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6516A - 기능성 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기능성 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6516A
KR20200006516A KR1020190162952A KR20190162952A KR20200006516A KR 20200006516 A KR20200006516 A KR 20200006516A KR 1020190162952 A KR1020190162952 A KR 1020190162952A KR 20190162952 A KR20190162952 A KR 20190162952A KR 20200006516 A KR20200006516 A KR 20200006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led lighting
optical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토
Priority to KR1020190162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6516A/ko
Publication of KR20200006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5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9/0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 F21V9/40Elements for modifying spectral properties, polarisation or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e.g. filters with provision for controlling spectral properties, e.g. colour, or intens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백색광을 방출하는 광원부;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을 제공받으며, 기설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강도를 선택적으로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LED 조명 장치{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력소모가 적고 수명이 긴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광원으로 하는 다양한 조명기구가 개발 및 출시되고 있다.
여기서, 발광다이오드는 빠른 응답속도, 저 전력 소모, 긴 수명 등의 장점을 가진 반도체의 P-N 접합 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 또는 양공)를 만들어 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해 발광시키는 것을 이용한 것으로, 종래의 조명용 백열 전구 및 할로겐 전구보다 소비전력이 1/10 정도 소요되어 전기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이러한 조명 기구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는 방안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가령, 조명을 이용한 각종 질환, 질병을 치료하거나, 사용자의 피부를 개선하는 방안 등이 연구되고 있다.
다만, 이러한 장치의 경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사용이 제한적이며, 장치가 크고 무거우며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장치의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곤란하며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09771호(2013.10.08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기능을 보다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백색광을 방출하는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을 제공받으며, 기설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강도를 선택적으로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 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광원부를 마주보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수개의 광 증폭부가 가상의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회전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는 제어부; 상기 광 증폭부의 후면에 부착되되 상기 광 증폭부에 대응하는 크기로 각각 마련되며, 광 증폭부를 통과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 및 상기 광 증폭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광 증폭부를 통과한 광 중에서 기설정된 광 경로를 이탈한 광을 상기 기설정된 광 경로 측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플렉터는 상기 광원부와 인접된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점점 증가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부는 상기 리플렉터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축은 기설정된 광 경로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백색 발광다이오드(White LED)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원부는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광 증폭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백색 광을 형성하는 파장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A2SiO4:Eu2+를 포함하고, 상기 A는 Sr, Ba, Ca 및 M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α-SiAlON:Eu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AlSiN3:Eu2+ 을 포함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의 벽면상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되 상기 광 증폭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상기 광 증폭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원하는 파장 영역 대의 광을 선택적으로 증폭시킴으로써 광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광원을 통해 미백, 염증 완화, 주름 개선 등의 다양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광원부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또 다른 광원부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1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2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3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100)는 일반적인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증폭시킴으로써 해당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광원부(110)와 광 증폭부(120)와 광 확산부(130)와 몸체부(140)와 반사시트(150)와 리플렉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10)는 백색광을 방출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광원부가 장착된 부위를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광원부(110)는 백색 발광다이오드(White LED)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도 3과 같이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111)로 마련되되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111)와 후술할 광 증폭부(120) 사이에 파장 필터부(112)를 구비하여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111)으로부터 백색광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파장 필터부(112)는 형광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111)으로부터 백색광을 형성하는 형광체는 주지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광 증폭부(120)는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을 제공받으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설정된 파장 영역 대에서의 광강도를 선택적으로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광 증폭부(120)는 특정 파장의 형광체로 마련되어 특정 파장의 광 추출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1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2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1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제3 광증폭부에 의한 증폭 효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가령, 대략 430nm 내지 480nm의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 증폭부(120)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A2SiO4:Eu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는 Sr(스트론튬), Ba(바륨), Ca(칼슘) 및 Mg(마그네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광 증폭부(120)를 제1 광 증폭부(121)라고 설명한다.
즉, 도 4와 같이 제1 광 증폭부(121)는 백색광을 제공받아, 청색광 영역의 광에 대하여 광강도를 증가시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한편, 대략 550nm 내지 600nm의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 증폭부(120)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α-SiAlON:Eu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광 증폭부(120)를 제2 광 증폭부(122)라고 설명한다.
즉, 도 5와 같이, 제2 광 증폭부(122)는 백색광을 제공받아, 황색광 영역의 광에 대하여 광강도를 증가시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한편, 대략 600nm 내지 700nm의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광 증폭부(120)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AlSiN3:Eu2+ 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광 증폭부(120)를 제3 광 증폭부(123)라고 설명한다.
즉, 도 6과 같이, 제3 광 증폭부(123)는 백색광을 제공받아, 적색광 영역의 광에 대하여 광강도를 증가시켜 외부로 방출하게 된다.
물론, 상기에 설명한 광 증폭부(120) 외에도 다른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증폭시킬 수 있는 광 증폭부(120)를 구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광 확산부(130)는 광 증폭부(120)를 통해 기설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강도가 증가된 광을 제공받아 확산시키는 것이다.
즉, 광 확산부(130)를 통해 광 증폭부(120)를 통과한 광의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광 확산부(130)는 광 증폭부(120) 후면에 부착되어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된 광이 광 증폭부(120)를 통과하자마자 광 확산부(130)를 통과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몸체부(14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장치(1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141)이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140)는 히트 싱크(heat sink)로 마련되어 광원부(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 및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홈(141)에는 광원부(1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광 증폭부(120)는 홈(141)을 외부로부터 마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홈(141)의 최내측에 광원부(110)가 배치되고, 광 증폭부(120)에 부착된 광 확산부(130)의 일면을 몸체부(140)의 일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부(110)는 홈(141) 내측에 밀봉될 수 있다.
여기서, 광 증폭부(120)는 몸체부(140) 측에 탈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술한 제1 광 증폭부(121), 제2 광 증폭부(122) 및 제3 광 증폭부(123) 중 어느 하나를 몸체부(11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시트(150)는 홈(141)의 내벽면 상에 마련되어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되되 광 증폭부(120)로부터 홈(141) 측으로 반사되는 광을 다시 광 증폭부(120) 측으로 반사시키는 것이다.
반사시트(150)를 통해 광 증폭부(120)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본 장치의 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160)는 광 증폭부(120)의 후단, 더 정확히는 광 확산부(130)의 후단에 마련되어 광 확산부(130)를 통해 확산된 광 중 기설정된 광 경로를 이탈하는 광을 다시 기설정된 광 경로 측으로 반사시키는 부재이다.
다시 설명하면, 광 확산부(130)에 의해 기설정된 파장 영역이 증폭되는 광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광 경로인 기설정된 광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기설정된 광 경로로부터 이탈한 광을 후발적으로 다시 기설정된 광 경로로 복귀시키기 위해 리플렉터(1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리플렉터(160)는 기설정된 광 경로의 일부를 감싸도록 마련되며, 광원부(110)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증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100')는 화장대 스탠드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몸체부(140')는 실질적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홈부(미도시)도 몸체부(140')의 적어도 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되 실질적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광원부(미도시)도 실질적으로 중력 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한편, 홈부(미도시)가 형성되는 면을 몸체부(140')의 정면이라 가정하고 설명한다.
여기서, 몸체부(140')의 정면에 형성된 홈부(미도시)에 광 증폭부(120') 및 광 확산부(130')가 장착되되 몸체부(140')의 하부에는 몸체부(140')의 하중을 지지하며 몸체부(140')의 중심을 유지하는 지지부(160')가 마련된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변형례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100')를 작동시킴에 따라 몸체부(140')의 정면을 통해 조명 효과 및 소정의 기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여기서의 소정의 기능은 피부 재생 및 여드름 제거와 같은 제거를 기대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기능성 LED 조명 장치(100)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광원부(110)를 통해 백색광이 방출되면, 백색광은 광 증폭부(120)로 제공된다.
여기서, 각각의 광 증폭부(120)는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 추출 효율이 증가할 수 있도록 특정 파장의 형광체를 포함하므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각각의 광 증폭부(120)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증폭시킬 수 있다.
다만, 일부의 백색광은 광 증폭부(120)를 통과하지 못하고, 광 증폭부(120)으로부터 반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광은 홈(141) 내벽면 상에 마련되는 반사시트(150)에 의해 반사되어 다시 광 증폭부(120) 측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광원부(110)로부터 방출되는 백색광의 실질적인 전부가 광 증폭부(120)를 통과할 수 있다.
한편, 광 증폭부(120)를 통과한 광은 광 증폭부(120) 후면에 부착된 광 확산부(130)에 제공되고, 광 확산부(1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확산되어 색상 및 밝기를 균일하게 조절된다.
여기서, 광 확산부(130)를 통과하는 동안 과다하게 확산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설정된 광 경로로부터 이탈하는 일부의 광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광을 다시 기설정된 광 경로 측으로 반사되도록 광 확산부(130)의 후단에 리플렉터(160)를 마련할 수 있다.
리플렉터(160)는 후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짐으로써 리플렉터(160)로 유입되는 광의 반사각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과정을 거친 광은 사용자에게 도달하고, 사용자에게 조명 기능 및 증폭된 파장 영역 대에서 기대할 수 있는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200)는 일반적인 조명의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강도를 증폭시킴으로써 해당 특정 파장 영역 대의 광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광원부(110)와 광 증폭부(120)와 광 확산부(130)와 몸체부(240)와 회전부(245)와 반사시트(150)와 리플렉터(160)와 제어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110), 광 증폭부(120) 및 광 확산부(13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몸체부(240)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장치(2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외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함몰되며 광원부(110)가 수용되는 홈(241)이 형성된다.
한편, 몸체부(240)는 히트 싱크(heat sink)로 마련되어 광원부(110)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흡수 및 방출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서 회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부(245)는 몸체부(24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며, 외면상에는 복수개의 광 증폭부(120)가 가상의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회전부(245)는 복수개의 광 증폭부(120)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광 경로 상에 배치되도록 마련되며, 회전중심이 기설정된 광 경로로부터 어긋나게 배치된다.
즉, 회전부(245)의 회전에 따라 사용자가 요구하는 광 증폭부(120) 중 어느 하나가 기설정된 광 경로상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기능에 대응하는 특정 파장의 광에 대해서 광강도를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시트(150) 및 리플렉터(160)는 제1실시예에서 상술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27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회전부(245)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파장 영역 대의 광에 대하여 광강도를 향상토록 제어하는 것이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LED 조명장치(200)에 소정의 기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입력할 수 있고, 해당 신호는 제어부(270) 측에 제공되어 회전부(245)의 회전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245)는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특정 파장 영역의 광강도를 증폭시킬 수 있는 광 증폭부(120)를 기설정된 광 경로 상에 배치시킬 수 있고,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특정 파장 영역의 광강도가 증폭된 광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70)는 필요에 따라 광원부(110)의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각 기능이 최적화되는 적정 시간이 존재하며, 이러한 적정 시간 범위 내에서 광이 사용자에게 도달할 수 있도록 광원부(110)의 작동시간, 즉, on/off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성 LED 조명 장치(200)의 제2실시예의 작동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LED 조명 장치는 여러 광 영역을 선택적으로 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각의 광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청색광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색광은 사람의 심리를 안정시키는 색으로 뇌를 안정시키는 신경전달 물질들을 분비한다(약 11개). 적색광과 반대로 맥박을 감소시키고 호흡을 깊고 길게 유도하고 발한 작용을 감소시키고, 체온을 떨어뜨리며 식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청색광은 여드름을 야기시키는 데 있어서 중추역할을 하는 박테리아를 타겟으로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P.acnes 박테리아를 죽이는 활성산소를 만들어 낸다.
따라서, 청색광 영역의 광에 대해 광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1 광 증폭부(121)에 의하면 여드름 등의 피부 질환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색광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황색광은 피부재생 및 치부재활에 도움이되는 세포 증식과 이동성 증가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세포층의 기능을 강화하고, 상처치유, 흉터 예방, 주름 개선 및 노화방지 등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황색광은 멜라닌 억제 능력을 있으므로, 햇볕에 의한 화상, 기미 및 화상 등을 방지하여,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황색광 영역의 광에 대해 광 강도를 증가시키는 제2 광 증폭부(122)에 의하면,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적색광 영역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인체가 적생광에 노출될 때 내분비선인 뇌하수체선이 움직이게 된다. 아주 짧은 시간 내에 화학적 신호가 뇌하수체선에서 부신으로 전달되고 에피네프린(아드레날린)이 분비된다. 이 아드레날린은 혈류를 통해 흐르게 되며 신진 대사의 영향과 함께 특정한 생리적 변화를 일으킨다. 즉, 협압이 상승하면 백박수가 증가해 호흡이 상승하며 맥박수가 증가해 호흡이 가빠지며 혈액의 흐름이 빨라지게 되어 혈액순환이 빨라지게 된다. 또한, 적생광은 피부탄력, 피하조직과 지방의 신진대사 촉진, 항산하, 항염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색광 영역의 광에 대해광 강도를 증가시트는 제3 광 증폭부(133)에 의하면, 항염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기능성 LED 조명 장치는 회전부(245)에 제1 광 증폭부(121), 제2 광 증폭부(122) 및 제3 광 증폭부(12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245)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청색광, 황색광 및 적색광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광에 대하여 광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하나의 기능성 LED 조명 장치로 부터 미백, 항염 내지 피부 재생 등에 해당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제1 광 증폭부(121), 제2 광 증폭부(122) 내지 제3 광 증폭부(123)를 선택할 수 있어서, 기능 선택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기능성 LED 조명 장치
110: 광원부 120: 광 증폭부
130: 광 확산부 140: 몸체부
150: 반사시트 160: 리플렉터
200: 기능성 LED 조명 장치
240: 몸체부 245: 회전부
270: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에 있어서,
    광원부;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제공받고 기 설정된 파장 영역에서의 광강도를 선택적으로 증폭시키는 광 증폭부;
    일면에 내측으로 함몰되는 홈이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광원부를 마주보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복수개의 광 증폭부가 가상의 원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장착되는 회전부;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회전부의 회전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개의 광 증폭부 중에서 어느 하나의 광 증폭부를 광 경로상에 배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부의 작동시간을 조절 가능하고,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광 증폭부가 상기 광 경로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광원부의 작동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기능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능이 수행되는 시간을 조절가능한 기능성 LED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증폭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광 증폭부를 통과한 광을 확산시키는 광 확산부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 확산부는 상기 광 증폭부의 후면에 부착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백색 발광다이오드(White LED)로 마련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청색 발광다이오드(Blue LED); 및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광 증폭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청색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백색광을 형성하는 파장 필터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A2SiO4:Eu2+를 포함하고, 상기 A는 Sr, Ba, Ca 및 Mg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기능성 LED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α-SiAlON:Eu2+을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증폭부는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1wt% 내지 20wt%의 CaAlSiN3:Eu2+을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벽면상에 장착되며, 상기 광원부로부터 방출되되 상기 광 증폭부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다시 상기 광 증폭부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 시트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증폭부의 후방에 마련되며, 상기 광 증폭부를 통과한 광 중에서 기설정된 광 경로를 이탈한 광을 상기 기설정된 광 경로 측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를 더 포함하는 기능성 LED 조명 장치.




KR1020190162952A 2019-12-09 2019-12-09 기능성 led 조명 장치 KR202000065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52A KR20200006516A (ko) 2019-12-09 2019-12-09 기능성 led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52A KR20200006516A (ko) 2019-12-09 2019-12-09 기능성 led 조명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1773A Division KR20180054165A (ko) 2016-11-15 2016-11-15 기능성 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516A true KR20200006516A (ko) 2020-01-20

Family

ID=69367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952A KR20200006516A (ko) 2019-12-09 2019-12-09 기능성 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65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193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착함 유도를 위한 nvis용 조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771A (ko) 2012-03-28 2013-10-08 김학용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771A (ko) 2012-03-28 2013-10-08 김학용 기능형 발광다이오드 조명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193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엠에스엘테크놀로지 착함 유도를 위한 nvis용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97688B (zh) 照明裝置及其光源模組
JP4932838B2 (ja) 手術用照明ランプ
JP4597980B2 (ja) Led治療用ライト
TWI687627B (zh) 照明裝置及燈具
US20100010593A1 (en) System of plaster and radiation device
TW201026986A (en) Illumination device
JP2015035373A (ja) 照明ユニット及び医療用照明装置
KR20210121260A (ko) Led 조명 장치 및 그것을 갖는 조명 시스템
JP7282413B2 (ja) 一般照明におけるフォトバイオモジュレーション(pbm)
TWM279352U (en) Photo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being controlled by programs
WO2021035782A1 (zh) 适于糖尿病性视网膜病变的专用光源及灯具
KR20200136998A (ko) 안구 치료용 광원 및 이를 포함하는 안구 치료 장치
KR20200006516A (ko) 기능성 led 조명 장치
US20220288412A1 (en) General lighting with photobiomodulation
JP2017062932A (ja) 埋込形照明器具
KR20150037528A (ko) 조명 장치
KR20180054165A (ko) 기능성 led 조명 장치
JP6390998B2 (ja) 照明器具及びそれを用いた医療器具
JP6156796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装置の制御方法
JP2003325684A (ja) 光線治療器
KR20190085694A (ko) 발광소자 패키지
US20230324035A1 (en) Lighting Apparatus With Near-Infrared
KR20230130830A (ko) 기능성 조명 장치
CN211461817U (zh) 一种用于治疗新生儿黄疸的led治疗装置
KR20220011358A (ko) 진열대에 사용되는 초음파 발산 및 led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