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911A -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911A
KR20200010911A KR1020180085548A KR20180085548A KR20200010911A KR 20200010911 A KR20200010911 A KR 20200010911A KR 1020180085548 A KR1020180085548 A KR 1020180085548A KR 20180085548 A KR20180085548 A KR 20180085548A KR 20200010911 A KR20200010911 A KR 20200010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guide
information
termi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김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호 filed Critical 김재호
Priority to KR102018008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10911A/ko
Publication of KR20200010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9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이용한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예비 여행자, 플래너, 및 가이드 희망자를 포함한 사용자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이익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ravel agency services}
본 발명은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이용한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예비 여행자, 플래너 및 가이드 희망자를 포함한 사용자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이익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형태의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행을 즐기는 사용자의 수가 급증하면서 국내 또는 해외 여행 상품을 선택하거나, 자신에게 적합한 상품이 없는 경우 자신이 직접 시간을 들여 일정을 계획하고 예약을 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이때, 여행을 직접 계획할 수 있는 방법은, 여행상품 설계툴을 이용하여 계획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1419호 (2007.10.17.)에는, 이용자 자신이 원하는 조건에 따른 여행상품을 설계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0-1195902호 (2012.10.24.)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여행 일정을 자유롭게 디자인하기 위한 여행 일정 디자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여행 일정을 완전히 개인화하도록 개인이 직접 계획하는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자신이 모두 기획해야 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10-2013-0082741호 (2013.07.22.)에는, 사용자가 직접 여행코스를 설계하여 등록하고, 이를 홍보하여 판매하기 위한 소셜여행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여행코스에 오로지 참여활동만을 포함하므로, 숙박, 교통편, 비용, 기간을 포함한 세부적인 여행계획은 개인이 직접 계획해야 함은 물론, 사용자가 설계한 여행코스를 직접 홍보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여행코스를 기획하는 것에만 집중할 수 없을 것이기에 양질의 여행 계획서를 제공하기 힘들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101419호 (2007.10.17.) 한국등록특허 제10-1195902호 (2012.10.24.) 한국공개특허 10-2013-0082741호 (2013.07.2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전체적인 일정이 설계된 여행계획서를 제공함으로써, 여행을 설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여행계획서를 기획하는데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할 뿐만 아니라, 기획된 여행계획서의 판매에 대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여행 계획서를 제공하고자 하는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이용한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여행 계획서를 작성하는 플래너가 보유하는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하는 등록단계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여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상품목록이 예비 여행자가 보유하는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고,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여행상품목록 중 특정 여행상품이 선택되어 구매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따른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구매단계 및 상기 구매단계를 통해 상기 특정 여행상품이 상기 등록기간 내에 기설정된 수량 이상 구매되는 경우, 상기 특정 여행상품은 우수여행상품으로 선정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모집하되, 적어도 한명 이상의 가이드를 선정하는 가이드 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수신단계와, 상기 여행 계획 정보가 출발일, 도착일, 기간, 목적지 및 비용을 포함한 일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는 분류단계 및 상기 일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여행 계획 정보가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어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일정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매단계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특정 여행상품에 따른 대금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는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창이 출력되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특이사항 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하는 가이드 단말기에 상기 선정된 우수여행상품이 출력되되, 상기 가이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여행상품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서비스서버, 또는 선택된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여행자 단말기에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가이드 접수단계와, 상기 여행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된 가이드 신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상기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선택정보를 전송하는 가이드 투표단계 및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최고 득표율을 획득한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확정정보가 전송되는 확정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접수단계를 통해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신청 인원수에 따라 투표 개시시점 및 투표 가능기간이 변경되되, 상기 투표 가능기간은 상기 가이드 신청 인원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개시를 통보하는 투표 개시 정보가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가 보유하는 여행자 단말기에 전달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 상기 투표 개시 정보를 포함한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출력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예비 여행자의 전자메일을 포함한 개인 연락정보로 상기 투표 개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확정정보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의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 및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투표결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관한 여행 계획 정보를 전송한 플래너 단말기에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통해 창출된 매출의 일정 비율로 책정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 이후 진행되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후에, 여행자 단말기, 또는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여행상품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상품 평가단계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거나, 또한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평가정보 기입단계와,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대한 평가정보의 평가점수들의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상기 산출된 평균점수를 부여하는 평균점수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구매단계, 또는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에 의해 특정 여행상품, 또는 특정 가이드가 선택됨으로써 출력되는 상세 정보 출력창에 게재되어 상기 예비 여행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에서, 상기 가이드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상기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박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에서,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일정 기간 연장되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 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상품목록에서 자동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해 예비 여행자에게 숙박, 교통,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계획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예비 여행자의 여행 계획을 설계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우수여행상품으로 지정된 여행 계획 정보를 제공한 플래너에게 일정 금액의 인센티브를 지급함으로써, 양질의 여행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한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서버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계획정보 등록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상품 구매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단말기를 이용한 가이드 등록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 배경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로그인 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회원가입 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목록 출력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의 상세 정보 출력창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 대금 결제 및 인센티브 지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의 제공시스템에 대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 제공시스템(1000)은, 호스트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예비 여행자가 보유하는 여행자 단말기, 여행계획서를 작성하는 플래너가 보유하는 플래너 단말기 및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하는 가이드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서비스 서버(100)는 통신망으로 상호 데이터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여행 중개 서비스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통신 모듈과, 예비 여행자, 플래너, 및 가이드 희망자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여행 계획 정보 및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판매 내역을 저장하는 여행 계획 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여행 계획 정보, 또는 가이드에 대한 평가 정보가 저장되는 평가정보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여행 계획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여행 계획 정보를 분석하여, 기간, 목적지, 비용을 포함한 일정 카테고리별로 분류하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이터 분석모듈과,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의 구동 및 실행을 담당하는 실행모듈과, 상기 플래너 단말기에 제공되는 인센티브를 포함한 보상정보를 누적 및 관리하는 관리모듈과,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 태블릿 PC, 워치형 단말기,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입력부와, 센싱부와, 무선통신부와, 출력부와, 메모리부와, 인터페이스부와, 전원공급부와,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상술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사용자 단말기(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상기 입력부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 또는 마이크(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패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는 이동통신 단말기 내 정보, 이동통신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 음향 출력부, 햅팁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터치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은,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2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사용자 단말기(2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부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2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의 구동을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사용자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는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써,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의 위치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위치정보모듈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여행 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을 운영, 관리하는 관제서버이며,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은 웹 브라우저,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되거나, 실행되어 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웹 브라우저 형태로 제공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은, 등록된 사용자만이 이용가능하며, 미등록된 사용자의 경우, 회원가입을 통해 등록한 후에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 배경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로그인 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 중개 플랫폼의 회원가입 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 실행 시, 여행자 단말기, 플래너 단말기 및 가이드 단말기를 포함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출력부에는 로그인(Log In) 버튼 및 회원가입 버튼이 구비된 접속 배경화면이 출력된다.
등록된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로그인 버튼을 선택하여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아이디(ID:Identificaton)와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으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그인 시, 접속하고자 하는 사용자 유형을 먼저 선택하여야 한다.
상기 사용자 유형은, 사용자가 회원가입 시 지정한 유형으로서, 상기 사용자 유형에 따라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미등록 사용자의 경우에는, 상기 접속 배경화면에서 회원가입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으나, 로그인과 동일하게 사용자 유형을 먼저 선택한 후, 회원가입을 진행하여야 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하고자 하는 사용자 유형을 선택한 후에,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원가입을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된 사용자 유형에 따라 회원가입 시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일부 달라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상기 회원가입 화면에는 사용자의 기본적인 정보인 이름, 생년월일, 성별 및 개인연락처를 포함한 사용자 정보가 입력되며, 이는 사용자 유형에 관계없이 필수적으로 입력되어야 하는 기본 정보로서, 회원가입과 동시에 상기 입력된 사용자 정보는 회원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플래너의 경우, 작성한 여행계획정보에 대한 인센티브를 지급받기 위한 은행 계좌 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되어야 한다.
또한, 예비 여행자의 경우, 여행상품 구매에 따른 대금결제를 위한 결제 수단 정보가 추가적으로 입력되며, 이는 추후 여행상품 구매 시마다 결제 수단 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여준다.
또한,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은,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예비 여행자, 플래너, 및 가이드 희망자를 포함한 사용자를 서로 연결하여 상호 이익을 발생시키는 구조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먼저, 상기 플래너는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편, 숙박업소, 참여활동, 비용 시간 등 모든 세부 사항 및 관련 일정을 포함한 여행 계획 정보를 작성하여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된 여행 계획 정보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어 예비 여행자들에게 제공되어 진다.
상기 예비 여행자들은 상기 제공된 여행 계획 정보를 확인하여, 자신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여행 계획 정보를 구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여행을 계획하기 위한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구입된 여행 계획 정보가 일정 수 이상의 예비 여행자로부터 구매되는 경우, 상기 여행 계획 정보의 일정에 맞춰 동시에 여행을 갈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작성한 플래너에게는 일정 금액의 인센티브가 부여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여행에 동반할 가이드를 선정할 수 있다.
가이드로 선정될 시, 상기 여행에 따르는 교통비, 숙박비, 참여활동비를 포함한 모든 여행 비용이 지원되므로, 여행에 소비되는 여행 비용이 부족하여 여행을 가지 못하였던 사람들을 포함한 가이드 희망자들에게 무료 여행의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단계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방법은 크게 등록단계(S100), 구매단계(S200), 가이드 선정단계(S300) 및 여행상품 평가단계(S400)를 통해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단계(S100)는, 플래너가 작성한 여행 계획 정보가 일정기간동안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플래너가 보유하는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숙박, 교통,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한다.
또한, 상기 등록단계(S100)는, 수신단계, 분류단계 및 제공단계를 포함한 세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세부단계들은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먼저, 상기 수신단계는 상기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숙박, 교통,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이며, 상기 분류단계는 상기 저장된 여행 계획 정보가 출발일, 도착일, 기간, 목적지, 비용을 포함한 일정 카테고리별로 분류되는 단계이며, 상기 제공단계는 상기 일정 카테고리별로 분류된 여행 계획 정보가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어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는 단계이다.
상기 제공단계에서, 상기 여행 계획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지정된 일정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되며, 이는 도 13을 참조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목록 출력화면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실행을 통해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여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 상품 목록(TL)이 출력되되, 상기 여행 상품 목록(TL)의 상부에는 카테고리 분류 기준이 명시되어 있다.
즉, 예비 여행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추어 상기 카테고리 분류 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여행 상품 목록(TL)의 정렬 조건을 변경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 조건은 한가지 조건만 설정 할 수도 있으며, 다수의 조건 설정도 가능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 상품 목록(TL)의 특정 여행 상품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 상품에 관한 세부사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도 14를 참조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의 상세 정보 출력창의 일 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행 상품 목록(TL) 중 특정 여행 상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여행상품에 관한 세부사항이 명시된 상세 정보 출력창(DI)이 출력된다.
상기 상세 정보 출력창(DI)에는,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관한 일정, 비용, 목적지를 포함한 여행 관련 정보가 명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평점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함께 제공된다.
상기 평가정보는, 이전에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을 다녀온 여행자, 또는 가이드들로부터 입력된 정보로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하며, 상기 평점은 평가점수로부터 산출된 평균점수이다.
상기 평가정보에 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 출력창(DI)에는 세부사항 확인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세부사항 확인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상세 정보 출력창(DI)에 명시되지 않은 숙박, 교통편, 비용,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 출력창(DI)에는 결제 버튼이 구비되어, 해당 여행상품에 관한 결제를 바로 진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결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출력부에는 결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결제 확인 창(미도시)이 출력되며, 상기 결제 확인 창을 통해 결제가 확정될 시, 상기 해당 여행상품에 대한 대금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결제 버튼을 눌러서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상세 정보 출력창(DI)에는 관심목록에 추가 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관심목록에 추가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해당 여행상품을 관심목록에 추가하여 저장해둠으로써, 추후에 상기 관심목록을 확인하여 저장된 여행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세정보 출력창(DI)을 통해 예비 여행자들은 상기 특정 여행 상품에 대한 세부 정부 및 평가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 상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획득함과 동시에, 선택에 따르는 위험성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매단계(S200)는, 예비 여행자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여행 계획 정보 중 특정 여행상품을 구매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여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상품목록이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여행상품목록 중 특정 여행상품이 선택되어 구매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따른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단계이며, 상기 대금 결제에 관한 프로세스는 도 15를 참조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 대금 결제 및 인센티브 지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상기 여행자 단말기(210)로부터 선택된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대한 대금결제 요청 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이를 인지하고, 결제기관으로 대금결제 요청 신호 및 상기 여행자 단말기(210)로부터 입력된 결제 수단 정보를 송출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를 요청한다.
이후, 상기 결제기관은 상기 대금결제 정보를 확인한 후에, 이를 승인하고, 이에 대한 결제 승인 처리결과를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100)는 전송받은 상기 결제 승인 처리결과를 상기 여행자 단말기(210)에 전달함과 동시에, 교통, 숙박을 포함한 여행 관련 비용을 결제함으로써 여행상품에 포함된 시설 및 서비스에 관한 예약을 완료한다.
상기 구매단계(S200)를 통해,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는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창이 출력되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특이사항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이사항 정보는, 음식 알레르기 혹은 약물 복용시간 등을 포함한 예비 여행자 각자가 여행 시 주의해야 할 사항을 포함하여 자유롭게 작성 가능하다.
또한, 상기 입력된 특이사항 정보는, 추후에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에게 전송되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매단계(S200)를 통해, 상기 특정 여행상품이 기설정된 등록기간 내에 일정 수량 이상 구매되는 경우,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선정하는 가이드 선정단계(S300)가 뒤이어 진행되며, 이는 도 5를 참조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특정 여행상품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등록 시점부터 기설정된 등록기간 동안만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게재되어 구매 가능하며, 상기 등록기간 내에 기설정된 수량 이상 구매되는 경우,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선정하는 가이드 선정단계(S300)가 뒤이어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정 여행상품의 등록 시점부터 등록기간 만료일까지의 남은 기간은 상기 특정 여행상품을 작성한 플래너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또는 상기 특정 여행상품이 기설정된 등록기간 내에 일정 수량 이상 구매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여행상품은 여행상품목록에서 자동 삭제되되, 여행 중개 플랫폼에 삭제 기록이 남아있도록 하여 추후에 상기 특정 여행상품을 작성한 플래너 단말기를 통해 수정 및 보완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플래너는 상기 삭제된 특정 여행상품을 보완하여 다시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하여, 여행상품목록에 재등재할 끊임없는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선정단계(S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S300)에서는, 상기 구매단계(S200)를 통해 상기 특정 여행상품이 기설정된 등록기간 내에 기설정된 수량 이상 구매되는 경우, 상기 특정 여행상품은 우수여행상품으로 선정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모집하되, 적어도 한명 이상의 가이드를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S300)는, 가이드 접수단계, 가이드 투표단계 및 확정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한 세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부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가이드 접수단계는, 가이드 희망자가 우수여행상품을 확인하고, 자신의 기호에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특정 우수여행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를 신청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가이드 단말기에 상기 선정된 우수여행상품이 출력되며, 상기 가이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여행상품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서비스 서버(100), 또는 선택된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상기 가이드 신청정보는, 추후에 진행될 가이드 투표단계에서 상기 예비 여행자들의 가이드 선택의 참고가 될 만한 정보로서, 가이드 희망자의 신청 동기 및 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들에 의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가 선택되는 단계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예비 여행자들은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된 가이드 신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00), 또는 상기 가이드 신청 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선택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즉, 상술한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여행자 단말기로부터 가장 많은 가이드 선택정보를 많은 가이드 희망자가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로 선택된다.
상기 선택된 가이드 관련 정보 및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결과는 상기 여행자 단말기로 전송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예비 여행자의 전자메일을 포함한 개인 연락정보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시작을 통보하는 투표 개시 정보가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상기 예비 여행자에게 전달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 상기 투표 개시 정보를 포함한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출력되거나,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예비 여행자의 전자메일을 포함한 개인 연락정보로 상기 투표 개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예비 여행자들은 가이드를 선정하기 위한 투표가능기간이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접수단계를 통해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신청 인원수에 따라 개시 시점 및 투표가능기간이 변경되되, 상기 투표가능기간은 상기 가이드 신청 인원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신청 인원수가 일정 인원 이상일 경우에는, 여행 출발일과 관계없이 즉시 가이드 투표단계가 진행되되, 투표할 수 있는 제한 기간을 3일로 설정함으로써, 3일이라는 기간 안에 투표하지 않은 예비 여행자로 인해 지출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신청 인원수가 일정 인원 이하일 경우에는, 여행 출발일 5일 전에 가이드 투표단계가 진행되되, 투표할 수 있는 제한 기간을 1일로 설정함으로써, 가이드 접수단계의 진행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진행 기간 중 남아있는 투표 가능기간을 예비 여행자들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해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 이후에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최고 득표율을 획득한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확정정보를 전송하는 확정정보 전송단계가 뒤이어 진행된다.
상기 가이드 확정정보는, 최종 선발된 가이드 희망자에게 전송되는 정보로서, 상기 우수여행상품의 숙박, 교통,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 및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투표결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확정 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가이드 희망자의 전자메일을 포함한 개인 연락정보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러할 경우 프린터를 포함한 인쇄장치를 통해 바로 출력할 수 있도록 편집된 상태로 전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선정단계(S300)를 통해 가이드가 최종 선발된 우수여행상품은 여행 계획 정보에 명시된 일정대로 여행이 진행되며, 여행이 종료된 이후에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관한 여행 계획 정보를 전송한 상기 플래너 단말기에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통해 창출된 매출의 일정 비율로 책정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며, 인센티브 지급 관련 프로세스는 도 15를 참조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여행상품 대금 결제 및 인센티브 지급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대금 결제가 완료되어 여행이 진행된 이후에, 결제기관을 거쳐 상기 서비스 서버(100)로부터 상기 플래너단말기(220)로 인센티브의 지급 결제가 이루어진다.
상기 인센티브는, 상기 서비스 서버(100)에 저장된 상기 플래너의 은행계좌정보로 즉시 송금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00) 내에 적립되어 언제나 현금화할 수 있는 가상화폐로 지급될 수도 있다.
이상으로 가이드 선정단계(S300)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이하에서는 여행상품 평가단계(S4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행상품 평가단계(S400)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상기 여행상품 평가단계(S400)는, 평가정보 기입단계 및 평균점수 산출단계를 포함한 세부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세부구성은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먼저, 상기 평가정보 기입단계는,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 상품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거나, 또한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구매단계(S200), 또는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S300)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에 의해 특정 여행상품, 또는 특정 가이드가 선택됨으로써 출력되는 상세 정보 출력창(도 14, DI)에 게재되어 상기 예비 여행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정보 기입단계는, 평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평가정보 등록기간을 기설정된 일정 일수로 제한하며, 이는 보다 신뢰성이 확보된 평가정보가 입력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평가정보 등록기간의 남은 일수를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는, 상기 평가정보 기입단계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대한 평가정보의 평가점수들의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상기 산출된 평균점수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를 통해 상기 가이드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상기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박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일정 기간 연장되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 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상품목록에서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에 대한 설명을 마치며, 상술한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계획정보 등록 시나리오, 여행자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구매 시나리오, 가이드 단말기를 이용한 가이드 등록 시나리오는 간략하게 도면으로 도식화하여,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계획정보 등록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자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상품 구매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단말기를 이용한 가이드 등록 시나리오에 대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계획정보 등록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플래너는 보유한 플래너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행 중개 플랫폼을 실행하고, 작성한 여행계획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함으로써,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상기 여행계획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등록된 여행계획정보는 일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어,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어 예비 여행자들에게 공개되며, 상기 등록기간 내에 일정 수량이상 판매되는 경우, 우수여행상품으로 지정되어 동반할 가이드를 선정한 뒤, 상기 여행계획정보에 명시된 일정대로 여행을 진행하게 된다.
여행 후에는, 여행상품 평가단계를 통해 여행에 참가한 여행자, 혹은 가이드로부터 입력된 평가점수를 산출한 평균점수가 상기 여행계획정보에 부여되며, 일정 평균점수 이상 획득할 경우에는, 상기 여행계획정보의 등록기간이 연장되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연장 등록되나, 일정 평균점수 이상 획득하지 못할 시에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서 삭제된다.
또한, 상기 등록기간 내에 일정 수량이상 판매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행계획정보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서 자동 삭제된다.
다음으로, 도 7을 참조하여, 여행자 단말기를 이용한 여행상품 구매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예비 여행자는 보유한 여행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행 중개 플랫폼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된 여행계획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자신의 기호에 맞는 여행계획정보를 포함한 여행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상기 구매한 여행상품이 일정 수량이상 판매되어, 우수여행상품으로 지정되면, 상기 예비 여행자는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선정할 수 있으며, 최종 가이드가 확정된 이후에, 여행을 떠나게 된다.
여행 후에는, 상기 여행계획정보 및 동반한 가이드에 대한 평가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8을 참조하여, 가이드 단말기를 이용한 가이드 등록 시나리오를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가이드 희망자는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를 이용하여 여행 중개 플랫폼을 실행함으로써, 일정 수량이상 판매된 우수여행상품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우수여행상품 목록 중 자신의 기호에 맞는 특정 우수여행상품을 선택하여, 상기 특정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로서 지원할 수 있으며, 가이드 신청 시, 신청동기 및 포부를 포함한 가이드 신청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이후,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상기 특정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로 선정될 시, 여행 계획 정보 및 투표결과정보를 포함한 가이드 확정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추후 진행될 여행에 동반하여 여행자들에게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여행 후에는, 여행상품 평가단계를 통해 여행에 참가한 여행자들로부터 입력된 평가점수를 산출한 평균점수가 부여되며, 일정 평균점수 이상 획득할 경우에는,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로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일정 평균점수 이상 획득하지 못할 시에는 가이드 지원 자격이 박탈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에서 상기 특정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로 선정되지 못하는 경우에는,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로 다시 재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대효과 및 기대이익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플래너는 여행 계획 정보를 만드는데 따르는 많은 시간이 소비되지만, 작성한 여행 계획 정보를 포함한 여행상품이 일정 수량 이상 판매되는 경우, 창출된 매출의 일정 비율로 책정된 인센티브가 부여되므로, 청년실업률이 높은 현 시점에서 청년들의 주 소득원이 될 수 있음과 동시에 소득은 있지만 소득이 부족한 많은 분들에게 또 다른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평가 정보를 획득한 여행상품의 경우,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끊임없이 연장 등록 가능하므로, 하나의 여행 계획 정보가 끊임없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불로소득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예비 여행자는 자신이 여행가고자 하는 일정에 맞추어 다수의 여행상품을 확인함과 동시에, 여행을 선택하여 갈 수 있는 능동적 선택의 주체가 된다.
또한, 모든 여행상품에는 여행일자뿐만 아니라 교통편, 숙소, 그 여행에 따르는 모든 참여활동을 포함하여 여행에 관련된 모든 것이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예비 여행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여행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예비 여행자들은 모든 여행상품에 대한 평가정보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여행에 대하여 미리 예측할 수 있으며, 더불어 자신들과 동행할 여행 가이드 또한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의사가 최대한 반영되는 여행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희망자는 자신의 기호에 맞게 여행을 선택하여 갈 수 있는 또 하나의 능동적 주체가 됨은 물론, 여행에 필요한 모든 경비를 지불하지 않기 때문에 무료로 여행에 참여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평가 정보를 획득한 가이드 희망자만이 지속적으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므로, 가이드 희망자에게는 양질의 가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막중한 책임감이 부여됨으로써, 철저한 가이드 서비스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하여 여행계획정보 외에 자원봉사계획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많은 사람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쉽게 정보를 얻어 자원봉사를 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상당한 사회적 간접 이익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목적을 가진 여행계획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인들을 목적으로 하는 여행계획정보뿐만 아니라. 장애인 분들만을 위한 여행계획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평소에 개별적으로 여행을 가기에 어려움이 따랐던 장애인 분들도 여행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국에 거주 중인 외국인들이 그들의 자국어로 여행 계획 정보를 작성하여,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함으로써, 한국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국외의 많은 예비 여행자들이 그들의 자국어로 여행 계획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이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한국 여행을 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한국 경제에도 긍정적 효과를 가지고 올 뿐만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설명을 마친다.
이상에서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제어 알고리즘의 각 단계는 필요에 따라 서로 순서가 바뀌어 실행될 수 있고, 이렇게 순서가 바뀌어 실행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0 :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 서비스 서버
200 : 사용자 단말기
210 : 여행자 단말기
220 : 플래너 단말기
230 : 가이드 단말기
S100 : 등록단계
S200 : 구매단계
S300 : 가이드 선정단계
S400 : 여행상품 평가단계
TL : 여행상품목록
DI : 상세 정보 출력창

Claims (13)

  1. 서비스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여행 중개 플랫폼을 이용한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여행 계획서를 작성하는 플래너가 보유하는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여행 계획 정보를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상기 등록된 여행 계획 정보를 포함하는 여행상품목록이 예비 여행자가 보유하는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고,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여행상품목록 중 특정 여행상품이 선택되어 구매됨으로써, 상기 특정 여행상품에 따른 대금 결제가 이루어지는 구매단계; 및
    상기 구매단계를 통해 상기 특정 여행상품이 상기 등록기간 내에 기설정된 수량 이상 구매되는 경우, 상기 특정 여행상품은 우수여행상품으로 선정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을 통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할 가이드를 모집하되, 적어도 한명 이상의 가이드를 선정하는 가이드 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단계는,
    상기 플래너 단말기로부터 입력된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가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수신단계;
    상기 여행 계획 정보가 출발일, 도착일, 기간, 목적지 및 비용을 포함한 일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되는 분류단계;
    상기 일정 카테고리 별로 분류된 여행 계획 정보가 기설정된 등록기간동안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어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출력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에 의해 지정된 일정 정렬 조건에 따라 정렬된 상태로 출력되는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단계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선택된 특정 여행상품에 따른 대금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는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정보입력창이 출력되며,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특이사항 정보는 상기 서비스서버로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는,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의 접속을 통해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하는 가이드 단말기에 상기 선정된 우수여행상품이 출력되되, 상기 가이드 단말기의 입력부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우수여행상품이 선택됨으로써, 상기 서비스서버, 또는 선택된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여행자 단말기에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하는 가이드 접수단계;
    상기 여행자 단말기는 상기 전송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전송된 가이드 신청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신청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 또는 상기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선택정보를 전송하는 가이드 투표단계;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를 통해 최고 득표율을 획득한 가이드 희망자가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에 가이드 확정정보가 전송되는 확정정보 전송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접수단계를 통해 가이드 신청정보를 전송한 가이드 신청 인원수에 따라 투표 개시시점 및 투표 가능기간이 변경되되, 상기 투표 가능기간은 상기 가이드 신청 인원수가 증가함에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는,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개시를 통보하는 투표 개시 정보가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가 보유하는 여행자 단말기에 전달되되,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출력부에 상기 투표 개시 정보를 포함한 팝업창이 활성화되어 출력되거나, 상기 서비스서버에 저장된 상기 예비 여행자의 전자메일을 포함한 개인 연락정보로 상기 투표 개시 정보가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확정정보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의 숙박, 교통 및 참여활동을 포함한 여행 관련 세부정보 및 여행일정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 정보,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구매한 예비 여행자 개개인의 특이사항 정보 및 상기 가이드 투표단계의 투표결과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관한 여행 계획 정보를 전송한 플래너 단말기에 상기 우수여행상품을 통해 창출된 매출의 일정 비율로 책정되는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 이후 진행되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후에, 여행자 단말기, 또는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여행상품 평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상품 평가단계는,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여행이 종료된 이후,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거나, 또한 상기 여행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동반한 가이드에 대한 평가점수 및 평가의견을 포함한 평가정보가 입력되는 평가정보 기입단계;
    상기 여행자 단말기, 또는 상기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대한 평가정보의 평가점수들의 평균점수를 산출하여, 상기 우수여행상품, 또는 가이드에 상기 산출된 평균점수를 부여하는 평균점수 산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정보는,
    상기 구매단계, 또는 상기 가이드 선정단계에서 상기 여행자 단말기의 입력부에 의해 특정 여행상품, 또는 특정 가이드가 선택됨으로써 출력되는 상세 정보 출력창에 게재되어 상기 예비 여행자에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에서,
    상기 가이드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보유한 가이드 단말기를 통해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며, 상기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가이드는 다른 우수여행상품에 대한 가이드에 지원할 수 있는 자격이 박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점수 산출단계에서,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점수가 일정 점수 이상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일정 기간 연장되어 상기 여행 중개 플랫폼에 등록되며, 상기 우수여행상품에 부여된 평균 점수가 일정 점수 미만인 경우, 상기 우수여행상품은 상기 여행상품목록에서 자동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85548A 2018-07-23 2018-07-23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2000109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48A KR20200010911A (ko) 2018-07-23 2018-07-23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548A KR20200010911A (ko) 2018-07-23 2018-07-23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911A true KR20200010911A (ko) 2020-01-31

Family

ID=6936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548A KR20200010911A (ko) 2018-07-23 2018-07-23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09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765B1 (ko) * 2020-02-18 2021-02-23 주식회사 유후 국가공인자격 소지 가이드를 중개하는 맞춤형 여행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5704B1 (ko) * 2020-03-20 2021-03-12 최지웅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내국인 연계 기반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59074A (ko) 2022-10-27 2024-05-07 김지현 숙박 상품 중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19A (ko) 2006-04-10 2007-10-17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여행상품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902B1 (ko) 2011-01-11 2012-10-30 (주)제이벤투스마이투어 여행 일정 디자인 시스템
KR20130082741A (ko) 2011-12-15 2013-07-22 박재우 소셜 여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1419A (ko) 2006-04-10 2007-10-17 주식회사 지에스홈쇼핑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여행상품 설계 시스템 및 방법
KR101195902B1 (ko) 2011-01-11 2012-10-30 (주)제이벤투스마이투어 여행 일정 디자인 시스템
KR20130082741A (ko) 2011-12-15 2013-07-22 박재우 소셜 여행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8765B1 (ko) * 2020-02-18 2021-02-23 주식회사 유후 국가공인자격 소지 가이드를 중개하는 맞춤형 여행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5704B1 (ko) * 2020-03-20 2021-03-12 최지웅 국내 거주 외국인 및 내국인 연계 기반 관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40059074A (ko) 2022-10-27 2024-05-07 김지현 숙박 상품 중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6461B2 (en) System and method of completing an activity via an agent
US10445665B2 (en) Travel distribution system
US20150242944A1 (en) Time dependent inventory asset management system for industries having perishable assets
US20130191193A1 (en) Shopping plan management
US20130304527A1 (en) Mobile social-business network
US20130304526A1 (en) Methods for cross-selling flights and travel-related goods
KR20200010911A (ko) 여행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3015902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vel booking and management
US119415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ulfilling work tasks via modular autonomous vehicles
US11775884B2 (en) Eligibility predictions for instant booking in an online marketplace
US9430799B2 (en) Mixed banking transactions
CN106462876A (zh) 个人智能平台
KR20200012567A (ko) 여행 공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1169669B1 (en) Onboarding via image procurement process
Onyango E-hailing applications adoption and competitiveness of app-based taxi operators in Nairobi, Kenya
JP70739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90222A1 (en) Integration of image capturing mechanism into ecommerce application
Diaz Baquero Super app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US200702447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rehensive customized umrah travel planning
JP7295720B2 (ja) 配車管理装置及び配車管理方法
KR20220052263A (ko) O2o 기반 후불형 매장을 위한 qr 코드를 이용한 주문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00032977A (ko) 질의응답 형식을 이용한 온라인 광고방법
KR20220009038A (ko) 현지인 여행 플래너 매칭 서비스를 통한 여행 상품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20009039A (ko) 사용자의 위치 정보 및 여행 스케쥴에 기반하여 전자 여행 안내 브로슈어를 제공하는 방법
KR101711554B1 (ko) 여행자간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플랫폼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