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458A -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458A
KR20200009458A KR1020180083864A KR20180083864A KR20200009458A KR 20200009458 A KR20200009458 A KR 20200009458A KR 1020180083864 A KR1020180083864 A KR 1020180083864A KR 20180083864 A KR20180083864 A KR 20180083864A KR 20200009458 A KR20200009458 A KR 20200009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odule
conductive filter
unit
housing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0897B1 (ko
Inventor
이혜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링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링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링크
Priority to KR1020180083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는, 내부에 정화 대상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purification device for conductive filter module}
본 발명은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예로 전도성 필터 모듈에 대한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 제거 및 살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전도성 필터 모듈을 정화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크기가 작아 인체 호흡 시 입이나 코 기관지 등에 걸리지 않고 폐포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는 특성이 있으며, 빛의 굴절 및 산란과 같은 광학적 특성을 지니고 있어 시야확보에도 많은 지장을 초래한다. 또한 미세먼지는 많은 유기 무기 유해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폐까지 침투한 미세먼지는 폐 속에 잔류하며 포함하고 함유하고 있는 다양한 유기 무기 유해물질을 인체에 전달하여 폐렴, 폐암, 기관지염 등과 같은 매우 심각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우리나라의 자동차 등과 같은 이동오염원뿐만 아니라 가정용 난방, 산업용 에너지 소비 등에 의해 발생되는 고정오염원에 더불어 중국의 고비 사막으로부터 발생되어 넘어오는 황사 그리고 최근 중국의 대규모 산업화로 인해 동아시아 전체가 심각한 수준에 놓여있어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미세먼지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미세먼지 및 각종 이물질을 제거하여 주변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공기청정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최적화하여 공기정화작업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내부에 설치된 필터 모듈을 주기적으로 청소 또는 정화시켜주거나 교체해줘야 한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는 공기청정기는 오염물질 제거의 핵심역할을 하는 필터관리에 많은 수고와 비용이 소요되어 실제로는 필터의 청소, 정화, 교체 등의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실례로 현재 사용되는 공기청정기에는 대부분 0.3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를 99.97%이상 제거할 수 있는 HEPA 필터가 장착되어 있다. HEPA 필터는 미세먼지를 걸러 공기를 깨끗하게 정화하는데는 매우 효과적이지만 필터에 포집된 미세먼지를 털거나 씻어내어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일정기간 사용 후 폐기하고 새로운 필터로 교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적지않은 비용소모가 정기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하지만 경제적 부담을 고려하지 않더라도 적절한 교체시기에 교체를 하지 못해 공기청정기의 오염물질 제거성능이 급격하게 나빠지거나 오히려 사용자의 건강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건을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전기포집방식의 공기정화기도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전기포집방식 공기청정기에는 금속과 같은 전도성 판으로 구성된 전기포집시스템이 설치되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포집한다.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포집판은 금속과 같이 전도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일정 기간 사용한 후 오염되었을 경우 물로 세척하는 방법으로 청소한 후 재사용한다. 전기포집판은 폐기하지 않고 청소를 통해 지속적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경제적부담이 해결되기는 했지만 포집판의 물청소 후 완벽하게 말려주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운전특성 상 고전압이 인가되는 과정에서 스파크 발생과 같은 전기사고로 기기고장이나 감전 및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 외에도 HEPA 필터가 아닌 프리필터(Pre-filter) 및 미디엄 필터 등 청소가 가능한 종래의 필터에 대한 청소장치는 회수액을 포함하는 유체를 필터에 직접 분사하여 필터로부터 분리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필터를 정화시키기 때문에 회수액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필터를 물로 세척하고, 세척한 필터를 건조시키는 작업이 추가되므로, 필터의 정화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세먼지 등의 입자를 이온화하여 대전된 전도성 필터에 포집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의 경우, 회수액을 이용한 방식으로는 전도성 필터에 포집된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7-0076031호(공고일자 2017.07.04.)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전도성 필터 모듈을 살균시킬 수 있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는, 내부에 정화 대상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모듈을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전기적으로 중성화(neutralizing)시키는 중성화부(neutraliz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화부의, 살균부, 제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화부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중성화시킬 수 있도록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중성화부는 소프트엑스레이, 아메리슘(Am-241), 폴로늄(Po-210) 및크립톤(Kr-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성화부는 탄소섬유 또는 탄소브러쉬를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중성화부는 금속선, 금속브러쉬, 금속판 및 금속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UV 램프는 일반 자외선 형광등 램프 뿐만 아니라 LED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살균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성화부가 상시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부 및 살균부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이 탈착되도록 진공 흡입하는 흡입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균일한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음압홀이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음압기; 및 상기 흡입기에 의해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이 진공 흡입되도록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압기에 형성된 음압홀은 상측에 비해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깔대기 모양의 상광하협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쉽게 제거함으로써 전도성 필터 모듈을 신속하게 정화할 수 있어 재사용하기 용이하다. 또한, 전도성 필터 모듈을 살균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전도성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및 이에 삽입된 전도성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를 도시한 것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및 이에 삽입된 전도성 필터 모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는, 내부에 정화 대상인 전도성 필터 모듈(10)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110); 및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12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정화 대상인 전도성 필터 모듈(10)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이루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이 직육면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10)은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이 정전기력에 의해 내벽에 포집되지 않도록 접지가 가능한 전도성 재질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복수의 통공(H)이 형성되어 외기가 하우징의(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미세먼지 등을 포함하는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하여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거부(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오염물질이 탈착되도록 진공 흡입하는 흡입기(121);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균일한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음압홀(122a)이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음압기(122); 및 상기 흡입기(121)에 의해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이 진공 흡입되도록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12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음압기(122)에 형성된 음압홀(122a)은 상측에 비해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깔대기 모양의 상광하협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되어 있던 오염물질은 흡입기(121)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탈착되면서, 흡입기(121)를 통해 진공 흡입되는 것이다.
즉,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은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하측에 형성된 음압홀(122a)에 의해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균일한 음압이 제공되면서, 흡입관(123)을 거쳐 흡입기(121)의 흡입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입기(121)는 실시하기에 따라 상기 전도성 필터모듈(1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할 수 있도록 진공펌프 또는 진공청소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압력차에 의해 오염물질을 진공 흡입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10)을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부(130)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 램프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실시하기에 따라 형광등 형태의 UV 램프 또는 UV LED 램프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13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110)의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전기적으로 중성화(neutralizing)시키는 중성화부(neutralizer, 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중성화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 상단에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입자상 오염물질의 전기적 극성을 중화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중성화부(140)는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켜 전도성 필터모듈(10)에 포집된 하전입자의 전기적 극성을 중화하기 위한 전기적 중화기(neutralizer)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중성화부(140)는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일 수 있으며, 복수로 마련되어 전도성 필터 모듈(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하우징(110)의 상단 내벽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성화부(140)는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방사성물질인 소프트엑스레이, 아메리슘 (Am-241), 폴로늄 (Po-210), 크립톤 (Kr-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중성화부(140)는 인가전압의 극성에 따라 같은 극성의 이온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상기 중성화부는 탄소섬유 또는 탄소브러쉬를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 또는 고전압 인가시스템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중성화부(140)는 인가전압의 극성에 따라 같은 극성의 이온만을 발생시킬 수 있는 금속선, 금속브러쉬, 금속판 및 금속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 또는 고전압 인가시스템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중성화부(140)는 상기 소프트엑스레이, 아메리슘 (Am-241), 폴로늄 (Po-210), 크립톤 (Kr-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마련될 경우, 음이온과 양이온이 동시에 발생이 가능하므로 전도성 필터모듈(10)에 포집된 오염물질 입자와 원활하게 접촉되도록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하우징(110)의 상단 투입구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성화부(140)는 탄소섬유 또는 탄소브러쉬를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 금속선, 금속브러쉬, 금속판 및 금속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로 마련될 경우, 인가되는 고전압의 극성(Polarity)에 따라 발생되는 이온의 극성이 결정되므로, 하우징(110) 내부에 음이온과 양이온이 동시에 발생될 수 있도록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는 상기 제거부(120), 살균부(130) 중성화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하우징(1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중성화부(140)에 외부 전원을 통해 전압을 인가하거나 살균부(130)와 제거부(1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상기 중성화부(140)가 상시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부(120) 및 살균부(13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실시하기에 따라 상기 중성화부(140)를 전도성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대한 정화작업 내내 작동시키면서 살균부(130) 및 제거부(12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실시하기에 따라 상기 중성화부(140)를 전도성 전도성 필터 모듈(10) 정화작업 내내 작동시키면서 제거부(120)를 작동시키고 그 이후 살균부(13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실시하기에 따라 상기 중성화부(140)를 전도성 전도성 필터 모듈(10) 정화작업 내내 작동시키면서 제거부(120) 및 살균부(130)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실시하기에 따라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대한 살균작업이 끝나 상기 살균부(130)의 작동이 완료되면,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중성화부(140) 및 제거부(120)를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의 작동 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정화 대상인 도2의 전도성 필터 모듈(10)을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하고 제어부(150)를 통해 중성화부(140)를 작동시켜 하우징(110)의 내부에 충분한 음이온 및 양이온을 발생시킨다. 발생된 음이온 및 양이온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통공(H)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에 의해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되어 있는 입자상 오염물질과 접촉하게 된다. 이때, 입자상 오염물질이 지니던 전기적 극성이 중화되며 전도성 필터 모듈(10)과 입자상 오염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이 제거된다. 이런 과정으로 인해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된 입자상 오염물질은 가벼운 외력(흡입력)에 의해서도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를 통해 흡입기(121)를 작동시키면 하우징(100) 내부에 음압이 유지되어 하우징(100)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통공(H)을 통해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유입되면서,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포집되어 있던 전기적으로 중화처리된 입자상 오염물질을 전도성 필터 모듈(10)로부터 탈착시키며, 탈착된 입자상 오염물질은 흡입기(121)를 통해 진공 흡입됨으로써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후, 살균부(130)를 작동시켜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자외선(UV)을 조사함으로써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대한 살균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살균부(130)는 전도성 필터 모듈(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하우징(110)의 측면에 해당하는 내벽 사방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자외선(UV)을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골고루 조사할 수 있어 전도성 필터 모듈(10)에 대한 살균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전도성 필터모듈(10)에 대한 입자상 오염물질 제거 작업 및 살균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전도성 필터모듈(10)에 대한 정화작업이 완료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10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중성화부(140)를 전도성 필터모듈(10) 정화작업 내내 작동시키며 살균부(130)와 제거부(120)를 동시에 작동하는 방법으로 전도성 필터모듈(10)에 대한 정화작업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다.
상기의 전도성 필터모듈(10)에 대한 정화과정은 실시예 중 하나이며 전도성 필터모듈(10)에 포집된 입자상 오염물질 특성상 입자상 오염물질의 전기적 중화, 제거, 전도성 필터모듈(10) 살균의 순서는 적절하게 바뀔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0 :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110 : 하우징
H : 통공
120 : 제거부
121 : 흡입기
122 : 음압기
122a : 음압홀
123 : 흡입관
130 : 살균부
140 : 중성화부
10 : 전도성 필터 모듈

Claims (13)

  1. 내부에 정화 대상인 전도성 필터 모듈이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 모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전도성 필터모듈을 살균시키기 위한 살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전기적으로 중성화(neutralizing)시키는 중성화부(neutraliz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부의, 살균부, 제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부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을 중성화시킬 수 있도록 음이온과 양이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모듈 정화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부는 소프트엑스레이, 아메리슘(Am-241), 폴로늄(Po-210) 및크립톤(Kr-8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모듈 정화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부는 탄소섬유 또는 탄소브러쉬를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모듈 정화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성화부는 금속선, 금속브러쉬, 금속판 및 금속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전압 인가장치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모듈 정화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자외선(UV)을 조사하는 UV 램프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성화부가 상시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을 살균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거부 및 살균부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포집된 오염물질이 탈착되도록 진공 흡입하는 흡입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에 균일한 음압을 제공하기 위한 음압홀이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음압기; 및
    상기 흡입기에 의해 상기 전도성 필터 모듈로부터 탈착된 오염물질이 진공 흡입되도록 흡입 경로를 제공하는 흡입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모듈 정화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에 형성된 음압홀은 상측에 비해 하측으로 갈수록 면적이 좁아지는 깔대기 모양의 상광하협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장치.
KR1020180083864A 2018-07-19 2018-07-19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KR102200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64A KR102200897B1 (ko) 2018-07-19 2018-07-19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864A KR102200897B1 (ko) 2018-07-19 2018-07-19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458A true KR20200009458A (ko) 2020-01-30
KR102200897B1 KR102200897B1 (ko) 2021-01-11

Family

ID=69321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864A KR102200897B1 (ko) 2018-07-19 2018-07-19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9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08A (ja) * 1982-12-07 1984-06-18 芦森工業株式会社 除電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1316A (ja) * 1991-08-01 1993-02-09 Matsushita Seiko Co Ltd 集じん機
JP3286288B2 (ja) * 1998-12-22 2002-05-27 キャリ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空気清浄アッセンブリ
KR20060067037A (ko) * 2004-12-14 2006-06-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정전기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70076031A (ko)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청소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5408A (ja) * 1982-12-07 1984-06-18 芦森工業株式会社 除電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H0531316A (ja) * 1991-08-01 1993-02-09 Matsushita Seiko Co Ltd 集じん機
JP3286288B2 (ja) * 1998-12-22 2002-05-27 キャリア コーポレイション 空気清浄アッセンブリ
KR20060067037A (ko) * 2004-12-14 2006-06-19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정전기 제거 장치 및 방법
KR20170076031A (ko)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포스코 필터청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897B1 (ko) 2021-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618B1 (ko) 대기압 러닝 플라즈마 발생장치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1773371B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JP3773767B2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空気清浄機並びに空気調和機
KR100939791B1 (ko) 공기청정기
KR20040056134A (ko) 공기 정화기
CN104501313A (zh) 一种无需更换滤网的空气净化器及其使用方法
JP2003035445A (ja) 空気清浄機
KR101305762B1 (ko) 매립형 플라즈마 공기청정기
CN109520037A (zh) 一种智能清洗空气净化器
CN108025252A (zh) 空气净化设备和方法
KR20160101407A (ko) 전기집진장치
KR101906232B1 (ko) 집진필터 세척기능을 구비한 악취제거장치
CN202803044U (zh) 空气净化器
KR102200897B1 (ko) 전도성 필터 모듈 정화 장치
KR20170004441A (ko) 공기 정화 살균장치
KR102230219B1 (ko) 공조 시스템용 집진 장치
KR101295506B1 (ko) 광촉매와 음이온을 이용한 공기 정화 장치
KR100509356B1 (ko) 공기청정기의 공기 정화방법 및 장치
KR20180076960A (ko) 수분 제거기를 구비하는 전기 집진장치
KR100725156B1 (ko) 공기청정기용 필터장치 및 공기청정기 및 공기청정기필터링방법
KR200328357Y1 (ko) 광촉매필터유니트 및 그를 적용한 공기정화기
KR102244644B1 (ko) 공조 장치
KR102065350B1 (ko) 전기집진장치
TWM531565U (zh) 空氣清淨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