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1299A -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1299A
KR20160121299A KR1020150051140A KR20150051140A KR20160121299A KR 20160121299 A KR20160121299 A KR 20160121299A KR 1020150051140 A KR1020150051140 A KR 1020150051140A KR 20150051140 A KR20150051140 A KR 20150051140A KR 20160121299 A KR20160121299 A KR 20160121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
food
unit
evaluation
evalu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8113B1 (ko
Inventor
남기선
안윤
이상윤
여익현
황주심
전봉영
이창원
권혁희
남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풀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풀무원
Priority to KR1020150051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8113B1/ko
Publication of KR2016012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8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8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는 식단 정보 수신부,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부 및 상기 식단 평가부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평가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 혈당부하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Menu Evaluating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ding Medium}
본 발명은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혈당지수 및 혈당부하에 따라 식품군을 세부적으로 분류한 평가 기준에 따라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식단의 서구화와, 불규칙한 식사, 운동부족으로 인한 각종 질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당뇨병, 고혈압, 천식, 비만 등의 만성질환들은 유전적인 요인을 제외하면 대부분 잘못된 식습관의 누적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만성질환의 경우 약물요법만을 수행할 경우 약물의 장기 복용에 의한 내성이 생겨 약물의 투여량이 많아지게 되고, 약물에 의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요법에 의한 치료의 한계는 이미 알려져 있고,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최근 식이요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편, 대한 당뇨병 학회에서는 표준 식품교환표를 제공하고 있는데, 이러한 식품교환표는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고 있는 식품들의 영양소의 구성이 비슷한 것끼리 6가지 식품군으로 나누어 묶은 표이다. 각 칼로리별로 균형잡힌 당질(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함유되도록 각 식품군의 양을 교환 단위수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열량 섭취량 및 혈당 조절, 포화지방 섭취 저감화 식사 구현을 가능케 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는 식단 정보 수신부,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부 및 상기 식단 평가부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평가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 혈당부하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상기 식품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식품군별 열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부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각 식품군별 함량 과잉, 함량 부족 또는 적정 함량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이 적정한 경우 상기 식단을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 출력부는 상기 각각의 식품군 내에서 교환 가능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는 식단 정보 수신 단계,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단계 및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평가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 혈당부하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상기 식품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식품군별 열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각 식품군별 함량 과잉, 함량 부족 또는 적정 함량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이 적정한 경우 상기 식단을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결과 출력 단계에서는 상기 각각의 식품군 내에서 교환 가능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량 섭취량 및 혈당 조절, 포화지방 섭취 저감화 식사 구현을 가능케 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식품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18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된 식단에 포함되는 식품군의 단위수, 열량 및 영양소 함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1880kcal 식단 예의 각 식품군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식단 열량별 각 식품군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을 통한 식단 평가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식품교환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100)은, 식단 정보 수신부(110), 식단 평가부(120) 및 평가 결과 출력부(130)를 포함한다.
식단 정보 수신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한다. 식단은 식사를 어떻게 할지를 계획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식사하는 사람의 열량과 영양소 필요량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음식의 종류와 분량을 정하고, 기호를 고려하여 식품을 선택하고 조리하는 모든 과정에 대한 계획이다.
식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이 포함될 수 있으며, 식단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하는 상기 식단 정보는 상기 식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식품에 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식단 정보에는 상기 식단을 구성하는 각각의 식품의 종류 또는 이름, 상기 각각의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정보에는 상기 식단에 포함되는 식품의 중량에 관한 정보 및/또는 상기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재료의 중량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식단 평가부(120)는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한다. 식단 평가부(120)는 상기 식단 정보 수신부(110)가 수신한 상기 식단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식단 정보를 상기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 혈당부하(Glycemic Load, GL)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혈당지수(GI)는 일정한 양의 시료식품 탄수화물을 섭취한 후의 혈당 상승 정도를 같은 양의 표준 탄수화물 식품을 섭취 후의 혈당 상승 정도와 비교한 값을 말하며, 이에 따라 혈당지수(GI)가 높은 식품과 낮은 식품을 분류한다.
혈당부하(GL)는 혈당지수(GI)와 탄수화물 함유량을 함께 고려한 식품의 혈당 상승 정도를 나타낸 척도이다.
혈당지수(GI)는 식품 속에 함유된 탄수화물 50g을 섭취한 직후 그 수치를 얻을 수 있는데, 50g의 탄수화물을 얻을 정도로 섭취되는 식품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식품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당근의 혈당지수(GI)를 알기 위해서는 450g의 당근을 섭취해야 하는데 실제로 한번에 450g의 당근을 섭취하는 경우는 흔치 않다.
혈당부하(GL)는 1회 분량을 섭취할 경우 당 수치가 증가하는 정도를 측정한 수치로서, 혈당부하(GL)는 혈당지수(GI)와 식품의 1회 섭취 분량에 함유된 탄수화물의 양을 동시에 고려하기 때문에 혈당지수(GI)만 고려하는 것보다 식단 편성에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식품군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식단 평가부(120)에서 식단 평가의 도구로 사용되는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상술한 바와 같이 혈당지수(GI)와 혈당부하(GL)에 따라 분류되는 식품군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되는 표에는 위와 같은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12가지의 식품군이 포함된다. 상기 12가지의 식품군은 전분류, 통곡류, 당류, 전분채소류, 채소류, 고당과일류, 과일류로 구분되는 탄수화물, 동물성-고지방, 동물성-저지방, 식물성으로 구분되는 단백질 및 고체지방, 액체지방으로 구분되는 지방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 및 방법에서 사용하는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GI) 및 혈당부하(GL)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2를 참조하면 혈당지수(GI)에 따라 곡류는 전분류와 통곡류로 분류된다. 여기서 통곡류는 혈당지수(GI)가 70 미만인 곡류를 의미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되는 표는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을 구성하는 복수의 식품군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상기 12가지의 식품군 및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열량, 영양소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의 보다 상세한 예시는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평가 결과 출력부(130)는 상기 식단 평가부(120)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한다. 평가 결과 출력부(130)는 식단 평가 결과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결과 출력부(130)는 상기 식단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식단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분류된 각각의 식품군별 함량 및 열량과 상기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된 각 식품군의 적정 함량 여부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18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된 식단에 포함되는 식품군의 단위수, 열량 및 영양소 함량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표는 18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된 식단 평가 기준을 나타낸다. 도 3의 표의 좌측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12가지의 식품군이 기재된다. 단위 열량은 1회 섭취되는 영양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열량을 나타내며, 단위수는 해당 식품군이 제공되는 횟수를 의미한다.
전분류의 경우 1회 제공되는 분량을 통해 제공되는 단위 열량은 100kcal이고, 1800kcal 기준으로 총 3회 제공되었을 때 300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채소류의 경우 1회 제공되는 분량을 통해 제공되는 단위 열량은 15kcal이고, 1800kcal 기준으로 총 9회 제공되었을 때 135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단위 열량은 하나의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에 관계없이 일정한 값을 갖게 되며, 단위수의 변화에 따라 각각의 식품군을 통해 제공되는 열량의 합이 상기 하나의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이 된다. 따라서, 10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되는 식단 평가 기준에 포함되는 식품군들의 단위수는 도 3에 도시되는 식단 평가 기준의 단위수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600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식단에서는 도 3의 표를 통해 제시되는 단위수의 1/3만큼의 단위수가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표를 참조하면, 각각의 식품군에 따라 제공되는 영양소가 도시되는데, 상기 영양소는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포화지방, 불포화지방, 식이섬유 및 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 300kcal의 전분류를 섭취하는 경우에는 69g의 탄수화물과 6g의 단백질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구성되는 식단으로 총 1810kcal의 열량을 섭취하는 경우 제공되는 상기 영양소의 구성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식단 평가부(120)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은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기능하며, 상기 영양소의 열량 구성은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이 각각 60%, 20% 및 20%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구성 비율은 5% 이내의 오차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에너지 공급원으로서의 영양소의 구성 비율 및 오차 비율은 상기 식단을 제공받는 사람의 영양 상태, 지향하는 식습관 등을 고려하여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에 기재되는 수치를 통해 산출된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은 각각 286g, 83g 및 41g이다. 한편, 1g당 발생되는 열량은 대략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이 각각 4kcal, 4kcal 및 9kcal 이므로, 이들의 열량 비율은 62:18:20으로 60:20:20에서 허용 오차 비율 내의 값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식단 평가부(120)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포화지방의 섭취는 전체 에너지의 7% 이하가 되고, 당류의 섭취는 전체 에너지의 20%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포화지방보다 불포화지방 섭취가 권장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되는 식단 평가 기준은 위와 같은 영양소 섭취 기준을 고려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체 열량에 대한 포화지방의 열량 비율은 약 6.8%이고, 당류의 열량 비율은 약 13.2%로서 각각 7% 이하, 20% 이하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도 3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식단 평가 기준은 설명을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이 반드시 위와 같은 수치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방에 비해 단백질의 섭취가 중요한 사람의 경우에는 단백질의 섭취량이 더 많은 식단 평가 기준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류의 섭취를 줄여야 하는 사람의 경우에는 20% 보다 낮은 기준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도 3의 표는 하나의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열량이 총 1800kcal인 경우를 예로써 나타내는 것으로서, 상기 총 열랑은 반드시 1800kcal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하나의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에 따라 복수개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끼의 식단의 경우에는 600kcal~800kcal 정도의 총 열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 3의 단위수가 600kcal~800kcal에 대한 1800kcal의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동일한 식습관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된 식단 평가 기준의 경우에는 상기 단위수의 변화가 있을 뿐,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 총 열량에 대한 포화지방 및 당류의 열량 비율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다.
식단 평가부(120)는, 식단 정보 수신부(110)를 통해 입력된 식단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식단 평가부(120)는 산출된 총 열량에 따라 적합한 식단 평가 기준을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각 식품군별 제공되는 열량이 산출되므로, 식단 평가부(120)는 상기 식단에 포함되는 각 식품군별 열량과 상기 선택된 식단 평가 기준에 따른 열량을 비교하여 수신된 식단 정보가 적합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단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식품은 각각의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와 양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으며, 식품의 종류와 양에 따른 각각의 재료의 종류와 양에 대한 정보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식단 평가부(120)는, 수신된 식단 정보에 포함되는 식품의 종류와 양을 추출하고, 추출된 식품의 종류와 양에 따라 사용되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재료의 종류와 양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재료의 종류와 양에 따라 해당 식품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영양소의 양을 계산하고, 최종적으로는 전체 식단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영양소의 양 및 열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4는 1800kcal 식단 예의 각 식품군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18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되는 식단의 경우의 단위수 및 상기 단위수의 허용 범주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위수는 도 3과 동일하며, 허용 범주는 단위수에서 대략 -20% 내지 +40% 구간에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허용 범주는 식단을 제공받는 대상자의 특성, 식재료 수급 현황, 대상자의 기호 및/또는 식품군별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식단 전체 열량에 따른 각 식품군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각 식품군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를 식단의 전체 열량에 따라 변환한 표로서, 800kcal, 700kcal 및 6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다. 도 4는 1800kcal를 기준으로 작성된 표로서, 600kcal 기준 단위수 및 허용 범주는 도 4의 단위수와 허용 범주의 1/3의 수치를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700kcal 및 800kcal의 경우에는 600kcal의 단위수 및 허용 범위에 각각 7/6, 4/3의 수치를 갖는 단위수 및 허용 범주를 갖는다.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상기 허용 범주는 식사 대상자의 기호 및 식재료 수급 현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수치이기는 하나,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기준이 지향하는 식습관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설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설정되는 단위수에서 지나치게 넓은 범위의 허용 범주를 설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시스템을 통한 식단 평가 결과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식단은 돈까스로서, 약 620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돈까스를 만드는데 필요한 재료와 각각의 재료의 양이 도시된다. 좌측에 도시되는 재료의 종류와 양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기준을 구성하는 12가지의 식품군의 환산 단위수를 산출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되는 돈까스는 약 620kcal의 열량을 제공하므로 총 600kcal를 기준으로 하는 식단 평가 기준에 따른 단위수를 고려하여 도 6의 식단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해 식단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한 결과, 전분채소류와 고당과일류를 제외한 모든 식품군에서 공급 과잉 또는 공급 부족의 결과가 도출된다. 따라서, 좌측에 도시되는 재료를 이용하여 600kcal 기준의 식단을 만드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식단 평가 기준에 부합하지 않으며, 지향하는 식습관을 유도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식단 평가부(120)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식단의 적합성 여부를 평가할 수 있으며, 반드시 12가지의 식품군 모두 단위수를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식단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곡류, 채소류,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총 8개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식단을 적합한 식단으로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식단을 제공받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꼭 충족해야 할 권장 식품군을 설정하고, 설정된 권장 식품군을 포함하여 소정 개수 이상의 식품군의 단위수가 충족되면 해당 식단을 적합한 식단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7은 식품교환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식품교환표는 일상 생활에서 섭취하고 있는 식품들의 영양소의 구성이 비슷한 것끼리 일정 개수의 식품군으로 나누어 묶은 표이다. 각 칼로리별로 균형잡힌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이 함유되도록 각 식품군의 양을 교환 단위수로 나타낸 것이다.
교환단위란 한 식품군 내에서 서로 교환하여 먹을 수 있는 기준량을 의미하는 것으로, 1회의 섭취량이나 거래단위 등을 기준으로 영양소 함량 및 칼로리가 동일하도록 정해진 양이다. 예를 들어, 곡류군의 1 교환단위는 탄수화물 23g 및 단백질 2g을 함유하여 100kcal의 열량을 가지는 양으로서, 쌀밥 70g, 밀가루 30g, 감자 130g 등이 된다.
종래의 식품교환표를 구성하는 식품군은 곡류, 어육류, 채소, 지방, 우유 및 과일로서 총 6개의 식품군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교환표는 질환 예방 및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적 요소를 고려하여 총 12가지의 식품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교환표는 혈당지수(GI), 혈당부하(GL) 및 포화지방 함량을 고려하여 종래의 식품교환표를 구성하는 식품군을 보다 세분화하고 재분류한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식품교환표에서 곡류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교환표에서 전분류와 통곡류로 세부적으로 분류되며, 전분류는 혈당지수(GI)가 70 이상인 곡류를 의미하고, 통곡류는 혈당지수(GI)가 70 미만인 곡류를 의미한다.
또한,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지방을 고체지방으로, 포화지방산 대비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지방을 액체지방으로 분류함으로써, 종래에 단순히 지방으로 분류되던 식품군을 세부적으로 나누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100kcal의 열량을 제공하는 전분류의 예로서, 백미/도정곡밀/밀가루/전당면은 30g, 수제비 90g, 감자 100g, 도토리묵 200g 그리고 떡은 50g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식품들이 전분류의 1 교환단위가 될 수 있으며, 도 7의 식품교환표에 기재되는 수치들은 참고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반드시 도 7의 수치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식단을 제공받는 사람의 영양 상태 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단 평가 방법은, 식단 정보 수신 단계(S110), 식단 평가 단계(S120) 및 평가 결과 출력 단계(S130)를 포함한다.
식단 정보 수신 단계(S110)에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고,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한다.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GI), 혈당부하(GL)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한다.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2개의 식품군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식품군은 혈당지수(GI), 혈당부하(GL) 및/또는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다.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하나의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에 따라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식단 평가 기준은 각각의 식품군이 제공하는 단위 열량은 동일하되 상기 식단을 통해 제공되는 총 열량에 따라 각 식품군별로 서로 다른 단위수를 갖는다.
한편,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상기 식품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식품군별 열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혈당지수(GI), 혈당부하(GL)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12가지의 식품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단에 포함된 식품을 단 하나의 식품군으로 분류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식품을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식품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식품군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료의 양에 따라 각각의 식품군을 통해 제공되는 열량을 계산하고, 최종적으로는 전체 식단에 포함되는 각각의 영양소 별 제공 열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은 식단을 제공받는 대상자가 지향하는 식습관, 영양 상태, 질병 상태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 또한 위와 같은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각 식품군별 함량 과잉, 함량 부족 또는 적정 함량 여부를 평가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이 적정한 경우 상기 식단을 적합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즉, 반드시 12가지의 식품군 모두 단위수를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당 식단이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곡류, 채소류, 식물성 단백질을 포함하여 총 8개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식단은 적합한 식단으로 평가될 수 있다.
따라서, 식단을 제공받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꼭 충족해야 할 권장 식품군을 설정하고, 설정된 권장 식품군을 포함하여 소정 개수 이상의 식품군의 단위수가 충족되면 해당 식단은 적합한 식단으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평가 결과 출력 단계(S130)에서는 상기 식단 평가 단계(S120)에서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며, 각각의 식품군 내에서 교환 가능한 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
교환 가능한 식품은 도 7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식품교환표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평가 결과 출력 단계(S130)에서 제공되는 상기 교환 가능한 식품은 도 7에 따른 식품교환표 자체가 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식단 평가 시스템 110: 식단 정보 수신부
120: 식단 평가부 130: 평가 결과 출력부

Claims (1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는 식단 정보 수신부;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부; 및
    상기 식단 평가부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평가 결과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 혈당부하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상기 식품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식품군별 열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부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부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각 식품군별 함량 과잉, 함량 부족 또는 적정 함량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이 적정한 경우 상기 식단을 적합한 것으로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출력부는 상기 각각의 식품군 내에서 교환 가능한 식품을 제공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포함하는 식단 정보를 수신하는 식단 정보 수신 단계;
    식단 평가 기준에 따라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단계; 및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의 식단 평가 결과를 출력하는 평가 결과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식단 평가 기준은 혈당지수, 혈당부하 및 포화지방 함량에 따라 분류된 식품군, 각각의 상기 식품군의 단위 열량 및 상기 식단이 제공하는 총 열량에 따른 상기 식품군별 단위수를 포함하는 식단 평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을 상기 식품군에 따라 분류하고, 상기 각각의 식품군별 열량을 산출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방의 열량 구성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구성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상기 포화지방의 비율 및 당류의 비율을 더 고려하여 상기 식단을 평가하는 식단 평가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단 평가 단계에서는 상기 식단에 포함된 상기 각 식품군별 함량 과잉, 함량 부족 또는 적정 함량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식품군의 함량이 적정한 경우 상기 식단을 적합한 것으로 평가하는 식단 평가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결과 출력 단계에서는 상기 각각의 식품군 내에서 교환 가능한 식품을 제공하는 식단 평가 방법.
  13. 제7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51140A 2015-04-10 2015-04-10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728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40A KR101728113B1 (ko) 2015-04-10 2015-04-10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140A KR101728113B1 (ko) 2015-04-10 2015-04-10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1299A true KR20160121299A (ko) 2016-10-19
KR101728113B1 KR101728113B1 (ko) 2017-04-18

Family

ID=5725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140A KR101728113B1 (ko) 2015-04-10 2015-04-10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81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710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가온앤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20048462A (ko) 2020-10-12 2022-04-19 최준호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속눈썹 화장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626B1 (ko) * 2013-06-24 2014-11-28 주식회사 비디스낵 식품 평가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9710A (ko) * 2018-07-20 2020-01-30 주식회사 가온앤 영양분석을 통한 영유아식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220048462A (ko) 2020-10-12 2022-04-19 최준호 아르기닌을 포함하는 속눈썹 화장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8113B1 (ko) 2017-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ijsburg et al. Diet quality indices for research in low-and middle-income countries: a systematic review
Juul et al. Ultra-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excess weight among US adults
Shriver et al. Contribution of snacks to dietary intakes of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Deshmukh-Taskar et al. Do breakfast skipping and breakfast type affect energy intake, nutrient intake, nutrient adequacy, and diet quality in young adults? NHANES 1999–2002
Bradlee et al. Food group intake and central obesity among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Basiotis et al. The healthy eating index: 1999-2000
Cotton et al. Dietary sources of nutrients among US adults, 1994 to 1996
Bezerra et al. Contribution of foods consumed away from home to energy intake in Brazilian urban areas: the 2008–9 Nationwide Dietary Survey
Haroun et al. The impact of the food-based and nutrient-based standards on lunchtime food and drink provision and consumption in primary schools in England
Polsky et al. Consumption of ultra-processed foods in Canada
Evans et al. Impact of school lunch type on nutritional quality of English children’s diets
Arsenault et al. A novel approach to selecting and weighting nutrients for nutrient profiling of foods and diets
Scheidt et al. Composite index for aggregating nutrient density using food labels: ratio of recommended to restricted food components
Britten et al. Impact of typical rather than nutrient-dense food choices in the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od Patterns
Leme et al. Top food sources of percentage of energy, nutrients to limit and total gram amount consumed among US adolescen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1–2014
Jamieson et al. Food sources of energy and nutrients among Canadian adults following a gluten-free diet
Hess et al. Healthy snacks: using nutrient profiling to evaluate the nutrient‐density of common snacks in the United States
Tippett Food and nutrient intakes by individuals in the United States, 1 day, 1989-91
Leme et al. Food sources of shortfall nutrients among US adolescent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2011-2014
KR101728113B1 (ko) 식단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Wrieden et al. Slow pace of dietary change in Scotland: 2001–9
Adegunwa et al. Production and quality evaluation of cookies from composite flour of unripe plantain (Musa paradisiaca), groundnut (Arachis hypogaea L.) and cinnamon (Cinnamomum venum)
Gibney Ultraprocessed foods and their application to nutrition policy
Sebastian et al. Trends in the food intakes of children 1977–2002
Wasilewska et al. Eating habits of adolescents in Poland and in other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