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468A -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 Google Patents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468A
KR20200009468A KR1020180083878A KR20180083878A KR20200009468A KR 20200009468 A KR20200009468 A KR 20200009468A KR 1020180083878 A KR1020180083878 A KR 1020180083878A KR 20180083878 A KR20180083878 A KR 20180083878A KR 20200009468 A KR20200009468 A KR 2020000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age
building blocks
block
ecological
pass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4854B1 (ko
Inventor
김성채
민승재
이문섭
Original Assignee
김성채
이문섭
민승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채, 이문섭, 민승재 filed Critical 김성채
Priority to KR1020180083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854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2Making or lining ca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은, 수로(1)의 바닥면(2)으로부터 다수 개의 축조블록이 순차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적층되어 벽체(3)를 형성하는 수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체(2) 하단에서 상단까지 경사지게 연속된 축조블록들은, 각각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상단에서 하부 측벽면까지 단차지지도록 형성된 통로형성부(210)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200)으로 구성됨으로써, 연속된 변형축조블록들(200)의 통로형성부(210)가 수로 바닥면에서부터 벽체 상부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되는 생태통로(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로 양측의 벽면에 종래와 같이 축조블록을 다수 수직으로 적층하여 부지 이용률을 제고하면서, 벽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된 축조블록은 인접한 축조블록과 비교할 때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계단 식으로 단차지게 절개된 형태의 통로형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생태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축조블록과 변형축조블록 모두 전면 측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통로형성부는 변형축조블록의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정중앙에서 수평으로 일직선을 취해 통로형성부의 폭을 최대한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충분한 면적의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통로형성부가 변형축조블록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생태통로가 유속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하여 안정적인 동물들의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waterway structure with ecology moving passage using transformation wall block}
본 발명은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경사지거나 단차진 형태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하여 수로 내에 생태통로가 형성되도록 한,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소하천의 벽면을 형성하여 홍수를 억제하는 수로 구조물,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 및 배수하기 위해 설치되는 농수로와 같은 수로 구조물은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진다.
종래에 이러한 수로 구조물은 하천이나 농수로 옆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 내측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 양생한 후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시공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 방식은 공기가 매우 길고, 공사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바, 근래에는 규격화된 거푸집을 통해 공장에서 제작된 블록을 활용하여 현장에서의 습식 시공을 최저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U"자형의 형상을 취하는 공장 재작형 콘크리트 블록(통상적으로 '수로관'이라 칭함)을 현장에서 조립 시공하는 방식과, 옹벽 시공에 사용되는 축조블록을 수로의 벽면 위치에 수로 길이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다수 적층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전자의 방식은 하나의 블록에 바닥 및 벽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블록의 연결 시공 만으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수로 구간이 직선이 아니고 곡선인 경우에 이를 구현해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후자의 방식은 전자의 방식에 비해 다양한 곡선 구간을 구현해내기 쉬운 장점이 있다.
한편, 아주 작은 높이의 수로에서는 사람, 동물 등이 빠져도 쉽게 빠져나올 수 있지만, 높이가 높은 수로의 경우 수로 내에 사람이나 동물이 빠질 경우 빠져나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근래에 들어 생태계에 대한 보호 정신 고취됨에 따라 크기가 큰 동물 뿐만 아니라 개구리, 도롱뇽 등 작은 크기의 동물들이 수로를 원할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전자의 시공 방식은 이러한 동물들의 통과 및 수로로부터의 탈출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작은 곤충에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수로를 통과하거나, 수로에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로,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6017호, 특허문헌 1)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바닥 및 양측 벽면까지 일체로 형성되는 전자의 블록에 있어서 인접한 블록보다 폭이 크게 이루어지면서 외곽에 경사진 탈출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은 벽체 및 바닥 일체형 수로관에 관한 것으로, 전술한 것처럼 곡선 구간에서는 이를 구현해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비교적 규모가 큰 수로에서는 실질적으로 이와 같은 블록을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축조블록을 이용하여 수로 내 생태 통로를 구현해내기 위한 기술로는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484호, 특허문헌 2)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옹벽식으로 하천 벽면에 축조블록을 적층시키되, 일측으로 돌출된 계단형 부분이 형성된 블록을 축조블럭 연결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특허문헌 2와 같은 구성은 수로 중앙 방향으로 돌출된 계단 부분에서 유속이 증가하게 되어 유량에 따라 계단을 통과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 별도 형상의 블록을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을 새로 설계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KR 20-0426017 (2006.09.12) KR 100-0701484 (2007.03.23)
본 발명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로 양측의 벽면에 종래와 같이 축조블록을 다수 수직으로 적층하여 부지 이용률을 제고하면서, 벽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된 축조블록은 인접한 축조블록과 비교할 때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계단 식으로 단차지게 절개된 형태의 통로형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생태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즉, 새롭게 금형 설계를 할 필요 없이 현 상태의 금형에 약간의 보완을 하거나, 현 상태의 금형을 통해 제조된 축조블록에 약간의 절삭 가공만으로 간편하게 생태 통로(생태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생태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 나아가, 축조블록과 변형축조블록 모두 전면 측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통로형성부는 변형축조블록의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정중앙에서 수평으로 일직선을 취해 통로형성부의 폭을 최대한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충분한 면적의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는, 통로형성부가 변형축조블록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생태통로가 유속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하여 안정적인 동물들의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로(1)의 바닥면(2)으로부터 다수 개의 축조블록이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적층되어 벽체(3)를 형성하는 수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체(2) 하단에서 상단까지 경사지게 연속된 축조블록들은, 각각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상단에서 하부 측벽면까지 단차지지도록 형성된 통로형성부(210)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200)으로 구성됨으로써, 연속된 변형축조블록들(200)의 통로형성부(210)가 수로 바닥면에서부터 벽체 상부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되는 생태통로(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생태통로(a)의 하부측과 접하는 수로(1) 바닥면(2)은 그 외의 바닥면에 비해 폭이 넓게 이루어진 확장부(b)로 구성되어 폭이 좁은 영역에 비해 유속을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변형축조블록(200)의 통로형성부(210)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경사면에는 홈(211) 또는 돌기(212)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축조블록(100)은 중앙이 볼록하게 전면 전체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축조블록(200)은 전면 중앙으로부터 일측 단부까지는 축조블록(100)과 동일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는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상기 직선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정면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수로 양측의 벽면에 종래와 같이 축조블록을 다수 수직으로 적층하여 부지 이용률을 제고하면서, 벽면에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된 축조블록은 인접한 축조블록과 비교할 때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계단 식으로 단차지게 절개된 형태의 통로형성부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생태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새롭게 금형 설계를 할 필요 없이 현 상태의 금형에 약간의 보완을 하거나, 현 상태의 금형을 통해 제조된 축조블록에 약간의 절삭 가공만으로 간편하게 생태 통로(생태 탈출로)를 형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사비의 증가를 최소화하면서 생태 통로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축조블록과 변형축조블록 모두 전면 측이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됨과 더불어, 통로형성부는 변형축조블록의 가장 전방으로 돌출된 정중앙에서 수평으로 일직선을 취해 통로형성부의 폭을 최대한 확보하여 구조적 안정성과 함께 충분한 면적의 생태통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는, 통로형성부가 변형축조블록의 정면으로부터 배면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됨으로써 생태통로가 유속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받게 하여 안정적인 동물들의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축조블록으로 시공된 수로 구조물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 단면 및 B-B'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주요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도 2와 같이 이중 구조가 아닌 물러쌓기 방식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구성의 주요 부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축조블록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축조블록에 대응되는 변형축조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서 통로형성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서 통로형성부가 계단식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서 통로형성부가 경사면 및 계단 혼합형인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로(1)의 바닥면(2)으로부터 다수 개의 축조블록이 순차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적층되어 벽체(3)를 형성하는 수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수로는 크기가 작은 농수로에서부터 하천에 이르기까지 모두 적용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수로구조물은 도 1 내지 6에 도시된 일반적인 축조블록(100)과 생태통로(a)를 형성하는 변형축조블록(200)으로 구성된다
이때, 변형축조블록(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의 벽체(2) 하단에서 상단까지 경사지게 연속된 방향으로 형성된다.
더하여 각 변형축조블록(200)은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상단에서 하부 측벽면까지 단차지지도록 형성된 통로형성부(210)가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속된 변형축조블록들(200)의 통로형성부(210)가 수로 바닥면에서부터 벽체 상부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되는 생태통로(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 2, 5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생태통로(a)의 하부측과 접하는 수로(1) 바닥면(2)은 그 외의 바닥면에 비해 폭이 넓게 이루어진 확장부(b)로 구성되어 폭이 좁은 영역에 비해 유속을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서는 확장부(b)가 형성되는 부분 양측의 축조블록(100)들이 전면의 변형축조블록(200)과 일부 겹쳐 이중 구조를 취하며, 도 5에서는 확장부(b)가 형성되는 부분의 축조블록(100)을 그 외 부분의 변형축조블록(200)보다 뒤로 약간 밀려 시공되며, 블록간 이중 구조를 이루지 않게 된다.
도 2의 예의 경우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도 5의 예에 비해 부지 이용률이 떨어진다.
따라서 시공된 수로의 특성에 따라 도 2와 도 5의 예를 선택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기호 5는 블록(100,200) 뒷편 공간을 토사 등으로 채워 다진 뒷채움층을 의미하며, 도면기호 4는 최하단 블록(100,200) 시공 전 콘크리트 타설하는 기초를 의미하고, 도면기호 6은 다짐층 상부를 마감하는 상부 콘크리트 마감층을 의미한다.
도 2 내지 6의 예로 도시된 축조블록(100)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축조블록(100)은 전방면(101), 후방면(103), 우측면(105), 좌측면(107), 상면, 저면을 가진다.
전방면(101)은 원호 상으로 곡면지게 형성되고, 전방면(101)에는 복수의 자연석 문양(10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후방면(103)은 전방면(101)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우측면(105)에는 조립돌기(115)가 외측으로 돌출하고, 좌측면(107)에는 조립홈(117)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조립돌기(115) 및 조립홈(117) 각각은 축조블록(100)의 우측면(105) 및 좌측면(107)의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이에, 복수의 축조블록(100)이 조립될 때 수평방향으로 인접하는 축조블록(100)들은 그 조립돌기(115) 및 조립홈(117)들이 서로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축조블록(100)의 우측면과 좌측면에 설치된 조립돌기(115) 및 조립홈(117)들은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하고, 선택에 의하여 좌우방향을 바꾸어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수직방향으로도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축조블록(100)에는 복수의 흙채움부(111, 112, 113)가 구획벽(121, 122)에 의해 구획되게 형성된다.
복수의 흙채움부(111, 112, 113)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제1구획벽(121)에 의해 한 쌍의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와 하나의 후방측 흙채움부(113)로 구획된다.
한 쌍의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는 제2구획벽(122)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대칭적으로 구획되고, 이에 좌우 한쌍의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 측에 좌우 대칭적으로 균일하게 흙이 채워져 자생식물들이 식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축조블록(100)들은 성토지 또는 경사지 등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에 수분, 빗물 등의 통수성이 높아진다.
이때,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는 하부에 급격히 통로가 작아지는 부분이 형성되어 토사의 유출이 방지된다.
한편, 제2구획벽(122)은 그 상면에 절취홈(122a)이 형성되고, 절취홈(122a)은 그 전방측 및 후방측에 경사면(122b)이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 절취홈(122a)에 의해 전체 콘크리트중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절취홈
(122a) 측에 흙이 평탄하게 덮여짐에 따라 흙채움부(111, 112)의 면적이 증가되어 하중의 균일한 하중을 이루어 상하방향과 수평력에 상응하는 하중을 증가하여 결합력을 증가하는 것이며, 제2구획벽(122)의 노출이 최소화되어 그 외관이 미려해진다.
후방측 흙채움부(113)는 전방측 흙채움부(111, 112)와 달리 하측으로 갈수록 공간이 작아지지만, 급격한 감소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수직에 가깝게 경사진 형태로 내부 공간이 좁아지며, 상하로 연속 적층되는 블록끼리 채워진 흙을 통한 이탈 방지 및 수직 방향으로 토양 생태 환경이 연속되게 된다.
축조블록(100)의 후방측 상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끼움돌기(131)가 좌우 대칭적으로 돌출하고, 끼움돌기(131)는 상향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원추형 돌기 구조로 형성된다.
축조블록(100)의 후방측 저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끼움홈(132, 133, 134)이 형성된다 복수의 끼움홈(132)은 제1끼움홈(132), 제2끼움홈(133) 및 제3끼움홈(134)로 이루어지고, 제1끼움홈(132)은 축조블록(10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좌우로 관통된 구조로 형성되어, 복수의 축조블록(100)이 지그재그식으로 조립되어 벽체가 시공될 경우 각 끼움돌기(131)가 제1끼움홈(132), 제2끼움홈(133), 제3끼움홈(134)에 선택적으로 끼워지고, 이에 복수의 축조블록(100)은 벽체의 폭방향으로 적절히 조절되면서 조립될 수 있다.
또한 제1끼움홈(132)이 좌우로 관통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서 인접축조블록(100)과 상호 연결을 위하여 결착용 연결봉(미도시)을 설치하여 고정함으로서 축조블록(10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끼움홈(133)은 제1끼움홈(132)의 후방측에 좌우 대칭적으로 형성되고, 끼움돌기(131)의 직경보다 크게 좌우측이 긴 폭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제3끼움홈(134) 역시 제2끼움홈(133)의 후방측에 위치하되, 끼움돌기(131)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복수의 축조블록(100)이 상하 직립방향으로 조립되어 벽체가 시공될 경우 각 끼움돌기(131)가 제3끼움홈(134) 측에 끼워져 복수의 축조블록(100)은 수직 직립방향으로 정밀하게 조립될 수 있다.
더하여, 후방측 흙채움부(113)의 후방 벽체를 형성하는 후방면(103)이나 구획벽(121)에는 설치공(114)이 형성되어 철근 등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8에는 도 7의 축조블록(100)과 함께 설치되는 변형축조블록(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변형축조블록(200)은 전체적으로 축조블록(100)과 동일한 형상을 취하면서 축조블록(100)의 상중앙에서부터 측하부까지 일정한 폭으로 경사지게 절단한 듯한 형상을 취한다.
이때, 축조블록(100)은 원호 상으로 곡면지게 형성되어 중앙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면, 변형축조블록(200)은 전면 중앙으로부터 일측 단부까지는 축조블록(100)과 동일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는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상기 직선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변형축조블록(200)의 전면 구성이 중앙으로부터 일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타측면은 배면 및 수로 진행 방향에 평행하게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바, 통로형성부(210)의 폭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된다.
통로형성부(210)의 폭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면 보다 충분한 통로면을 형성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며, 단위 통로형성부(210) 면적을 기준으로 할 때 구조적 안정성을 부여하는 부분의 면적 역시 최대화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도 8에서 축조블록(100)과 동일한 부분은 도 7의 축조블록(100)과 동일한 부호로 표기하였다.
더하여, 도면에서 점선으로 표싣된 도면기호 112의 전방측 흙채움부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제조 방식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되거나 미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축조블록(100)을 절삭하여 형성할 경우 점선으로 표시된 전방측 흙채움부(112)가 형성된다.
이 경우 통로형성부(210) 표면에 형성된 전방측 흙채움부(112)는 매움 처리하면 된다.
만일, 변형축조블록(200)을 별도의 금형을 통해 제조할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전방측 흙채움부(112)의 형성을 선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도 9는 통로형성부(210)가 경사지게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210a는 통로형성부(210)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이때의 통로형성부(210)는 일측 벽면 하단으로부터 타측 벽면 상단에 이르기까지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전술한 것처럼 통로형성부(210)의 폭을 최대화할 수 없게 된다.
즉, 전술한 것처럼 상중앙에서 일측 하단 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렇게 구성될 경우 통로형성부(210)의 경사각이 커져 미끄러짐을 발생시킬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9의 (A), (D)에 나타난 것처럼 경사면에는 홈(211) 또는 돌기(212)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의 (B)는 전면이 평평한 형태로 구성된 예이고, (C)는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정면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예이다.
도 9의 (C)의 경우 부득이하게 도 2, 5와 같이 이중 구조나 물러 쌓기가 불가능한 경우 유속 저감 구역을 형성할 수 있게 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0에는 통로형성부(210)가 계단식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도면기호 210b는 통로형성부(210)가 계단식으로 형성된 것을 의미하며, 도 10의 (A)는 변형축조블록(200) 전면이 라운드진 (B)는 평평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11은 통로형성부(210)가 경사면(210a), 계단(210) 복합으로 이루어진 예인데, 이 경우 경사각이 높음으로 인해 미끄러짐을 보다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해주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로상의 확장부(b)에서 유속이 저감되는 구역이 형성됨으로서 이 구역에서 작은 동물에서부터 사람에 이르기까지 용이하게 통로형성부(210)를 통해 수로 밖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통로형성부(210)는 유속이 저감된 확장부(b) 둘레면에 유수의 진행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수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받게 되어 안정적인 수로 내외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통로형성부(210) 면적의 최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람의 경우도 원할하게 수로 안밖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생태통로가 필요한 도로, 공원 및 농수로를 비롯한 다양한 소규모 수로에서부터 하천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a : 생태통로 b : 확장부
1 : 수로 2 : 바닥면
3 : 벽체 4 : 기초
5 : 뒷채움층 6 : 마감층
100 : 축조블록 101 : 전방면
102 : 문양 103 : 후방면
105 : 우측면 107 : 좌측면
111, 112 : 전방측 흙채움부
113 : 후방측 흙채움부
114 : 설치공 115 : 조립돌기
117 : 조립홈 121 : 제1구획벽
122 : 제2구획벽 122a : 절취홈
122b : 경사면 131 : 끼움돌기
132 ; 제1끼움홈 133 : 제2끼움홈
134 : 제3끼움홈 200 : 변형축조블록
210 : 통로형성부 211 : 홈
212 : 돌기 220 : 직선부

Claims (5)

  1. 수로(1)의 바닥면(2)으로부터 다수 개의 축조블록이 순차적으로 상방으로 적층되어 벽체(3)를 형성하는 수로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벽체(2) 하단에서 상단까지 경사지게 연속된 축조블록들은, 각각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절개되거나 상단에서 하부 측벽면까지 단차지지도록 형성된 통로형성부(210)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200)으로 구성됨으로써,
    연속된 변형축조블록들(200)의 통로형성부(210)가 수로 바닥면에서부터 벽체 상부까지 경사진 방향으로 연속되는 생태통로(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태통로(a)의 하부측과 접하는 수로(1) 바닥면(2)은 그 외의 바닥면에 비해 폭이 넓게 이루어진 확장부(b)로 구성되어 폭이 좁은 영역에 비해 유속을 저감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축조블록(200)의 통로형성부(210)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상단에서부터 하부 측벽면까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되, 경사면에는 홈(211) 또는 돌기(212)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조블록(100)은 중앙이 볼록하게 전면 전체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변형축조블록(200)은 전면 중앙으로부터 일측 단부까지는 축조블록(100)과 동일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 중앙으로부터 타측 단부까지는 일직선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상기 직선부(220)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형성부(210)는 변형축조블록(200)의 정면으로부터 배면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1020180083878A 2018-07-19 2018-07-19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102194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78A KR102194854B1 (ko) 2018-07-19 2018-07-19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78A KR102194854B1 (ko) 2018-07-19 2018-07-19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68A true KR20200009468A (ko) 2020-01-30
KR102194854B1 KR102194854B1 (ko) 2020-12-23

Family

ID=6932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78A KR102194854B1 (ko) 2018-07-19 2018-07-19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85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08Y1 (ko) * 2000-09-02 2001-03-15 합명회사 남부산업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381264Y1 (ko) * 2005-01-06 2005-04-14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생태이동통로 블록
KR200404659Y1 (ko) * 2005-09-26 2005-12-27 김정웅 옹벽축조블록
KR200426017Y1 (ko) 2006-06-30 2006-09-12 임윤근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100701484B1 (ko) 2005-03-17 2007-03-29 한백에코시스템주식회사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20090044881A (ko) * 2007-11-01 2009-05-07 김종윤 옹벽
KR20090009341U (ko) *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이동통로가 구비된 식재용 호안블록
KR101215838B1 (ko) * 2012-04-24 2012-12-31 하나케이텍(주)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908Y1 (ko) * 2000-09-02 2001-03-15 합명회사 남부산업 생태계 보호 및 어소 겸용 수로
KR200381264Y1 (ko) * 2005-01-06 2005-04-14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생태이동통로 블록
KR100701484B1 (ko) 2005-03-17 2007-03-29 한백에코시스템주식회사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
KR200404659Y1 (ko) * 2005-09-26 2005-12-27 김정웅 옹벽축조블록
KR200426017Y1 (ko) 2006-06-30 2006-09-12 임윤근 생태보호 및 식생 용·배수로용 블록
KR20090044881A (ko) * 2007-11-01 2009-05-07 김종윤 옹벽
KR20090009341U (ko) * 2008-03-13 2009-09-17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이동통로가 구비된 식재용 호안블록
KR101215838B1 (ko) * 2012-04-24 2012-12-31 하나케이텍(주) 식생축조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4854B1 (ko)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4601B1 (ko) 투명 홍수 방어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44795B1 (ko) 조립 패널 옹벽
KR20160043305A (ko) 토목용 블록
KR20200009468A (ko)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생태통로가 구비된 수로 구조물
KR200345937Y1 (ko) 덩굴식물 및 소동물 이동통로가 구비된 옹벽블록
KR20200009467A (ko) 생태통로부가 구비된 변형축조블록을 이용한 수로 구조물
KR20020076530A (ko) 블록식 녹화 옹벽
KR101510612B1 (ko) 법면 보강용 블럭의 고정구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CN110306588B (zh) 一种用于加筋土挡墙的面板模块单元及加筋土挡墙
JP2517278Y2 (ja) 盛土用ブロック
KR100662028B1 (ko) 옹벽축조용 식생블록
KR200438205Y1 (ko) 계단형의 친수성 호안 블록 구조물
KR100746128B1 (ko) 식생공간을 포함하는 견치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견치블록의축조방법
JP4382987B2 (ja) 管状構造物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0950092B1 (ko) 콘크리트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371639B1 (ko) 결합력을 향상시킨 옹벽블록
KR200402406Y1 (ko) 다공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사면 보강용 친환경 옹벽블록
KR200283005Y1 (ko) 도로 비탈면의 유실방지용 합성골판 콘크리트블록 구조
KR200228770Y1 (ko) 도로 측구용 조립식 소형 수로
KR101790939B1 (ko) 저수공간이 형성된 옹벽용 블럭
KR101979005B1 (ko) 식생 축조 기초블록
KR200389239Y1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369413Y1 (ko) 조립식 보강토 옹벽의 배수용 블럭 및 이를 이용한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