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868Y1 - 전기 압력밥솥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밥솥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868Y1
KR0123868Y1 KR2019950010749U KR19950010749U KR0123868Y1 KR 0123868 Y1 KR0123868 Y1 KR 0123868Y1 KR 2019950010749 U KR2019950010749 U KR 2019950010749U KR 19950010749 U KR19950010749 U KR 19950010749U KR 0123868 Y1 KR0123868 Y1 KR 0123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unger
pressure cooker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7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215U (ko
Inventor
송택번
Original Assignee
손용임
주식회사효신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용임, 주식회사효신전기 filed Critical 손용임
Priority to KR20199500107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868Y1/ko
Publication of KR9600362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2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을 관리하여 보온밥통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보온밥통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전기 압력밥솥을 제공할 목적으로;
내부밥솥이 안치되며, 하측으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구가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이의 본체 상측으로 덮혀지며 내측으로 내부뚜껑을 갖는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내부에 밥의 조리 완료시 내부 압력을 배출하고, 그 이후 내부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계속 유지시킬 수 있도록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압력 조절밸브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밥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압력밥솥
제1는 본 고안에 의한 압력밥솥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압력밸브의 단면도
제3 및 제4도는 압력밸브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 압력 조절밸브 18: 하우징
2: 필드코일 조립체 26: 하부캡
30: 고정구 32, 34: 제1, 2 플런져
36, 38: 제1, 2 탄발부재
본 고안은 전기 압력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력밥솥 내부압의 관리하여 보온밥통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압력밥솥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압력밥솥이라 함은 밥을 지을 때 솥 내부의 압력이 높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밥을 빨리 지을 수 있도록 하고, 밥맛을 좋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바, 취사도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력밥솥은 열원으로서 대개 불을 이용하는 것이었으나, 최근에는 전기를 이용하는 압력밥솥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 압력밥솥의 경우에는 단순히 밥솥 기능만으로 개발되어 있는 바, 보온밥통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상에 불편이 있음은 물론 별도의 보온밥통을 구입하여야 한다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압력밥솥의 내부 압력을 관리하여 보온밥통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보온밥통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전기 압력밥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밥솥이 안치되며, 하측으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구가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본체와, 이의 본체 상측으로 덮혀지며 내측으로 내부뚜껑을 갖는 뚜껑체로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밥솥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의 내부에 밥의 조리 완료시 내부 압력을 배출하고, 그 이후 내부 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계속 유시시킬 수 있도록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는 압력 조절밸브를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밥솥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기 압력밥솥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전기 압력밥솥은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본체(2)와, 이의 본체(2) 상측으로 덮혀지는 뚜껑체(4)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본체(2)와 뚜껑체(4)는 닫힘시 밀봉을 유지할 수 있는 소정의 수단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본 고안에서는 일측에 힌지부(6)를 두고, 타측으로 록킹부(8)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상기에서 힌지부(6)와 록킹부(8)의 구성은 공지 기술이므로 구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측 하부에는 전열구(10)가 배치되어 그 위로 내부밥솥(12)이 올려지게 되며, 뚜껑체(4)의 내측에는 상기 내부밥솥(12)을 덮어주는 내부 뚜껑(14)이 배치된다.
상기에서 전열구(10)는 미도시한 제어유닛으로부터 제어되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하여 발열하는 열원이 된다.
이러한 전기 압력밥솥에 있어서, 본 고안은 상기 뚜껑체(4)에 배치되어 내부 밥솥(12)의 내부 압력을 관리하는 압력 조절밸브(16)가 배치하였다.
상기 압력 조절밸브(16)는 제2도에서와 같이, 하우징(18)의 내측 중공부(20)부에 필드코일 조립체(22)가 내장되고, 이의 필드코일 조립체(22)는 원형튜브(24)에 의하여 하우징(18)의 내경부와 격리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튜브(18)는 하우징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하부캡(26)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원형튜브(24)의 하단 플랜지와 하부캡(26) 사이에는 밀봉을 위한 시일링(28)이 개재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8)의 내경부에는 상측으로부터 상측 고정구(30)와, 제1, 2 플런져(32)(34)가 배치되는데, 이들 사이에는 제1, 2 탄발부재(36)(38)가 탄지된다.
상기에서 상측 고정구(30)는 하측으로 대직경부(40)가 형성되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져 하우징(24)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구(42)의 외주면으로 숫나사부(44)가 형성되며, 이의 돌출구(42)는 뚜껑체(4)을 관통하여 너트(46)로 뚜껑체(4)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구(30)와 원형튜브(24) 사이에는 밀봉유지를 위한 시일링(48)이 개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구(3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1 플런져(32)는 중간부에 소직경부(50)를 두고, 그의 상하측이 대직경부(52)(54)로 형성되어 상측 대직경부(52)와 고정구(30)의 대직경부 사이에 제1 탄발부재(36)가 탄지되는데, 이때 고정구(30)와 제1 플러져(32)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33)이 유지되며, 또한 상기 소직경부(50)에는 외주연으로 관통하는 통공(56)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제1 플런져(32)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2 플런져(34)는 중간부 하측에 격벽(58)을 두고 그 상측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의 내경은 제1 플런져(32)의 하측 외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되어 이들 사이로 소정의 틈새(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격벽(58)에 이웃하여 외주연으로 관통하는 통공(62)이 형성되며, 그의 하단에는 하부캡(26)의 돌출구(64) 중앙으로 형성된 통공(6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68)가 매몰된다.
상기에서 통공(62)은 약간의 외측이 내측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는 내부밥솥(12)으로부터 배출되는 압력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개폐구(68)는 내열성과 탄력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되며, 제2 플런져(34)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상기 통공(66)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둘레턱(70)이 형성된다.
상기에서 둘레턱(70)을 형성한 것은 통공(66)을 폐쇄할 때 완벽한 폐쇄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의 형상은 가능한 산각형 돌기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에서 하부캡(26)의 돌출구 외주면에는 상기 상부 고정구(30)와 마찬가지로 숫나사부(72)가 형성되어 내부 뚜껑체(14)를 관통하여 너트(74)로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압력 조절밸브(16)에 있어서, 제1 탄발부재(36)는 필트 코일의 작용력에 의하여 결정이 이루어지는데, 이의 탄발력은 제2 탄발부재(36) 보다는 상당히 크며, 제2 탄발부재(36)의 탄발력은 대략 0.3Kg f/㎠을 기준으로 압출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상기와 같은 압력 조절밸브(16)를 적용한 본 고안의 전기 압력밥솥을 이용하여 밥을 지을 때에는 통상의 압력밥솥을 이용하는 것과 동일하게 한다.
이러한 조리과정에서 물이 끓어서 소정의 압력이상으로 내부 압력이 올라가면 미도시한 전자 제어유닛에서 필드코일 조립체(22)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그러면 솔레노이드 작용에 의하여 제1 플런저(32)가 제1 탄발부재(36)의 탄발력을 극복하면서 제3도에서와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내부밥솥(12)의 내압이 대략 0.9 내지 1,2 Kg f/㎠ 이상일 때 압력 조절밸브가 작동되는데, 단 압력이 상기 압력이상이 되었다고 무조건 작동되는 것은 아니며, 쌀이 익을 시간적 여유를 충분히 고려하여 전자 제어유닛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1 플런져(32)가 상승하면 제2 플런져(34)는 제2 탄발부재(38)에 의해서만 하부캡(26)의 통공(66)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가 되지만 내부의 압력이 크게 상승하였는 바, 이의 압력에 의하여 제2 플런져(34) 또는, 제3도와 같이 상승하여 내부의 압력은 제2, 1 플런져(34)(32)의 통공(62)(5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압력 배출이 이루어진 후에는 다시 제2 플런져(34)가 하강하여 제4도와 같은 상태로 통공(66)을 폐쇄하게 되며, 다시 내압이 규정 압력이상으로 상승하면 제4도의 상태에서 제2 플런져(34)가 상승하여 열리면서 압력을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력 조절밸브(16)는 밥이 지어질 때까지는 밀봉을 유지하고 있다가 밥의 지음이 완료되면 내부 압력을 배출한 후, 제2 탄발부재(38)의 탄발력으로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보온 밥통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보온과정에서는 전열구(10)의 발열이 밥을 지을 때와는 달리 약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 압력밥솥을 보온밥통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에 편리함을 제공하고, 별도의 보온밥통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내부밥솥(12)이 안치되며, 하측으로 전원에 의해 발열하는 전열구(10)가 구비되는 소정의 공간부를 갖는 본체(2)와, 이의 본체(2) 상측으로 덮혀지며 내측으로 내부뚜껑(14)을 갖는 뚜껑체(4)로 이루어지는 전기 압력밥솥에 있어서, 내측 중공부(20)에 전자제어유닛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 받는 필드코일 조립체(22)가 내장되고, 이의 필드코일 조립체(22)는 원형튜브(24)에 의하여 내경부와 격리되는 하우징(18)과; 돌출부(64) 중앙으로 통공(66)이 형성되어 하우징(18)의 하측으로 결합하는 하부캡(26)과; 하측으로 대직경부(40)가 형성되는 원통부재로 이루어지고 돌출구(42)가 하우징(18)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하우징(18)의 내경부 상측으로 배치되는 상측 고정구(30)와; 중간부에 외주연으로 관통하는 통공(56)을 갖는 소직경부(50)를 두고, 그의 상하측이 대직경부(52)(54)로 형성되어 제1 탄발부재(36)를 개재시켜 상기 고정구(3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제1 플런져(32)와; 상기 제1 플런져(32)의 하측 내경부 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며, 중간부 하측에 격벽(58)을 두고 그 상측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격벽(58)에 이웃하여 관통하는 통공(62)이 형성되고, 하단에 하부캡(26)의 돌출구(64) 중앙으로 형성된 통공(66)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구(68)가 형성되어 상기 제1 플런져(32)의 하측에 제2 탄발부재(38)을 개재시켜 배치되는 제2 플런져(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압력 조절밸브(16)을 상기 뚜껑체(4)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밥솥.
KR2019950010749U 1995-05-19 1995-05-19 전기 압력밥솥 KR0123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49U KR0123868Y1 (ko) 1995-05-19 1995-05-19 전기 압력밥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749U KR0123868Y1 (ko) 1995-05-19 1995-05-19 전기 압력밥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15U KR960036215U (ko) 1996-12-16
KR0123868Y1 true KR0123868Y1 (ko) 1998-09-15

Family

ID=19413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749U KR0123868Y1 (ko) 1995-05-19 1995-05-19 전기 압력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8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215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0166B1 (en) Double layered cooking apparatus
KR101697898B1 (ko) 무선 전기 압력밥솥
US20010023866A1 (en) Temperature-preserving electrically heated cooker
JP6017493B2 (ja) エコ調理器具
JPH09322850A (ja) 電気釜
KR0123868Y1 (ko) 전기 압력밥솥
US2024454A (en) Cooking utensil
KR200178478Y1 (ko) 전기밥솥
JP2602631B2 (ja) 加圧加熱調理器
CN208463725U (zh) 节气锅盖的改良结构
JPS5934406Y2 (ja) 電気調理器
KR100515691B1 (ko) 소형 식품 구이기
KR200299303Y1 (ko) 조리용 가열용기
KR960001319Y1 (ko) 열기 저장실을 갖는 주방용 취사용기
CN214048586U (zh) 一种自加热的保温菜罩
KR960010681Y1 (ko) 전기압력밥솥
KR102106703B1 (ko)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KR200223060Y1 (ko) 조리용 용기
JPS636986Y2 (ko)
CN2160306Y (zh) 多功能自控节能营养锅
JPS6041856Y2 (ja) 圧力調理器
JPS5817530Y2 (ja) 圧力鍋
CN2244370Y (zh) 多功能自控节能营养锅
KR960004215Y1 (ko) 온도에 따라서 개폐되는 보온밥솥 증기구
JPH052315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