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8938A -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 Google Patents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8938A
KR20200008938A KR1020190032143A KR20190032143A KR20200008938A KR 20200008938 A KR20200008938 A KR 20200008938A KR 1020190032143 A KR1020190032143 A KR 1020190032143A KR 20190032143 A KR20190032143 A KR 20190032143A KR 20200008938 A KR20200008938 A KR 2020000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owcase
shelf
hous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1146B1 (ko
Inventor
유재우
Original Assignee
유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우 filed Critical 유재우
Publication of KR2020000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1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1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26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04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 A47F3/0408Cases or cabinets of the closed type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7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3/00Show cases or show cabinets
    • A47F3/04Show cases or show cabinets air-conditioned, refrigerated
    • A47F3/0482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 A47F3/0486Details common to both closed and open types for charging, display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물품을 진열할 수 있는 쇼케이스 모듈과 물품을 저장(보관)할 수 있는 저장 모듈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쇼케이스 모듈에서 식품 등을 신선하게 진열할 수 있고, 아울러 쇼케이스 모듈에서 진열하기 위한 물품을 저장 모듈에서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물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 모듈(Showcase Module), 상기 쇼케이스 모듈에 진열할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 모듈(Storage Module) 및 상기 쇼케이스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냉동 모듈(Refrigeration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쇼케이스 모듈은 상기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First Case) 및 상기 진열 공간에 설치되는 선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COMPLEX SHOWCASE REFRIGERATOR FOR DISPLAYING AND STORAGE}
본 발명은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물품을 진열할 수 있는 쇼케이스 모듈과 물품을 저장(보관)할 수 있는 저장 모듈을 일체화시킴으로써, 쇼케이스 모듈에서 식품 등을 신선하게 진열할 수 있고, 아울러 쇼케이스 모듈에서 진열하기 위한 물품을 저장 모듈에서 저장 및 보관할 수 있는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쇼케이스(Show Case)란 가게에서 물품을 진열하는 데 쓰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쇼케이스 냉장고는 쇼케이스에 냉장냉동 기능을 추가한 장치이다.
종래의 쇼케이스 냉장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2894호(물을 이용한 냉각수단을 갖는 냉장고용 쇼케이스)[문헌 1]에서는 냉매와 물이 직접 접촉하면서 순환토록 하기 위하여 이중관을 이용한 열교환방식을 사용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1에 따른 종래기술에서는 쇼케이스가 물품을 보관하는 상태 그대로 관찰자에게 보이기 때문에, 물품의 진열 효과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쇼케이스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471830000호(회전형 선반을 가지는 쇼케이스)[문헌 2]에서는 하나의 구동축(회전축)에 복수의 선반을 설치하고,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복수의 선반이 회전하는 기술적 구성을 게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헌 2에 따른 종래기술에서는 쇼케이스의 진열 공간 내에서 구동축이 물품의 이동 및 진열을 방해하고, 구동축으로 인해 진열공간의 협소함을 유발하며, 물품의 진열 방식이 단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5-0012894호 [문헌 2]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7471830000호
본 발명은 물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 모듈과 물품을 저장(보관)하는 저장 모듈을 융합한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진열공간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접시를 설치하면서도 회전접시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이 물품의 이동 및/또는 진열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물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 모듈(Showcase Module), 상기 쇼케이스 모듈에 진열할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 모듈(Storage Module) 및 상기 쇼케이스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냉동 모듈(Refrigeration Module)을 포함하고, 상기 쇼케이스 모듈은 상기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First Case) 및 상기 진열 공간에 설치되는 선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모듈은 선반 프레임(Shelf Frame), 상기 선반 프레임에 배치되는 구동모듈(Driving Module), 상기 선반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듈을 덮는 선반(Shelf), 상기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듈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시(Plate)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Lighting Part)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선반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Motor)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모터는 하나의 상기 접시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모터 베이스의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관 형태의 조명관 및 상기 조명관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상기 제 1 부분의 제 1 끝단(First End)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nd)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art)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앞벽(Front Wall) 및 상기 앞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수평부(Front Horizont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앞벽과 상기 구동모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의 폭은 상기 조명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First Side Wall),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수평부(First Side Horizontal Part), 상기 제 1 측면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및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 수평부(Second Side Horizont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제 1 측벽, 상기 제 1 측면 수평부, 상기 제 2 측벽 및 상기 제 2 측면 수평부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한 끝단은 상기 제 2 부분의 제 2 측면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제 3 부분의 제 2 측면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면 수평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 1 끝단(First Edge)은 상기 선반모듈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dge)은 상기 선반모듈의 후방을 향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끝단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끝단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끝단 측에서 상기 모터 베이스의 끝단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끝단 측에서 모터 베이스의 끝단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칸막이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물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 모듈과 물품을 저장(보관)하는 저장 모듈을 융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용이하게 물품을 진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진열공간 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접시를 모터와 1:1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미려하게 물품을 진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회전접시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열 공간 내에서 물품의 이동 및/또는 진열이 자유로울 수 있고,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는 진열 공간 내에서 구동축이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여서 물품 수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선반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선반 프레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접시 구동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5는 베어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조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 1 방향(First Direction, DR1, X)은 제 2 방향(Second Direction, DR2, Y) 및 제 3 방향(Third Direction, DR3, Z)과 교차(수직)하고, 제 2 방향(DR2)은 제 3 방향(DR3)과 교차(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X)과 제 2 방향(Y)을 통칭하여 수평방향(Horizontal Direction)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제 3 방향(Z)은 수직방향(Vertical Direction)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이하에서는 '쇼케이스 냉장고'라 칭함)(SR)는 쇼케이스 모듈(Showcase Module, 1A) 및 저장 모듈(Storage Module, 2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냉장고(SR)를 전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냉장고(SR)를 후면에서 바라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냉장고(SR)에서 냉기 공급 경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쇼케이스 모듈(1A)은 음식 등의 물품을 진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쇼케이스 모듈(1A)은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 공간(30), 진열 공간(30)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First Case, 10) 및 진열 공간(30)에 설치되는 선반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에 물품이 진열되면, 관찰자는 쇼케이스 모듈(1A)의 내부에 진열될 물품의 진열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선반모듈(20)은, 도 2에서와 같이, 진열 공간(30) 내에 수직방향(제 3 방향(Z))으로 설치되는 지지바(Supporting Bar, 10a)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선반모듈(20)의 일측 끝단이 지지바(10a)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진열 공간(30)은 유리, 투명 플라스틱 등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진열공간(30) 내에 진열되는 물품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선반모듈(20)은 회전하는 회전접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접시에는 식품 등의 다양한 물품이 진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회전접시를 접시라고 칭할 수 있다.
선반모듈(20)은 쇼케이스(1)의 진열 공간(30) 내에서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쇼케이스(1)의 진열 공간(30) 내에서 선반모듈(20)의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저장 모듈(2A)은 쇼케이스 모듈(1A)에 진열할 물품을 냉장 및/또는 냉장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 모듈(2A)은, 도 1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케이스(Second Case, 40), 제 2 케이스(40)에 마련되는 저장 공간(41), 저장 공간(41)을 차폐하는 저장 도어(42) 및 제 2 케이스(40)에 마련되며 냉장/냉동을 위해 쇼케이스 모듈(1A) 및 저장 모듈(2A)에 냉기를 공급하는 냉장냉동 모듈(Refrigeration Module, 60)이 배치되는 장치 공간(5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장치 공간(50)에는 냉장냉동 모듈(60) 뿐 아니라 쇼케이스 냉장고(SR)의 동작 및/또는 제어에 필요한 소정의 기계 장치(미도시) 및/또는 전기/전자 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하지 않은 식별부호 10b는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을 차폐하기 위한 진열 도어를 칭할 수 있다.
쇼케이스 모듈(1A)은 저장 모듈(2A)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쇼케이스 모듈(1A)의 제 1 케이스(10)와 저장 모듈(2A)의 제 2 케이스(40)는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냉장냉동 모듈(60)은 저장 모듈(2A)의 저장 공간(41) 뿐만 아니라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에도 냉장 및/또는 냉동을 위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쇼케이스 냉장고(SR)의 쇼케이스 모듈(1A)에는 회전하는 접시를 포함하는 선반 모듈(2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선반 모듈(20)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선반모듈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살펴보면, 선반모듈(20)은 선반 프레임(Shelf Frame, 100), 접시 구동모듈(Plate Driving Module, 200), 선반(Shelf, 300) 및 접시(Plate, 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은 접시 구동모듈(200), 선반(300) 및/또는 접시(4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프레임(100)은 금속 재질, 플라스틱 재질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해 선반 프레임(100)은 철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반 프레임(100)은 진열 공간(30) 내에 제 3 방향(Z)으로 설치되는 지지바(1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모듈(20)이 지지바(10a)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다.
접시 구동모듈(200)은 선반 프레임(10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접시 구동모듈(200)은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C)에 의해 선반 프레임(10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접시 구동모듈(200)은 모터(Motor, 2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접시 구동모듈(200)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히 될 수 있다.
선반(300)은 선반 프레임(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접시 구동모듈(200)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선반(300)은 접시 구동모듈(200) 뿐 아니라 선반 프레임(100)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선반(300)은 유리 재질, 플라스틱 재질, 나무 재질, 금속 재질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선반(300)은 물품의 효과적이고 미려한 진열을 위해 유리 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시(400)는 선반(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접시(400)는 접시 구동모듈(200)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반(300)에는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310)을 통해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접시(400)에 연결될 수 있다.
선반(300)에는 선반홀(410)이 형성되고, 접시(400)의 상부에는 마개(420)가 배치될 수 있다.
마개(420)는 관통홀(310)과 선반홀(410)을 관통한 모터(210)의 구동축(2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축(211)의 회전에 따라 접시(400)가 효과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선반(300)과 접시(400)의 사이에는 베어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500)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선반 프레임(10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6 내지 도 9는 선반 프레임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을 살펴보면, 선반 프레임(100)은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110), 제 1 부분(110)의 제 1 끝단(First End)에서 제 1 방향(X)과 교차하는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120) 및 제 1 부분(110)의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nd)에서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art, 130)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선반 프레임(100)은 제 2 부분(120)의 끝단과 제 3 부분(130)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4 부분(Fourth Part, 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 프레임(100)은 사각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2 부분(120)의 끝단과 제 3 부분(130)의 끝단에는 선반(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50)는 제 1 방향(X) 및 제 2 방향(Y)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 Z)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 2 부분(120)의 끝단과 제 3 부분(130)의 끝단은 지지바(10a)에 연결될 수 있다.
도 7을 살펴보면, 선반 프레임(100)의 제 1 부분(110)은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앞벽(Front Wall, 112) 및 앞벽(112)으로부터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전면 수평부(Front Horizontal Part, 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 수평부(111)에는 선반(300)이 배치될 수 있다.
앞벽(112)은 이하에서 설명될 조명부(미도시) 등을 가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반모듈(2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선반 프레임(100)의 제 1 부분(110)을 A1-A2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도 8을 살펴보면, 선반 프레임(100)의 제 2 부분(120)은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First Side Wall, 121), 제 1 측벽(121)으로부터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수평부(First Side Horizontal Part, 122), 제 1 측면 수평부(122)로부터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123) 및 제 2 측벽(123)으로부터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 수평부(Second Side Horizontal Part,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측벽(121), 제 1 측면 수평부(122), 제 2 측벽(123) 및 제 2 측면 수평부(124)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125)에는 접시 구동모듈(200)의 모터(210) 및/또는 조명부(미도시)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선반모듈(2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선반 프레임(100)의 제 2 부분(120)을 A3-A4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제 3 부분(130)은 기본적으로 제 2 부분(120)과 대략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 3 부분(130)과 제 2 부분(120)은 제 3 방향(Z)으로 연장되는 축에 대해 대칭될 수 있다. 도 8에 표시된 식별부호 131, 132, 133, 134, 135는 제 3 부분(130)에 대응되는 부호이다.
도 9를 살펴보면, 접시 구동모듈(200)의 양쪽 끝단에는 제 1 홀(First Hole, H1)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접시 구동모듈(200)의 하우징(부호 미지정)의 양쪽 끝단에 각각 제 1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선반 프레임(100)의 제 2 부분(120) 및 제 3 부분(130)의 제 2 측면 수평부(124)에는 제 1 홀(H1)에 대응되는 제 2 홀(Second Hole, H2)이 형성될 수 있다.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SC)이 제 1 홀(H1)과 제 2 홀(H2)을 관통하여 선반 프레임(100)과 접시 구동모듈(200)을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시 구동모듈(200)의 한 끝단은 선반 프레임(100)의 제 2 부분(120)에 연결되고, 접시 구동모듈(200)의 다른 끝단은 선반 프레임(100)의 제 3 부분(130)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접시 구동모듈(200)의 하우징의 한 끝단은 제 2 부분(120)에 연결되고, 하우징의 다른 끝단은 제 3 부분(130)에 연결될 수 있다.
접시 구동모듈(20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0 내지 도 13은 접시 구동모듈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접시 구동모듈(200)은 선반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하우징(Housing, 220) 및 하우징(22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Motor, 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20)에는 모터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을 살펴보면, 하우징(220)의 내측에 모터(210)가 배치되고,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하우징(220)의 모터홀(221)을 관통하여 노출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모터(210)는 하나의 접시(4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터(210)와 접시(400)는 1:1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1은 접시 구동모듈(200)의 모터홀(221) 부분을 A5-A6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여준다.
하우징(220)의 폭 방향, 즉 제 2 방향(Y)으로, 하우징(220)의 제 1 끝단(First Edge, E1)은 선반모듈(20)의 전방을 향하고, 하우징(220)의 제 1 끝단(E1)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dge, E2)은 선반모듈(20)의 후방을 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끝단(E1)과 모터(210)의 구동축(211) 사이의 간격(D1)은 제 2 끝단(E2)과 구동축(211) 사이의 간격(D2)보다 더 클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선반모듈(20)의 후방에 치우쳐서 위치할 수 있다.
선반모듈(20)의 미관 및 접시(400)를 적절한 위치에 설치하기 위해 하우징(220)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모터(210)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진열 공간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해 모터(210)는 선발모듈(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2를 살펴보면, 모터(210)는 비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모터 베이스(212)의 한쪽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하우징(220)의 제 2 끝단(E2) 측에서 모터 베이스(212)의 끝단과 구동축(211) 사이의 간격(W2)은 하우징(220)의 제 1 끝단(E1) 측에서 모터 베이스(212)의 끝단과 구동축(211) 사이의 간격(W1)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모듈(20)의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모터(210)의 구동 시에 발생하는 열을 진열 공간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3을 살펴보면, 모터(210)는 접착성을 갖는 열전도 시트(230)에 의해 하우징(220)에 부착될 수 있다. 열전도 시트(230)는 모터(210)를 하우징(220)에 부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모터(210)에서 발생하는 열을 하우징(220)으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시 구동모듈(200)의 특정 위치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는, 하우징(220)의 내부에는 소정의 칸막이(240)가 설치될 수 있다. 모터(210)는 칸막이(240)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베어링(500)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4 내지 도 15는 베어링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4를 살펴보면, 베어링(500)은 볼(Ball), 롤러(Roller) 등을 포함하는 제 1 링 부분(First Ring Part, 510), 제 2 링 부분(Second Ring Part, 520) 및 제 3 링 부분(Third Ring Part, 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링 부분(510)은 제 2 링 부분(520)과 제 3 부분(53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베어링(500)은 중앙에 홀(54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베어링(500)을 트러스트 베어링(Trust Ball Bearing)이라고 할 수 있다.
도 15를 살펴보면, 선반(300)과 접시(400)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 타입의 베어링(500)이 배치될 수 있다.
모터(210)의 구동축(211)은 베어링(500)이 홀(540)을 관통하여 접시(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접시(400)의 하중이 베어링(500)에 의해 분산되어 구조적 안정성이 향상되고,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아울러, 모터(210)의 구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열이 베어링(50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시(400)에 진열되는 음식 등의 물품에 열이 절단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베어링(500)의 두께(T1)는 선반(300)의 두께(T2) 및/또는 접시(400)의 두께(T3)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어링(500)이 더욱 효과적으로 열전달을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Y)으로, 접시(400)의 직경(S1)은 접시 구동모듈(200)의 하우징(220)의 폭(S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모듈(2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조명부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6 내지 도 18은 조명부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6을 살펴보면, 조명부(Lighting Part, 600)는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명부(600)는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는 조명관(610) 및 조명관(610)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62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진열된 물품의 관찰에 충분한 광(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조명부(600)는 도시하지 않은 전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600)는, 도 17 및 도 18의 경우와 같이, 선반 프레임(100)의 제 1 부분(110)과 구동모듈(200)의 하우징(2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관점에서 보면, 조명부(600)는 제 1 부분(110)의 앞벽(112)과 전면 수평부(111)의 사이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 프레임(100)의 제 1 부분(110)은 조명부(600)를 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명부(600)에서 발생하는 광이 관찰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며, 은은한 조명이 가능할 수 있다.
조명부(600)를 더욱 효과적으로 가리기 위해, 제 3 방향(Z)으로 선반 프레임(100)의 제 1 부분(110)의 폭(D4)은 조명부(600)의 폭(R1)보다 더 클 수 있다.
아울러, 접시(400)는 선반 프레임(100)보다 선반모듈(20)의 전방으로 소정 폭(D3) 만큼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선반모듈(20)의 미관을 더욱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은 선반(300)의 하부에 모터(210)를 배치하고 모터(210)와 접시(400)를 1:1로 연결함으로써, 모터(210)의 구동축(211)이 진열 공간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미려하게 물품을 진열할 수 있으며, 쇼케이스(1)의 물품 수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진열 공간 내에서 물품의 이동 및/또는 진열이 자유로울 수 있고, 쇼케이스(1)의 미관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쇼케이스 냉장고(SR)의 구동에 대해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19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의 구동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이상에서 설명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쇼케이스 냉장고(SR)를 구동시키기 위한 메인 구동모듈(Main Driving Module, 3A)은 제어부(Controller, 70)와 센싱부(Sensing Part, 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구동모듈(3A)은 쇼케이스 냉장고(SR)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접시 구동모듈(200)과 별도의 모듈로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는 다르게 접시 구동모듈(200)과 메인 구동모듈(3A)은 하나의 단일 모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센싱부(80)는 온도를 센싱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저장 도어(42) 및/또는 진열 도어(10b)의 개폐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개폐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싱부(80)는 온도센서로부터 온도정보를 생성하고, 개폐센서로부터 개폐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메인 구동모듈(3A)의 제어부(70)는 쇼케이스 냉장고(SR)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70)는 냉각냉동모듈(60)을 제어하여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 및/또는 저장 모듈(2A)의 저장 공간(41)으로 냉기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70)는 구동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센싱부(80)로부터 온도정보 및/또는 개폐정보를 공급받고, 이를 이용하여 쇼케이스 냉장고(SR)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제어부(70)는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 및/또는 저장 모듈(2A)의 저장 공간(41)으로 공급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냉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70)는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 및/또는 저장 모듈(2A)의 저장 공간(41)으로 공급하는 냉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냉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70)는 개폐정보를 이용하여 쇼케이스 모듈(1A)의 선반모듈(20)의 접시(40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접시(400)의 회전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도 20을 살펴보면,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 내에 물품이 진열(S100)된 상태에서는, 조명부(600)를 턴-온(Turn-On)시키고, 접시(400)를 회전시킬 수 있다(S110).
아울러,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공간(3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S120). 여기서, 저장 모듈(2A)의 저장 공간(41)에 소정의 물품이 저장된 상태에서는 저장 공간(41)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후, 제어부(70)는 쇼케이스 모듈(1A)의 진열 도어(10b)가 열리는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30).
판단결과, 진열 도어(10b)가 열리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다른 기능(Default)을 수행할 수 있다(S140).
반면에, 제 S130 단계에서 판단결과, 진열 도어(10b)가 열린 경우에는 조명부(600)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접시(400)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다(S150).
이처럼, 진열 도어(10b)가 열린 상태에서 접시(400)의 회전을 중지시키는 경우에는 접시(400) 상에 물품을 올리기가 보다 용이할 수 있다.
이후, 진열 도어(10b)가 닫히는지의 여부를 판단(S160)하고, 판단결과 진열 도어(10b)가 닫히는 경우에는 접시(400)를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S170).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물품을 진열하는 쇼케이스 모듈(Showcase Module);
    상기 쇼케이스 모듈에 진열할 상기 물품을 보관하는 저장 모듈(Storage Module); 및
    상기 쇼케이스 모듈 및 상기 저장 모듈에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장냉동 모듈(Refrigeration Module);
    을 포함하고,
    상기 쇼케이스 모듈은
    상기 물품을 진열하기 위한 진열 공간을 포함하는 제 1 케이스(First Case); 및
    상기 진열 공간에 설치되는 선반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모듈은
    선반 프레임(Shelf Frame);
    상기 선반 프레임에 배치되는 구동모듈(Driving Module);
    상기 선반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듈을 덮는 선반(Shelf);
    상기 선반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듈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시(Plate); 및
    빛을 발산하는 조명부(Lighting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선반 프레임에 연결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Motor);
    를 포함하고,
    하나의 상기 모터는 하나의 상기 접시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는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과 상기 모터 베이스의 사이에는 열전도 시트가 배치되고,
    상기 조명부는 관 형태의 조명관 및 상기 조명관 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 프레임은
    제 1 방향(First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First Part);
    상기 제 1 부분의 제 1 끝단(First End)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Secon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Second Part); 및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nd)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Third Part);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과 교차하는 제 3 방향(Third Direction)으로 연장되는 앞벽(Front Wall); 및
    상기 앞벽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면 수평부(Front Horizontal Part)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앞벽과 상기 구동모듈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3 방향으로 상기 제 1 부분의 폭은 상기 조명관의 직경보다 큰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 및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벽(First Side Wall);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측면 수평부(First Side Horizontal Part);
    상기 제 1 측면 수평부로부터 상기 제 3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Second Side Wall); 및
    상기 제 2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면 수평부(Second Side Horizontal Part);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제 1 측벽, 상기 제 1 측면 수평부, 상기 제 2 측벽 및 상기 제 2 측면 수평부에 의해 사각틀 형태로 구획되는 공간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한 끝단은 상기 제 2 부분의 제 2 측면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다른 끝단은 상기 제 3 부분의 제 2 측면 수평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측벽과 상기 제 2 측면 수평부의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제 1 끝단(First Edge)은 상기 선반모듈의 전방을 향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끝단에 대항되는 제 2 끝단(Second Edge)은 상기 선반모듈의 후방을 향하고,
    상기 모터는 모터 베이스와 상기 모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끝단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 2 끝단과 상기 모터의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크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끝단 측에서 상기 모터 베이스의 끝단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간격은 상기 하우징의 제 1 끝단 측에서 모터 베이스의 끝단과 상기 구동축 사이의 간격보다 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칸막이가 설치되는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KR1020190032143A 2018-07-17 2019-03-21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KR1021211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2711 2018-07-17
KR1020180082711 201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38A true KR20200008938A (ko) 2020-01-29
KR102121146B1 KR102121146B1 (ko) 2020-06-09

Family

ID=69322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143A KR102121146B1 (ko) 2018-07-17 2019-03-21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114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894U (ko) 1993-10-12 199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윈 전선결속밴드
KR20010083556A (ko) * 2000-02-16 2001-09-01 박문주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KR200425784Y1 (ko) * 2006-06-29 2006-09-07 양경호 진열장용 조명장치
KR100807868B1 (ko) * 2007-02-07 2008-02-27 허일규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장치
KR20090107289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쇼케이스
KR101747183B1 (ko) 2016-03-23 2017-06-14 (주) 효성인더스트리 회전형 선반을 가지는 쇼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2894U (ko) 1993-10-12 1995-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윈 전선결속밴드
KR20010083556A (ko) * 2000-02-16 2001-09-01 박문주 냉온장 겸용 쇼케이스
KR200425784Y1 (ko) * 2006-06-29 2006-09-07 양경호 진열장용 조명장치
KR100807868B1 (ko) * 2007-02-07 2008-02-27 허일규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장치
KR20090107289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파리크라상 쇼케이스
KR101747183B1 (ko) 2016-03-23 2017-06-14 (주) 효성인더스트리 회전형 선반을 가지는 쇼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1146B1 (ko) 202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64053B (zh) 冰箱
CN101198272B (zh) 陈列柜
US9289079B2 (en) Door for a refrigerated merchandiser
US8556440B2 (en) Refrigerator
JP2009112351A (ja) ショーケース
EP3674632B1 (en) Refrigerator
US10178917B2 (en) Refrigerated display cases with thermal-block doorframes
KR20200008938A (ko) 진열 및 저장의 복합기능 쇼케이스 냉장고
KR200350173Y1 (ko) 냉장고
JP2008267801A (ja) ショーケース
JP2008206758A (ja) 商品陳列棚における照明装置
EP3831250B1 (en) Refrigerator
JP4036583B2 (ja) 貯蔵庫
JP4928306B2 (ja) 商品陳列棚における照明装置
JP2008210666A (ja) 商品陳列棚における照明装置
KR101943907B1 (ko) 회전접시를 갖는 선반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쇼케이스
KR102620403B1 (ko) 쇼케이스
CN217357700U (zh) 一种新型壁挂式多功能智能柜
US12007161B2 (en) Refrigerator
JP2004286433A (ja) ショーケース
JP2902914B2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側板
JPH0956536A (ja) 平形冷凍冷蔵ショーケース
JP2012032613A (ja) ショーケース
TR2024001989U5 (tr) Yükleme alani i̇çeren bi̇r kanopi̇ye sahi̇p bi̇r soğutucu dolap
JP2004294031A (ja) ショー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