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9252A - 도어용 경첩 - Google Patents

도어용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9252A
KR20200009252A KR1020180083379A KR20180083379A KR20200009252A KR 20200009252 A KR20200009252 A KR 20200009252A KR 1020180083379 A KR1020180083379 A KR 1020180083379A KR 20180083379 A KR20180083379 A KR 20180083379A KR 20200009252 A KR20200009252 A KR 20200009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door
hinge
door frame
fram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3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0419B1 (ko
Inventor
원종석
Original Assignee
원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종석 filed Critical 원종석
Priority to KR1020180083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41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제 또는 모기퇴지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가 경첩 상단에 결합되어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 향이 실내 내부에 발산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절개홈이 형성된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절개홈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과, 상기 도어고정판과 문틀고정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문틀고정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으로 이루어진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 또는 모기 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며,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저면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문틀고정판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하부에 형성된 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한다.

Description

도어용 경첩{Door Hinge}
본 발명은 도어용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향제 또는 모기퇴지체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가 내부에 수용된 케이스가 경첩 상단에 결합되어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 향이 실내 내부에 발산되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용 경첩은 직사각을 이루는 2장의 금속판이 하나의 힌지에 결합되어 1장은 문틀에 고정되고 다른 1장은 도어에 고정되어 문틀에 대하여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용 경첩(1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캡(40)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개방된 상단과 하단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도어용 경첩은 문틀에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용도 이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단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새로운 형태의 경첩이 개발되지 못하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43890호 (등록일자 : 2004. 02. 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가 결합되어 향기가 발산되거나 또는 모기를 퇴치할 수 있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에 블루투스 스피커가 결합되는 도어용 경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절개홈이 형성된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절개홈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과, 상기 도어고정판과 문틀고정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문틀고정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으로 이루어진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 또는 모기 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며,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 저면에 결합되는 나사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문틀고정판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하부에 형성된 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 저면에 마개의 상부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자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다른 실시예로,
절개홈이 형성된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절개홈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과, 상기 도어고정판과 문틀고정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문틀고정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으로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 또는 모기 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며,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가 상기 문틀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 내부에 자석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어용 경첩의 또 다른 실시예로,
절개홈이 형성된 문틀고정판과, 상기 문틀고정판의 절개홈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과, 상기 도어고정판과 문틀고정판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문틀고정판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으로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홈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저면에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스프커가 형성된 블루투스 스피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 내부에 자석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은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케이스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경첩 상단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어를 닫고 열을 때마다 또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 향이 실내 내부에 퍼지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방향제 또는 모기퇴치제를 실내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 상단에 블루투스 스피커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실내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종래의 경첩 사용 용도 외에 추가적인 사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홈이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경첩에 케이스가 결합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
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와 홈이 결합된 부분을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경첩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0은 도 9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본 고안에 따른 도어용 경첩의 구성 및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 각각 설명되는 경첩에 대해서는 즉, 문틀고정판, 도어고정판, 절개홈, 힌지부, 힌지캡, 홈은 동일한 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에서 각각 동일한 용어로 설명되는 케이스, 통공, 결합돌기, 자석에 대해서는 실시예 별로 각각 다른 부호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홈(42)으로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미도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의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케이스(50) 내부와 연통되는 형태로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케이스(50)가 경첩(100) 상단에 결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50) 저면에 마개(70)가 결합된다.
상기 마개(70)는 상부에 나사부(72)가 형성되고, 하부는 결합돌기(74)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나사부(72)는 상기 케이스(50) 저면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74)는 상기 문틀 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와 마개(70)의 결합이 나사결합 방식이 아닌 상기 케이스(50) 저면에 마개(70)의 상부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마개(70)를 자석으로 형성하여 마개(70) 하부에 형성된 결합돌기(74)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될 때 결합된 상태를 한번 더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도어용 경첩(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수용한 다음 상기 케이스(50) 저면으로 상기 마개(70) 상부에 형성된 나사부(72)를 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결합된 힌지캡(40)을 제거한 후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으로 결합돌기(74)를 결합시키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첩(100) 상단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수용된 케이스(50)가 경첩(100)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어를 닫고 열을 때마다 또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방향제(60)가 수용되어 있으면 방향제(60)의 향이 통공(52)을 통해 발산하게 되어 실내 내부에 방향제(60) 향이 퍼지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방향제(60)를 실내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방향제(60) 대신 모기퇴치제를 수용할 경우 모기퇴치제 향이 통공(52)을 실내 내부에 퍼지는 효과가 있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모기퇴치제를 만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문틀 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된 케이스(50)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힌지캡(40)을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사용자가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가 소모되어 새로 교체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케이스(50) 내부에 방향제(60)를 수용하여 사용하다가 모기가 활동하는 계절에 상기 방향제(60) 대신 모기퇴치제로 용이하게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형태이다.
(실시예 2)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홈(42)으로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의 향이 발산될 수 있도록 케이스(80) 내부와 연통되는 형태로 다수의 통공(8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80) 저면으로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90)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90) 내부에 자석을 수용을 하여 결합돌기(90)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될 때 결합된 상태를 한번 더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합돌기(90) 자체를 자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도어용 경첩(100)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는 상기 케이스(80)와 결합돌기(90)가 분리되지 않는 형태로서 방향제(60)가 수용된 케이스(80) 또는 모기퇴치제가 수용된 케이스(80)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며,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가 소모되더라 새 방향제(60) 또는 새 모기퇴치제로 교체가 할 수 없는 형태이다.
즉, 실시예 1은 케이스(50)와 마개(70)가 분리결합되는 형태로서 하나의 케이스(50)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케이스(50) 내부에 수용되어 있던 방향제(60)를 분리하고 모기퇴치제로 교체하거나 또는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가 소모되더라 새 방향제(60) 또는 새 모기퇴치제로 교체 할 수 있는 형태이다.
우선, 사용자가 방향제(60) 사용을 원할 경우 방향제(60)가 수용된 케이스(80)를 또는 사용자가 모기퇴치제 사용을 원할 경우 모기퇴치제가 수용된 케이스(80)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결합된 힌지캡(40)을 제거한 후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으로 상기 케이스(80) 저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90)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첩(100) 상단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된 케이스(80)가 경첩(100) 상단에 결합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경첩(100) 상단에 케이스(80)가 위치되면 도어를 닫고 열을 때마다 또는 창문을 통해 들어오는 바람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방향제(60)가 수용되어 있으면 방향제(80)의 향이 통공(82)을 통해 발산하게 되어 실내 내부에 방향제(60) 향이 퍼지는 효과가 있고, 별도의 방향제(60)를 실내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80) 내부에 방향제(60) 대신 모기퇴치제를 수용할 경우 모기퇴치제 향이 통공(82)을 실내 내부에 퍼지는 효과가 있고, 유아 또는 어린이가 모기퇴치제를 만지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 고정판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방향제(60) 또는 모기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된 케이스(80)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힌지캡(40)을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실시예 3)
도 1 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을 나타낸 것으로서,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홈(42)으로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 바와 같이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P)가 저면에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스피커(S)가 형성된 블루투스 스피커(B)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B)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 스피커(B)를 이용한 것으로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B)가 상기 경첩(100) 상단에 위치될 수 있도록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B) 저면에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P)가 돌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실시예 2처럼 상기 결합돌기(P) 내부에 자석(M)을 수용을 하여 결합돌기(P)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될 때 결합된 상태를 한번 더 견고하게 결합되게 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결합돌기(P) 자체를 자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B)를 상기 경첩(100) 상단에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서 실내 내부 공간 중 어느 한 곳에 배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종래의 경첩 사용 용도 외에 추가적인 사용 용도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상기 블루투스 스피커(B)를 결합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힌지캡(40)을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10 : 문틀고정판 12 : 절개홈
20 : 도어고정판
30 : 힌지부
40 : 힌지캡 42 : 홈
50, 80 : 케이스 52, 82 : 통공
60 : 방향제
70 : 마개 72 : 나사부 74, 90, P : 결합돌기
100 : 경첩
B : 블루투스 스피커
M : 자석
S : 스피커

Claims (7)

  1.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42)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이루어진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며,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52)이 형성된 케이스(50)와;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50) 저면에 결합되는 나사부(72)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결합되는 결합돌기(74)가 하부에 형성된 마개(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50) 저면에 마개(70)의 상부가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70)는 자석(M)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4.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42)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내부에 방향제(60) 또는 모기 퇴치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내부에 수용되며, 향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82)이 형성된 케이스(80)와;
    상기 케이스(80) 저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90)가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90) 내부에 자석(M)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6. 절개홈(12)이 형성된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절개홈(12)에 맞물리는 도어고정판(20)과, 상기 도어고정판(20)과 문틀고정판(10)을 힌지결합시키는 힌지부(30)와, 상기 문틀고정판(10)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홈(42)에 억지끼움되는 힌지캡(40)으로 구성되는 도어용 경첩(100)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판(10) 상단에 형성된 홈(42)에 결합되는 결합돌기(P)가 저면에 형성되고, 외부면에 다수의 스프커(S)가 형성된 블루투스 스피커(B)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P) 내부에 자석(M)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경첩.
KR1020180083379A 2018-07-18 2018-07-18 도어용 경첩 KR102130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79A KR102130419B1 (ko) 2018-07-18 2018-07-18 도어용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379A KR102130419B1 (ko) 2018-07-18 2018-07-18 도어용 경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252A true KR20200009252A (ko) 2020-01-30
KR102130419B1 KR102130419B1 (ko) 2020-07-06

Family

ID=69321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379A KR102130419B1 (ko) 2018-07-18 2018-07-18 도어용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7424B1 (ko) 2020-11-13 2022-02-07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도어용 힌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90Y1 (ko) 2003-12-22 2004-03-05 주식회사 코아스 도어의 향기배출장치
KR20060055170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20070106826A (ko) * 2006-05-01 2007-11-06 이남진 좌변기용 덮개의 힌지장치
US20150285435A1 (en) * 2014-04-02 2015-10-08 Abdullah S. Alghamdi Oiling System for Door Hinges
KR101750632B1 (ko) * 2015-12-30 2017-06-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KR20180002198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현대정밀 도어용 경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890Y1 (ko) 2003-12-22 2004-03-05 주식회사 코아스 도어의 향기배출장치
KR20060055170A (ko) * 2004-11-18 2006-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20070106826A (ko) * 2006-05-01 2007-11-06 이남진 좌변기용 덮개의 힌지장치
US20150285435A1 (en) * 2014-04-02 2015-10-08 Abdullah S. Alghamdi Oiling System for Door Hinges
KR101750632B1 (ko) * 2015-12-30 2017-06-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어 스토퍼 기능을 가지는 경첩
KR20180002198A (ko) * 2016-06-29 2018-01-08 주식회사 현대정밀 도어용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0419B1 (ko) 202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8250A (en) Adhesive insect trapping housing
KR20200009252A (ko) 도어용 경첩
NO20030872D0 (no) Brystkappeinnsats
WO2005079577A3 (fr) Nouvelle composition insecticide et son utilisation, notamment pour l'imprégnation de moustiquaires
KR102130263B1 (ko) 싱크대 배수구 커버
CN105900960A (zh) 卫生捕虫器
US20180117206A1 (en) Enclosure for porous members impregnated with volatile substance
KR200350098Y1 (ko)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102014165B1 (ko) 도어용 경첩
DK0645084T3 (da) Fungicide blandinger
KR200437856Y1 (ko) 방충문이 구비된 이중문
JP2001211805A (ja) 粘着式捕虫器
KR200343890Y1 (ko) 도어의 향기배출장치
KR200386706Y1 (ko) 좌변기 덮개
JP2001238789A (ja) 遮光装置
KR200229586Y1 (ko) 방향제가 내장된 휴대용 치솔 보관함
JP2005091851A (ja) 芳香剤を有する眼鏡鼻当て構造
KR200296134Y1 (ko) 방향제를 발산하는 장식품을 첨부한 향수안경
KR200401648Y1 (ko) 향기를 발산시키는 필기구
JP3101884U (ja) 扇風機
KR200162140Y1 (ko) 휴대용 방향제 케이스
KR200249221Y1 (ko) 환기용창문프레임
KR200358672Y1 (ko) 램프에 착탈이 가능한 방향 카트리지
KR940006685Y1 (ko) 방향제 기능을 겸비한 자동차용 캘린더
KR200340532Y1 (ko) 다기능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