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526A -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 Google Patents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526A
KR20200007526A KR1020180081736A KR20180081736A KR20200007526A KR 20200007526 A KR20200007526 A KR 20200007526A KR 1020180081736 A KR1020180081736 A KR 1020180081736A KR 20180081736 A KR20180081736 A KR 20180081736A KR 20200007526 A KR20200007526 A KR 20200007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utton
smartphone
auxiliary input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1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혜나
Original Assignee
최혜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혜나 filed Critical 최혜나
Priority to KR102018008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7526A/ko
Publication of KR20200007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5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폰 본체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일면에 복수개의 방향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받고 해당 수신받은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시키는 보조 입력부; 상기 보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보조 입력부에서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동 조작 정보를 판독하며, 판독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Mobile electric device of easily to operate}
본 발명은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한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및 이동식 단말기는 키보드와 같은 별도의 문자 입력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에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의 터치식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환경을 탑재하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식 단말기는 터치스크린 상에 키패드창 및 문자 표시창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포인터 등을 사용하여 키패드창 터치를 통해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이 장착된 스마트폰은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의해 문자 입력 모드 실행시, 터치스크린 상에 여러 개의 문자 키버튼 및 기능 키버튼 등이 배열되어 있는 키패드창을 표시하며, 사용자의 문자 키버튼 터치에 의해 문자를 입력받아 문자 표시창에 표시하거나, 사용자의 기능 키버튼 터치에 의해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9284호(2011.05.31 등록)는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터치 화면을 갖는 전자 기기 본체; 및 상기 터치 화면에 문자 입력을 위한 영역인 문자 입력 영역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 상기 표시 모듈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반응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 제어 모듈, 및 상기 동작 제어 모듈을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문자를 상기 터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문자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내에 마련된 문자 입력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표시 모듈의 문자 입력 영역은 사각 큐브 형태를 갖고, 한글의 자음과 모음이 터치 버튼 형태로 배치된 문자 영역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문자 버튼 영역과, 상기 다수의 문자 버튼 영역 각각의 상하좌우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인접한 문자 버튼 영역의 대표 문자(자음 또는 모음)가 표시되며, 상기 다수의 문자 버튼 영역을 큐브 형태로 연결하는 이동 버튼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동작 제어 모듈은 해당 문자 버튼 영역 내의 자음을 터치한 상태에서 이후 입력할 모음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하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상기 터치에 반응하여 상기 터치한 자음을 입력한 후, 상기 모음의 입력을 위해 상기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사각 큐브 형태의 문자 입력 영역을 회전시켜 해당 문자 입력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64376호(2014.02.11 등록)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터치스크린 상의 일 지점에서의 제 1 터치가 검출되는 단계; 상기 제 1 터치가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터치상태가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1 터치의 터치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버튼이 기 설정된 크기로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터치로부터 진행되는 드래깅 제스쳐 방향에 따라 상기 입력버튼이 선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으로, 상기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은, 상기 제 1 터치가 검출되는 단계 후, 상기 제 1 터치의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표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터치스크린 영역을 벗어나는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터치의 터치 지점을 중심으로 표시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터치스크린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경우, 터치 상태가 유지되는 상기 제 1 터치의 터치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입력버튼이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폰은, 스마트폰의 크기가 큰 경우에 한손으로 들고 조작하기에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이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3928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64376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한손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한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스마트폰 본체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일면에 복수개의 방향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받고 해당 수신받은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시키는 보조 입력부; 상기 보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보조 입력부에서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동 조작 정보를 판독하며, 판독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입력부는, 상기 버튼의 일 말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구분하기 위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버튼을 한 번 입력하는 경우, 상기 버튼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버튼을 계속 입력하는 경우, 상기 버튼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시간마다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상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확대시키며, 상기 보조 입력부의 하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축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 입력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부재; 상기 본체부의 일면에 양측으로 형성되어,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 안내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 안내부재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부재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기 위한 패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보조 입력부에 형성되어,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광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일면에 별도의 보조 입력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구동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의 크기가 커서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힘들거나,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입력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본체부(100), 보조 입력부(200), 메모리부(300),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스마트폰 본체부(100)는, 스마트폰 기기로써, 메인 입력장치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정면, 배면, 평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일면에 보조 입력부(200)를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마트폰 본체부(100)는,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기저항막 방식 등의 터치 센서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수 있다.
보조 입력부(200)는,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정면, 배면, 평면, 저면, 좌측면, 우측면 중 어느 일면에 복수개의 방향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튼(201)으로 형성되며,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받고, 해당 수신받은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입력부(200)는,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어느 일면에 상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 하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 좌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 우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으로 십자모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터치스크린과 동일하게 방향 조절, 클릭, 확대, 축소 등과 같은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입력부(200)는, 다수개의 버튼(201)이 서로 일정 간격(예를 들어, 5mm ~10mm 등) 이내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각 버튼(201)을 입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보조 입력부(200)는,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홀딩 버튼(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00)는, 보조 입력부(200)의 입력에 따라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300)는,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데이터가 저장되며, 제어부(4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처리 결과가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터치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3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400)는, 보조 입력부(200)에서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구동 조작 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통상적으로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동작(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을 한 번 입력하는 경우, 버튼(201)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한 번 입력하면 좌측 페이지로 전환하도록 하며, 우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한 번 입력하면 우측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을 계속 입력하는 경우, 버튼(201)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시간마다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계속(예를 들어, 2초 이상) 입력하면 1초마다 좌측 페이지로 전환하며, 우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계속(예를 들어, 2초 이상) 입력하면 1초마다 우측 페이지로 전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보조 입력부(200)의 상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확대시키며, 보조 입력부(200)의 하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축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400)는, 보조 입력부(200)로부터 홀딩 버튼이 입력되어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에 따라 메모리부(300)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며, 판독된 정보에 따라 보조 입력부(200)의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일면에 별도의 보조 입력부(20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최소한의 움직임으로 구동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크기가 커서 한손으로 조작하기가 힘들거나, 움직임이 불편한 장애인들도 한손으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보조 입력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보조 입력부(200)는, 표시부재(210)를 포함한다.
표시부재(210)는,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의 일 말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다수개의 버튼(201)을 각각 구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210)는, 상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에는 상단에 구비되고, 하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에는 하단에 구비되고, 좌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에는 좌측단에 구비되고, 우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에는 우측단에 구비되어, 각 버튼(201)을 구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을 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각 버튼(201)을 바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표시부재(210)는, 도면에서 보조 입력부(200)의 각 버튼(201)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다수개의 돌기, 점자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본체부(100), 보조 입력부(200), 메모리부(300), 제어부(400), 커버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 본체부(100), 보조 입력부(200), 메모리부(300), 제어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커버부(500)는, 보조 입력부(200)가 구비된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일면에 결합되며, 보조 입력부(200)를 커버하여 보조 입력부(200)를 보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500)는,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일면에 탈부착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500)는, 커버부재(510), 슬라이드 안내부재(520), 패턴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10)는, 평상시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을 커버하여 보호하며, 보조 입력부(200)의 사용시 슬라이드 이동하여 버튼(201)을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510)는, 보조 입력부(200)와의 사이가 일정 간격(예를 들어, 1mm ~ 3mm 등) 이격 형성되고 견고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 플라스틱 등)로 형성되어, 외부 압력에 의해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이 가압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커버부재(510)는, 슬라이드 이동 시 버튼(201)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양측면에 개방홀을 형성할 수 있다.
슬라이드 안내부재(520)는, 보조 입력부(200)가 구비된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일면에 양측(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으로 형성되어, 커버부재(510)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안내부재(520)는, 스마트폰 본체부(100)의 일면에 일직선 형태로 돌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안내부재(520)는, 패턴부재(530)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패턴부재(530)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슬라이드 안내부재(5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슬라이드 안내부재(52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패턴부재(530)가 슬라이드 안내부재(5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530)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패턴부재(5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부재(530)는, 커버부재(510)의 양측(상측과 하측 또는 좌측과 우측)에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형성되며, 슬라이드 안내부재(520)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안내부재(520)를 따라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530)는, 슬라이드 안내부재(520)의 고정부재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고정부재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10)은, 커버부재(510)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부재(510)를 스마트폰 본체부(100)로부터 분리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커버부재(510)의 분실 방지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10)은, 스마트폰 본체부(100), 보조 입력부(200), 메모리부(300), 제어부(400), 광 센서부(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마트폰 본체부(100), 보조 입력부(200), 메모리부(300), 제어부(4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광 센서부(600)는,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에 각각 형성되며, 빛을 통해 각 버튼(201)의 입력을 감지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조 입력부(200)의 버튼(201)을 가압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광 센서부(600)는, 발광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수광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한 쌍으로 구비할 수 있다.
발광부는, 각 버튼(201)에 형성된 홀 내부에 설치되어, 홀을 통해 버튼(201) 외부로 소정 주파수의 빛을 방출한다.
수광부는, 발광부와 일정 간격 이격된 버튼(201)에 형성된 홀 내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에 의해 홀이 막혀 발광부에서 홀을 통해 방출되던 빛이 반사되어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광부는, 발광부와 쌍을 이루어 구비되며,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버튼(201)에 대한 홀을 막아, 해당 홀에 대응되는 발광부에서 그 홀을 통해 방출되던 빛이 반사되어 입력되면, 구동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시켜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100 : 스마트폰 본체부
200 : 보조 입력부
201 : 버튼
210 : 표시부재
300 : 메모리부
400 : 제어부
500 : 커버부
510 : 커버부재
520 : 슬라이드 안내부재
530 : 패턴부재
600 : 광 센서부

Claims (5)

  1. 스마트폰 본체부;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일면에 복수개의 방향성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튼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입력을 받고 해당 수신받은 입력에 대응하는 조작 명령 신호를 생성시키는 보조 입력부;
    상기 보조 입력부의 입력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보조 입력부에서 생성된 조작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구동 조작 정보를 판독하며, 판독된 정보에 따라 스마트폰 본체부의 구동을 조작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입력부는,
    상기 버튼의 일 말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버튼을 구분하기 위한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버튼을 한 번 입력하는 경우, 상기 버튼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버튼을 계속 입력하는 경우, 상기 버튼의 방향성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기 설정된 시간마다 페이지를 전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조 입력부의 상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확대시키며, 상기 보조 입력부의 하측 방향성을 가지는 버튼을 두 번 입력하는 경우 페이지를 축소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KR1020180081736A 2018-07-13 2018-07-13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KR202000075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36A KR20200007526A (ko) 2018-07-13 2018-07-13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1736A KR20200007526A (ko) 2018-07-13 2018-07-13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526A true KR20200007526A (ko) 2020-01-22

Family

ID=6936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1736A KR20200007526A (ko) 2018-07-13 2018-07-13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752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84B1 (ko) 2010-08-25 2011-06-07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64376B1 (ko) 2012-03-07 2014-0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284B1 (ko) 2010-08-25 2011-06-07 주식회사 모리아타운 터치식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364376B1 (ko) 2012-03-07 2014-02-1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 입력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6740B1 (en) Using touchscreen by pointing means
KR102213899B1 (ko) 전자 디바이스 및 전자 디바이스의 커버와 전자 디바이스에서 기능 실행 방법
KR102293482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전자 장치의 커버
JP5094158B2 (ja) 端末機及び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た端末機の制御方法
US9678659B2 (en) Text entry for a touch screen
EP1947555A2 (en) Mobile terminal with touch screen
US20060061557A1 (en) Method for using a pointing device
US20120218206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storing operation control program
JP4281465B2 (ja) 電子機器
KR101821137B1 (ko) 점자 단말기
US20080111798A1 (en) Laptop computer, system and/or method for using the same
EP2717129A1 (en) Input device, input method, and program
KR20150012396A (ko) 입력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166292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KR20090049153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KR20200007526A (ko) 조작이 용이한 스마트폰
KR101659243B1 (ko) 아랍문자 입력장치 및 아랍문자 입력방법
KR101229357B1 (ko) 방향입력용 터치패드와 터치패널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및 그 제어방법
KR101835674B1 (ko) 포스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70072622A (ko) 점자 단말기
KR20110093050A (ko) 터치 영역 증감 검출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20030843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디바이스에서의 제스처를 통한필기입력 방법
KR101593319B1 (ko) 글로브 터치가 가능한 이동단말기 케이스
KR101898194B1 (ko) 점자 입력을 위한 터치스크린 장치의 동작 방법
KR20220064928A (ko) 커버 케이스 기반의 하이브리드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