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0818A -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 Google Patents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0818A
KR20200010818A KR1020180085359A KR20180085359A KR20200010818A KR 20200010818 A KR20200010818 A KR 20200010818A KR 1020180085359 A KR1020180085359 A KR 1020180085359A KR 20180085359 A KR20180085359 A KR 20180085359A KR 20200010818 A KR20200010818 A KR 20200010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lid
rice cooker
lid body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703B1 (ko
Inventor
김상겸
Original Assignee
김상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겸 filed Critical 김상겸
Priority to KR1020180085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67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0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0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수분배출로 인해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면이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손잡이 꼭지; 및 상기 뚜껑 몸체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손잡이 꼭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Secondary lid for rice cooker to maintain moisture}
본 발명은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수분배출로 인해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가정에서 밥을 짓고 지어진 밥을 장시간 보온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온기능이 있는 전기밥솥을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인 전기밥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 뚜껑(2), 발열부(3), 밥통(4), 및 속뚜껑(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밥을 지을 때는 밥물이 끓으면서 발생한 수증기의 압력에 의하여 속뚜껑(5)을 위로 밀어 올라가고, 속뚜껑의 가운데에 있는 증기배출공(51)이 열려 수증기가 이 증기배출공(51)과 뚜껑(2)의 증기배출구(21)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지어진 밥을 보온상태로 유지할 때는 속뚜껑(5)에 구비되어 있는 압착패킹(52)이 속뚜껑을 아래로 압착하여 증기배출공(51)을 폐쇄하고 속뚜껑(5)과 밥통(4)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여, 밥 속의 수분이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막아 밥이 마르지 않게 한다.
그러나 압착패킹(52)만으로는 증기배출공(51)을 완벽하게 폐쇄하고 속뚜껑(5)과 밥통(4) 사이에 틈이 전혀 생기지 않게 하기에 부족하므로, 보온 중 밥 속의 수분이 도 1의 화살표 표시와 같이 증기배출공(51) 그리고 속뚜껑(5)과 밥통(4) 사이의 틈으로 계속 유실되어 밥이 마르고 딱딱해지면서 누렇게 변색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밥솥을 오래 사용하여 노후화 될 경우, 압착패킹(52)의 밀봉기능이 저하되고 속뚜껑(5)에 변형이 생겨 밥통(4)과 접촉이 불량하게 되어 속뚜껑과 밥통 사이에 틈이 많이 생겨 정도가 더욱 심해진다. 또한, 속뚜껑(5)에는 수증기에 의해서 물방울이 맺혀 있어 뚜껑(2)을 열 때 맣은 물방울이 밖으로 배출되므로 밥이 급속히 마르고 딱딱해지면서 누렇게 변색이 된다.
통상의 보온기능이 있는 전기밥솥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새것은 2 내지 3일, 오래 사용한 것은 하루도 밥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어렵다. 전기 밥솥 또는 전기밥통으로 밥을 장시간 동안 보온상태로 유지할 때 발생하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원인은 보온 중에 밥에서 수분이 유실되고 밥통 뚜껑을 열었을 때 일시에 많은 수분이 유실되기 때문이다.
최근 가족이 핵가족화 되어 가구당 식구 수가 적고, 외식을 하는 경우가 많아, 한번 밥을 지어 놓으면 수일씩 보온상태로 보관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와 같이 밥이 마르고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지어놓은 밥을 먹지 못하고 버리는 경우가 많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밥솥을 완벽하게 밀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밀봉으로 수분의 유실을 막아 밥을 장기간동안 양호한 상태로 보존하려고 하면, 밥솥의 구조가 아주 튼튼하여야 하므로 밥솥이 무거워져서 다루기가 어려워지고, 구조가 복잡해져서 생산원가가 상승하고, 또한 뚜껑(2)을 열고 닫는데 큰 힘이 소요되므로 사용이 불편해지는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뚜껑을 열때 매우 많은 수분이 유실되는데 기존의 방법으로는 해결하기가 어렵다.
국내등록특허 제10-0350541호(전기밥솥의 보습장치)와 국내공개특허 제1999-026891호(전기보온밥솥의 수분공급장치)는 밥솥의 외부에 물 저장고를 두고, 히터로 이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를 만들어 뚜껑을 통하여 밥솥 내부로 공급하는 방안이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밥솥 외부에 초음파 가습기와 동일한 초음파증기발생기를 구비하여 여기에서 발생한 증기를 밥솥 내부로 주입하여 수분을 공급하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분공급장치를 구비한 종래의 밥솥들은 모두 장치가 복잡하고, 고장의 염려가 크고, 물을 수증기로 만드는데 따르는 에너지 소비가 많고, 밥통 외부에 돌출 부분이 있어 매우 불편하고 요철이 많아 구석구석 세척하기가 어려워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그리고 생산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실용성이 떨어진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50541호(2002.08.16.) 공개특허공보 제1999-026891호(1999.04.15.)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기 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수분배출로 인해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밥통 뚜껑을 열 때 유실되는 수분도 거의 없으며,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고, 물을 수증기로 만드는데 따르는 별도의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고, 그리고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실용적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은,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면이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손잡이 꼭지; 및 상기 뚜껑 몸체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손잡이 꼭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손잡이 꼭지와 상기 하부 손잡이 꼭지는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통해 서로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몸체의 하면에는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골(일자형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 몸체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뚜껑 몸체는 무독성 내열 항균/살균 코팅(세라믹, 테플론 등)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전기 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수분배출로 인해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고, 물을 수증기로 만드는데 따르는 별도의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고, 밥통 뚜껑을 열 때 수증기 유실도 거의 없으며, 그리고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전기밥솥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구성이나 하나 이상의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100)은 뚜껑 몸체(110), 상부 손잡이 꼭지(130), 및 하부 손잡이 꼭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뚜껑 몸체(110)는 상면(111)과 하면(112)을 구비하고 있으며, 적어도 뚜껑 몸체(110)의 하면(111)은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가면서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뚜껑 몸체(110)의 하면(112)에는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골(일자형 장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뚜껑 몸체(110)는 원형의 경사판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밥솥의 내부 밥통(4)의 형태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부 손잡이 꼭지(130)는 사용자가 잡고 뚜껑 몸체(1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 몸체(110)의 상면(111)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부 손잡이 꼭지(150)는 사용자가 잡거나 갈고리(미도시)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뒤집어진 뚜껑 몸체(110)를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뚜껑 몸체(110)의 하면(112)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부 손잡이 꼭지(130)와 하부 손잡이 꼭지(150)는 뚜껑 몸체(110)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구멍(115)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데, 이러한 나사 결합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손잡이 꼭지(130)에는 암나사부(또는 수나사부)(131)가 형성되고 하부 손잡이 꼭지(150)에는 수나사부(또는 암나사부)(151)가 형성되고, 상부 손잡이 꼭지(130)와 하부 손잡이 꼭지(150)가 뚜껑 몸체(110)의 중앙에 형성된 결합구멍(150)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어 뚜껑 몸체(110)의 상면(111)과 하면(112)상에 고정되거나, 반대로 나사 결합을 풀어 각기 분리될 수 있다.
하부 손잡이 꼭지(150)에는 갈고리(미도시)와 같은 도구를 꽂을 수 있는 구멍(152)이 형성되어, 뒤집어진 뚜껑 몸체(110)를 갈고리(미도시)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들어 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뚜껑 몸체(110)의 가장자리 둘레에는 실리콘 재질의 커버(170)를 더 끼울 수 있도록 하고, 이와 함께 또는 별도로 밥솥 보조 뚜껑(100)의 크기(지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통(4)의 크기(지름)보다 d(약 0.2mm~0.3mm)만큼 작게 형성함으로써, 밥통(4)내에 밥솥 보조 뚜껑(100)을 넣거나 반대로 빼낼 때 밥통(4)의 내부 코팅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뚜껑 몸체(110)는 무독성 내열 항균/살균의 특성을 갖는 재질(예를 들어, 세라믹, 테플론 등)로 형성되거나, 무독성 내열 항균/살균의 특성을 갖는 코팅재(예를 들어, 세라믹 코팅재, 테플론 코팅재 등)를 뚜껑 몸체(110)의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통(4)내의 밥을 보온 상태로 보관하고자 할 때, 밥통(4)내의 밥 위에 밥솥 보조 뚜껑(100)을 덮어 두면 밥으로부터 배출된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뚜껑 몸체(110)의 하면(112)상에 맺힌 후 경사면을 따라 흐르다가 하부의 밥 위로 떨어져 순환된다. 또한, 밥통 뚜껑을 열 때 유실되는 수분도 거의 없다. 따라서, 전기 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수분배출로 인해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뚜껑 몸체(110)의 하면(112)상에 맺힌 수증기가 하면(112)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골(113)을 따라 중앙부위에서 가장자리 부위로 더 잘 흘러내리다가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뚜껑 몸체(110)의 중앙부위 보다 가장자리 부위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수분이 회수/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밥솥의 장시간 사용 시 온도가 높은 밥통(4)에 가까이 있는 밥 즉, 밥통(4)의 자장자리에 있는 밥이 중앙부의 밥보다 수분 배출이 많아 가장자리의 밥이 가장 먼저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와 같이 가장자리의 밥이 건조해져서 딱딱해지거나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밥솥 보조 뚜껑(100)은 뚜껑 몸체(110), 상부 손잡이 꼭지(130), 및 하부 손잡이 꼭지(150)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 밥솥 내에 장시간 보온 중인 밥의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비교하여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고장의 염려가 없고, 물을 수증기로 만드는데 따르는 별도의 에너지가 소요되지 않고, 돌출 부분이 없어 관리하기가 쉽고 요철이 거의 없어 세척하기가 쉬우며 장치가 밥솥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세균 번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생산비용이 저렴하여 매우 실용적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 전기 밥솥내의 밥통
100: 밥솥 보조 뚜껑
110: 밥솥 몸체
111: 밥솥 몸체의 상면
112: 밥솥 몸체의 하면
113: 골(일자형 장홈)
130: 상부 손잡이 꼭지
150: 하부 손잡이 꼭지

Claims (3)

  1.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면이 중앙으로부터 외곽으로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된 뚜껑 몸체;
    상기 뚜껑 몸체의 상면 중앙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상부 손잡이 꼭지; 및
    상기 뚜껑 몸체의 하면 중앙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하부 손잡이 꼭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손잡이 꼭지와 상기 하부 손잡이 꼭지는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구멍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몸체의 하면에는 경사면의 경사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KR1020180085359A 2018-07-23 2018-07-23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KR10210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359A KR102106703B1 (ko) 2018-07-23 2018-07-23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359A KR102106703B1 (ko) 2018-07-23 2018-07-23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0818A true KR20200010818A (ko) 2020-01-31
KR102106703B1 KR102106703B1 (ko) 2020-05-28

Family

ID=69369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359A KR102106703B1 (ko) 2018-07-23 2018-07-23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67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891A (ko) 1997-09-26 1999-04-15 이영서 전기보온밥솥의 수분공급 장치
KR100350541B1 (ko) 1994-08-20 2002-12-11 엘지전자주식회사 전기밥솥의보습장치
KR20120006802U (ko) * 2011-03-24 2012-10-05 임흥호 손잡이가 두 개 구비된 뚜껑
KR101678966B1 (ko) * 2016-01-21 2016-12-06 박준명 스팀배출구가 없는 에너지 절약형 안전 냄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541B1 (ko) 1994-08-20 2002-12-11 엘지전자주식회사 전기밥솥의보습장치
KR19990026891A (ko) 1997-09-26 1999-04-15 이영서 전기보온밥솥의 수분공급 장치
KR20120006802U (ko) * 2011-03-24 2012-10-05 임흥호 손잡이가 두 개 구비된 뚜껑
KR101678966B1 (ko) * 2016-01-21 2016-12-06 박준명 스팀배출구가 없는 에너지 절약형 안전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6703B1 (ko) 202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10818A (ko)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CN203789739U (zh) 一种电饭煲微压防溢蒸汽阀
CN210408079U (zh) 一种智能锅
KR101269345B1 (ko) 보온 뚜껑 어셈블리
CN206120016U (zh) 一种多用杀菌蒸鸡蛋羹装置
CN106618163B (zh) 一种立体保温电饭煲
CN211625911U (zh) 一种多功能蒸汽烘干机
CN103222797B (zh) 一种电热煲具
CN204654573U (zh) 新型电饭煲
CN208940868U (zh) 一种用于蔬菜消毒的蒸房
CN108338524A (zh) 一种高效保温餐桌
CN211694818U (zh) 蒸汽烘干器
CN212117854U (zh) 一种免焦糊微压力水加热双层金属器皿
JP5527459B2 (ja) 電気炊飯器
CN208404093U (zh) 一种热聚效果好的耐高温陶瓷煲
KR100407794B1 (ko) 전기밥솥
KR200377726Y1 (ko) 스팀청소기의 가열장치
JP4910453B2 (ja) 電気炊飯器
KR0123868Y1 (ko) 전기 압력밥솥
KR200463204Y1 (ko)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KR20080007683A (ko) 보습식 전기보온밥솥
CN103251309A (zh) 一种煮蛋器
KR20000016979U (ko) 이중남비
CN107280190A (zh) 一种密封性能好带有加热器的电热饭盒
KR20020003675A (ko) 에너지 절약형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