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04Y1 -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 Google Patents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04Y1
KR200463204Y1 KR2020110011745U KR20110011745U KR200463204Y1 KR 200463204 Y1 KR200463204 Y1 KR 200463204Y1 KR 2020110011745 U KR2020110011745 U KR 2020110011745U KR 20110011745 U KR20110011745 U KR 20110011745U KR 200463204 Y1 KR200463204 Y1 KR 200463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ter
earthenware
side wall
braz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7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봉
Original Assignee
유수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봉 filed Critical 유수봉
Priority to KR20201100117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24B9/02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in open containers, e.g. bain-mari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injection of steam into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기로 제작된 전통 토기 화로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는, 숯을 피울 공간부를 둘러싸며, 서로 이격된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는 측벽;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의 사이에 형성된 물저장부; 상기 측벽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기 물저장부와 연통하는 주입구와 증기배출구를 구비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토기 화로에 담긴 숯의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덥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벽에 수용된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해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관을 설치함으로써 물유동을 통해 증기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Traditional earthenware furnace having humidification function}
본 고안은 화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난방기능과 가습기능을 함께 갖춘 전통식 토기 화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겨울철 난방을 위하여 전기 또는 가스를 이용한 히터나 온풍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자연 친화적이고 전통적인 생활방식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전통 화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놋쇠나 토기로 제작된 전통 화로는 담긴 숯의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덥히데 사용되지만, 숯에 밤 등을 익혀 먹거나 화로에 주전자를 올려 놓고 물을 끓이는 등 다양한 용도를 갖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통 화로는 단순히 실내를 덥히는 용도로만 고안된 것이기 때문에 건조한 실내를 가습시키기 위해서는 화로에 항상 주전자를 올려 놓거나 가습기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난방기능과 가습기능을 함께 갖춘 전통 토기 화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숯을 피울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하는 측벽; 상기 측벽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된 테두리부; 상기 측벽의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주입구와 증기배출구; 상기 측벽의 외벽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며, 양단이 서로 관통되어 있는 고정구; 일단은 상기 고정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저장부의 물속에 침지되며, 상기 물저장부의 수면 위에서 상기 내벽을 따라 1번 이상 감긴 후에 물속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주입관을 포함하는 전통 토기 화로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토기 화로에 담긴 숯의 열기를 이용하여 실내를 덥힐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측벽에 수용된 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로 인해 가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관을 설치함으로써 물유동을 통해 증기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사시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일 실시예 따른 전통 토기 화로에 덮개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를 이중으로 겹쳐서 사용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100)는 도 1의 사시도, 도 2의 평면도 및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한 공간부(110)를 둘러싸는 측벽(120), 측벽(120)의 내부에 형성된 물저장부(130), 측벽(120)의 상단에 형성된 테두리부(140)를 포함한다.
측벽(120)은 서로 이격된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는 이중벽 구조이며, 내벽과 외벽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물저장부(130)가 된다. 따라서 물저장부(130)는 측벽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측벽(120)의 내부에는 이중벽을 지지하는 격벽 등의 지지구조물이 형성될 수도 있다.
측벽(120)은 바깥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부(140)는 측벽(120)의 상단에 형성되어 물저장부(130)를 가리는 역할을 한다. 테두리부(140)는 측벽(120)의 상단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두리부(140)의 상면에는 물을 주입하는 주입구(142)와 수증기를 배출하는 증기배출구(144)가 형성되며, 주입구(142)와 증기배출구(144)는 측벽 내부의 물저장부(130)와 연통된다.
주입구(142)는 물저장부(130)에 물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도록 충분한 직경을 가져야 하며, 증기배출구(144)는 주입구(142)에 비해 훨씬 작은 직경을 가져도 무방하다. 주입구(142)와 증기배출구(144)에는 마개가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의 바닥에는 공간부(110)와 연통하는 통풍구(1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저장부(130)에 물을 주입한 상태에서 공간부(110)에 숯(20)을 피우면 그 열기로 인해 증기가 발생하며, 발생된 증기가 증기배출구(144)를 통해 배출되어 실내를 가습시키게 된다. 또한 물저장부(130)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는 숯(20)에서 과도한 열이 발생하더라도 물이 이를 흡수하므로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가습이 필요 없는 경우에는 공간부(110)에 숯만 피울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관통홀(152)을 가진 덮개(150)를 테두리부(140)에 거치하고, 주전자 등을 덮개(150)에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가적인 가습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100)의 내부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주입관(180)을 설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테두리부(140)의 상면에 양단이 관통된 고정구(170)를 장착하고, 고정구(170)의 하단에 공기주입관(180)을 연결한 후 공기주입관(180)의 하단을 물저장부(130)의 물속에 침지한다.
고정구(170)를 반드시 테두리부(140)의 상면에 장착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테두리부(140)의 측면에 결합하거나, 측벽(140)의 상단, 구체적으로는 외벽의 상단 부근에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일단이 공기펌프(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음)에 연결된 외부공기관(190)의 타단을 고정구(170)에 연결하고 공기를 공급하면, 물저장부(130)의 물속에 공기가 주입되면서 유동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열교환이 촉진되어 증기를 보다 신속하게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기발생량을 더욱 늘릴 수 있다.
물저장부(13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기주입관(180)은 구리 재질의 관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재질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공기주입관(180)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로 인해 수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구(170)의 하단에 연결된 공기주입관(180)을 공간부(110)와 경계를 이루는 내벽을 따라 1회 이상 감은 후에 물속으로 침지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가열된 내벽으로부터 열전달을 받은 공기주입관(180)이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외부에서 주입된 공기가 물속으로 배출되기 전에 공기주입관(180)을 통과하면서 상당한 온도까지 가열된다. 따라서 공기 주입으로 인해 수온이 내려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권취부(185)는 물저장부(130)의 수면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지만, 공기주입관(180)을 수면 밑까지 내벽을 둘레에 감을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10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화로(100a)의 공간부(110)에 제1 화로(100a)보다 작은 크기의 제2 화로(100b)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렇게 함으로써 증기 발생량을 더 늘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통 토기 화로(100)는 흙으로 빚은 토기 제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황토 등으로 제작하면 온열 및 가습 효과는 물론이고 원적외선 방사 등 건강에 이로운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구체적인 적용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도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포함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100: 전통 토기 화로 110: 공간부
120: 측벽 130: 물저장부
140: 테두리부 142: 주입구
144: 증기배출구 150: 덮개
152: 관통홀 160: 통풍구
170: 고정구 180: 공기주입관
185: 권취부 190: 외부공기관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숯을 피울 공간부를 둘러싸도록 흙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서로 이격된 내벽 및 외벽을 구비하는 측벽;
    상기 측벽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벽 및 상기 외벽의 상단과 일체로 연결된 테두리부;
    상기 측벽의 상기 내벽과 상기 외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물저장부;
    상기 물저장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테두리부에 형성된 주입구와 증기배출구;
    상기 측벽의 외벽 또는 상기 테두리부에 장착되며, 양단이 서로 관통되어 있는 고정구;
    일단은 상기 고정구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저장부의 물속에 침지되며, 상기 물저장부의 수면 위에서 상기 내벽을 따라 1번 이상 감긴 후에 물속에 침지되도록 설치되는 공기주입관
    을 포함하는 전통 토기 화로
KR2020110011745U 2011-12-29 2011-12-29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KR200463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45U KR200463204Y1 (ko) 2011-12-29 2011-12-29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745U KR200463204Y1 (ko) 2011-12-29 2011-12-29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204Y1 true KR200463204Y1 (ko) 2012-10-22

Family

ID=4756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745U KR200463204Y1 (ko) 2011-12-29 2011-12-29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0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941Y1 (ko) * 2005-03-11 2005-05-24 정현진 노출형 벽난로
KR101027885B1 (ko) * 2008-10-17 2011-04-07 정금주 전기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4941Y1 (ko) * 2005-03-11 2005-05-24 정현진 노출형 벽난로
KR101027885B1 (ko) * 2008-10-17 2011-04-07 정금주 전기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970079U (zh) 水箱式电蒸锅
KR20120006932U (ko) 조리용 가열기기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CN204202193U (zh) 一种小型加热器
KR200463204Y1 (ko) 가습기능을 가지는 전통 토기 화로
CN207604796U (zh) 一种蒸汽烤箱的加热结构
CN205279158U (zh) 一种可充分利用余热的多功能节能灶
CN209899079U (zh) 一种节能保温蒸锅
CN104688014A (zh) 家用电热式汽化加热器
CN204115001U (zh) 暖气炉及暖气系统
RU95386U1 (ru) Электропечь
CN208222589U (zh) 一种灶用隔热罩及应用有该灶用隔热罩的灶具
CN204987099U (zh) 一种节能型炒菜煲汤两用烹饪炉
CN213664791U (zh) 一种蒸汽发生装置
KR200470189Y1 (ko) 냉각과 보온기능을 갖는 급배기후드
CN202501625U (zh) 一种蓄热加温水箱
KR102106703B1 (ko) 수분 유지를 위한 밥솥 보조 뚜껑
CN201314602Y (zh) 节能增效灶具热水器
CN201727353U (zh) 一种烧水效率非常高的烧水水壶
KR200365200Y1 (ko)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CN205388372U (zh) 竖放储水式热水器
CN207334881U (zh) 一种燃气水暖供暖系统
CN205579678U (zh) 一种柴禾灶保暖水壶
CN201223490Y (zh) 一种取暖装置
CN205306745U (zh) 方便加水的蒸锅
CN205065875U (zh) 一种带加湿的取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