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707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7077A
KR20200007077A KR1020200005004A KR20200005004A KR20200007077A KR 20200007077 A KR20200007077 A KR 20200007077A KR 1020200005004 A KR1020200005004 A KR 1020200005004A KR 20200005004 A KR20200005004 A KR 20200005004A KR 20200007077 A KR20200007077 A KR 20200007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cooling passage
component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5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2996B1 (ko
Inventor
장승태
이승준
윤성준
이남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4402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6916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5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9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Abstract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힌지 기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 장치를 포함하고, 조상기 컨트롤 장치는, 부품이 수용되는 컨트롤 하우징; 상기 컨트롤 하우징의 제1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입구; 상기 컨트롤 하우징의 제2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출구;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입구 측에 위치되는 입구 측 냉각팬; 및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출구 측에 위치되는 출구 측 냉각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명세서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열원의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가열원과,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조리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컨트롤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부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본체 또는 상기 도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1272호에는 도어에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는 조리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정면에 캐비닛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개폐 동작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도어 에어 갭을 갖는 도어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는, 컨트롤 패널과 일체화를 위해 컨트롤 패널이 설치될 수 있는 컨트롤 패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패널부는 상기 도어 에어 갭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부는 도어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 패널 브래킷에 의해 도어 에어 갭과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의 경우, 캐비닛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캐비닛 배기구를 통해 캐비닛에서 배출된 후 도어 개구부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된다. 도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 에어 캡을 따라 하방으로 유동하면서 도어를 냉각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고온의 조리실로 인한 열기가 도어 에어 갭 내의 냉각 기류에 의해서 컨트롤 패널로 유동되지 못하도록 차단됨으로써 컨트롤 냉각을 도모한다.
그런데, 선행문헌에 의하면, 컨트롤 패널 내부의 부품에서도 열이 발생하는데, 상기 도어 에어 갭 내의 냉각 기류는 단지 조리실의 열기가 컨트롤 패널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뿐이므로, 상기 컨트롤 패널 내부의 부품 자체를 냉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 내부의 부품을 냉각시키지 못하는 경우 상기 부품의 손상 또는 오작동의 우려가 높다.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 장치로 도어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 상의 공기가 전달되는 방지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 장치의 부품이, 도어의 냉각 유로와는 별도의 냉각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 장치의 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유로의 길이가 증가되어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냉각팬의 회전에 의한 소음이 최소화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어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가 컨트롤 장치의 하측에서 본체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힌지 기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컨트롤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장치는, 부품이 수용되는 컨트롤 하우징; 상기 컨트롤 하우징의 제1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입구; 상기 컨트롤 하우징의 제2측벽에 형성되는 공기 출구;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입구 측에 위치되는 입구 측 냉각팬; 및 상기 컨트롤 하우징에서 상기 공기 출구 측에 위치되는 출구 측 냉각팬을 포함한다.
상기 부품은, 상기 입구 측 냉각팬과 상기 출구 측 냉각팬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입구 측 냉각팬 사이에 위치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일 예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기 위한 근접 센서 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의 양측에는 각각 사이드 데코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 하우징은 제1측벽과 제2측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측벽의 외측에 제1사이드 데코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제2측벽의 외측에 제2사이드 데코부재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1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2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릿과 상기 공기 입구는 서로 교차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슬릿과 상기 공기 출구는 서로 교차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은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1함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함몰벽에는 상기 입구 측 팬을 지지하기 위한 팬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은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되는 제2함몰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함몰벽에는 상기 출구 측 팬을 지지하기 위한 팬 지지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냉각 유로와, 상기 냉각 유로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도어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를 상기 도어 공기 출구 측으로 안내하기 위한 배리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은, 상기 배리어가 결합되는 배리어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 결합부는 상기 배리어의 일부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는 다수 회 절곡된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은, 상기 배리어를 지지하기 위한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서포터에 지지된 상태에서 스크류에 의해서 상기 서포터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컨트롤 장치가 배면에 설치되는 전면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배리어는, 상기 전면 패널에 대해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부분과, 상기 제1부분에서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제2부분과, 상기 제2부분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수직한 제3부분과, 상기 제3부분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이 상기 끼움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서포터는, 상기 제2부분과 접촉되는 제1접촉부와, 상기 제3부분과 접촉되는 제2접촉부와, 상기 제4부분과 접촉되는 제3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접촉부 및 상기 제2접촉부가 상기 스크류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을 커버하는 컨트롤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 커버와 상기 제4부분 사이에는 기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힌지 기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내부에 발열하는 부품이 수용되는 컨트롤 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냉각 유로; 및 상기 컨트롤 장치를 관통하도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열하는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 냉각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구획되어 각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배리어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에 의해서 상기 배리어의 상방에 부품 냉각 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배리어의 하방에 도어 냉각 유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냉각 유로는 상기 도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공기가 상기 도어의 하측에서 상방으로 상기 도어 냉각 유로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교차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상기 컨트롤 장치의 일측면서 타측면을 관통하도록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일 예로 상기 도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일 수 있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에는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부품이 위치될 수 있고,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출구 측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관리될 수 있는 부품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일 예로, 디스플레이 피씨비 및 센서 피씨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 및 출구 측 각각에 하나 이상의 냉각팬이 위치될 수 있다.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도어 냉각 유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컨트롤 장치의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 냉각 유로를 포함함으로써, 컨트롤 장치의 부품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컨트롤 장치가 컨트롤 하우징에 결합되는 배리어를 포함함에 따라서,컨트롤 하우징 측으로 도어를 냉각시킨 공기가 유동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배리어의 경사진 부분에 의해서 공기가 본체로 원활히 유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부품 냉각 유로는 컨트롤 장치의 일측벽에서 유입되어 타측벽으로 배출되도록 배치되므로, 부품 냉각 유로의 길이가 증가되어 공기가 충분히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부품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저온으로 관리되어야 할 부품이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에 위치되므로, 해당 부품의 냉각이 원활히 및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 하우징 내에서 공기 입구 측에 냉각팬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공기 출구 측에도 냉각팬이 존재함에 따라서 컨트롤 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도어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되는 사이드 데코부재에 냉각팬이 설치되지 않고 사이드 데코부재 보다 내측에 위치되는 컨트롤 하우징에 냉각팬이 설치됨에 따라 냉각팬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로 바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 하우징의 측벽에 함몰된 형태의 함몰벽이 존재하여 사이드 데코부재와 이격되므로, 컨트롤 하우징의 외측에서 볼트를 체결하여 냉각팬을 고정하여도 볼트의 헤드가 사이드 데코부재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데코부재에 구비되는 슬릿의 연장 방향이 컨트롤 하우징의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공기가 슬릿, 공기 입구, 공기 출구를 각각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이드 데코부재에 구비되는 슬릿의 연장 방향이 컨트롤 하우징의 공기 입구 및 공기 출구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외부로 냉각팬이 노출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에서 컨트롤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배리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하우징의 사시도.
도 7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커버에 결합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브라켓이 컨트롤 하우징과 사이드 데코부재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이 컨트롤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제1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서 제1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2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제2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에서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에서 컨트롤 커버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배리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6은 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1)는, 내부에 각종 부품을 수용하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조리실(12)을 형성하는 내측 프레임(11)과, 상기 내측 프레임(11)의 외측에서 상기 내측 프레임(11)을 둘러싸는 외측 프레임(1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 프레임(11)의 전단부에는 본체 패널(1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패널(16)은 상기 내측 프레임(11)의 전단부에 결합되거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본체(10)에 힌지 기구(450)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20)의 하단에 상기 힌지 기구(45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12)로 공급된 열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20) 외부의 공기는 상기 도어(20)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20)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배출되는 도어 도어 공기 출구(21)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10)는 상기 도어 공기 출구(21)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유입되는 본체 공기 입구(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는 상기 본체 패널(16)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를 통해 상기 본체(10)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본체(10)를 유동한 후에 본체 공기 출구(18)를 통해 상기 본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도 상기 본체 패널(16)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컨트롤 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20)에서 상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 패널(16) 중에서 상기 조리실(12)의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과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와 조작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컨트롤 장치(300)를 통해서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정보를 표시 및/또는 사용자의 작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전면 패널(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은, 상기 도어(2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전면 패널(210)은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20)의 전면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후방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중간 패널(280)과, 상기 중간 패널(280)의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패널(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 패널(280)은 상기 조리실(12)의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단열 패널 역할을 한다. 상기 리어 패널(290)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2)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중간 패널(280) 및 상기 리어 패널(290)도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2) 내부에 수용된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240)은 상기 중간 패널(280) 및 상기 리어 패널(29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 프레임(240)은 상기 중간 패널(280)이 상기 전면 패널(210)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어 프레임(240)은 상기 리어 패널(290)이 상기 중간 패널(280)과 이격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240)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240a)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도어(20)가 복수의 중간 패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로어 프레임(240)은 복수의 중간 패널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복수의 중간 패널을 지지할 수 있다.
도 7에는 일 예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리어 패널(290) 사이에 제1중간 패널(281)과 제2중간 패널(282)이 구비되는 것이 도시된다.
따라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상기 제1중간 패널(281) 사이에 도어 냉각 유로인 제1냉각 유로(P1)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간 패널(281)과 상기 제2중간 패널(282) 사이에 도어 냉각 유로인 제2냉각 유로(P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냉각 유로(P1, P2)에는 상기 도어(20) 외측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중간 패널(282)과 상기 리어 패널(290) 사이에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28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0, 221)과,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0, 221)의 하측을 연결하는 로어 프레임(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는,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프레임(220, 221)의 외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와, 상기 로어 프레임(240)의 하측에 위치되는 로어 데코부재(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부품이 수용되는 컨트롤 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은, 디스플레이 장치(350), 센서 피씨비(355), 센서(3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컨트롤 장치(300)를 구성하는 부품이 자체적으로 발열하는 부품에 해당하므로, 해당 부품의 냉각이 필요하다.
또한, 후술할 것이나, 도어(20)의 하측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도어 냉각 유로(P1, P2)를 지난 공기가 컨트롤 장치(30)와 접촉하게 되므로, 도어 냉각 유로의 공기에 의해서 열이 상기 컨트롤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어, 상기 부품의 냉각이 더욱 필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20)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P1, P2)와 독립적으로 상기 컨트롤 장치(300)의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 냉각 유로를 형성한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일 예로 상기 도어(2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유로이다. 상기 부품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5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360, 361, 3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210)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50)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디스플레이 창(212)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을 커버하는 컨트롤 커버(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50) 및 상기 컨트롤 커버(390)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50)로 상기 조리실(12) 내부의 열이 전달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고, 상기 냉각팬(360, 361, 362)에 의해서 냉각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커버(390)에는 결합 브라켓(380)이 연결되고, 상기 결합 브라켓(380)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220, 221)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60) 및 상기 냉각팬(360, 361, 362)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등에는 전선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선은 상기 본체(10)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신호선 뿐만 아니라 전원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선은 일 예로 상기 사이드 프레임(220, 221)에 의해서 가이드되어 하측으로 연장된 후에 상기 본체(10)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 수단에 의해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350)는 디스플레이 피씨비(35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디스플레이 피씨비(351)가 설치되는 제1설치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치부(311)는 일 예로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창(212)과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51) 사이에는 디스플레 패널(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정보를 표시하는 LCD 패널이거나, 정보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터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센서(357)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상기 센서(312)가 설치되는 제2설치부(3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312)는 일 예로 사용자의 근접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제2설치부(312)는 상기 제1설치부(311)의 일측방에서 상기 제1설치부(311)와 이격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360, 361, 362)은, 상기 제2설치부(312)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1냉각팬(360) 및 제2냉각팬(3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의 설치를 위한 팬 설치 리브(315, 316, 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 설치 리브(315, 316, 317)는 상기 제1냉각팬(36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 리브(315)와, 상기 제2냉각팬(361)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 리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설치 리브(315)와 상기 제2설치 리브(316)는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설치 리브(315)와 상기 제2설치 리브(317) 사이에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이 함께 설치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공통 리브(31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냉각팬(360)은 상기 제1설치 리브(315) 및 상기 공통 리브(317)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냉각팬(361)은 상기 공통 리브(317)의 타측 및 상기 제2설치 리브(316)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은 공기의 유동을 기준으로, 병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은 상기 도어(20)의 외부 공기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되도록 작동한다.
상기 제2설치부(312)는 상기 제1설치부(311)에 비하여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과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설치부(312)에 설치된 센서(357)는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에 의해서 유동되어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으로 인입되는 공기에 의해서 바로 냉각될 수 있어, 상기 센서(357)가 기준 온도 보다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357) 및 상기 센서(357)와 연결되는 피씨비는 저온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부품으로서, 제1냉각팬(360)과 상기 제2냉각팬(361)과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설치부(311)를 기준으로 상기 제2설치부(312)의 반대편에는 제3설치부(3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설치부(313)에는 도어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미도시)가 설치되는 센서 피씨비(35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360, 361, 362)은, 상기 제3설치부(313)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냉각팬(3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상기 제3냉각팬(362)의 설치를 위한 팬 설치 리브(3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냉각팬(362)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외부로 원활히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컨트롤 장치(300)는, 상기 도어(20)의 냉각 유로(P1, P2)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70)는, 상기 부품 냉각 유로와 도어 냉각 유로(P1, P2)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상기 배리어(370)의 단부가 결합되기 위한 배리어 결합부(320)와, 상기 배리어(370)를 지지하기 위한 배리어 서포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결합부(320)에는 상기 배리어(370)의 단부가 끼워지기 위한 끼움 홈(3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70)는, 얇은 판이 다수 회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배리어(370)는, 상기 끼움 홈(321)에 끼워지는 제1부분(3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분(372)은 상기 끼움 홈(3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70)는, 상기 제1부분(372)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부분(3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2부분(374)은 상기 제1부분(372)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과 멀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제2부분(374)은 상기 냉각 유로(P1, P2)를 따라 상승하는 공기가 상기 도어 공기 출구(21) 측으로 원활히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70)는, 상기 제2부분(374)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3부분(37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부분(376)은, 일 예로 상기 전면 패널(21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부분(372)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부분(376)은 상기 전면 패널(21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370)는, 상기 제3부분(376)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4부분(3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4부분(378)은 상기 제3부분(376)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4부분(378)은 일 예로 상기 제3부분(376)에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서포터(322)는, 상기 끼움 홈(321)에 끼워진 상기 배리어(37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서포터(322)는, 상기 배리어(370)의 제2부분(374)과 접촉하는 제1접촉부(323)와, 상기 배리어(370)의 제3부분(376)과 접촉하는 제2접촉부(3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촉부(323)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324)에는 스크류(S1)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부(3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324)에 상기 제3부분(376)이 접촉된 상태에서 스크류(S1)가 상기 제3부분(376)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32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배리어 서포터(322)는, 상기 제4부분(378)이 접촉되는 제3접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에 수직한 상기 제3부분(376)에 상기 스크류(S1)를 체결하는 이유는 상기 스크류(S1)의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상기 스크류(S1)의 체결 과정에서 조립 불량을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배리어(370)의 제4부분(378)에는 기밀 부재(379)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기밀 부재(379)에는 상기 컨트롤 커버(390)가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밀 부재(379)에 의해서 상기 냉각 유로(P1, P2)의 공기가 상기 배리어(370)와 상기 컨트롤 커버(390) 사이 틈새를 통해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커버에 결합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결합 브라켓이 컨트롤 하우징과 사이드 데코부재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일 예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로어 데코부재(270)는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상기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만약,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로어 데코부재(27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로어 데코부재(270)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로어 데코부재(270)가 플라스틱 사출물인 경우에는 금속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로어 데코부재(270)와 동일한 질감을 가지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커버(390)는, 제1바디(391)와, 상기 제1바디(391)의 단부(391a)에서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바디(391)로부터 돌출되는 제2바디(39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바디(391)와 상기 제2바디(392)가 단차진다.
상기 제2바디(392)에는 상기 결합 브라켓(380)이 체결되기 위한 브라켓 체결돌기(394, 395)가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브라켓 체결돌기(394, 395)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브라켓 체결돌기(394, 395) 각각은 상기 컨트롤 커버(39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결합 브라켓(380)은, 브라켓 바디(381)와, 상기 브라켓 바디(381)의 양측에서 절곡되는 한 쌍의 절곡부(383, 3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바디(381)는 이격되는 복수의 브라켓 체결돌기(394, 395)와 접촉될 수 있으며, 스크류(S2)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브라켓 체결돌기(394, 395)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절곡부(383, 384) 각각에는 스크류(S3)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384)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는, 공통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210)의 배면에 접촉되는 제1부재(262)와, 상기 제1부재(262)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부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63)는 일 예로 상기 제1부재(262)에서 상기 전면 패널(260)과 수직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커버(390)의 제1바디(391)는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의 제1부재(263)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 커버(390)의 단차에 의해서 상기 컨트롤 커버(390)의 제2바디(391)는 한 쌍의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의 제1부재(263) 사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 브라켓(380)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내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S3)가 상기 사이드 데코부재(260, 261) 및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에 상기 결합 브라켓(380)의 절곡부(382, 383)에 체결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이 컨트롤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1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서 제1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제1측벽(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측벽(330)은, 내측으로 함몰된 제1함몰벽(3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벽(331)에는 상술한 상기 팬 설치 리브(315, 316, 3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벽(331)은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된다.
상기 제1함몰벽(331)에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제1공기 입구(332)와, 제2공기 입구(3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 입구(332)는 일 예로 복수 개가 존재하며 상기 제1냉각팬(360)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공기 입구(333)는 일 예로 복수 개가 존재하며 상기 제2냉각팬(361)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1공기 입구(332)와 복수의 제2공기 입구(332)는 제1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기 입구(331, 332)는 상기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하 방향이다.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는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는, 상기 제1측벽(330)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는, 제1부재(262)와 제2부재(26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63)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제1측벽(33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63)가 상기 제1측벽(33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263)는 상기 제1함몰벽(331)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함몰벽(331)에 의해서,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제1측벽(330) 사이에는 제1공간(R1)이 형성된다.
상기 제1공간(R1)에 의해서 볼트(339)를 상기 제1함몰벽(331)을 관통하여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 각각과 체결하여도 상기 볼트(339)의 헤드가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의 제2부재(263)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1슬릿(266)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1슬릿(266)이 상기 제2부재(26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1슬릿(266)은 상기 제2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슬릿(266) 각각은 상기 제1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1슬릿(266)은 상기 제1공기 입구(332) 및 상기 제2공기 입구(33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1슬릿(266)의 길이(A 방향 길이)는 상기 제1공기 입구(332)와 제2공기 입구(333) 간의 최대 거리(A 방향 거리)와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슬릿(266)을 통과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제1공기 입구(332)를 통과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공기 입구(333)를 통과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1슬릿(266)의 연장 방향이 상기 각 공기 입구(332, 333)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슬릿(266)의 연장 방향이 상기 각 공기 입구(332, 333)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공기가 제1슬릿(266) 및 공기 입구(332, 333)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함몰벽(331)에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제2냉각팬(361)이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3은 제2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제2사이드 데코부재가 컨트롤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은 제2측벽(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340)은 상기 제1측벽(33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벽이다.
상기 제2측벽(340)은, 내측으로 함몰된 제2함몰벽(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함몰벽(331)은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벽(341)에는 상술한 상기 팬 설치 리브(3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함몰벽(341)에는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기 출구(3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출구(343)는 일 예로 복수 개가 존재하며 상기 제3냉각팬(362)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공기 출구(343)는 제3방향(화살표 C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공기 출구(342)는 상기 제3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4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방향은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하 방향이다.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는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외측에서 상기 전면 패널(210) 및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는, 상기 제2측벽(340)의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부재(262)와 제2부재(263)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부재(263)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제2측벽(340)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263)가 상기 제2측벽(340)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제2부재(263)는 상기 제2함몰벽(341)과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함몰벽(341)에 의해서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와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의 제2측벽(340) 사이에는 제2공간(R2)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공간(R2)에 의해서 볼트(349)를 상기 제2함몰벽(341)을 관통하여 상기 제3냉각팬(362)과 체결하여도 상기 볼트(349)의 헤드가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0)의 제2부재(263)에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제2슬릿(267)이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2슬릿(267)이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0)의 제2부재(263)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제2슬릿(267)은 상기 제4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슬릿(267) 각각은 상기 제3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슬릿(267)은 상기 공기 출구(343)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디자인적으로 일체감이 증가되도록 상기 제1슬릿(266)과 제2슬릿(267)은 동일한 개수 및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공기 출구(343)와 대응되는 위치에 하나의 냉각팬이 배치되는 것이 개시되나, 상기 센서 피씨비(355)의 위치가 가변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 출구(342) 측에 복수의 냉각팬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제2슬릿(267)의 연장 방향이 상기 공기 출구(343)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상기 제3냉각팬(362)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2슬릿(267)의 연장 방향이 상기 공기 출구(343)의 연장 방향과 다르므로, 공기가 상기 공기 출구(343) 및 제2슬릿(267)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함몰벽(341)에 상기 제3냉각팬(362)이 설치됨에 따라서, 상기 제3냉각팬(362)이 작동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로 직접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 장치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상기 제1슬릿(266), 제1공기 입구(332) 및 제2공기 입구(333), 컨트롤 하우징(310)의 내부 공간, 공기 출구(343) 및 제2슬릿(267)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상기 도어(2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2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도어(20)의 타측면으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에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19)과,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본체 유로(19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 유로(19a)는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 및 본체 공기 출구(18)와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 공기 출구(21)가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기기(1)가 작동하면, 상기 팬(19)이 작동하고 상기 팬(19)의 회전력이 상기 도어(20)로 작용한다. 그러면, 상기 도어(20)의 하측에서 로어 프레임(240)에 형성되는 홀(240a)을 통해 공기가 상기 도어(20) 내로 유입된다.
상기 도어(20) 내에서 공기는 제1 및 제2냉각 유로(P1, P2)를 따라 상승하면서 상기 도어(20)를 냉각한다.
상기 제1 및 제2냉각 유로(P1, P2)를 지난 공기는 상기 배리어(370)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상기 도어 공기 출구(21)를 통해 상기 도어(20)에서 배출되고, 상기 본체 공기 입구(17)를 통해 상기 본체 유로(19a)를 따라 유동한다.
상기 본체 유로(19a)를 따라 유동한 공기는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를 통해 상기 본체(10)에서 배출된다. 상기 본체 공기 출구(18)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컨트롤 장치(30)와 상기 본체 패널(16) 사이 갭을 통해서 외측으로 유동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 장치(300)의 냉각을 위하여 상기 제1냉각팬 내지 제3냉각팬(360, 361, 363)이 작동한다.
상기 제1냉각팬(360) 및 상기 제2냉각팬(361)이 작동하면, 상기 도어(20)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사이드 데코부재(260)의 제1슬릿(366)을 통과한 후에 상기 제1공기 입구(332) 및 상기 제2공기 입구(333)를 통해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상기 도어(20)의 일측면을 통해 공기가 컨트롤 장치(30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먼저 상기 센서(357)를 둘레를 따라 유동하면서 센서(357)를 냉각시킨다.
상기 센서(357)를 냉각시킨 공기는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51) 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51)를 냉각시킨다.
상기 디스플레이 피씨비(351)를 냉각시킨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센서 피씨비(355)를 냉각시키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3냉각팬(362)에 의해서 상기 공기 출구(343)를 통해 배출된다. 즉, 상기 도어(20)의 타측면을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상기 공기 출구(343)에 인접하게 상기 제3냉각팬(362)이 위치되므로, 상기 컨트롤 하우징(310) 내부의 공기가 상기 제3냉각팬(362) 측으로 원활히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출구(343)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2사이드 데코부재(261)의 제2슬릿(367)을 지나 최종적으로 상기 도어(20)에서 배출된다.
본 실시 예에와 같이 부품 냉각 유로는 컨트롤 장치의 일측벽에서 유입되어 타측벽으로 배출되도록 배치되므로, 부품 냉각 유로의 길이가 증가되어 공기가 충분히 부품을 냉각시킬 수 있어 부품의 냉각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 입구 측에 위치되는 제1냉각팬 및 제2냉각팬을 입구 측 냉각팬이라 하고, 상기 공기 출구 측에 위치되는 제3냉각팬을 출구 측 냉각팬이라 한다.
1: 조리기기 10: 본체
20: 도어 300: 컨트롤 장치
310: 컨트롤 하우징 360: 제1냉각팬
361: 제2냉각팬 362: 제2냉각팬
370: 배리어

Claims (12)

  1. 조리실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에 힌지 기구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며 내부에 발열하는 부품이 수용되는 컨트롤 장치;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도어 냉각 유로; 및
    상기 컨트롤 장치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발열하는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부품 냉각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구획되어 각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연통이 차단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장치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 냉각 유로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를 구획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리어의 상방에 상기 부품 냉각 유로가 배치되고,
    상기 배리어의 하방에 상기 도어 냉각 유로가 배치되는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도어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배리어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를 유동한 공기를 상기 도어 공기 출구 측으로 안내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냉각 유로와 상기 도어 냉각 유로는 교차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냉각 유로는 상기 도어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냉각 유로는 상기 도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상기 본체의 전단에 형상되는 본체 공기 입구와 본체 공기 출구; 및
    상기 본체 공기 입구와 상기 본체 공기 출구를 연통시키는 본체 유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냉각 유로를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도어 공기 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 공기 입구와 상기 도어 공기 출구가 연통되는 조리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과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출구 측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 사이에 위치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냉각 유로의 입구 측 및 출구 측 각각에 하나 이상의 냉각팬이 위치되는 조리기기.
KR1020200005004A 2018-04-16 2020-01-14 조리기기 KR10236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5004A KR102362996B1 (ko) 2018-04-16 2020-01-14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4026A KR102069164B1 (ko) 2018-04-16 2018-04-16 조리기기
KR1020200005004A KR102362996B1 (ko) 2018-04-16 2020-01-14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4026A Division KR102069164B1 (ko) 2018-04-16 2018-04-1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077A true KR20200007077A (ko) 2020-01-21
KR102362996B1 KR102362996B1 (ko) 2022-02-16

Family

ID=80474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5004A KR102362996B1 (ko) 2018-04-16 2020-01-1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9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24A (ko) * 2002-08-28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도어 냉각장치
KR20070108298A (ko) * 2006-05-06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090255918A1 (en) * 2008-04-10 2009-10-15 Whirlpool Corporation Full glass oven door
US8035065B2 (en) * 2006-09-01 2011-10-11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having a door with a built in control panel
KR101580683B1 (ko) * 2014-07-23 2015-12-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전장실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24A (ko) * 2002-08-28 2004-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도어 냉각장치
KR20070108298A (ko) * 2006-05-06 200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8035065B2 (en) * 2006-09-01 2011-10-11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having a door with a built in control panel
US20090255918A1 (en) * 2008-04-10 2009-10-15 Whirlpool Corporation Full glass oven door
US8716631B2 (en) * 2008-04-10 2014-05-06 Whirlpool Corporation Full glass oven door
KR101580683B1 (ko) * 2014-07-23 2015-12-2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오븐의 전장실 냉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2996B1 (ko) 2022-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164B1 (ko) 조리기기
KR102064799B1 (ko) 조리기기
JP2008164206A (ja) 空調装置
KR100402579B1 (ko) 전자레인지
KR20200007077A (ko) 조리기기
US20180168068A1 (en) Air ventilation device inside an enclosure intended to house modular electrical units, and enclosure comprising such a device
CN109974385B (zh) 冰箱
JP2020517895A (ja) 空気調和機のケーシングアセンブリ及び空気調和機
EP3030048B1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CN219222614U (zh) 具有照明功能的取暖装置
JP2018146202A (ja) 冷蔵庫
KR20040020616A (ko) 냉장고
KR101710905B1 (ko) 컴퓨터 결합 구조의 책상
KR102645872B1 (ko) 냉장고
CN113686079B (zh) 冰箱
JP2021181846A (ja) 冷蔵庫
JPS5927119Y2 (ja) 電子装置の冷却構造
JP2021181847A (ja) 冷蔵庫
KR200349864Y1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파워코드커버 일체형배기덕트마운트구조
CN113686077A (zh) 冰箱
WO2019030854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20046162A (ja) 貯蔵庫
KR20080024780A (ko) 프로젝션 티브이 및 프로젝션 티브이의 캐비닛 제조용 금형
KR20020044207A (ko) 전자레인지 전장실의 댐퍼구조
KR20040006625A (ko) 가구형 냉장고의 방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