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263A -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263A
KR20200009263A KR1020180083403A KR20180083403A KR20200009263A KR 20200009263 A KR20200009263 A KR 20200009263A KR 1020180083403 A KR1020180083403 A KR 1020180083403A KR 20180083403 A KR20180083403 A KR 20180083403A KR 20200009263 A KR20200009263 A KR 20200009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care
server
wearable device
mobile terminal
bi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태향
Original Assignee
임태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태향 filed Critical 임태향
Priority to KR1020180083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9263A/ko
Publication of KR20200009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53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health condition by physiological monitoring, e.g. electrocardiogram, temperature, breath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rd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캐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맥박/혈압측정모듈, 체온측정모듈, 운동량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와 무저능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서버로 전송되고,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을 통해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맥박/혈압, 체온측정정보 및 활동량(운동)측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 측정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으로 부터 수신된 각 측정정보를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의 각 측정정보를 등록, 저장 및 빅데이터로 형성시키고, 수신되는 각 측정정보를 형성되는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문가 서버로 제공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작성된 해당 관련보고서를 각 전문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어 건강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의 건강요소 및 걸음수 등의 운동요소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카메라모듈, 지문인식모듈 및 홍채인식모듈을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하고, 전용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저장 및 송신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의 얼굴정보, 지문정보 또는 홍체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를 인식하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웨어러브 기기를 사용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및 그 건강관리 대상자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동시에 수신 및 누적되는 건강 및 운동정보를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종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서버로 부터 수신된 각종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헬스케어 및 다이어트케어 관련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완료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전문인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각각의 전문인 서버로 부터 수신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A health care system controll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used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어 건강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및 맥박과 같은 건강요소와 걸음수와 같은 운강요소를 측정하고, 그 측정정보를 송신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고, 전용앱이 탑재된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건강 및 운동 요소정보를 획득를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각 정보를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의 각 정보를 등록, 저장 및 빅데이터로 형성시키고, 수신되는 각 정보를 형성되는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문가 서버로 제공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작성된 해당 관련보고서를 각 전문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캐어 시스템은 건강관리 대상자이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내에 신체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수단을 구비하고, 감지수단으로 부터 감지되는 신체정보를 웨어러블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하므로서, 건강관리 대상자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되는 자신의 신체정보를 인지하여 운동 등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내용은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56925호(2017. 05. 24. 공개)에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헬스캐어 시스템은 운동 시, 건강관리 대상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감지되는 신체정보를 출력되고, 건강관리 대상자는 출력된 자신의 신체정보에 의거 자신의 건강상태를 판단하여 활동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맥박/혈압측정모듈, 체온측정모듈, 운동량측정모듈 및 통신모듈을 구비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기기와, 웨어러블 기기와 무저능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서버로 전송되고,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을 통해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맥박/혈압, 체온측정정보 및 활동량(운동)측정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각 측정정보를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으로 부터 수신된 각 측정정보를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의 각 측정정보를 등록, 저장 및 빅데이터로 형성시키고, 수신되는 각 측정정보를 형성되는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를 전문가 서버로 제공하고, 그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작성된 해당 관련보고서를 각 전문가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한편,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여 긴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어 건강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의 건강요소 및 걸음수 등의 운동요소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카메라모듈, 지문인식모듈 및 홍채인식모듈을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하고, 전용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와 무선으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를 등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로 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저장 및 송신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의 얼굴정보, 지문정보 또는 홍체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를 인식하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상기 웨어러브 기기를 사용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및 그 건강관리 대상자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동시에 수신 및 누적되는 건강 및 운동정보를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종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서버와; 상기 서버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서버로 부터 수신된 각종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헬스케어 및 다이어트케어 관련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완료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전문인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는 상기 각각의 전문인 서버로 부터 수신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은 건강관리 대상자를 기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의 신장, 체중 등 신체정보, 맥박/혈압, 체온 및 각종 혈액측정값을 획득하여 등록하고, 지정딘 모바일 단말기에 연결등록된 웨어러블 기기를 사용할 때 최초설정값으로 설정된 신장 및 체중 등 기타 신체치수를 제외한 체온 및 맥박/혈압은 자동으로 측정되고, 측정수치가 획득되었을 때마다 그 측정수치를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을 통해 서버로 송신하고, 수신된 측정수치를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서버상의 빅데이터로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따라 각종 분석보고서를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으로 전송받을 수 있는 한편,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되도록 하므로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전문적 건강관리를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 및 구성요소 간의 상호 유기적인 상관관계를 예시한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예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1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을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시스템(10)은 웨어러블 기기(20)와,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와, 서버(40)와, 다수개의 전문인 서버(50)로 구성된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는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어 건강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의 건강요소 및 걸음수 등의 운동요소를 감지하고, 각 모듈을 갖고, 그 감지신호를 송신한다.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는 카메라모듈, 지문인식모듈 및 홍채인식모듈을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하고, 전용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20)와 무선으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를 등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로 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저장 및 송신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의 얼굴정보, 지문정보 또는 홍체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를 인식한다.
상기 서버(40)는 클라우드 서버로서,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를 등록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를 사용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및 그 건강관리 대상자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동시에 수신 및 누적되는 건강 및 운동정보를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종 분석결과를 송신하며, 연산제어서버(41)와, 데이터베이스서버(42)를 포함한다.
상기 연산제어서버(41)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가 상기 지정된 모발일 단말기(30)와 무선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20)를 착용하고 활동할 때 마다 획득되어 지속적으로 지정 모바일 단말기(30)로 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수치를 탑재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각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빅데이터의 형성하는 동시에 형성되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42)는 웨어러블 기기(20)로 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모바일 단밀기(30)를 통해 수신되는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 및 운동정보, 다수개의 전문가 서버(50)로 부터 수신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관련보고서 및 상기 연산제어서버(41)에서 형성된 빅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다수개의 전문인 서버(50)는 상기 서버(40)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서버로 부터 수신된 각종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헬스케어 및 다이어트케어 관련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완료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서버(4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서버(40)는 상기 각각의 전문인 서버(50)로 부터 수신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은 건강관리 대상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기기로부터 측정된 건강 및 운동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버로 송신하고, 각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빅데이터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를 다수의 전문인 서버로 전송하여 전문인에 의한 전문적인 분석보고서를 제공받아 그 분석보고서를 건강관리 대상자의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므로서, 전문적인 건강관리를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긴급상화 시 신속한 구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20: 웨어러블 기기 30: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
40: 서버 50: 전문가 서버

Claims (2)

  1. 건강관리 대상자에 착용되어 건강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맥박 등의 건강요소 및 걸음수 등의 운동요소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송신하는 웨어러블 기기(20)와;
    카메라모듈, 지문인식모듈 및 홍채인식모듈을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 구비하고, 전용앱이 탑재된 스마트폰으로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20)와 무선으로 송신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를 등록하고, 상기 웨어러블 기기(20)로 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를 저장 및 송신하고, 건강관리 대상자의 얼굴정보, 지문정보 또는 홍체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를 인식하는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와;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를 등록하고,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를 통해 상기 웨어러브 기기(20)를 사용하는 건강관리 대상자 및 그 건강관리 대상자 정보를 등록하고, 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정보를 등록 및 저장하는 동시에 수신 및 누적되는 건강 및 운동정보를 형성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각종 분석결과를 송신하는 서버(40)와;
    상기 서버(40)와 각각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서버로 부터 수신된 각종 빅데이터 분석결과에 의거하여 해당 헬스케어 및 다이어트케어 관련보고서를 작성하고, 작성완료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서버(40)로 전송하는 다수개의 전문인 서버(50)로 구성되며;
    상기 서버(40)는,
    상기 각각의 전문인 서버(50)로 부터 수신된 관련 보고서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동시에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40)는,
    클라우드 서버이고;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30)로부터 기등록된 건강관리 대상자가 상기 지정된 모발일 단말기(30)와 무선으로 연결된 웨어러블 기기(20)를 착용하고 활동할 때 마다 획득되어 지속적으로 지정 모바일 단말기(30)로 부터 전송되어 수신되는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건강 및 운동수치를 탑재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의해 각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빅데이터의 형성하는 동시에 형성되 빅데이터를 분석하고, 해당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상태가 정상상태가 아닌 것으로 분석되었을 때, 위험경보신호, 대응조치방법 및 긴급구급연락처 정보를 상기 지정된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연산제어서버(41)와;
    웨어러블 기기(20)로 부터 획득되어 지정된 모바일 단밀기(30)를 통해 수신되는 건강관리 대상자의 건강 및 운동정보, 다수개의 전문가 서버(50)로 부터 수신된 건강관리 대상자에 대한 각종 관련보고서 및 상기 연산제어서버(41)에서 형성된 빅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KR1020180083403A 2018-07-18 2018-07-18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KR20200009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3A KR20200009263A (ko) 2018-07-18 2018-07-18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403A KR20200009263A (ko) 2018-07-18 2018-07-18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63A true KR20200009263A (ko) 2020-01-30

Family

ID=6932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403A KR20200009263A (ko) 2018-07-18 2018-07-18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9263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9661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바론 이어 타입 인공지능 열 체크기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자 관리 시스템
WO2021221380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071845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빅데이터 기반 클라우드 연동 플랫폼을 이용한 그룹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7621A (ko) 2020-12-30 2022-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반 사용자 걷기 생활 패턴 분석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443726B1 (ko) * 2021-07-12 2022-09-15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KR102552221B1 (ko) * 2023-04-20 2023-07-06 주식회사 비엔비랩스 매일매일 여러개의 디바이스별 신체데이터 및 진단데이터를 동시에 시각화 및 분석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파악과 함께 개선하는 맞춤형 테라피 제공 시스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1380A1 (ko) * 2020-04-28 2021-11-04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132902A (ko) * 2020-04-28 2021-11-05 주식회사 아모센스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199661B1 (ko) * 2020-05-20 2021-01-07 주식회사 바론 이어 타입 인공지능 열 체크기 및 이를 이용한 발열자 관리 시스템
KR20220071845A (ko) * 2020-11-24 2022-05-31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빅데이터 기반 클라우드 연동 플랫폼을 이용한 그룹 건강 관리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7621A (ko) 2020-12-30 2022-07-0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오픈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기반 사용자 걷기 생활 패턴 분석 및 맞춤형 콘텐츠 제공 시스템
KR102443726B1 (ko) * 2021-07-12 2022-09-15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WO2023287182A1 (ko) * 2021-07-12 2023-01-19 (주)비티비엘 스마트키를 이용한 위급상황 알림장치
KR102552221B1 (ko) * 2023-04-20 2023-07-06 주식회사 비엔비랩스 매일매일 여러개의 디바이스별 신체데이터 및 진단데이터를 동시에 시각화 및 분석 활용하여 사용자의 신체상태 파악과 함께 개선하는 맞춤형 테라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9263A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KR102200526B1 (ko) 개방형 api 기반 의료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1339854B (zh) 一种测温方法、测温装置、机器人以及计算机存储介质
KR101870121B1 (ko)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혈류상태 분석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US201703373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ealth data using measurements of wearable device
CN102245084A (zh) 用于对患者远距诊断的监视和支持的方法以及设备和远程医疗中心
EP315441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n-intrusive deception detection
EP3219253B1 (en) System for detecting arrhythmia using photoplethysmogram signal
KR20200032428A (ko) 맥파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 이상 징후를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장치
CN105708439A (zh) 一种可穿戴监护装置
TWI738034B (zh) 影像之生物體的生理訊號配對方法及生理訊號配對系統
KR102494310B1 (ko) 시각화된 바이탈 사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쇼크 발생 가능성 판단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160149651A (ko) 웨어러블 센서를 이용한 생체 신호 측정 환경에서의 피부 임피던스 인식을 통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1176618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a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US20190125479A1 (en) Fit-check device
US2019004361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emergency
KR102459002B1 (ko) 광대역 통신 기반의 IoT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US20210386360A1 (en) Detecting an ictal of a subject
Pravin et al. Machine learning and IoT-based automatic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160228067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monitoring of patient vital signs
US2022041551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diabetic retinopathy progression
CN111839480B (zh) 一种机器人的检测处理系统、方法及机器人
KR20220135936A (ko) 생체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예측 전자 시스템
Cheung et al. Low cost intelligent computer vision based assistive technology for elderly people
US20240148258A1 (en) System and method of measuring and estimating human health parame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