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2902A -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2902A
KR20210132902A KR1020200051378A KR20200051378A KR20210132902A KR 20210132902 A KR20210132902 A KR 20210132902A KR 1020200051378 A KR1020200051378 A KR 1020200051378A KR 20200051378 A KR20200051378 A KR 20200051378A KR 20210132902 A KR20210132902 A KR 20210132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temperature
patch
type thermometer
web service
ser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4409B1 (ko
Inventor
양진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센스
Priority to KR1020200051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409B1/ko
Priority to PCT/KR2021/005048 priority patent/WO2021221380A1/ko
Priority to US17/997,405 priority patent/US20230165465A1/en
Publication of KR20210132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2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Monitoring the patient using a local or closed circuit, e.g. in a room or buil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20Clinical contact thermometers for use with humans or animal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16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 A61B2562/164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Details of structural supports for sensors the sensor is mounted in or on a conformable substrate or carri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r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패치형 체온계, 패치형 체온계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수행하는 웹 서비스 서버, 측정된 체온 정보를 패치형 체온계로부터 수신하여 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 및 웹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AI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temperature}
본 발명은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적으로 대유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염증의 초기 증상 중 하나는 발열이기 때문에, 감염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가장 간단하고 빈번하게 사용하는 방법은 체온 검사이다.
또한, 이와 같은 감염증은 2주 정도의 잠복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특별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더라고 일정 기간 체온을 체크할 필요가 있다. 특히, 발병률이 높은 국가로부터의 입국자의 경우 체온 감시의 효과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1729327 B1 (2017.04.1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시대상자의 체온을 일정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원격으로 측정할 수 있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패치형 체온계; 상기 패치형 체온계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수행하는 웹 서비스 서버;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를 상기 패치형 체온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 및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AI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AI 서버와 통신적으로 연동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에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형 체온계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에코 디바이스는 상기 패치형 체온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 업로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I 서버는 열 검출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상기 에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에코 디바이스는 상기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 장치는 특정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 스캐너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특정 지역은 공항 및 항만의 검역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패치형 체온계와 블루투스 페어링되어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알림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건강 체크 가이드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문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웹 서비스 서버는 푸시 메시지 또는 SMS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치형 체온계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온도센서, 메모리부 및 통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시대상자의 체온을 일정기간 동안 주기적으로 원격으로 측정함으로써, 감염증의 발병 의심 입국자에 대한 체온 정보를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의 패치형 체온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릴리즈 필름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4는 도 2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A-A 방향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패치형 체온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인공 지능을 이용한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특히 감염증의 발병 의심이 있는 입국자에 대한 체온을 원격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입국자와 같은 특정 대상에 대한 체온 정보를 일정기간 동안 정확하고 신뢰성 높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여기서, 입국자는 일정 기간동안 격리 조치를 요청받은 사용자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치형 체온계(100), 웹 서비스 서버(200), AI 서버(300), 에코 디바이스(400), 관리자 단말(500) 및 휴대용 단말(600)을 포함한다.
패치형 체온계(100)는 패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고,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상태에서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한 후 측정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입국자와 같은 감시대상자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저장된 체온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체온변동 추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
웹 서비스 서버(200)는 패치형 체온계(100)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집 장치를 통하여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 장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비콘 스캐너(250), 에코 디바이스(400) 및 휴대용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서버(200)는 클라우드 플랫폼으로서, 컴퓨팅, 스토리지,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서버(2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AI 서버(300)를 통하여 인공지능,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및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웹 서비스 서버(200)는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수집된 체온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서버(300)로 열 검출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비스 서버(200)는 패치형 체온계(100)부터 수집된 체온 변화 추이 정보를 AI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서버(200)는 수집된 체온 정보에 따라 감시대상자의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500)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웹 서비스 서버(200)는 푸시 메시지 또는 SMS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500)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AI 서버(300)는 웹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발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AI 서버(300)는 감시대상자의 체온 정보, 특히, 체온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발열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패치형 체온계(100)의 경우, 통상의 비접촉 방식의 체온계와는 달리 측정되는 체온의 정보가 상대적으로 부정확할 수 있는데, AI 서버(300)는 패치형 체온계(100)에서 입력되는 체온 값의 변화량(ΔT)의 변화 추이 등을 통하여 감시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유추할 수 있다. 즉, 측정된 온도가 실제 측정된 체온과 비교하여 차이가 있더라도, 체온 값의 변화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기 때문에, 체온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해열제 등의 복용으로 인해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I 서버(300)는 단순 발열 여부에 더하여 감시대상자의 체온 정보, 특히, 체온 변화 추이를 기반으로 건강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즉, AI 서버(300)는 감시대상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AI 서버(300)는 열 검출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에코 디바이스(400)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AI 서버(300)는 통신적으로 연동하는 에코 디바이스(400)로 감시대상자의 체온의 변화에 따른 안내사항 및 조치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AI 서버(300)는 웹 서비스 서버(200)를 통하여 관리자 단말(500) 및 휴대용 단말(600)로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웹 서비스 서버(200)는 AI 서버(300)로부터 제공된 건강 체크 가이드를 관리자 단말(500) 또는 휴대용 단말(600)로 알림을 수행할 수 있다.
AI 서버(300)는 웹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요청 또는 에코 디바이스(4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감시대상자의 건강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비콘 스캐너(250), 에코 디바이스(400) 및 휴대용 단말(600)은 설치 목적 및 기능에 따른 수집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집 장치는 측정된 체온 정보를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수신하여 웹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다양한 형태로 감시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격리 중이거나 감시중인 사용자에 대한 체온 정보 수집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비콘 스캐너(250)는 특정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전송되는 체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지역은 공항 및 항만의 검역대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감시대상자의 입국 경로 상에서 체온 측정을 통한 발열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유증상자 또는 발병 의심자의 입국시 선제적으로 격리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비콘 스캐너(250)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감시대상자의 체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아울러, 비콘 스캐너(250)는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수신한 체온 정보를 웹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비콘 스캐너(250)는 출입국 검역대뿐만 아니라 검사소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비콘 스캐너(250)는 드라이브 스루 방식의 검사소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비콘 스캐너(250)는 대형 병원과 같은 의료 시설의 출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체온 측정을 위해 감시대상자와 근접하게 접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감시대상자가 발병된 경우에도 감시대상자와의 직접 접촉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방역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에코 디바이스(400)는 AI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동하며 음성 인식이 가능하다. 에코 디바이스(400)는 사용자의 음성 인식에 의한 명령 또는 요청을 AI 서버(300)로 전달하고, AI 서버(300)의 분석 결과를 수신하여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에코 디바이스(400)는 AI 서버(300)에 대한 사용자의 입출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례로, 에코 디바이스(400)는 수집된 감시대상자의 체온 정보에 따라 AI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에코 디바이스(400)는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에코 디바이스(400)는 블루투스 통신에 의해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일례로, 에코 디바이스(400)는 BLE 애드버타이징(advertising) 방식으로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전송되는 체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에코 디바이스(400)는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웹 서비스 서버(200)로 업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에코 디바이스(400)는 AI 서버(300)와 관련된 웹 서비스 서버(200)와 유무선 통신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일례로, 에코 디바이스(400)는 감시대상자의 격리 시설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코 디바이스(400)는 자가 격리 시설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정에 구비된 에코 디바이스를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과 연동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10)은 감시대상자의 생활 공간, 특히, 격리 시설에 거주하거나 자가 격리 중인 경우, 특별한 주의를 갖지 않고도 자동으로 감시대상자의 체온을 측정 및 수집할 수 있으므로 체온 관리에 신뢰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휴대용 단말(600)은 패치형 체온계(100)와 블루투스 페어링되어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600)은 감시대상자의 무선 통신 가능한 전자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휴대용 단말(600)은 스마트폰, 넷북 및 노트북일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600)은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 있다.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패치형 체온계(100)와 휴대용 단말(600)의 블루투스 페어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패치형 체온계(100)와 휴대용 단말(600)이 페어링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패치형 체온계(100)로 데이터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600)은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패치형 체온계(100)에서 측정한 결과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체온 정보를 그래프 및 숫자로 도식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시대상자는 자신의 체온 상태 및 상태 변화 추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600)은 패치형 체온계(100)로부터 수신된 체온 정보를 웹 서비스 서버(200)로 업로딩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600)은 웹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적으로 연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웹 서비스 서버(200)와 휴대용 단말(600)을 연동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600)은 관리자 단말(500)과 연동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600)은 건강 체크 가이드를 휴대용 단말(600)로 문의할 수 있다. 일례로, 휴대용 단말(600)은 격리 생활 준수 규정 및 건강 상태에 따른 조치 사항을 문의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500)은 웹 서비스 서버(200)로부터의 알람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를 휴대용 단말(6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관리자 단말(500)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장치로서, 방역 관리자가 이용하거나 소유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패치형 체온계(100)는 연성회로기판(110),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 메모리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전원공급부(160) 및 보호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110)은 각종 회로소자를 실장하거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회로패턴이 형성되는 기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성회로기판(110)은 PI나 PET 등을 이용한 가요성을 갖는 공지의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일면에 실장되어 온도에 대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1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온도센서(121)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온도센서(121)를 통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온에 대한 정보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치형 체온계(100)는 시간 경과에 따른 사용자의 체온변화가 모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제1온도센서(121)는 디지털 방식의 온도센서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온을 직접 측정할 수도 있지만, 열전달부재(123)를 통해 전달된 열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온도센서(121)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제1면에 실장될 수 있고, 열전달부재(123)는 사용자 피부와 직접 접촉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110)의 제2면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온도센서(121) 및 열전달부재(123)는 연성회로기판(110)에 형성된 비아홀(112)을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110)의 제1면과 제2면은 서로 반대면일 수 있다. 일례로, 열전달부재(123)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패치형 체온계(100)가 사용자 피부에 부착된 경우, 열전달부재(123)는 사용자 피부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열전달부재(123)는 중앙부가 일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일례로, 열전달부재(123)는 반구형 또는 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치형 체온계(100)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경우, 부착부위가 굴곡진 신체부위라 하더라도 열전달부재(123)의 중앙부는 사용자의 피부와 항상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열전달부재(123)는 사용자의 피부로부터 전달된 열을 제1온도센서(121) 측으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전달부재(123)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보호부재(170)에 형성되는 노출공(17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치형 체온계(100)가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된 경우, 열전달부재(123)는 항상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패치형 체온계(100)는 제1온도센서(121)를 통한 사용자의 체온과 더불어 외부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패치형 체온계(100)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기 위한 제1온도센서(121)와 더불어 외부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제2온도센서(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온도센서(122)는 제1온도센서(121)와 마찬가지로 연성회로기판(110)의 일면에 실장될 수 있으며, 일정시간 간격으로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치형 체온계(100)는 제1온도센서(121)를 통한 사용자의 체온에 대한 정보와 더불어 사용자의 체온이 측정될 당시의 외부 환경에 대한 온도 정보를 함께 측정할 수 있음으로써 측정된 체온에 대한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를 통해 전반적인 동작이 제어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60)를 통해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를 통해 획득된 정보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패치형 체온계(100)는 사용자의 체온 또는 외부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저장하면서도 전원공급부(160)에서 제공되는 전력소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배터리의 교체주기 또는 재충전주기를 늘릴 수 있다.
통신부(140)는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체온 정보를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비콘 스캐너(250), 에코 디바이스(400) 및 휴대용 단말(6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140)는 NFC 안테나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NFC 안테나 모듈이 내장된 휴대용 단말(600)을 통신부(140) 측에 태깅하면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정보는 휴대용 단말(600) 측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적어도 일면에 패턴형성되는 안테나패턴(141)과 안테나패턴(141)의 구동을 위하여 연성회로기판(110)의 일면에 실장되는 구동칩(1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테나패턴(141)은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방사체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NFC 태깅시 안테나패턴(141)을 통해 휴대용 단말(600)로 송출된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600)에 설치된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체온 관리 애플리케이션은 체온의 변화 추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구동칩(142)은 안테나패턴(14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온도센서(121)는 안테나패턴(14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칩(142) 및 온도센서(121, 122)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리드부(143)를 매개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통신부(140)는 블루투스 모듈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통신부(140)는 휴대용 단말(600)과 페어링될 수 있고, 온도센서(121, 122)를 통해 측정된 온도 정보를 휴대용 단말(600)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더불어, 통신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FC 안테나 모듈(141,142,143)과 블루투스 모듈(144)을 모두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50)는 온도센서(121, 122), 메모리부(130) 및 통신부(140)를 제어함으로써 패치형 체온계(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150)는 전원공급부(160)를 통해 제공된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60)는 공지의 코인 배터리나 각형의 배터리일 수 있지만, 전체적인 무게 및 부피를 경감하면서도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판상의 플렉서블 배터리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서, 전원공급부(160)는 공지의 페이퍼 배터리 또는 인쇄배터리일 수 있다.
즉, 패치형 체온계(100)는 전원공급부(160)가 판상의 플렉서블 배터리로 구현됨으로써 구동을 위한 전원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체적인 무게가 경감될 수 있으며, 박형화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패치형 체온계(100)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121, 122), 메모리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및 전원공급부(16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연성회로기판(110)을 감싸는 보호부재(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보호부재(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달부재(123)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는 노출공(17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열전달부재(123)는 노출공(172)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부재(170)는 열전달부재(123)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완전히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호부재(170)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패치형 체온계(100)가 굴곡진 신체 부위에 부착된다 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 굴곡에 맞게 유연하게 변경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 신체와의 밀착성을 높일 수 있다.
일례로, 보호부재(170)는 실리콘과 같은 절연성 수지물로 이루어진 몰딩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보호부재(170)를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PET, PP, PE 등과 같은 불소 고분자 수지 또는 이형지 등으로 형성된 시트형태일 수도 있으며, 절연성 및 기밀성을 갖는 재질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패치형 체온계(100)는 보호부재(170)의 일면에 배치되는 접착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부재(180)는 접착 또는 점착력을 부여함으로써 패치형 체온계(100)를 사용자 신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접착부재(180)는 열전달부재(123)를 외부로 노출하기 위한 노출공(172)이 형성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치형 체온계(100)가 접착부재(180)를 통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열전달부재(123)는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례로, 접착부재(180)는 겔타입의 접착층일 수 있으며, 수분과의 접촉시 접착력이 복원되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부재(180)는 반복적인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접착부재(180)는 공지의 양면테이프일 수 있다.
더불어, 접착부재(180)의 노출면에는 제거가능한 릴리즈 필름(182)이 추가로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패치형 체온계(100)는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디케이터(190)는 전원공급부(160)의 배터리 잔량이나 온/오프 구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인디케이터(190)는 연성회로기판(110)의 일면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100 : 패치형 체온계
121, 122 : 온도 센서 130 : 메모리부
140 : 통신부 150 : 제어부
160 : 전원공급부 200 : 웹 서비스 서버
250 : 비콘 스캐너 300 : AI 서버
400 : 에코 디바이스 500 : 관리자 단말
600 : 휴대용 단말

Claims (9)

  1.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체온을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패치형 체온계;
    상기 패치형 체온계에서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집하여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수행하는 웹 서비스 서버;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를 상기 패치형 체온계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수집 장치; 및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체온 정보를 수신하여 인공지능에 의해 건강 상태를 관리하는 AI 서버를 포함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AI 서버와 통신적으로 연동하고 음성 인식이 가능한 에코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패치형 체온계는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에코 디바이스는 상기 패치형 체온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 업로딩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I 서버는 열 검출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상기 에코 디바이스로 제공하고,
    상기 에코 디바이스는 상기 건강 체크 가이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특정 지역의 출입구에 설치된 비콘 스캐너를 포함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지역은 공항 및 항만의 검역대인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는 상기 패치형 체온계와 블루투스 페어링되어 상기 측정된 체온 정보를 수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웹 서비스 서버로부터의 알림에 따른 건강 체크 가이드를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건강 체크 가이드를 상기 관리자 단말로 문의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 서버는 푸시 메시지 또는 SMS를 통하여 상기 관리자 단말로 알림을 수행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형 체온계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센서;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
    상기 온도센서, 메모리부 및 통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구동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면에 배치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온도센서, 상기 메모리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성회로기판을 감싸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00051378A 2020-04-28 2020-04-28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4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78A KR102634409B1 (ko) 2020-04-28 2020-04-28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PCT/KR2021/005048 WO2021221380A1 (ko) 2020-04-28 2021-04-21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US17/997,405 US20230165465A1 (en) 2020-04-28 2021-04-21 Remot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378A KR102634409B1 (ko) 2020-04-28 2020-04-28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2902A true KR20210132902A (ko) 2021-11-05
KR102634409B1 KR102634409B1 (ko) 2024-02-06

Family

ID=78373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378A KR102634409B1 (ko) 2020-04-28 2020-04-28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65465A1 (ko)
KR (1) KR102634409B1 (ko)
WO (1) WO2021221380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830A (ko) * 2007-06-04 2008-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센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그 생체 신호센서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50066560A (ko) * 2012-11-01 2015-06-16 블루 스파크 테크놀러지스, 인크. 체온 기록 패치
KR101679408B1 (ko) * 2016-04-29 2016-11-24 (주)삼경엠에스 기숙사 관리 시스템
KR101729327B1 (ko)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20170135109A (ko) * 2016-05-30 2017-12-08 홍승표 비콘을 이용한 출입 통제 관리시스템
KR20200009263A (ko) * 2018-07-18 2020-01-30 임태향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KR20200021711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아모텍 패치형 체온계 기반 체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014U (ko) * 2015-02-24 2016-09-01 (주)로드뷰 체온 측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체온 측정 시스템
KR102238118B1 (ko) * 2018-06-27 2021-04-08 주식회사 아모라이프사이언스 패치형 체온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655B1 (ko) * 2018-09-18 2020-11-05 지종완 스마트 체온 패치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체온 패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6830A (ko) * 2007-06-04 2008-12-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 신호 센서 장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그 생체 신호센서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시스템
KR20150066560A (ko) * 2012-11-01 2015-06-16 블루 스파크 테크놀러지스, 인크. 체온 기록 패치
KR101729327B1 (ko) 2015-11-10 2017-04-21 홍미선 듀얼 카메라를 이용한 체온 추적 모니터링 시스템
KR101679408B1 (ko) * 2016-04-29 2016-11-24 (주)삼경엠에스 기숙사 관리 시스템
KR20170135109A (ko) * 2016-05-30 2017-12-08 홍승표 비콘을 이용한 출입 통제 관리시스템
KR20200009263A (ko) * 2018-07-18 2020-01-30 임태향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로 운영되는 헬스캐어 시스템
KR20200021711A (ko) * 2018-08-21 2020-03-02 주식회사 아모텍 패치형 체온계 기반 체온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409B1 (ko) 2024-02-06
WO2021221380A1 (ko) 2021-11-04
US20230165465A1 (en) 2023-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01992A1 (en) Sensor patch and related smart device, systems, and methods
KR20170084253A (ko) 전자 디바이스 활성화를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
US10481009B2 (en) Temperature probe and temperature measuring device
CN105852802A (zh) 伤口监测
US20210372832A1 (en) Detecting fluid flow
KR102064361B1 (ko) 멀티 센싱이 가능한 패치형 센서모듈
KR101027994B1 (ko) 위급 상황을 통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04866949A (zh) 一种基于rfid和gps的养老院智能管理系统
KR101064580B1 (ko)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위치정보 검출 시스템
TW202002533A (zh) 監控裝置和系統
KR102634409B1 (ko) 원격 체온 모니터링 시스템
TWM521858U (zh) 利用LoRa無線通訊技術之通訊系統
KR20070090815A (ko) 적응적 헬스 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
JP2015185010A (ja) 管理システム
JPH11306468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KR101084498B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비접촉 체온 측정 시스템
US20080191875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using piezoelectric body
JP4379145B2 (ja) 線量計装置
TW201349122A (zh) 集裝箱資料中心管理系統
KR20210126286A (ko) 전자체온계
KR20210150749A (ko) 비대면 체온변화 관리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FI3834013T3 (fi) Valvontajärjestelmä, joka käsittää useita kannettavia laitteita ja ohjausyksikön
TWI783225B (zh) 一種電線資訊擷取系統及其方法
KR20190021580A (ko) 동물용 체온 센서 모듈
US11666719B2 (en) Control system and process for controlling a breathing gas circuit in a closed-circuit respi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