12-07 2013-06-17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배터리 보호회로 및 그에 따른 통합칩 배치구조
KR20140142447A (ko) * 2013-06-04 2014-12-12 우송정보대학 산학협력단 기내배양을 이용한 4배체 도라지의 배양 및 부정근 유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9394A (zh) * 2021-07-15 2021-10-22 云南中医药大学 一种红果参多倍体诱导及多倍体植株的高效人工育苗方法
CN113519394B (zh) * 2021-07-15 2022-06-21 云南中医药大学 一种红果参多倍体诱导及多倍体植株的高效人工育苗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644B1 (ko)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tin Plant regeneration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on Holostemma ada-kodien, a rare medicinal plant
TAMURA Shoot formation in calli originated from rice embryo
Neves et al. Effects of spindle inhibitors and phytoregulators on the micropropagation of Kappaphycus alvarezii (Rhodophyta, Gigartinales)
CN104737761B (zh) 秤锤树的扦插繁殖方法
Oceania et al. Establishment of efficient in vitro culture and plantlet generation of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Mill.) and development of synthetic seeds
CN101548646B (zh) 一种通过体细胞胚及次生体细胞胚发生途径快繁龙牙楤木的方法
CN107155886A (zh) 一种无病毒栝楼的培养方法
KR20200011688A (ko) 2배체 및 4배체 더덕의 기내 배양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더덕의 대량 배양 방법
Khalafalla et al. Establishment of in vitro fast-growing normal root culture of Vernonia amygdalina-a potent African medicinal plant
Zia et al. In vitro selection for NaCl tolerance in Thymus vulgaris L.
Madhavi et al. Effects of different growth additives on seed germination of Vanda tessellata (Roxb.) Hook. ex. G. Don-A medicinal orchid
Nguyen et al. In vitro propagation of a Vietnam endemic lady’s slipper orchid (Paphiopedilum vietnamense O. Gruss & Perner)
Choudhary et al. A micropropagation protocol for mass multiplication of Terminalia arjuna-a valuable medicinal tree
CN107129365A (zh) 一种用于构树育苗的培养基
CN106912320A (zh) 一种用于构树育苗的培养基及其制备方法
CN108142287A (zh) 一种牡丹离体培养防褐变促生根剂
CN107996401A (zh) 一种牡丹组织培养防褐变促生根剂
KIZIL et al. Accelerated micropropagation of endemic Fritillaria aurea Schott.
Lis In vitro clonal propagation of strawberry from immature achenes
KR101500072B1 (ko) 깽깽이풀의 기내번식 방법
CN115088617B (zh) 用于多倍体蒲公英植物组织培养的培养基和方法
Igbinosa et al.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callus induction in dennettia tripetala bak. F. shoot explant
KR20030029676A (ko)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지황 종묘의 재배방법
Rachmadiarti et al. The Influence of Various Growth Regulator of Growth Media on Biomass and Callus Induction in Elephantopus scaber Linn
Karthika DIRECT ORGANOGENESIS OF A CRITICALLY ENDANGERED MEDICINAL LIANA, COSCINIUM FENESTRATUM (GAERTN.) COLEBR.(MENISPERMACE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