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710A -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710A
KR20200009710A KR1020180084419A KR20180084419A KR20200009710A KR 20200009710 A KR20200009710 A KR 20200009710A KR 1020180084419 A KR1020180084419 A KR 1020180084419A KR 20180084419 A KR20180084419 A KR 20180084419A KR 20200009710 A KR20200009710 A KR 20200009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infant
information
nutrient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952B1 (ko
Inventor
강봉수
권용진
최현
배윤이
이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앤
Priority to KR102018008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9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은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및 상기 보완 식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recommending baby food through nutritional analysis}
본 발명은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영아기는 인간의 성장발달 단계 중 성장률이 가장 높고 체조성, 발육에 큰 변화가 생기는 시기로, 성장발육에 따른 영양 공급이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유아기 또한 소화기능의 발달과 식 행동 자립, 식습관 확립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영유아기의 식생활 및 영양관리는 이후 건강한 성인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기반이 되므로, 양호한 영양상태를 유지하고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영유아기의 식사(모유, 분유, 이유식, 유아식 등)는 성장발달에 필요한 영양 보충의 의미뿐만 아니라, 소화기 및 섭식 기능의 발달, 정서 발달, 올바른 식습관을 확립 등 중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부모의 영유아식에 대한 정보 습득의 경우, 육아 서적 등에 단편적이고 방대하게 서술되어 있거나, 경험에 근거한 정보 등으로 적절성을 판단하고 있는 실정이다.
영유아식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앱은 다양하게 존재하나, 영유아식에 대한 정보는 영유아식 레시피 제공, 아기에게 제공한 영유아식 기록 정도에 국한되어 영유아식의 영양적 적절성 정보 제공이 충분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공개 제2012-0109264호(2012년10월08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 영유아에 적합한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 있어서,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및 상기 보완 식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섭취정보로부터 영양소별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에 기초한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는, 도출된 상기 부족 영양소에 기초하여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정보, 상기 메디컬 정보 및 계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보완 식재료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족 영양소는 복수개가 도출되고, 상기 보완 식재료는 상기 각 부족 영양소에 대하여 복수개가 추천되며, 상기 보완 식재료는 적어도 2개의 식품군으로부터 추천될 수 있다.
상기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보완 식재료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재료 영유아식을 추천하며,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 중에서 식물성 식재료와 동물성 식재료가 혼합된 혼합 영유아식을 추천하며,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완 식재료의 함량이 높은 영유아식을 추천할 수 있다.
추천되는 상기 영유아식은 홈메이드 영유아식 레시피 및 시판 영유아식을 포함하며, 상기 시판 영유아식의 추천에서는 제조사 생산 일정에 따른 주문 가능 여부를 고려할 수 있다.
상기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에서는, 영양소를 에너지 영양소, 성장발달 영양소, 면역/항산화 영양소 및 필수 아미노산 영양소로 나누어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정보 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부족영양소 도출부; 상기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보완 식재료 도출부;및 상기 보완 식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영유아식 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부족 영양소 도출부는, 상기 섭취정보로부터 영양소별 섭취량을 도출하고, 상기 신체정보에 기초한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보완 식재료 도출부는, 도출된 상기 부족 영양소에 기초하여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고, 상기 신체정보, 상기 메디컬 정보 및 계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보완 식재료를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영유아에 적합한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의 추천 방법에서 대상자 정보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서 분석 및 부족영양소 도출 단계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의 추천 방법에서 성장발달 및 체중발달 분석 화면을 예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서 보완 식재료 도출 단계를 자세히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서 영양 분석 결과 화면의 일 예를 예시한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서 영양 분석 결과 화면의 다른 예를 예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추천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추천 시스템(1)은 취득부(10), 분석부(20), 보완 식재료 도출부(30), 영유아식 추천부(40), 출력부(50), 데이터베이스(61, 62, 63) 및 구매부(70)를 포함한다.
취득부(10)는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한다. 취득은 사용자의 정보입력으로 수행되며, 사용자는 대상자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 등일 될 수 있다. 분석부(20)는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한다. 보완 식재료 도출부(30)는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한다. 영유아식 추천부(40)는 보완 식재료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한다. 출력부(50)는 추천된 영유아식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출력부(50)는 영유아식 외에, 부족 영양소 및/또는 보완 식재료를 알려줄 수도 있으며, 분석부(20)의 다양한 분석결과를 알려줄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61, 62, 63)는 모유, 분유 및 영유아식 등에 대한 영양성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데이터베이스(61), 영양별 식재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데이터베이스(62) 및 각종 영유아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데이터베이스(63)를 포함한다.
구매부(70)는 사용자가 추천한 영유아식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추천 영유아식 제시, 상세 정보 제공, 결제 등을 수행한다.
이상의 추천 시스템(1)은 컴퓨터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정보 입력은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용 기기를 통해 화면 상의 정해진 항목에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출력의 대상은 사용자의 컴퓨터 또는 휴대용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을 수행하고 출력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입력과 출력은 유/무선 통신수단(예를 들어, 인터넷)등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분석부(20), 보완 식재료 도출부(30), 영유아식 추천부(40) 및 데이터베이스(61, 62, 63) 중 일부는 다른 일부와 유/무선 통신수단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천 시스템(1)은 아래의 영유아식 추천 방법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식 추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한다(S10). 대상자는 영아 및/또는 유아이다. 정보 취득은 사용자의 정보입력으로 수행되며, 사용자는 대상자 또는 대상자의 보호자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에 표시한 화면을 통해 대상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신체 정보와 메디컬 정보는 영유아의 영양섭취 분석 후 알맞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하다. 신체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성별, 생년월일, 길이(신장) 및/또는 체중을 포함할 수 있다. 메디컬 정보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알레르기 정보 및/또는 특정 질병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영양섭취 분석을 위해 모유수유, 분유수유, 영유아식 섭취 현황에 대한 섭취 정보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며(S20) 대상자 정보 분석을 통해 부족 영양소가 도출된다.
이 단계를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신체 정보를 분석한다(S201).
영유아는 신체 성장이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신체 비율과 체 조성이 크게 변화하는 시기로, 이러한 변화를 고려한 발육상태 평가가 영양 섭취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맞춤형 영양 섭취 분석을 위해 영유아의 신장, 체중 등의 신체 정보와 메디컬 정보를 취득하여 영양 및 건강 상태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영유아의 발육상태 평가는 질병관리본부의 도 5와 같이 소아-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백분위 곡선을 적용하여 평가할 수 있다. 또한, 개월 수에 따라 작성된 개인의 수치에 따라 성장도표에 표시하고, 월별 수치를 누적하여 영양 부족, 불량, 성장부진, 비만 상태 등을 평가한다.
성장도표는 영유아의 성별에 따라 여아, 남아로 구분하여 제시(출력)한다.
이상의 신체정보 분석에서는 메디컬 정보를 같이 분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섭취정보 분석(S202)을 진행한다.
모유는 모유 수유시간 혹은 수유량을 기록하여 총 섭취량을 계산한다. 모유 영양성분 DB 혹은 개별 모유영양성분 DB를 활용하여 모유 섭취를 통한 영양 섭취량을 분석한다. 모유분석서비스를 통해 분석된 개인별 모유의 영양성분 데이터를 적용하면 보다 적합한 영양 섭취 분석 결과를 제공(출력)할 수 있다.
분유는 시판 분유의 종류를 선택하고, 섭취량을 입력하여 총 섭취량을 계산하며, 분유 영양성분 DB를 활용하여 분유 섭취를 통한 영양 섭취량을 분석한다.
영유아식 섭취 분석은 산모의 상황에 따라 시판 영유아식을 활용하거나 홈메이드 영유아식을 만들어 먹이는 경우 등 영유아식 제공 경로가 다양하여, 다양한 경우를 고려해 섭취 기록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홈메이드 영유아식을 활용하는 경우, 각 식재료의 종류와 양을 입력하여 총 섭취량을 계산하며, 식재료 영양성분 DB를 활용하여 영유아식 섭취를 통한 영양 섭취량을 분석한다.
시판 영유아식을 활용하는 경우, DB를 활용하거나 시판 영유아식 제품명을 검색하고 종류와 양을 입력하여 영양소의 총 섭취량을 계산한다.
섭취량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과 같은 열량영양소와, 비타민류, 무기질류의 영양 성분 섭취량 등으로 세분화되어 분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신체정보 분석과 섭취량 분석은 순서가 변경될 수 있다.
이후 섭취량과 권장량을 비교한다(S203).
계산된 섭취량과 권장량(권장/충분섭취량)을 비교한다. 비교는 영양소 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권장량은 신체정보 및 메디컬 정보를 고려하며 대상자 별로 상이할 수 있다.
영양소 항목은 다양한 방식/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칼슘, 비타민D,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엽산, 철, 아연,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C, 식이섬유, 루신, 페닐알라닌, 리신, 발린, 트립토판, 아이소루신, 메티오닌, 히스티딘, 트레오닌, 아르기닌 등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부족 영양소를 도출한다(S204).
분석결과로부터 영양소 별로 부족/양호/충분을 판단하며 부족 비율이 높은 영양소를 선별한다. 도출되는 부족 영양소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개 내지 5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보완 식재료를 추천한다(S300).
보완 식재료 추천을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출된 부족 영양소를 보완할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한다(S301).
DB에는 각 식재료에 대해 영양 분석 결과에 따른 영양소 함유 기준의 추천이 가능하도록 성분, 기능에 따라 대표 영양 키워드 3~5개가 설정되어 있다. 도출된 부족 영양소와 각 식재료의 영양 키워드를 활용하여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한다.
이후 1차 보완 식재료를 필터링한다(S302).
영양소를 기준으로 도출된 1차 보완 식재료는 맞춤형 추천을 위해 성별, 생년월일, 길이(신장), 체중 등의 기본 신체 정보와 알레르기 등의 메디컬 정보 등을 활용하여 추가 필터링 과정을 거치고, 마지막으로 계절이 지정된 식재료는 분석 당시의 계절에 적합도에 따라 필터링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체 정보 및 메디컬 정보를 활용한 필터링 전에 계절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신체 정보 및 메디컬 정보를 활용한 필터링, 계절 고려 및 식품군 고려의 순서는 변경되거나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식품군을 고려하여 보완 식재료를 최종 도출한다(S303).
DB에는 각 식재료가 식품군으로 분류되어 있다. 식품군은 곡류, 서류, 두류, 육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생선류, 견과류, 난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품군의 중복을 피하고 다양한 식품군을 제안하기 위해 설정된 복수의 식품군에서 보완 식재료를 도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각 부족 영양서 별로 복수의 식품군에서 보완 식재료를 최종 도출한다.
보완 식재료는 부족 영양소 별로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완 식재료는 부족 영양소 별로 3개 내지 5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영유아식을 추천한다(S400).
본 발명에서의 영유아식은 이유식, 유아식(모유, 분유 포함)과 같은 식사형태뿐 아니라, 영유아기에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식품을 형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영유아식은 영유아가 섭취가능한 간식(퓨레, 과자, 음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유아식 추천에서는, 먼저, 도출된 보완 식재료 중 2개 혹은 3개의 식재료를 포함하는 영유아식(다재료 영유아식)을 추천한다.
이 경우 보완 식재료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보완 식재료가 당근, 브로콜리, 감자, 쇠고기, 팽이버섯, 시금치, 완두콩인 경우, 추천 영유아식은 쇠고기 당근 영유아식, 브로콜리 감자 영유아식 등을 추천한다.
다재료 영유아식이 복수인 경우 식물성 식재료 + 동물성 식재료가 혼합된 형태의 영유아식(복합 영유아식)을 더 우선적으로 추천한다. 복합 영유아식이 다수인 경우, 보완 식재료의 식품군(곡류, 서류, 두류, 육류, 채소류, 과일류, 해조류, 생선류, 견과류, 난류 등)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구성된 영유아식을 추천한다.
다만, 다재료 영유아식이 없는 경우에는 단일 보완 식재료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한다. 예를 들어, 보완 식재료가 당근, 시금치, 완두콩인 경우, 당근감자영유아식, 시금치쇠고기영유아식 등을 추천한다. 이때 다른 추천 영유아식에서 부족 영양소가 보완되지 못한 부족 영양소를 제공할 수 있는 영유아식을 추천하고, 보완 식재료 함량(g)이 더 높은 영유아식을 우선 추천한다.
추천 영유아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3개 내지 7개일 수 있다. 추천 영유아식은 섭취방법 및 섭취량 등의 추가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천하는 영유아식은 가정에서 만든 홈메이드 영유아식에 대한 레시피이거나 시판 영유아식일 수 있다.
시판 영유아식의 추천에서는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사전에 입력된 시판 영유아식 추천 기준 설정(유기농(전체 유기농 식재료, 일부 유기농 식재료, 일반), HACCP(제조사 HACCP 인증 유무), 가격, 형태(홈메이드형(시판 냉장, 냉동 영유아식 등), 레토르트형, 동결건조형, 수입 멸균 영유아식 등), 선호 브랜드(매일, 남양, 베베쿡, 짱죽, 풀무원 등), 식재료 원산지(국산, 수입 혼합 등))에 따라 제조사의 제조 및 생산 일정을 고려하여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는 미리 입력되어 있을 수 있다.
추천 영유아식을 사용자가 사용한 경우(시판 영유아식의 경우에는 구매 기록)은 자동 기록되어 섭취 정보로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에서 필요 정보를 출력한다(S500).
출력되는 필요 정보는 추천 영유아식을 포함하며, 신체/메디컬/섭취분석결과, 부족 영양소 및/또는 보완 식재료가 추가될 수 있다.
이중 신체/메디컬/섭취 분석 및 부족 영양소 분석에 대해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섭취정보 등의 분석 결과는 크게 기간별로(오늘, 1주일, 2주일, 한 달) 종합하여 평가 결과를 나타내며,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방식은 1)영양점수, 2)그래프(권장섭취량, 충분섭취량 대비 섭취량 비율), 3)영양소별 부족, 양호, 충분 체크 표시 등이 있다.
기간별 평가를 나타내는 기간은 오늘, 1주일, 2주일, 한 달을 기준으로 하며, '오늘' 기준은 자정 12시를 기준으로 섭취한 결과를 반영하며, '1주일' 기준은 당일을 제외한, 과거 7일 동안 섭취한 결과의 평균치를 반영, '2주일' 기준은 당일을 제외한 과거 14일 동안 섭취한 결과의 평균치를 반영, '한 달' 기준은 당일을 제외한 과거 30일 동안 섭취한 결과의 평균치를 반영한다. 사용자의 기록 혹은 영유아의 개월 수가 해당 기간을 반영하지 못 할 경우 결과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영양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하며, 점수 계산은 카테고리별 영양소 섭취량의 평균에 비중을 곱하여 계산할 수 있다. 카테고리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나, 에너지, 성장발달, 면역항산화 및 필수아미노산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에너지'카테고리의 권장량 대비 섭취 비율이 88%, '성장발달' 카테고리의 권장량 대비 섭취 비율이 71%, '면역항산화' 카테고리의 권장량 대비 섭취 비율이 84%로 가정하였을 때, '에너지' 카테고리의 비중 40%, '성장발달' 카테고리의 비중 30%, '면역항산화' 카테고리의 비중 30%를 곱하고 합산하여 점수화한다.
그래프 결과는 도 7과 같이 영양소별 권장섭취량, 충분섭취량 대비 실제 섭취 비율(%)을 나타낼 수 있다.
그래프 결과는 영유아기의 성장 특징에 따라 카테고리를 구분하며, 크게 에너지 영양소(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등), 성장발달(칼슘, 비타민D,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B6, 엽산 등), 면역&항산화(철, 아연, 레티놀, 베타카로틴, 비타민A, 비타민E, 비타민C, 식이섬유 등), 필수아미노산(루신, 페닐알라닌, 리신, 발린, 트립토판, 아이소루신, 메티오닌, 히스티딘, 트레오닌, 아르기닌)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해당 카테고리는 영양소의 섭취량에 따른 결과 상세표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영양소 섭취량에 따른 결과 상세표에서, 섭취량 적절성 판정에 대하여, 도 8과 같이 섭취권장량의 70% 미만 섭취 시 '부족', 70~90% 섭취 시 양호, 90% 이상 섭취 시 '충분'으로 평가하고, 부족 판정의 영양소는 빨강색, '양호' 판정의 영양소는 노랑색, '충분' 판정의 영양소는 초록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제공 방법 및 형식에 의해 사용자는 대상자의 영양 상태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후 사용자가 추천된 영유아식을 선택/주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0)

  1.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에 있어서,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및
    상기 보완 식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섭취정보로부터 영양소별 섭취량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신체정보에 기초한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는,
    도출된 상기 부족 영양소에 기초하여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단계와;
    상기 신체정보, 상기 메디컬 정보 및 계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보완 식재료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 영양소는 복수개가 도출되고,
    상기 보완 식재료는 상기 각 부족 영양소에 대하여 복수개가 추천되며,
    상기 보완 식재료는 적어도 2개의 식품군으로부터 추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보완 식재료를 2개 이상 포함하는 다재료 영유아식을 추천하며,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이 복수인 경우에는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 중에서 식물성 식재료와 동물성 식재료가 혼합된 혼합 영유아식을 추천하며,
    상기 다재료 영유아식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보완 식재료의 함량이 높은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추천되는 상기 영유아식은 홈메이드 영유아식 레시피 및 시판 영유아식을 포함하며,
    상기 시판 영유아식의 추천에서는 제조사 생산 일정에 따른 주문 가능 여부를 고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에서는,
    영양소를 에너지 영양소, 성장발달 영양소, 면역/항산화 영양소 및 필수 아미노산 영양소로 나누어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방법.
  8. 영양정보 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신체정보, 메디컬정보 및 섭취정보를 포함하는 대상자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상기 대상자 정보를 분석하고 부족 영양소를 도출하는 부족영양소 도출부;
    상기 부족 영양소를 보충할 수 있는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는 보완 식재료 도출부;및
    상기 보완 식재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을 추천하는 영유아식 추천부를 포함하는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족 영양소 도출부는,
    상기 섭취정보로부터 영양소별 섭취량을 도출하고, 상기 신체정보에 기초한 권장량 대비 상기 영양소별 섭취량을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식재료 도출부는,
    도출된 상기 부족 영양소에 기초하여 1차 보완 식재료를 도출하고,
    상기 신체정보, 상기 메디컬 정보 및 계절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1차 보완 식재료를 필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식 추천 시스템.
KR1020180084419A 2018-07-20 2018-07-20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13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19A KR102131952B1 (ko) 2018-07-20 2018-07-20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419A KR102131952B1 (ko) 2018-07-20 2018-07-20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710A true KR20200009710A (ko) 2020-01-30
KR102131952B1 KR102131952B1 (ko) 2020-07-09

Family

ID=6932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419A KR102131952B1 (ko) 2018-07-20 2018-07-20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725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유비무환 영유아의 영양 및 소화흡수 상태 모니터링에 의한 맞춤형 hmr 이유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814A (ko) * 2008-09-05 2010-03-15 고시환 온/오프라인을 통한 맞춤영양관리 및 식단제공장치와 방법
JP2011507548A (ja) * 2007-12-31 2011-03-1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小児用食品の栄養上適切なメニュー
KR20120109264A (ko) 2011-03-28 2012-10-08 한국식품연구원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103738A (ko) * 2013-02-19 2014-08-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섭취 영양소 연산 및 평가 방법
KR101466626B1 (ko) * 2013-06-24 2014-11-28 주식회사 비디스낵 식품 평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14711A (ko) * 2013-07-30 2015-02-09 (주)이투힐 식이요법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1299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풀무원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61741B1 (ko) * 2016-05-17 2017-07-26 (주)랩투마켓 Bomp 기반 음식 메뉴 분석 추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7548A (ja) * 2007-12-31 2011-03-10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小児用食品の栄養上適切なメニュー
KR20100028814A (ko) * 2008-09-05 2010-03-15 고시환 온/오프라인을 통한 맞춤영양관리 및 식단제공장치와 방법
KR20120109264A (ko) 2011-03-28 2012-10-08 한국식품연구원 모바일 기반의 개인 맞춤형 추천식품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40103738A (ko) * 2013-02-19 2014-08-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섭취 영양소 연산 및 평가 방법
KR101466626B1 (ko) * 2013-06-24 2014-11-28 주식회사 비디스낵 식품 평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014711A (ko) * 2013-07-30 2015-02-09 (주)이투힐 식이요법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60121299A (ko) * 2015-04-10 2016-10-19 주식회사 풀무원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61741B1 (ko) * 2016-05-17 2017-07-26 (주)랩투마켓 Bomp 기반 음식 메뉴 분석 추천 시스템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로그, "다이어트 어플, 런타스틱 발란스앱으로 영양성분까지 체크하자" (2017.10.30.) <URL: https://blog.naver.com/foxiong/221128343166> 1부.*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1725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유비무환 영유아의 영양 및 소화흡수 상태 모니터링에 의한 맞춤형 hmr 이유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WO2022114439A1 (ko) * 2020-11-24 2022-06-02 주식회사 유비무환 영유아의 영양 및 소화흡수 상태 모니터링에 의한 맞춤형 hmr 이유식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952B1 (ko) 2020-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ubarac Ultra-processed foods in Canada: consumption, impact on diet quality and policy implications
Dyett et al. Vegan lifestyle behaviors. An exploration of congruence with health-related beliefs and assessed health indices
Padget et al. Dietary intakes at child-care centers in central Texas fail to meet Food Guide Pyramid recommendations
TWI549650B (zh) 飲食控管系統及方法
Verly-Jr et al. The cost of eating more sustainable diets: A nutritional and environmental diet optimisation study
Mukherjee et al.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of school children in Pune city, Maharashtra, India
CN112348692A (zh) 一种基于消费者健康所需各营养素需求量的订单农业系统
Bean et al. Salad bars increased selection and decreased consump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1 month after installation in Title I elementary schools: A plate waste study
JP7096056B2 (ja) 買い物支援システム、買い物支援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ユーザ端末。
dos Santos Barroso et al. Relationship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parental eating habits with children's food intake in a population-based study in a metropolitan area of Brazil
Theron et al. Inadequate dietary intake is not the cause of stunting amongst young children living in an informal settlement in Gauteng and rural Limpopo Province in South Africa: the NutriGro study
Patton et al. The cost of a healthier diet for young children with type 1 diabetes mellitus
Jordão et al. Vitamin E intake and food sources in adolescent diet: A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KR102131952B1 (ko)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National Food Chain Safety Office, Hungary et al. Hungarian national food consumption survey on toddlers and other children
CN113506605B (zh) 一种面向托幼机构满足群体性幼儿营养膳食要求的推荐系统及方法
Thimmayamma et al. Dietary assessment as part of nutritional status
Dubois et al. Higher intakes of energy and grain products at 4 years of age are associated with being overweight at 6 years of age
Gunn Food choice motivations of adolescent females in New Zealand
Saxena et al. Malnutrition among school children of Lucknow
JP2024521326A (ja) 時間制限摂食レジメンの不十分な栄養摂取を軽減するための栄養組成物及び方法
US20210257079A1 (en) Recommend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nutrition-related commodity
CN117396975A (zh) 营养组合物和减轻限时进食方案的营养摄入不足的方法
JPH0950426A (ja) 栄養管理システム
Gurjar et al. Assessment Dietary of Geriatric Male Residing in Old Age Home: A Case study of Udaipur Ind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